맨위로가기

와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족은 중국, 미얀마, 라오스에 걸쳐 거주하는 민족으로,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와어를 사용한다. 1954년 카와족으로 불리다가 1962년 와족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태국 북부에서는 루아족으로 불리기도 한다. 와족은 역사적으로 머리 사냥과 같은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사라졌다. 와족은 과거 영국 식민 시대와 국공 내전을 거치며, 미얀마 공산당과 중국 공산당의 영향을 받았다. 1989년 와족은 버마 공산당을 몰아내고 와족 연합군(UWSA)을 결성하여 자치구를 건설했다. 중국에서는 56개 민족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으며, 중국, 미얀마, 태국 등지에 자치 지역 또는 거주지를 형성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와족 - 와방
    와 주는 미얀마 샨 주에 위치한 와족 자치 지역으로, 와족 연합군이 실질적으로 통치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세력의 영향을 받았고, 현재는 중국과의 경제적 의존 관계가 깊으며, 광물 자원 채굴과 농업이 주요 산업이고 과거 아편 생산지로 악명 높았으나 현재는 마약 퇴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와족 - 와 자치도
    와 자치도는 미얀마 샨 주에 위치하며, 호팡 구와 맛만 구를 포함한 2개의 현, 8개의 읍, 1개의 소읍으로 구성된 자치구이다.
  • 라오스의 민족 - 라오스인
    라오스인은 라오스의 주민을 지칭하며, 라오스 정부는 라오룸, 라오틍, 라오쑹의 세 가지 주요 민족으로 분류하여 국민 통합을 추구한다.
  • 라오스의 민족 - 몽족
    몽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고유 명칭 '몽'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묘족'으로 불리며, 17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 미얀마의 민족 - 카렌족
    카렌족은 미얀마,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언어, 문화, 종교가 다른 이질적인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지정학적 중요성과 자치권 확보를 위한 투쟁, 난민 문제, 디아스포라 형성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미얀마의 민족 - 라카인족
    라카인족은 미얀마 라카인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오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으로, 여러 왕조를 거쳐 상좌부 불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를 이루며 아라칸어를 사용하고, 독립 후에도 로힝야족과의 갈등과 군부 탄압 속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투쟁하며 방글라데시와 인도에도 거주한다.
와족
일반 정보
전통 의상을 입은 와족 여성
전통 의상을 입은 와족 여성
다른 이름바, 아바, 파라우크, 바라오
중국어 이름|p=Wǎzú}}
인구
전체약 120만 명
미얀마위치: 미얀마샨주
인구: 약 80만 명
중국위치: 중국윈난성
인구: 약 40만 명
태국위치: 태국치앙라이주
인구: 1만 명
언어
주요 언어와어
보조 언어중국어서남관화, 버마어
종교
종교애니미즘, 불교, 기독교

2. 분류

와족은 스스로 아와라고 부르며, 피부색이 어둡고 대나무로 만든 집에 산다. 남성은 검은 터번으로 머리를 감싼다. 최근까지 머리 사냥 풍습이 있었다.[1]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계통의 와어를 사용하며, 지역에 따라 중국어버마어를 구사하는 사람도 있다.[1]

2. 1. 타이계 민족에 의한 분류

와족은 민족 식별 공작에 의해 1954년 카와족(卡佤族중국어)으로 인정받았지만, 이는 타이족으로부터 신하를 뜻하는 "카"라는 호칭을 받은 데서 유래했기 때문에 모욕적이라는 이유로 1962년 와족(佤族중국어)으로 변경되었다.[1] 태국 북부에 거주하는 와족은 루아(Lua)라고 불린다. 이는 중국 윈난성이나 미얀마의 와족과 같은 지계에 속하는 집단과, 오래전부터 치앙마이 주, 매홍손 주, 치앙라이 주에 살았던 라와(Lawa)라고 불리는 집단이 포함되어 있다.[1] 와족과 가까운 민족으로는 풀란족과 두안족이 있다.[1]

타이계 민족 중 타이누라고 불리는 집단은 카/와의 구분을, 샨족은 카/와하이의 구분을 하고 있다. 카는 신하를, 하이는 "야만적인"을 의미하며, 신하(La)와 화외(Wa)의 구별을 시사한다.[2] 데이비스는 타이계 민족이 와족을 와, 라, 타이로이로 분류했음을 기록하고 있다.[3] 타이로이는 타이계 언어로 "산의 타이족"이라는 의미이며, 야마다(2009)는 이를 신하의 집단(La)과 화외의 집단(Wa), 자민족의 일부(Tailoi)로 보았다.[4]

2. 2. 한족에 의한 분류

와족은 민족 식별 공작에 의해 1954년 카와족(卡佤族|카와족중국어)으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이는 타이족으로부터 신하를 뜻하는 "카"라는 호칭을 받은 데서 유래했기 때문에 모욕적이라는 이유로 1962년 와족(佤族|와족중국어)으로 변경되었다.[1] 태국 북부에 거주하는 와족은 루아(Lua)라고 불린다. 이는 중국 윈난성이나 미얀마의 와족과 같은 지계에 속하는 집단과, 오래전부터 치앙마이 주, 매홍손 주, 치앙라이 주에 살았던 라와(Lawa)라고 불리는 집단이 포함되어 있다. 와족과 가까운 민족으로는 풀란족과 두안족이 있다.[1]

역대 한족 왕조는 통치가 미치는 정도에 따라 비한족 계통 민족을 분류했으며, 와족에 대해서는 통치가 미치는 "숙(熟)" 그룹과 통치가 미치지 않는 "생(生)" 그룹으로 분류했다. 건륭 연간의 『운남통사(雲南通史)』에서는 카와(卡瓦|카와중국어)를 한족과의 왕래가 있는 "생와(生佤)"와 강탈을 행하는 "숙와(熟佤)"로 분류하고 있다.[2]

2. 3. 영국에 의한 분류

중국어를 제외하고는 와족에 대해 기록된 내용은 거의 없다.[23]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은 전통적으로 샨족 세습 족장인 ''사오파''가 다스렸다. 19세기 후반, 버마의 영국 당국은 와족 영토를 접근하기 어렵고 멀리 떨어진 곳으로 판단했다. 따라서, ''사오파''가 거주하던 망 론을 제외하고, 영국은 와족 자치주를 행정 없이 내버려두었고, 중국과의 경계선은 불분명하게 남겨두었다. 이러한 상황은 와족에게 잘 맞았는데, 그들은 역사를 통틀어 꾸준히 간섭받지 않는 것을 선호했기 때문이다.[24]

와족은 식민 행정관들에 의해 수렵 관습 때문에 야만적이고 더러운 사람들로 묘사되었다.[7] 그러나 20세기 이전에 작성된 중국 문서에서는 와족을 수렵족으로 거의 언급하지 않았고, 오히려 와족의 원시성을 강조하기 위해 와족 문화의 이러한 측면이 다른 어떤 것보다 더 많이 인용되었다.[25]

이러한 편견은 현대에도 이어지고 있는데, 경제적으로 라후족과 같은 지역의 다른 소수 민족 산악 부족과 크게 다르지 않은 와족은 반군과 연루되어 있고 마약 거래에 관여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는 그들의 다른 문화적 측면을 가리고 있다.[26]

영국 정부는 버마를 식민지로 삼아 살윈강 동쪽의 와족을 Tame와 Wild의 두 종류로 분류했다. 이 분류에는 머리 사냥과 같은 문화적 측면뿐만 아니라 영국 정부에 대한 조공과 같은 사회적 측면도 고려되었다. 영국 정부에 조공하는 Tame Wa는 Maing Lun 동부와 첸퉁 분지 북부에 한정되었으며, Wild Wa는 라쇼 동쪽의 미얀마-중국 국경 미확정 지대에 분포했다고 한다.

2. 4. 언어적 분류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계통의 와어를 사용하며 지역에 따라 중국어버마어를 구사할 줄 아는 사람도 많다.[16] 와어오스트로아시아어족팔라웅어파에 속하는 언어 그룹을 형성한다. 과거에는 문자가 없었고, 문해력이 있는 와족은 소수였으며, 그들은 한자를 사용했고, 다른 사람들은 샨어와 그 문자를 사용했다.[16]

기독교 선교는 20세기 초, 와족 영토의 미얀마 지역에서 시작되었고, 이후 중국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선교는 네브래스카 출신 윌리엄 마커스 영이 이끌었다. 와어의 첫 번째 표기는 1931년 영과 사라 야우 슈 친이 성경 번역을 목적으로 고안했다. 이 첫 번째 와어 알파벳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했으며, 1933년 와족 찬송가 모음집이 최초로 출판되었고,[16] 1938년 와족 신약성서가 완성되었다. 이 표기는 "성서 정서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에서는 "老佤文|lǎowǎwén중국어"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미얀마 와족 지역과 태국의 와족 사이에서 주로 사용된다.[16] 개정된 성서 정서법은 와 자치구 팡캄 당국에 의해 "공식 와어 철자법"으로 채택되었으며, 와족 연합군 군대의 문해력 향상을 위해 일련의 기초 교재를 출판했다. 또한 2000년 이후 페이스북과 기타 온라인 미디어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에서 와족, 가라오케 가사에서 와족 노래 작곡가[17]들은[18] 이러한 미얀마(개정된 성서) "공식 와어 정서법"의 주요 변형을 사용한다.[19]

중국에서는 1956년 병음 로마자 표기법에 맞춰 개정된 표기법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중국 공식 정서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주로 윈난성 정부를 통해 보급된 이 표기법의 출판물은 학계를 넘어 더 넓은 대중에게 아직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20] 이 새로운 와어 알파벳은 와족의 첫 번째 공식 문자로 간주된다.[21]

언어적 분류와 민족적 분류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야마다(2009)는 언어적으로 와족 그룹을 3개로 분류하고 있다.

지역자칭특징
I군시멍현, 멍롄현, 란창현의 일부아바, 보, 루비아타이족이나 한족은 적으며, 언어 문화적으로 보수적인 요소를 남기고 있다.
II군창위안현, 솽장현, 란창현의 일부와족(파라우크, 파가우크가 중심)와족의 수가 가장 많다. 역사적으로 타이족과의 접촉이 빈번했기 때문에 언어 문화적으로 타이족의 영향을 볼 수 있다.
III군융더현, 전캉현, 린창현, 윈현, 펑칭현 등바, 타이로이, 라아와산의 주변부에 위치하며, 타민족과의 접촉이 가장 빨랐던 지역이다. 한족의 인구 비율이 높고, 한 문화의 영향이 강하다.


3. 분포 및 자치 지역

와족은 메콩강 서쪽, 땅륀강(살윈강) 동쪽의 중국 윈난성 남부와 미얀마 북부, 라오스 북부에 걸쳐 분포한다. 1990년 조사에 따르면 중국 내 와족은 약 35만 명이었다.

3. 1. 중국

메콩강 서쪽 땅륀강 동쪽의 중국 윈난성 남부와 미얀마 북부, 라오스 북부에 약 70만 명이 산다. 1990년 조사에서는 중국 내에 살고 있는 와족은 약 35만 명이었다.

껭떠웅 인근 핑사이의 젊은 와족


와 자치구를 갈색으로 표시한 미얀마 지도


와족이 전통적으로 거주해 온 지역은 미얀마와 중국 사이에 걸쳐 있다. 국제 국경선은 와족의 조상 대대로 내려온 지역을 대략 반으로 나눈다.

와족은 중화인민공화국이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56개 민족 중 하나이다.

와족은 한족이 아와산(阿佤山중국어)이라고 부르는 해발 2,000m 미만의 산지에 거주한다.[31]

3. 1. 1. 자치현

자치현위치인구
창위안 와족 자치현윈난성 린캉 시약 125,000명
시멍 와족 자치현윈난성 푸얼 시약 56,000명
멍롄 다이족 라후족 와족 자치현윈난성 푸얼 시약 27,000명
겅마 다이족 와족 자치현윈난성 린캉 시약 37,000명
솽장 라후족 와족 부랑족 다이족 자치현윈난성 린캉 시약 12,000명



중국에서 와족은 윈난성 남서부의 시멍 와족 자치현, 창위안 와족 자치현, 멍롄 다이족 라후족 와족 자치현, 겅마 다이족 와족 자치현, 린창(린캉 시), 솽장 라후족 와족 부랑족 다이족 자치현, 전캉현, 융더현 등지에 밀집되어 거주하고 있다.

3. 1. 2. 민족향

20세기 초 와족의 버마 묘사


중국 내 와족의 인구는 약 40만 명으로 추산된다. 윈난성 융더 현과 전캉현의 "벤런"()은 중국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와족으로 분류되지만, 스스로를 와족과는 다른 민족으로 여긴다.[31] 그들의 자칭은 "스와"()이다.

벤런의 분포 지역
지역분포
융더 현 멍궁 향 (최근 더당 진으로 통합)멍궁, 다바, 쑹린, 다핑장, 후나이, 샤오디팡, 리에리에 (2010년 기준 10,289명의 벤런 거주)
펑칭 현 더스리 이족-와족 향
창위안 와족 자치현 멍카 진



1990년 조사에 따르면 중국 내 와족은 약 35만 명이었다. 중국 내 분포는 다음과 같다.

중국 내 와족 분포
지역세부 행정 구역
란창 라후족 자치현 (약 52,000명)
전캉현군새 와족 라후족 리수족 투안족향


3. 2. 미얀마



와족은 미얀마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된 135개 민족 중 하나이다. 미얀마 전체 인구에서 와족이 차지하는 비율은 0.16%이다.[33] 와족의 고대 역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샨 주의 다른 주요 민족 집단, 예를 들어 타이 야이족에 의해 이 지역의 원주민으로 인정받고 있다.[26]

미얀마에서 와족은 주로 껭퉁 인근의 작은 마을과 중국 국경 근처의 북쪽 및 북동쪽 지역, 그리고 타칠레익 동쪽의 작은 지역에 거주한다. 북부 샨 주의 와족 특별 자치구 2 또는 와 주는 1989년 붕괴된 옛 버마 공산당 반군 그룹의 잔당과 연합 와 주군(UWSA)에 의해 형성되었다. 와 주와 UWSA는 미얀마 군사 정부와 위태로운 휴전 협정을 맺고 있다.[34] 이들은 서방 정부로부터 마약 거래에 연루되었다는 비난을 받았지만, 2005년부터 아편 생산을 금지했으며, 합법적인 농업 개선을 위해 유엔의 지원을 받았다.

2008년 미얀마 헌법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이, 2010년 8월 20일 와 자치구가 설립되었다.[35][36] 와 자치구는 와족에 의해 관리될 예정이며, 그 영토는 샨 주의 동부 지역, 중국 윈난성과의 국경 근처, 메콩강땅륀강(살윈강)의 협곡 사이에 위치해 있다.

와족이 잡은 매미를 태국식 ''남 프릭''과 유사한 혼합물에 고추와 함께 으깨는 모습

3. 3. 태국



최근 미얀마에서 일부 와족 공동체가 국경을 넘어 태국에 정착했으며, 그곳에서 그들은 산악 부족으로서 공식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지 않다.[37] 와족은 주로 치앙라이 주의 매사이 군과 매야오 읍, 그리고 치앙라이 주 남부의 위앙파파오 군과 치앙마이 주의 치앙다오 군에 거주한다.[37] 태국에서 최근 미얀마에서 온 와족은 엄밀히 말해 후자에 속하는 민족 하위 집단은 아니지만 종종 '라와'라고 불린다.

4. 역사

와족의 초기 역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알려진 사실은 대부분 먼 과거에 역사적인 와 국가와 동부 샨주의 모든 영토, 그리고 현재의 중국 인접 지역의 광대한 지역이 와족에 속했음을 이야기하는 지역 전설로 구성되어 있다. 전 껭통 주 지역에서 와족은 1229년경에 밀려났고, 나중에 망라이 왕에게 패배했다. 영국령 버마 시대에 샨족은 껭통 주의 다수를 차지했으며, 아카족라후족과 같은 다른 집단들이 상당한 규모의 공동체를 이루었다. 와족은 원래 거주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껭통 구의 약 10%에 불과한 소수 민족을 형성하고 있다.[6]

와족은 원래 의례적인 피의 희생을 중심으로 한 애니미즘 종교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7] 마을에는 영적 치료사가 있었으며, 질병이나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고통의 정도에 따라 닭, 돼지 또는 더 큰 동물을 희생하는 것이었다. 지역 전설에 따르면, 머리 사냥은 쌀 경작지의 다산 의례를 향상시키기 위한 의례적 희생으로 의도되었다. 전통적인 마을에는 또한 매년 한 번 소가 희생되는 신사가 있었으며, 여기에는 Y자형 기둥에서 피, 고기 및 가죽을 바치는 행위가 수행되었다. 또한 전통적인 와족은 결혼식 및 장례 의례와 같은 축제에서 동물을 희생했다. 그러나 불교의 영향을 받은 와족은 다른 전통을 발전시켰다.[8]

전통적인 와족 사회에서 일부일처제 결혼이 일반적이었으며 결혼 전 남녀 모두 성적인 자유가 있었다. 빈랑과 아레카 열매를 씹는 것도 이전에는 중요한 관습이었다.[9] 와족은 다양한 종류의 전통 춤을 가지고 있다. 그들의 문화에서 중요한 춤 중 하나는 커다란 속이 빈 나무 드럼을 두드리는 것으로 반주된다. 이 춤 방식은 머리 춤[11]과 축제[12]와 같은 다른 와족 춤과 함께 중국의 윈난성 관광 당국에 의해 관광 명소로 홍보되고 있다.[13] 와족 여성 협회는 춤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 및 자선 활동도 장려한다.[14]

와족은 또한 잘 정립된 음주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많은 양의 현지 밀주가 생산되고 평균적으로 중국에서 가장 많은 양의 술을 소비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15]

와족 거주 지역은 영국 식민지 시대에 직접적인 통치를 받지 않았으며, 미얀마 독립 후에도 상황은 변하지 않았다. 중앙 정부가 존재감을 보일 수 있었던 곳은 몽마오와 반웨이뿐이었다. 1970년대까지 와족은 마을 간에 수렵과 항쟁을 벌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얀마 전역에서는 소수의 일본군이 살윈강을 건너 와족 거주 지역에 침입했다. 1950년대에는 국공 내전에서 패배한 국민당군이 중국 윈난성에서 침입했다. 국민당군은 팡얀과 잉팡(빙군)에 4,000명의 병력을 주둔시켰으나, 1953년까지 태국 국경으로 철수했다. 하지만 일부는 와족 거주 지역에 남아 정보 수집과 아편, (비취) 거래를 했다. 1957년에는 국민당군을 쫓아 인민해방군이 월경 작전을 펼쳤다. 1960년까지 국민당군은 와족 산지에서 완전히 철수했지만, 그들의 네트워크와 인적 연결은 남아 있었다.

1950년경, 중국 공산당도 와족 거주 지역에 침입했다. 그들은 국민당을 타도하기 위해 와족 사람들의 협력이 필요했고, 처음에는 관대한 조치를 취하여, 1957년에는 중국어를 로마자로 표기한 병음(Pinyin)에 기반한 새로운 "와 문자"를 창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1958년경 국민당을 완전히 몰아내자 태도를 바꾸었다. 와족의 무기를 몰수하고, 참수 관련 도구를 파괴했으며, 마을 의식을 금지하고, 촌장들을 박해했다. 그리고 마을 사람들을 모두 중국 공산당에 입당시키고, 인민 공사에 모았다.[44]

1963년, 네윈 정권은 국민당군에 대항하기 위해 방위대를 조직했다. 와족 거주 지역에서는 1966년부터 1969년에 걸쳐 게릴라 부대가 조직되었다. 이 부대는 국민당군에게 공격을 받았고, 라후족 조직과 싸웠으며, 정부로부터 해산하라는 압력을 받았다.

미얀마 공산당(CPB)은 1969년에 코칸과 중국에서 이 지역으로 침입하기 시작했다. 당시 와족 부대장이었던 자오니라이와 파오유샹은 CPB로부터 무기와 탄약을 받았다. 반웨이는 1969년 12월에, 몽마오는 1971년 5월 1일에, 윙군과 로이렌은 1972년에 점령되었고, 미얀마군은 팡롱과 호판으로 철수했다. 1973년에는 와족 거주 지역 전체가 CPB의 지배하에 들어갔지만,[45] 일부 지역에서는 반란이 일어나 완전한 지배가 시작된 것은 1974년이 되어서였다.

1989년 4월 16일 밤, 자오니라이와 파오유샹이 이끄는 와족 하사관들은 팡칸의 CPB 사령부를 점령하고 CPB 지도자를 중국으로 추방했다. 와족 반란 부대는 CPB가 계급 투쟁에만 집중하여 소수 민족을 소외시키고 있다고 비난했다. 와족 남성 인구는 전쟁으로 인해 급감했으며, 1986년의 남녀 성비는 1:1.15였다. 자오니라이와 파오유샹은 폴란드의 독립 자율 관리 노동조합 '연대'에서 착안하여, 미얀마 민족민주연합당과 미얀마 민족민주연합군을 결성했다. 같은 해 5월 18일에는 군사 정권(SLORC)과 정전 협정을 체결했다. 같은 해 11월 3일, 미얀마 민족민주연합군은 와족 민족 평의회(WNC)와 합병하여 와주 연합군(UWSA)이 되었다.

와주 연합군 깃발


정부와 정전한 후에도 전쟁은 계속되었다. UWSA는 1989년 결성 직후부터 태국-미얀마 국경에서 미얀마군과 공동으로 쿤사의 몽타이군을 공격했으며, 전투에서 2,000명의 병사를 잃었다. 1996년에 쿤사가 항복했고, UWSA는 쿤사 지배 지역을 점령하여 남와 지역으로 삼았다. 그 후에도 UWSA는 샨주군 (남부)과 자주 전투를 벌였다.

4. 1. 기원 신화

조지 스콧 경은 와족의 기원 신화에서 첫 와족은 ''야 타옴''과 ''야 타이''라는 두 명의 여성 조상에게서 기원했으며, 이들은 초기 시절을 ''Nawng Hkaeo''라고 알려진 작은 호수에서 올챙이로 보냈다고 묘사했다. 이 호수는 중국과 미얀마 국경 지역의 와족 북동부 영토에 위치해 있다.[5]

스간리(와어: si gang lih, 司岗里|쓰강리중국어)는 와족의 천지 창조, 인류 기원 신화를 가리킨다. "리"는 "나오다"를 의미하며, "스간"은 일반적으로 란창 지역에서는 "표주박"을, 시멍 지역에서는 "동굴"을 가리킨다. 즉, 스간리는 "인류가 탄생한 곳"을 가리킨다고 여겨진다. 스간리를 표주박으로 하는 지역에서도, 대홍수에서 살아남은 황소가 표주박을 낳는 이야기를 전반부에, 인간이 표주박에서 나오는 이야기를 후반부에 두는 경우도 있다. 동굴 기원의 스간리에는 올챙이로 생활을 시작하여, 개구리를 거쳐 괴물의 모습으로 동굴 생활을 시작했다고 하는 전승도 있다.

4. 2. 영국 식민 시대 이전

와족은 영국 식민지 시대에도 직접적인 통치를 받지 않았고, 미얀마(버마) 독립 이후에도 이러한 상황은 변하지 않았다. 중앙 정부의 영향력이 미치는 곳은 몽마오와 반웨이(사오파) 정도였다.[44] 1970년대까지 와족은 통일된 의식 없이 마을 간 수렵과 전쟁을 벌였다.[45]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얀마 전역에서 소수의 일본군이 살윈강을 건너 와족 거주 지역에 침입하기도 했다. 1950년대에는 국공 내전에서 패배한 국민당군이 중국 윈난성에서 와족 지역으로 들어왔다. 국민당군은 팡얀과 잉팡(빙군)에 4,000명의 병력을 주둔시켰으나, 1953년까지 태국 국경으로 철수했다. 그러나 일부는 남아 정보 수집과 아편, (비취) 거래를 했다. 1957년에는 국민당군을 쫓아 인민해방군이 월경 작전을 펼쳤고, 1960년까지 국민당군은 와족 산지에서 완전히 철수했지만, 그들의 네트워크와 인적 연결은 남아 있었다.

1963년, 네윈 정권은 국민당군에 대항하기 위해 방위대(Ka Kwe Ye: KKY)를 조직했다. 와족 거주 지역에서는 1966년부터 1969년까지 게릴라 부대가 조직되었으나, 국민당군의 공격, 라후족 조직과의 싸움, 정부의 해산 압력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50년경, 중국 공산당도 와족 거주 지역에 침투했다. 처음에는 국민당 타도를 위해 와족의 협력이 필요했기에 관대한 조치를 취하고, 1957년에는 로마자 표기(병음) 기반의 새로운 "와 문자"를 만들기도 했다. 그러나 1958년경 국민당을 몰아낸 후에는 태도를 바꾸어 와족의 무기를 몰수하고, 참수 관련 도구를 파괴하고, 마을 의식을 금지하고, 촌장들을 박해했다. 또한 마을 사람들을 중국 공산당에 입당시키고 인민 공사에 모았다.

4. 3. 영국 식민 시대

중국어를 제외하고는 와족에 대해 기록된 내용은 거의 없다.[23] 와족이 거주하는 지역은 전통적으로 샨족 세습 족장인 ''사오파''가 다스렸다. 19세기 후반, 버마의 영국 당국은 와족 영토를 접근하기 어렵고 멀리 떨어진 곳으로 판단했다. 따라서 ''사오파''가 거주하던 망 론을 제외하고, 영국은 와족 자치주를 행정 없이 내버려두었고, 중국과의 경계선은 불분명하게 남겨두었다. 이러한 상황은 와족에게 잘 맞았는데, 그들은 역사를 통틀어 꾸준히 간섭받지 않는 것을 선호했기 때문이다.[24]

와족은 식민 행정관들에 의해 수렵 관습 때문에 야만적이고 더러운 사람들로 묘사되었다.[7] 그러나 20세기 이전에 작성된 중국 문서에서는 와족을 수렵족으로 거의 언급하지 않았고, 오히려 와족의 원시성을 강조하기 위해 와족 문화의 이러한 측면이 다른 어떤 것보다 더 많이 인용되었다.[25]

이러한 편견은 현대에도 이어지고 있는데, 경제적으로 라후족과 같은 지역의 다른 소수 민족 산악 부족과 크게 다르지 않은 와족은 반군과 연루되어 있고 마약 거래에 관여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는 그들의 다른 문화적 측면을 가리고 있다.[26]

4. 4. 제2차 세계 대전과 국공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얀마 전역에서 소수의 일본군이 살윈강을 건너 와족 거주 지역에 침입했다.

어린 소녀에게 먹이를 주는 와족 여성


1950년대에는 국공 내전에서 패배한 국민당군이 중국 윈난성에서 침입했다. 국민당군은 4,000명의 병력을 팡얀과 잉팡(빙군)에 주둔시켰다. 1953년까지 태국 국경으로 철수했지만, 일부는 와족 거주 지역에 남아 정보 수집과 아편, (비취) 거래를 했다. 1957년에는 국민당군을 쫓아 인민해방군이 월경 작전을 펼쳤다. 1960년까지 국민당군은 와족 산지에서 완전히 철수했지만, 국민당군의 네트워크와 인적 연결은 남아 있었다.

1950년경, 중국 공산당도 와족 거주 지역에 침입해 왔다. 그들은 국민당을 타도하기 위해 와족 사람들의 협력이 필요했고, 처음에는 관대한 조치를 취하여, 1957년에는 중국어를 로마자로 표기한 병음(Pinyin)에 기반한 새로운 "와 문자"를 창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1958년경 이 지역에서 국민당을 완전히 몰아내자 태도를 바꾸었다. 와족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조잡한 무기를 몰수하고, 참수, 북집 등 참수 관련 도구를 철저히 파괴했으며, 마을의 주요 의식을 금지하고, 촌장들을 박해했다. 그리고 마을 사람들을 모두 중국 공산당에 입당시키고, 인민 공사에 모았다고 한다.[44]

1963년, 네윈 정권은 방위대(Ka Kwe Ye: KKY)를 조직하여 국민당군에 대항했다. 와족 거주 지역에서는 1966년부터 1969년에 걸쳐 게릴라 부대가 조직되었다. 이 부대는 국민당군에게 공격을 받았고, 라후족 조직과 싸웠으며, 정부로부터 해산하라는 압력을 받았다.

미얀마 공산당(CPB)은 1969년에 코칸과 중국에서 이 지역으로 침입하기 시작했다. 당시 와족 부대장이었던 자오니라이(趙尼來, Chao Ngi-lai)와 파오유샹(鮑有祥, Pau Yu Chang)은 CPB로부터 무기와 탄약을 받았다. 반웨이는 1969년 12월에, 몽마오는 1971년 5월 1일에, 윙군과 로이렌은 1972년에 점령되었고, 미얀마군은 팡롱과 호판으로 철수했다. 1973년에는 와족 거주 지역 전체가 CPB의 지배하에 들어갔지만,[45] 일부 지역에서는 반란이 일어나 완전한 지배가 시작된 것은 1974년이 되어서였다.

1989년 4월 16일 밤, 자오니라이와 파오유샹이 이끄는 와족 하사관들은 팡칸의 CPB 사령부를 점령하고 CPB 지도자를 중국으로 추방했다. 와족 반란 부대는 CPB가 계급 투쟁에 사로잡힌 나머지 소수 민족을 소외시키고 있다고 비난했다. 실제로, 와족 남성 인구는 전쟁으로 인해 급감했으며, 1986년의 남녀 성비는 1:1.15였다. 자오니라이와 파오유샹은 폴란드의 독립 자율 관리 노동조합 '연대'에서 착안하여, 미얀마 민족민주연합당(缅甸民主民族联合党|미얀마 민주민족연합당중국어)과 미얀마 민족민주연합군(缅甸民主民族联合军|미얀마 민주민족연합군중국어)을 결성했다. 같은 해 5월 18일에는 군사 정권 (SLORC)과 정전 협정을 체결했다.

4. 5. 미얀마 독립 이후



버마와 중국 사이에 국경이 확정되면서 와족은 두 나라로 나뉘게 되었다. 1950년대까지 버마의 와족 지역은 거의 방치되었는데, 이는 장제스국민혁명군 잔당이 1949년 중국 공산 혁명에서 도주해 온 시기였다.[27] 15년 후, 이 지역은 버마 공산당의 영향력 아래 놓였으며, 이들은 이 지역에서 매우 활발하게 활동했다. 이 기간 동안 아편 재배와 판매가 증가했고, 전통적인 생활 방식은 붕괴되었지만, 동시에 세금 징수와 상당한 무력 유지를 위한 행정 시스템과 기본적인 인프라가 구축되면서 와족 지역은 현대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27]

1989년, 와족 당국은 버마 공산당을 추방하고 당시 버마 군사 정권의 지도자 킨 뉸트와 휴전을 협상했다. 그들은 중앙 집권적인 지휘 체제를 갖춘 와족 연합군과 와족 연합당을 창설했다. 양귀비 재배와 아편 생산 금지에 동의하는 대가로 이 지역은 막대한 국제 개발 원조를 받았다. 팡캄을 실질적인 수도로 하는 와 특별 행정구 2가 샨 주 북동부에 창설되었다.[27]

1950년경, 중국 공산당도 와족 거주 지역에 침입했다.[44] 1969년에는 미얀마 공산당(CPB)이 코칸과 중국에서 이 지역으로 침입하기 시작했다. 당시 와족 부대장이었던 자오니라이(趙尼來)와 파오유샹(鮑有祥)은 CPB로부터 무기와 탄약을 받았다. 1973년에는 와족 거주 지역 전체가 CPB의 지배하에 들어갔다.[45]

1989년 4월 16일 밤, 자오니라이와 파오유샹이 이끄는 와족 하사관들은 팡칸의 CPB 사령부를 점령하고 CPB 지도자를 중국으로 추방했다. 같은 해 5월 18일에는 군사 정권(SLORC)과 정전 협정을 체결했다. 같은 해 11월 3일, 미얀마 민족민주연합군은 WNC와 합병하여 와주 연합군(UWSA)이 되었다.

그러나 정부와 정전한 후에도 전쟁은 계속되었다. UWSA는 1989년 결성 직후부터 태국-미얀마 국경에서 미얀마군과 공동으로 쿤사의 몽타이군을 공격했으며, 전투에서 2,000명의 병사를 잃었다. 1996년에 쿤사가 항복했고, UWSA는 쿤사 지배 지역을 점령하여 남와 지역으로 삼았다. 그 후에도 UWSA는 샨주군 (남부)과 자주 전투를 벌였다.

4. 6. 와족 연합군(UWSA) 결성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얀마 전역에서 소수의 일본군이 살윈강을 건너 와족 거주 지역에 침입했다.[44] 1950년대에는 국공 내전에서 패배한 국민당군이 중국 윈난성에서 침입했다.[45] 1963년, 네윈 정권은 국민당군에 대항하기 위해 방위대(Ka Kwe Ye: KKY)를 조직했다.[44]

미얀마 공산당(CPB)은 1969년에 코칸과 중국에서 와족 지역으로 침입하기 시작했다. 당시 와족 부대장이었던 자오니라이(趙尼來)와 파오유샹(鮑有祥)은 CPB로부터 무기와 탄약을 받았다. 1973년에는 와족 거주 지역 전체가 CPB의 지배하에 들어갔다.[45]

1989년 4월 16일, 자오니라이와 파오유샹이 이끄는 와족 하사관들은 팡칸의 CPB 사령부를 점령하고 CPB 지도자를 중국으로 추방했다. 이들은 폴란드의 독립 자율 관리 노동조합 '연대'에서 착안하여 미얀마 민족민주연합당과 미얀마 민족민주연합군을 결성했다. 같은 해 5월 18일에는 군사 정권(SLORC)과 정전 협정을 체결했다.[44] 같은 해 11월 3일, 미얀마 민족민주연합군은 와족 민족 평의회(WNC)와 합병하여 와주 연합군(UWSA)이 되었다.[44]

5. 생활

와족은 캄보디아인처럼 피부색이 어둡고, 대나무로 만든 집에 산다. 남성은 검은 터번으로 머리를 감싼다. 스스로 아와라고 부르며, 최근까지 사람을 사냥하고 목을 베는 머리 사냥 풍습이 있었다.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계통의 와어를 사용하며, 지역에 따라 중국어버마어를 할 수 있는 사람도 많다.[1]

5. 1. 생업

아와 산에는 야생 동물이 많이 서식하고 있어 와족은 수렵으로 식량 부족을 보충했다. 수렵은 남성의 역할이었으며, 쇠뇌나 총기, 덫과 미끼를 이용한 수렵이 이루어졌다. 또한 곤충, 다슬기, 게, 미꾸라지 등의 동물도 먹는다. 식물 채집은 여성의 역할이었으며, 죽순이나 밤 등 다양한 야생초와 산나물을 선호한다.[1]

과거에는 아와 산에서 화전 농경이 성행했다. 화전은 해발 고도에 따라 이용 방식이 달랐는데, 해발 1500m 이상에서는 양귀비, , 옥수수, 메밀 등이 재배되었다. 해발 1500m보다 낮은 곳에서는 밭벼, 목화, 기장, 옥수수 등이 재배되었다.[2]

5. 2. 의복

와족 남성은 검은색 또는 붉은색의 왼쪽 여밈 짧은 상의에 검은색의 헐렁한 바지를 입는다. 멍롄 현에서는 허리 감기를 착용하기도 한다. 일반인은 검은색, 노인이나 마을 지도자는 붉은색 터번을 두른다.[1]

여성의 의상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검은색 또는 짙은 남색을 바탕으로 하는 짧은 상의에 치마를 입는다. 멍롄 현에서는 관두의 형태의 상의를 입는 곳도 있다. 치마는 형태에 따라 차이가 다양하다. 각반을 착용하는 것은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은제 귀걸이나 목걸이, 팔찌 등의 장신구도 착용한다.[2]

5. 3. 음식

와족은 보통 아침과 저녁, 하루에 두 끼를 먹는다. 하지만 농사일로 바쁠 때는 밭에서 간단하게 식사를 하기도 한다. 아침과 저녁 식사는 주로 쌀이나 잡곡밥에 간단한 반찬을 곁들여 먹는다. 와족의 전통 음식으로는 '목'과 '추아'가 있다. 목은 물기가 거의 없는 잡탕밥으로, 와족은 이것을 반찬처럼 먹는다. 한족 사이에서 와족의 특별한 음식으로 알려진 닭고기 목(鸡肉烂饭|지러우란판중국어)은 평소에는 먹지 않고 손님을 대접할 때 내놓는 음식이다. 추아는 반찬으로 곁들여 먹는 대표적인 음식인데, 생선이나 곤충을 데친 후 고추, 산초, 마늘, 생강과 함께 나무 절구에 넣고 찧어서 만든다. 추아는 매운 맛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최근에는 와족 사람들도 차를 마시지만, 예전에는 차가 귀해서 사회적으로 지위가 높은 사람들만 마실 수 있었다. 반면 술은 남녀 모두 즐겨 마셨다. 와족은 찰기장, 수수, 옥수수, 밀, 조, 고구마류, 찹쌀 등으로 만든 '프라이 눔'(물술)을 즐겨 마신다. 특히 찰기장으로 만든 '프라이 코'를 좋아한다.[1]

5. 4. 주거

와족은 캄보디아인처럼 피부색이 어둡고, 대나무로 만든 주거지에 산다. 남성은 검은 터번으로 머리를 감싼다. 과거에는 마을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깊은 환호와 대나무, 가시나무 울타리를 쳤으며, 유일한 통로는 10m 길이의 터널 형태였다. 현재는 이러한 환호나 울타리를 가진 마을은 없다. 주거 형태는 고상식과 토간식 두 종류가 있다.[1]

6. 문화

조지 스콧 경이 묘사한 와족의 기원 신화에 따르면, 와족은 ''야 타옴''과 ''야 타이''라는 두 여성 조상에게서 기원했으며, 이들은 ''Nawng Hkaeo''라는 작은 호수에서 올챙이로 초기 시절을 보냈다.[5]

와족은 원래 의례적인 피의 희생을 중심으로 한 애니미즘 종교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7] 마을에는 영적 치료사 ''(Tax Cao Chai)''가 있었으며, 질병이나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닭, 돼지 또는 더 큰 동물을 희생하는 것이었다. 전통적인 마을에는 ''Nyiex Moeg''라는 신사가 있었는데, 이곳에서는 매년 한 번 소를 희생하고 ''Khaox Si Gang''이라는 Y자형 기둥에 피, 고기, 가죽을 바쳤다. 또한, 전통적인 와족은 결혼식이나 장례식 같은 축제에서도 동물을 희생했다(이는 기독교를 믿는 와족에게도 여전히 존재하는 관행이다). 그러나 불교의 영향을 받은 와족은 다른 전통을 발전시켰다.[8]

전통적인 와족 사회에서는 일부일처제 결혼이 일반적이었고, 결혼 전 남녀 모두 성적인 자유가 있었다. 빈랑과 아레카 열매를 씹는 것 또한 이전에는 중요한 관습이었다.[9] 와족은 다양한 전통 춤을 가지고 있는데, 그중 하나는 커다란 속이 빈 나무 드럼을 두드리는 춤이다. 이 춤은 머리 춤[11], 축제[12] 등 다른 와족 춤과 함께 중국 윈난성 관광 당국에 의해 관광 명소로 홍보되고 있다.[13] 와족 여성 협회는 춤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 및 자선 활동도 장려한다.[14]

와족은 음주 문화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많은 양의 현지 밀주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 평균적으로 가장 많은 술을 소비하는 민족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15]

6. 1. 스간리 전설

스간리()는 와족의 천지 창조 및 인류 기원 신화를 가리킨다. "리"는 "나오다"를 의미하며, "스간"은 일반적으로 란창 지역에서는 "표주박"을, 시멍 지역에서는 "동굴"을 가리킨다. 즉, 스간리는 "인류가 탄생한 곳"을 가리킨다고 여겨진다.[1] 스간리를 표주박으로 하는 지역에서도, 대홍수에서 살아남은 황소가 표주박을 낳는 이야기를 전반부에, 인간이 표주박에서 나오는 이야기를 후반부에 두는 "아종"도 존재한다.[2] 동굴 기원의 스간리에는 올챙이로 생활을 시작하여, 개구리를 거쳐 괴물의 모습으로 동굴 생활을 시작했다고 하는 것도 있다.[3]

야마다(2009)는 천지 창조, 동굴에서 나오는 것, 사람들의 풍모, 거주지, 언어, 문자, 빈부의 차, 육식, 곡물 생산, 출산 등 폭넓은 사항의 시작인 "스간리"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있다.[4]

6. 2. 머리 사냥

와족은 최근까지 사람을 사냥하고 목을 베는 머리 사냥 풍습이 있었다.[5] 이 의례적인 활동은 타민족과의 접촉 지대에서 점차 사라져 갔으며, 정부에 의해 금지된 이후 1970년대를 마지막으로 과거의 것이 되었다. 농경 의례로서의 참수는 수확 후부터 다음 해 4월에 걸쳐, 혹은 수확 전에 행해졌다.[38]

지역 전설에 따르면, 머리 사냥은 쌀 경작지의 다산 의례를 향상시키기 위한 의례적 희생으로 의도되었다.[8] 참수는 마을 지도자로 지명된 젊은 남자 몇 명이 점을 쳐서 정해진 방향으로 나가, 처음 발견한 인간의 목을 세 번 칼로 베어 어깨에 메는 가방에 넣어 가지고 돌아오는 것이었다. 참수 대상에게는 성별, 연령, 민족과 같은 조건은 없었지만, 머리카락이나 수염이 긴 인물이 길조로 여겨졌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성인 남성이 선택되었다. 절단된 머리는 씻겨지고, 창조주 모이크를 모시는 상징인 나무 북 앞에 바쳐졌다. 폴이 달린 대나무 바구니에 넣어진 머리는 나쁜 정령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감시했으며, 제물로서의 역할을 마친 머리는 마을 밖의 숲으로 옮겨져 마을을 수호하는 역할을 계속하게 된다.

6. 3. 작명

와족의 작명 방식에는 "장유서열+α 방식"과 "부자 연명 방식"이 있다. 전자의 장유서열 부분에는 장남, 차남, 장녀, 차녀 등에 대응하는 호칭, α 부분에는 십간십이지와 같은 타이계 민족을 통해 들어온 것으로 여겨지는 어휘가 사용된다. 이 작명 방식은 란창 지역 등 타이계 민족과의 접촉 지역에서 많이 나타난다. α 부분은 십간십이지 대신 출생일에 있었던 사건이나 부모의 소망 등을 담아 작명하기도 한다. 이 작명 방식을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씨족명을 성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후자의 작명 방식은 이족이나 하니족 등 티베트-미얀마계 민족에게 널리 나타난다. 이는 이름으로 일족의 계보를 전달하는 기능이 있다.

6. 4. 아와 인민 창신가

"아와 인민 창신가"는 중국 공산당의 아와 산 해방을 찬양하는 노래로, 중국 내 와족에 관한 이미지로서 "스가리 전설"이나 "참수"와 함께 언급된다[39]。1965년, 중국 인민 해방군의 통신병이었던 양정인은 와족 마을에서 들은 전통 민요의 선율을 모델로 작곡하고, 공산당이 아와 산 인민을 행복으로 이끈다는 내용의 가사를 붙여 "아와 인민 창신가"를 만들었다. 이 곡은 1965년 3월, 시멍 와족 자치현이 성립된 기념식에서 불렸으며, 1972년에는 중앙 인민 방송국에서 방송되어 일약 유명해졌다[39]

7. 신앙

와족은 전통적으로 애니미즘 신앙을 믿었으며, 모이크 신앙, 불교,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가 와족 사회에 존재한다.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모든 신앙이 탄압받았으나, 최근에는 종교 시설과 활동이 다시 활발해지고 있다.

7. 1. 모이크 신앙

와족은 원래 의례적인 피의 희생을 중심으로 한 애니미즘 종교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7] 마을에는 영적 치료사 ''(Tax Cao Chai)''가 있었으며, 질병이나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고통의 정도에 따라 닭, 돼지 또는 더 큰 동물을 희생하는 것이었다. 지역 전설에 따르면, 머리 사냥은 쌀 경작지의 다산 의례를 향상시키기 위한 의례적 희생으로 의도되었다. 전통적인 마을에는 또한 매년 한 번 소가 희생되는 ''Nyiex Moeg''라는 신사가 있었으며, 여기에는 ''Khaox Si Gang''이라는 Y자형 기둥에서 피, 고기 및 가죽을 바치는 행위가 수행되었다. 전통적인 영적 숭배는 와족(기독교 와족에게 여전히 존재하는 관행) 사이에서 결혼식 및 장례 의례와 같은 축제에서 동물을 희생하는 것이였다. 그러나 불교의 영향을 받은 와족은 다른 전통을 발전시켰다.[8]

모이크는 만물 창조의 주이며, 와족이 가장 숭배하는 존재이다. 모이크는 마을 상방에 있는 신목에 모셔져 있으며, 마을에 중요한 일이 있을 때마다 제사가 치러진다. 산, 물, 바람, 불 등 모이크의 창조물 모두에 정령이 깃든다고 여겨진다.

7. 2. 불교

창위안 현 서부에는 반홍촌 등 타이족과 마찬가지로 상좌부 불교를 신앙하는 마을이 존재한다. 반홍촌에서는 1900년 전후에 미얀마바모에서 전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상좌부 불교를 수용한 마을에서는 버마식 불사가 건립되었고, 타이계 언어와 문자로 경문이 학습되고 있다. 창위안 현 동부에서는 계족산의 승려에 의한 포교 활동으로, 20세기 전반부터 반세기 동안 대승 불교가 확산되었다

7. 3. 기독교

란창현창위안현 일부 지역에서는 20세기 초 선교를 계기로 기독교로 개종한 마을이 존재한다. 기독교로 개종한 마을에서는 교회가 세워지고, 주일 예배가 열린다.[1]

8. 언어와 문자

와족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계통의 와어를 사용하며, 지역에 따라 중국어버마어를 구사할 줄 아는 사람도 많다. 과거 와족은 문자가 없었으나, 기독교 선교와 중국 정부의 노력으로 로마자 기반의 문자가 만들어졌다.

1920년대 미국인 침례교도 선교사 마커스 빈센트 영은 와어를 로마자로 표기한 "와 문자"를 창안하여 1933년에 찬송가집을 출판했다. 1939년에는 와 문자로 완전 번역된 성경을 출판했다.

1950년대 초 중국 인민 해방군은 와족 지역에 들어와 1957년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인 핀인을 기반으로 새로운 "와 문자"를 창안했지만, 중국 공산당에 대한 반발로 널리 보급되지 않았다. 현재 와족 지역이나 태국에 거주하는 와족 사이에서는 영이 창안한 와 문자가 주로 사용된다.

8. 1. 언어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계통의 와어를 사용하며, 지역에 따라 중국어버마어를 구사할 줄 아는 사람도 많다.[16]

티셔츠에 와족 문자 및 문화 기호


와어오스트로아시아어족팔라웅어파에 속하는 언어 그룹을 형성한다. 과거에는 문자가 없었고, 문해력이 있는 와족은 소수였으며, 그들은 한자를 사용했고, 다른 사람들은 샨어와 그 문자를 사용했다.[16] 기독교 선교는 20세기 초, 와족 영토의 미얀마 지역에서 시작되었고, 이후 중국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선교는 네브래스카 출신 윌리엄 마커스 영이 이끌었다. 와어의 첫 번째 표기는 1931년 영과 사라 야우 슈 친이 성경 번역을 목적으로 고안했다. 이 첫 번째 와어 알파벳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했으며, 1933년 와족 찬송가 모음집이 최초로 출판되었고,[16] 1938년 와족 신약성서가 완성되었다. 이 표기는 "성서 정서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에서는 "老佤文|lǎowǎwén|old Wa orthography중국어"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미얀마 와족 지역과 태국의 와족 사이에서 주로 사용된다.[16] 개정된 성서 정서법은 와 자치구 팡캄 당국에 의해 "공식 와어 철자법"으로 채택되었으며, 와족 연합군 군대의 문해력 향상을 위해 일련의 기초 교재를 출판했다. 또한 2000년 이후 페이스북과 기타 온라인 미디어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에서 와족, 가라오케 가사에서 와족 노래 작곡가[17]들은[18] 이러한 미얀마(개정된 성서) "공식 와어 정서법"의 주요 변형을 사용한다.[19]

중국에서는 1956년 병음 로마자 표기법에 맞춰 개정된 표기법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중국 공식 정서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주로 윈난성 정부를 통해 보급된 이 표기법의 출판물은 학계를 넘어 더 넓은 대중에게 아직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20] 이 새로운 와어 알파벳은 와족의 첫 번째 공식 문자로 간주된다.[21]

라와족은 중국에서 공식적으로 와족 소수 민족의 일부로 간주되며, '길들여진 와족'으로도 알려져 있다.[22]

8. 2. 문자

와어오스트로아시아어족팔라웅어파에 속하는 언어 그룹이다. 과거 와족은 문자가 없었고, 문해력을 갖춘 소수는 한자를, 다른 이들은 샨어와 그 문자를 사용했다. 20세기 초 기독교 선교가 와족 영토의 미얀마 지역에서 시작되어 중국 지역으로 확대되었는데, 네브래스카 출신 윌리엄 마커스 영이 선교를 이끌었다.

1931년 영과 사라 야우 슈 친이 성경 번역을 위해 와어의 첫 표기법을 고안했다. 이 알파벳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했으며, 1933년 와족 찬송가 모음집,[16] 1938년 와족 신약성서가 출판되었다. 이 표기는 "성서 정서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에서는 "老佤文|lǎowǎwén |old Wa orthography중국어"으로 불린다. 현재 미얀마 와족 지역과 태국의 와족 사이에서 주로 사용된다. 와 자치구 팡캄 당국은 개정된 성서 정서법을 "공식 와어 철자법"으로 채택하고, 와족 연합군 군대의 문해력 향상을 위해 기초 교재를 출판했다. 2000년 이후 페이스북 등 소셜 네트워크와 가라오케 가사에서 와족 노래 작곡가[17]들은[18] 미얀마(개정된 성서) "공식 와어 정서법"의 주요 변형을 사용한다.[19]

1956년 중국에서는 병음 로마자 표기법에 맞춘 개정 표기법이 개발되어 "중국 공식 정서법"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윈난성 정부를 통해 주로 보급된 이 표기법의 출판물은 학계를 넘어 대중에게 널리 퍼지지 못했다.[20] 이 새로운 와어 알파벳은 와족의 첫 공식 문자로 간주된다.[21]

라와족은 중국에서 공식적으로 와족 소수 민족의 일부로 간주되며, '길들여진 와족'으로도 알려져 있다.[22] 1920년대 미국인 침례교도 선교사 마커스 빈센트 영은 와어를 로마자로 표기한 "와 문자"를 창안하여 1933년에 찬송가집을 출판했는데, 표지에는 "카이신(Kaishin) 방언"으로 쓰여 있다고 적혀 있다. 1939년에는 와 문자로 완전 번역된 성경이 출판되었다.

1950년대 초 중국 인민 해방군이 와족 지역에 들어와 1957년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인 핀인을 기반으로 새로운 "와 문자"를 창안했으나, 중국 공산당/인민 해방군에 대한 반발로 널리 보급되지 않았다. 현재 와족 지역이나 태국에 거주하는 와족 사이에서는 영이 창안한 와 문자가 주로 사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china.org[...] 2013-06-27
[1] 웹사이트 http://www.china.org[...] 2015-09-23
[1] Ethnic Groups Ethnic Groups - china.org.cn
[2] 논문 Mining, history, and the anti-state Wa: the politics of autonomy between Burma and China 2010-06-15
[3] 문서 The Imperial gazetteer of India https://archive.org/[...]
[4] 웹사이트 M. Fiskesjo, ''On the Ethnoarchaeology of Fortified Settlements in the Northern part of Mainland Southeast Asia'' http://newdoc.nccu.e[...] 2014-10-10
[5] 서적 The Wa or Lawa: Head-Hunters. In Burma and Beyond. 1935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Burma (Myanmar)
[7] 뉴스 "Headhunting days are over for Myanmar's Wild Wa" https://www.reuters.[...] 2007-09-10
[8] 인터뷰 Interview with Sara Yaw Shu (Joshua) Chin, co-inventor of the Wa alphabet and long-time Wa Baptist Church leader 2006-02-27
[9] 웹사이트 The Va ethnic minority (People's Daily) http://english.peopl[...] 2014-04-21
[10] 웹사이트 Folk dancing of Va ethnic group attracts tourists in SW China (Xinhua) http://english.peopl[...] 2014-04-21
[11] 웹사이트 Grawng klieh yam lih khaing sigien rang, sigang lih dix. https://www.youtube.[...] 2016-12-02
[12] 웹사이트 6 Days Cangyuan Wa Ethnic Minority Monihei Carnival http://www.yunnanadv[...] 2014-04-21
[13] 웹사이트 The Wa Ethnic Scenic Region in Ximeng Autonomous County http://www.yunnanadv[...] 2017-12-19
[14] 논문 Para‐nationalism: Sovereignty and authenticity in the Wa State of Myanmar https://onlinelibrar[...] 2021
[15] 웹사이트 Drinking Tour: Ximeng https://www.vice.com[...] 2014-12-27
[16] 웹사이트 The Young Family's Work with the Wa People http://www.humancomp[...] 2014-04-15
[17] 웹사이트 Wa Song (Lox rhax meung vax) https://www.youtube.[...] 2016-12-02
[18] 웹사이트 Krax moh aux daux ju pa hoik luan mai pa simie sivoe ngai. https://www.youtube.[...] 2016-12-02
[19] 서적 Wa Dictionary
[20] 웹사이트 SOAS - Writing of the Wa Language http://www.humancomp[...] 2014-04-15
[21] 웹사이트 Large Minority Groups in Southern China - Wa Ethnic Group http://factsanddetai[...] 2014-04-27
[22] 웹사이트 Lawa, Western in Thailand http://www.joshuapro[...] 2014-02-28
[23] 웹사이트 Pierre-Arnaud Chouvy, ''Myanmar's Wa: Likely losers in the opium war'' https://web.archive.[...]
[24] 서적 Myanmar: State, Society and Ethnicity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07-02-01
[25] 서적 The Fate of Sacrifice and the Making of Wa History 2000
[26] 서적 Opium: Uncovering the Politics of the Poppy Harva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e Wa Authority and Good Governance, 1989 – 2007
[28] 웹사이트 Wa will not budge from Thai border areas http://www.english.p[...] 2014-04-03
[29] 웹사이트 Yaa Baa. Production, traffic, and consumption of methamphetamine in Mainland Southeast Asia http://www.geopium.o[...] Singapore University Press 2004
[30] 웹사이트 Thai drugs smuggling networks reform http://www.janes.com[...] Jane's Information Group 2004-11-19
[31] 웹사이트 佤族支系“本人(佤)”的产生及其特征 http://www.doc88.com[...] 2012
[32] 웹사이트 Yonde County http://www.ynszxc.go[...] 2012-10-17
[33] 웹사이트 Economonitor - Myanmar and China's Complex Relationship http://www.economoni[...] 2012-05-02
[34] 웹사이트 Tensions Rise in Wa Region http://www.rfa.org/e[...] 2014-03-27
[35] 웹사이트 ပြည်ထောင်စုသမ္မတမြန်မာနိုင်ငံတော် ဖွဲ့စည်းပုံအခြေခံဥပဒေ (၂၀၀၈ ခုနှစ်) http://www.irrawaddy[...] 2021-12-02
[36] 뉴스 Eleven Media Group Co., Ltd http://www.news-elev[...] 2010-08-23
[37] 웹사이트 Wa, Parauk http://www.joshuapro[...] 2014-02-28
[38] 문서 ただスウェーデンの人類学者マグヌス・フィスケショ(Magnus Fiskesjo)はこの説に異議を唱え、それは敵対する村との戦争で戦利品を集めることと関係があると主張している。(Bertil Lintner『The Wa of Myanmar and China's Quest for Global Dominance』P17~18)
[39] 웹사이트 共产党光辉照边疆——《阿佤人民唱新歌》 背后的故事 http://www.cppcc.gov[...] 中国人民政治協商会議全国委員会 2021-09-16
[40] 웹사이트 The Yang Dynasty https://www.humancom[...] 2024-12-13
[41] 서적 The Wa of Myanmar and China's Quest for Global Dominance Silkworm Books
[42] 서적 The Wa of Myanmar and China's Quest for Global Dominance Silkworm Books
[43] 웹사이트 SOAS Wa Dictionary Project - Wa Orthography https://www.humancom[...] 2024-12-13
[44] 서적 The Wa of Myanmar and China's Quest for Global Dominance Silkworm Books
[45] 문서 中国共産党と同じくビルマ共産党も、首刈りに関する道具を徹底的に破壊した。しかしワ族の人々はひそかに儀式を守り、一部の村人は新しい首を切る代わりに、埋められた死体を掘り起こして首を切るようになった。1989年の反乱の後には、ワ族の人々がビルマ共産党幹部の目に触れないように、頭蓋骨を村に隠していたことも明らかになった。(『The Wa of Myanmar and China's Quest for Global Dominance』P80~P8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