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오안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오안족은 몽골 병사의 후예로 여겨지는 중국의 소수 민족이다. 원나라 시대부터 명나라 시대까지 칭하이에 주둔했으며, 동치제 치세에 간쑤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바오안족은 몽골어족에 속하는 바오안어를 사용하며, 대부분 이슬람교를 믿는다. 그들의 문화는 인근의 둥샹족, 후이족과 유사하며, 바오안 칼로 불리는 칼 제작 기술로 유명하다. 간쑤성 지스산 바오안족 둥샹족 사라족 자치현은 바오안족의 자치 지방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오안족 - 바오안어
    바오안어는 중국 간쑤성에서 사용되며, 몽골어족에 속하고 티베트어의 영향을 받은 언어로, SOV 어순을 따르지만 목적어 도치도 나타나며 동사의 형태론이 복잡하다.
  • 중국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중국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바오안족
기본 정보
민족명바오안족 (保安族)
인구22,500명
거주 지역중국, 주로 간쑤성과 소수의 칭하이성
종교주로 수니파 이슬람교, 소수는 티베트 불교(칭하이성)
언어표준 중국어(만다린 중국어), 허저우어, 바오안어(전통)
관련 민족몽골족, 다우르족, 둥샹족
상세 정보 (2000년)
인구 (2000년 국세 조사)16,505명
위치간쑤성, 소수는 칭하이성

2. 역사

바오안족은 원나라칭하이성(오늘날의 퉁런현)에 주둔했던 몽골 및 중앙아시아 병사들의 후손으로 여겨진다.[2][3] 원나라가 멸망한 후에도 이들은 그 지역에 남아 후이족, 티베트족, 한족, 몽고르족 등과 섞이며 오늘날의 바오안족이 형성되는 데 기여했다.[3]

1585년경, 바오안족의 조상들은 퉁런현(암도 지역)에 살면서 티베트 불교를 믿었고, 그곳에 바오안 마을을 세웠다.[4] 이후 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중 일부는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쉰화 사라족 자치현으로 이주했는데, 후이족 수피 지도자 마라이치 (1681?–1766)의 영향으로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고 한다.[5] 동간 반란 (1862~1874) 이후, 무슬림 바오안족은 간쑤성 지스산 바오안족, 둥샹족, 살라족 자치현으로 이동했다.[4]

의화단 운동 당시 바오안족은 후이족, 둥샹족 군대와 함께 마푸루, 마푸샹 장군의 지휘 아래 랑팡 전투에서 8개국 연합을 격파하기도 했다. 또한 중일 전쟁에서는 마뱌오의 지휘 아래 후이족, 둥샹족, 살라족, 티베트족 군대와 함께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바오안족"으로 공식 인정받는 사람들은 이슬람교를 믿는 바오안족이다. 퉁런에 남아 불교를 믿는 사람들은 같은 본어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몽고르족(투족)으로 분류된다.[4]

2. 1. 기원

바오안족은 원나라 때부터 명나라 때까지 칭하이에 주둔했으며, 동치제의 치세기(1862년~1874년)에 간쑤에 정착하기 시작한 무슬림 몽골 병사의 후예라고 추측된다.[2][3] 원나라가 멸망한 후, 바오안족의 조상들은 그 지역에 머물면서 주변의 후이족, 티베트족, 한족, 몽고르족과 섞이면서 현대 바오안족이 나타나게 되었다.[3]

바오안족의 조상들은 티베트 불교 신자들이었으며, 1585년경에 티베트 렙공 사원 북쪽의 퉁런현(암도 지역)에 살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해에 그 지역에 바오안 마을이 세워졌다.[4] 이후, 본어를 사용하는 공동체의 일부 구성원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북쪽의 쉰화 사라족 자치현으로 이주했다. 그들은 후이족 수피 지도자 마라이치(1681?–1766)에 의해 이슬람교로 개종했다고 한다.[5] 나중에 동간 반란(1862~1874)의 여파로 무슬림 바오안족은 더 동쪽으로 이동하여 오늘날 간쑤성 지스산 바오안족, 둥샹족, 살라족 자치현으로 이주했다.[4]

후이족, 바오안족, 둥샹족 군대는 의화단 운동 당시 장군 마푸루와 마푸샹의 지휘 아래 랑팡 전투에서 침략한 8개국 연합을 격파했다. 후이족, 바오안족, 둥샹족, 살라족, 티베트족 군대는 중일 전쟁에서 마뱌오의 지휘 아래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별도의 "바오안족" 민족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것은 본래 바오안족 공동체의 이슬람교도들이었다. 불교를 믿으며 퉁런에 남아 있는 그들의 형제들은 비록 본질적으로 같은 본어를 사용하지만, 현재는 몽고르족(투족) 민족의 일부로 공식 분류된다. "바오안족"이라는 공식적인 개념은 바오안족 자신에게 여전히 다소 인위적으로 남아 있다.[4]

2. 2. 이슬람교 개종과 이주

바오안족은 원나라 때부터 명나라 때까지 칭하이에 주둔했으며, 동치제의 치세기(1862년 - 1874년)에 간쑤에 정주하기 시작한 이슬람교를 믿는 몽골 병사의 후예라고 추측된다.[2][3] 원나라가 멸망한 후, 바오안족의 조상들은 그 지역에 머물면서 주변의 후이족, 티베트족, 한족, 몽고르족과 섞이면서 현대 바오안족이 나타나는데 기여했다.[3]

바오안족의 조상들은 티베트 불교 신자들이었으며, 1585년경에 티베트 렙공 사원 북쪽의 퉁런현(암도 지역, 현재 칭하이성 퉁런현)에 살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해에 그 지역에 바오안 마을이 세워졌다.[4] 이후, 본어를 사용하는 공동체의 일부 구성원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북쪽의 쉰화 사라족 자치현으로 이주했다. 그들은 후이족 수피 지도자 마라이치(1681?–1766)에 의해 이슬람교로 개종했다고 한다.[5] 나중에 동간 반란(1862-1874)의 여파로 무슬림 바오안족은 더 동쪽으로 이동하여 오늘날 간쑤성 지스산 바오안족, 둥샹족, 사라족 자치현으로 이주했다.[4]

2. 3. 근현대사

원나라 때 칭하이성(오늘날의 퉁런현)에 주둔한 몽골 및 중앙아시아 병사들의 후손으로 여겨진다.[2][3] 원나라가 멸망한 후, 이들의 조상들은 그 지역에 머물면서 주변의 후이족, 티베트족, 한족, 몽고르족과 섞이면서 현대 바오안족의 출현에 기여했다.[3]

바오안족의 조상들은 티베트 불교 신자들이었으며, 1585년경에 티베트 렙공 사원 북쪽의 퉁런현(암도 지역, 현재 칭하이성)에 살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해에 그 지역에 바오안 마을이 세워졌다.[4] 이후, 본어를 사용하는 공동체의 일부 구성원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북쪽의 쉰화 사라족 자치현으로 이주했다. 그들은 후이족 수피 지도자 마라이치(1681?–1766)에 의해 이슬람교로 개종했다고 한다.[5] 나중에 동간 반란(1862–1874)의 여파로 무슬림 바오안족은 더 동쪽으로 이동하여 오늘날 간쑤성 지스산 바오안족, 둥샹족, 사라족 자치현으로 이주했다.[4]

후이족, 바오안족, 둥샹족 군대는 의화단 운동 당시 장군 마푸루와 마푸샹의 지휘 아래 랑팡 전투에서 침략한 8개국 연합을 격파했다. 후이족, 바오안족, 둥샹족, 살라족, 티베트족 군대는 중일 전쟁에서 마뱌오의 지휘 아래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별도의 "바오안족" 민족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것은 본래 바오안족 공동체의 이슬람교도들이었다. 불교를 믿으며 퉁런에 남아 있는 그들의 형제들은 비록 본질적으로 같은 본어를 사용하지만, 현재는 몽고르족(투족) 민족의 일부로 공식 분류된다. "바오안족"이라는 공식적인 개념은 바오안족 자신에게 여전히 다소 인위적으로 남아 있다.[4]

3. 언어

바오안족은 몽골어족에 속하는 바오안어를 사용한다. 칭하이에 사는 바오안족이 사용하는 바오안어는 간쑤성에 사는 바오안족의 것과는 약간 차이가 있다. 이는 칭하이에 사는 바오안족은 티베트어의 영향을 받았고, 간쑤성에 사는 바오안족은 한어(중국어)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4] 바오안어는 몽골어의 옛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2]

바오안어에는 11개의 모음과 많은 복합 모음이 있으며, 자음은 26개가 있는데 이 중 5개는 불안정하다.[6] 바오안어는 문자가 없다.[7]

간쑤성의 무슬림 바오안족은 불교도인 칭하이의 친척들보다 수가 더 많다(1990년경 간쑤성 바오안족은 12,200명, 1980년경 칭하이성 바오안족은 3,500명으로 추산). 그러나 간쑤성에서는 바오안어 사용이 줄어들고 있으며(중국어의 현지 방언인 "허저우 방언"을 선호), 칭하이성에서는 바오안어가 젊은 세대에게 계속 전해지고 있다.[4]

4. 유전적 특징

바오안족의 Y 염색체 하플로그룹 분포는 다음과 같다.[8]

하플로그룹비율 (%)
O23.43
O220.31
O1a1.56
O1b1.56
J18.75
R114.07
R1a10.94
R1b3.13
C9.37
N9.17
R26.25
D6.25
I4.69
기타8.02



2010년의 또 다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9]

하플로그룹비율 (%)
K*22.2
O1b18.5
D*14.8
O214.8
O*7.4
R1a7.4
R27.4
N3.7
R1b3.7


5. 문화

둥샹족, 후이족과 문화적으로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바오안족의 전통 마을은 집의 지붕이 연결되어 있어, 마을 사람들이 지붕 위로 집 사이를 걸어 다닐 수 있었으나, 이러한 전통 가옥은 오늘날 드물다.[6]

5. 1. 복식

둥샹족 및 회족과 문화적으로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바오안족의 복장은 티베트족, 회족, 둥샹족 복장의 특징을 혼합한 것이다. 간쑤성 바오안족 여성은 화려하고 밝은 색상의 옷을 즐겨 입으며, 폭이 넓은 다양한 색상의 바지를 착용한다. 바오안족 여성은 혼인 여부에 따라 다른 색 베일을 착용하는데, 기혼 여성은 검은색, 미혼 여성은 녹색 베일을 착용한다. 바오안족 남성은 흰색이나 검은색 천으로 터번을 두르고, 흰색 상의를 착용한다.[10]

5. 2. 경제

바오안족의 경제는 농업(주로 호밀)과 축산업, 지역 수공예품 판매, 목재 산업 종사로 이루어져 있다. 바오안족은 바오안 칼(보안도(保安刀), 또는 보안요도(保安腰刀))이라고 불리는 상질의 칼을 만드는 기술로 유명하다. 바오안 칼은 외관이 아름답고, 예리하며 내구성이 뛰어나다. 바오안족 수입의 일부는 이 칼의 판매에서 나온다.[10]

5. 3. 음식

바오안족은 할랄 음식 식단을 따르는데, 주로 소고기와 양고기를 당근, 감자, 유리국수와 함께 먹는다.[6] 이들은 차도 즐겨 마신다.[6]

5. 4. 여가 활동

바오안족은 승마, 레슬링, 궁술을 즐겨한다. 또한 시, 노래, 춤을 즐기고 전통 중국 악기를 연주하기도 한다.[10]

5. 5. 종교

바오안족의 대다수는 이슬람교도이다.[3] 칭하이성에 거주하는 소수의 바오안족은 티베트 불교 신자이지만, 그들은 이웃 민족 집단에 의해 대부분 동화되었다.[3] 지스산 현의 바오안족은 주로 소고기와 양고기로 구성된 할랄 음식 식단을 따르며, 당근, 감자, 유리국수와 함께 먹는다.[6]

6. 자치 지방

지스산 바오안족 둥샹족 사라이족 자치현

참조

[1] 웹사이트 Jīshíshān Xiàn http://www.linxia.go[...] 2021-11-02
[2] 서적 China's Muslim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3] 서적 Muslim Peoples [2 Volumes]: A World Ethnographic Surve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984
[4] 서적 The Mongol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Mínsú wénhuà http://www.jss.gov.c[...] 2021-11-02
[7] 서적 Islam in China https://books.google[...] China Intercontinental Press
[8] 간행물 The Silk Road: Language and Population Admixture and Replacement https://hal-inalco.a[...] Springer, Singapore 2019-12-13
[9] 논문 Y-chromosome distributions among populations in Northwest China identify significant contribution from Central Asian pastoralists and lesser influence of western Eurasians 2010-05
[10] 서적 Muslims in China https://books.google[...] Mason Crest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