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하는 한국 각처의 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땅속에 덩이줄기가 있다. 잎은 3개의 작은 잎으로 나뉘며, 꽃은 봄에 핀다. 불염포의 모양 때문에 일본에서는 까마귀 국자에 비유되어 이름이 붙여졌으며, 독성이 있어 가공하여 약재로 사용한다. 주로 밭의 잡초로 자라며, 지하경과 비늘줄기로 번식한다. 일본, 중국, 한반도 등지에 분포하며, 북아메리카에서는 침략적 외래종으로 문제시되기도 한다. 중의학에서 담습 제거에 효과적인 약초로 알려져 있으며, 진토 작용이 있는 다당체를 함유하여 한방 처방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1년 기재된 식물 - 마가목
    마가목은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수로, 붉은 열매와 아름다운 단풍이 특징이며 관상용으로 많이 심고 줄기 껍질은 약재로, 열매는 과실주나 잼 등으로 활용된다.
  • 1901년 기재된 식물 - 털중나리
    털중나리는 한국 전국의 산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황적색 꽃이 피고 식용 가능한 어린순, 잎, 비늘줄기를 가지며 밀원 및 약재로도 활용되는 한국 특산식물이다.
  • 천남성아과 - 곤약
    곤약은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덩이줄기를 가공한 식품으로, 낮은 칼로리와 풍부한 식이섬유를 함유하여 다이어트 식품으로 이용되며 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식용으로 사용된다.
  • 천남성아과 - 아메리카토란속
    아메리카토란속은 남아메리카, 서인도 제도, 중앙 아메리카 등지에서 재배되는 천남성과 속으로, 독특한 꽃차례 구조와 풍뎅이 수분 전략을 가지며 일부 종은 식용으로 활용되고 가루는 저자극성 특성을 지닌다.
  • 1784년 기재된 식물 - 떡갈나무
    떡갈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으로, 큰 잎을 가지며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 분포하고 떡을 싸는 용도나 식용으로 사용되는 등 인간 생활과 밀접하며 내염성, 내화성이 강하고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 1784년 기재된 식물 - 단풍나무
    단풍나무는 동아시아 원산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가을의 아름다운 단풍이 특징이며 잎 모양, 색깔, 크기 등이 다양한 1,000가지가 넘는 품종이 있어 관상용, 정원수, 가로수, 분재 등으로 널리 재배된다.
반하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까마귀 족두리
까마귀 족두리
까마귀 족두리
학명Pinellia ternata
반하속
반하
명명자(Thunb.) Makino
일본어
일본어 이름カラスビシャク (카라스비샤쿠)
한국어
한국어 이름반하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
외떡잎식물
택사목
천남성과
아과천남성아과
천남성족

2. 특징

반하는 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 속에는 공 모양의 덩이줄기가 있다. 잎은 뿌리에서 나온 긴 잎자루 끝에 달리며, 잎몸은 3개의 작은 잎으로 나뉜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는 5-10cm 정도이다. 꽃줄기는 높이가 25-35cm 정도이다. 불염포는 길이 5-6cm 정도인데, 중간 부분 아래는 말려서 통 모양이 되며 녹색 또는 자색을 띤다. 육수꽃차례의 아랫부분은 불염포와 합쳐져 있어 한쪽 부분에만 암꽃이 빽빽하게 달린다. 가운데 부분에는 수꽃이 몰려 달리며, 그 위쪽은 꽃이 달리지 않고 길이 약 8cm 정도의 길쭉한 부속체가 된다. 꽃덮이는 없고, 수꽃에는 2개의 수술대가 없는 꽃밥이 있다. 씨방은 1개의 방을 가지며, 안에는 1개의 밑씨가 만들어진다. 주로 밭의 잡초로 자라며, 생반하는 독성이 매우 강하므로 가공해서 약재로 사용한다.[4]

반하는 지하경으로 번식하며, 각 의 기저부에는 구슬눈이라고도 불리는 작은 비늘줄기가 있다. 꽃은 봄에 핀다.[4]

3. 이름

반하의 일본 이름 유래는 불염포라고 불리는 꽃의 독특한 모양이 쓸모없다는 의미로 까마귀가 사용하는 국자에 비유되어 붙여졌다. 별명으로는 '''한게'''(반하), '''헤소쿠리''', '''헤부스'''라고도 불린다. 일본의 지방에 따라서는 효쿠쇼나카세(가고시마현), 카라스노오큐(군마현)라는 방언으로도 불린다. '헤소쿠리'는 이 풀이 옛날에는 한약에 사용하기 위해 뿌리줄기를 파서 약방에 팔아 돈을 모았다는 데서 유래했다. 도곡의 『청이록』에는 "담궁벽력"이라는 별명이 있다.

꽃말은 "마음 진정시키고"이다.

4. 분포 및 생육 환경

일본에서는 홋카이도부터 규슈, 오키나와까지 널리 분포하며, 국외에서는 중국, 한반도에서 알려져 있다.[1] 일본에서의 분포는 인위적인 것으로 생각되며, 중국에서 고대에 귀화한 사전 귀화식물로 여겨진다.

북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는 침략적 외래종으로 문제시되고 있다.

반음지에서 햇볕이 잘 드는 산지의 길가, , 강가, 화단 등에서 자생하며, 밭에서는 잡초가 된다.[1][2][3][4] 뽑아도 덩이줄기가 지하에 남아있기 때문에 근절이 어려우며, 밭의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5]

5. 형태 및 생태

반하는 한국 각지의 밭에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땅 속에 공 모양의 덩이줄기가 있다. 잎은 뿌리에서 나온 긴 잎자루 끝에 달리며, 잎몸은 3개의 작은 잎으로 나뉜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는 5-10cm 정도이다. 꽃줄기는 높이가 25-35cm 정도이다. 불염포는 길이 5-6cm 정도인데, 중간 부분 아래는 말려서 통 모양이 되며 녹색 또는 자색을 띤다. 육수꽃차례의 아랫부분은 불염포와 합쳐져 한쪽 부분에만 암꽃이 빽빽하게 달린다. 가운데 부분에는 수꽃이 몰려 달리며, 그 위쪽은 꽃이 달리지 않고 길이 약 8cm 정도의 길쭉한 부속체가 된다. 꽃덮이는 없고, 수꽃에는 2개의 수술대가 없는 꽃밥이 있다. 씨방은 1개의 방을 가지며, 안에는 1개의 밑씨가 만들어진다. [4]

반하는 주로 밭의 잡초로 자라며, 지하경으로 번식한다. 각 의 기저부에는 작은 비늘줄기(구슬눈이라고도 함)가 있다. 키는 20-40cm 정도이며, 잎은 구경에서 뻗어 나와 긴 잎자루 끝에 달린다. 잎몸은 난형에서 창 모양, 또는 3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겹잎으로 변화하며, 어린 것은 잎이 1장인 것도 있다. 3개의 작은 잎 기부나, 길이 8-16cm의 잎자루 중간에는 삼각형의 살눈(구슬눈)을 달아 떨어져 번식한다.

개화기는 초여름부터 여름(5-8월)이며 암수한그루이다. 꽃자루가 1개 솟아 잎보다 훨씬 높고, 꼭대기에 천남성의 꽃과 같은 길이 6-10cm의 불염포에 싸인 육수꽃차례를 만든다. 꽃축의 윗부분은 수꽃군, 아랫부분에 암꽃군을 만든다. 천남성속과 매우 비슷한 꽃으로, 포의 색깔은 자색 또는 녹색이다. 꽃차례 축의 끝은 실 모양으로 가늘고 길게 뻗어 포 밖으로 나오므로, 우라시마소우를 작게 한 것 같은 꽃차례의 모습을 하고 있다. 다만 이 속의 특징으로 암꽃차례부가 배면에서 불염포에 유합되어 있기 때문에, 통부의 아랫부분이 약간 가늘게 보인다. 여름에 꽃이 지면 지상부는 말라 죽는다.

중국 본초학에서 사용되는 식물

6. 분류

이 식물은 꽃의 모양이 우라시마소와 매우 닮았다. 오히려 천남성속의 많은 종보다 더 닮았지만, 포(苞) 안의 원주형 화서가 그 등쪽에서 포와 유착되는 등, 뚜렷하게 다른 점 때문에 별개의 속으로 분류된다.[1] 동속의 반하속으로는 일본에 큰반하 ''P. tripartita''가 있다.[1] 큰반하는 한 바퀴 크게 자라 높이가 50cm가 되며, 잎은 깊게 3갈래로 갈라진다. 혼슈 중부에서 아마미오시마까지, 제한된 지역에 분포한다.[1]

근연종으로는 향기반하가 있으며, 꽃에서 향기가 나서 원예점 등에서 판매되고 있다.[1]

7. 변이

변이가 많으며, 반하의 하위 분류에 다음 3품종이 있다.


  • 시카한게(シカハンゲ|시카한게일본어) ''Pinellia ternata'' (Thunb.) Breitenb. f. ''angustata'' (Schott) Makino - 3장의 작은 잎이 선형이 된다.
  • 무라사키한게(ムラサキハンゲ|무라사키한게일본어) ''Pinellia ternata'' (Thunb.) Breitenb. f. ''atropurpurea'' (Makino) Ohwi - 포(苞)의 안쪽이 암자색이 된다.
  • 야마한게(ヤマハンゲ|야마한게일본어) ''Pinellia ternata'' (Thunb.) Breitenb. f. ''subcuspidata'' Honda - 작은 잎의 선단이 길게 뻗는다.

8. 약용

반하는 한국 각처의 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땅 속에 공 모양의 덩이줄기가 있다. 생반하는 독성이 매우 강하므로 가공하여 약재로 사용한다.

껍질의 코르크층을 제거하고 말린 반하는 일본약국방에 수록된 생약이다. 반하는 가능한 큰 것을 골라 통에 모래와 함께 넣고 물을 부어 겉껍질을 완전히 제거한다. তারপর 물로 여러 번 씻어 모래와 껍질을 제거하고, 생석회 가루를 뿌려 자리에 펼쳐 햇볕에 말려 만든다.

반하는 진토 작용을 하는 아라반을 주성분으로 하는 다당체를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반하후박탕, 반하사심탕, 억간산가진피반하 등의 한방 처방에 배합된다. 호모겐티신산과 사포닌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가래 제거 및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 효과가 있으며, 과거에는 입덧 완화에도 사용되었다.[10] 반하의 1일 용량은 1.5 - 4그램이지만, 한방 처방에 따르는 것이 좋다. 건조하지 않은 생반하는 수산칼슘을 함유하고 있어 식용할 수 없다.

8. 1. 전통 의학

반하는 생으로 섭취하면 독성이 있으므로 가공해야 한다.[5] 중의학에서는 담습(痰濕)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인 약초로 알려져 있다.[6][7] 한 연구에 따르면, 고용량의 반하 추출물은 주커 쥐에서 열생성과 지방산 산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4]

참조

[1]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2] 웹사이트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2013 county distribution map http://bonap.net/Map[...]
[3]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3 Page 42, 半夏 ban xia, ''Pinellia ternata'' (Thunberg) Tenore ex Breitenbach, Bot. Zeitung. 37: 687. 1879. http://www.efloras.o[...]
[4] 학술지 Anti-obesity effect of Pinellia ternata extract in Zucker rats
[5] 문서 Bensky et al.
[6] 문서 Bensky, et all.
[7] 웹사이트 Pinellia (Ban Xia) {!} Chinese Herbs Healing http://www.chinesehe[...] 2020-06-21
[8] 서적 清異録 江淮異人録 上海古籍出版社
[9] 웹사이트 医薬品の範囲に関する基準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5-04
[10] 간행물 長野県衛生部薬務課薬草の知識 長野県衛生部薬務課 1981-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