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해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해는 5경, 15부, 62주 체제의 지방 행정 구역을 갖추고 있었다. 5경은 상경 용천부, 중경 현덕부, 동경 용원부, 남경 남해부, 서경 압록부로 발해의 주요 도시들이었다. 15부는 숙신, 예맥, 옥저, 고구려, 부여, 읍루/우루부말갈, 솔빈, 불열, 철리, 월희 지역에 설치되었으며, 각 부는 여러 주를 관할했다. 62주는 각 부에 속해 있었으며, 당나라 제도를 참고하면서도 발해의 독자성을 유지했다. 발해는 고구려의 5부 체제를 계승하고 당의 제도를 참고하여 행정 구역을 운영했으며, 요동반도와 요서 지역 일부를 점령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발해의 행정 구역
개요
유형발해의 행정 구역 목록
위치발해
행정 구역
지방 통치5경
15부
62주
관련 문서
발해의 행정 구역발해의 지방 제도에 대한 설명
발해 5경발해의 5개 수도
발해 15부발해의 15개 행정 구역
발해 62주발해의 62개 하위 행정 구역

2. 발해의 5경

발해는 5경(京), 15부(府), 62주(州)의 지방 행정 제도를 갖추고 있었다. 5경은 발해의 주요 도시로, 상경 용천부, 중경 현덕부, 동경 용원부, 남경 남해부, 서경 압록부가 있었다.


  • 상경 용천부(上京龍泉府): 발해의 수도로, 현재의 닝안 (寧安) 일대에 위치했다. 용주(龍州)라고도 불렸으며, 8개 현을 관할했다.
  • 중경 현덕부(中京顯德府): 허룽/둔화 일대에 위치했으며, 현주(顯州)라고도 불렸다. 노주(盧州), 철주(鐵州), 탕주(湯州), 영주(榮州), 흥주(興州), 속주(涑州) 등을 관할했다.
  • 동경 용원부(東京龍原府): 훈춘에 위치했으며, 경주(慶州)라고도 불렸다. 경주(慶州), 염주(鹽州), 목주(穆州), 하주(賀州) 등을 관할했다.
  • 남경 남해부(南京南海府): 함흥에 위치했으며, 옥주(沃州)라고도 불렸다. 옥주(沃州), 정주(睛州), 초주(椒州) 등을 관할했다.
  • 서경 압록부(西京鴨綠府): 린장에 위치했으며, 신주(神州)라고도 불렸다. 신주(神州), 환주(桓州), 풍주(豊州), 정주(正州) 등을 관할했다.

2. 1. 상경용천부 (上京龍泉府)

2. 2. 중경현덕부 (中京顯德府)

2. 3. 동경용원부 (東京龍原府)

2. 4. 남경남해부 (南京南海府)

2. 5. 서경압록부 (西京鴨綠府)

3. 발해의 15부

발해는 전국을 15부(府)로 나누고, 부 아래에 주(州)를 두어 통치했다. 각 부는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설치되었으며, 고구려, 숙신, 부여, 읍루 등 다양한 종족의 거주지를 기반으로 하였다.


  • 숙신 지역: 용천부(상경/용주), 현덕부(중경/현주)가 설치되었다. 용천부는 발해의 수도였으며, 닝안 시(寧安市)에 위치했다. 현덕부는 허룽 시/둔화 시 지역에 있었다.
  • 예맥 지역: 용원부(동경/경주)가 설치되었으며, 훈춘 시에 위치했다.
  • 옥저 지역: 남해부(남경/옥주)가 설치되었으며, 함흥시에 위치했다.
  • 고구려 지역: 압록부(서경/신주), 장령부가 설치되었다. 압록부는 린장 시에, 장령부는 징위 현에 위치했다.
  • 부여 지역: 부여부(부주), 막힐부(막주)가 설치되었다. 부여부는 카이위안 시에, 막힐부는 아청 구에 위치했다.
  • 읍루/우루부말갈 지역: 정리부(정주), 안변부(안주)가 설치되었다. 정리부는 파르티잔스크에, 안변부는 올가에 위치했다.
  • 솔빈 지역: 솔빈부(화주)가 설치되었으며, 우수리스크/슈아이빈에 위치했다.
  • 불열 지역: 동평부(이주)가 설치되었으며, 미산 시에 위치했다.
  • 철리 지역: 철리부(덕리진)가 설치되었으며, 이란 시에 위치했다.
  • 월희 지역: 회원부(달주), 안원부(영주)가 설치되었다. 회원부는 퉁장 시에, 안원부는 달네레첸스크에 위치했다.

3. 1. 용천부 (龍泉府)

3. 2. 현덕부 (顯德府)

3. 3. 용원부 (龍原府)

3. 4. 남해부 (南海府)

3. 5. 압록부 (鴨綠府)

3. 6. 장령부 (長嶺府)

3. 7. 부여부 (夫餘府)

3. 8. 막힐부 (鄚頡府)

3. 9. 정리부 (定理府)

3. 10. 안변부 (安邊府)

3. 11. 솔빈부 (率賓府)

3. 12. 동평부 (東平府)

3. 13. 철리부 (鐵利府)

3. 14. 회원부 (懷遠府)

3. 15. 안원부 (安遠府)

4. 발해의 62주

발해는 5경(京) 15부(府) 62주(州)의 지방 행정 구역을 설치했다. 발해의 지방제도는 당나라 제도를 채택하면서도 독자성을 유지했다.

62주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원래 귀속Capitals/당시 지명속주(屬州)
숙신
肅愼
용천부상경/용주용주(龍州)
호주(湖州)
발주(渤州)
숙신
肅愼
현덕부중경/현주노주(盧州)
현주(顯州)
철주(鐵州)
탕주(湯州)
영주(榮州)
흥주(興州)
예맥
濊貊
용원부동경/경주경주(慶州)
염주(鹽州)
목주(穆州)
하주(賀州)
옥저
沃沮
남해부남경/옥주옥주(沃州)
정주(睛州)
초주(椒州)
고구려
高句麗
압록부서경/신주신주(神州)
환주(桓州)
풍주(豊州)
정주(正州)
고구려
高句麗
장령부하주(瑕州)하주(瑕州)
하주(河州)
부여
夫餘
부여부부주(扶州)부주(扶州)· 선주(仙州)
부여
夫餘
막힐부막주(鄚州)막주(鄚州)
고주(高州)
읍루
揖婁/우루부말갈
虞婁部靺鞨
정리부정주(定州)정주(定州)
반주(潘州)
읍루
揖婁/우루부말갈
虞婁部靺鞨
안변부안주(安州)안주(安州)
경주(瓊州)
솔빈
率賓
솔빈부화주(華州)화주(華州)
익주(益州)
건주(建州)
불열
拂涅
동평부이주(伊州)이주(伊州)
몽주(蒙州)
타주(沱州)
흑주(黑州)
비주(比州)
철리
鐵利
철리부덕리진(德理鎭)광주(廣州)
분주(汾州)
포주(蒲州)
해주(海州)
귀주(歸州)
월희
越喜
회원부달주(達州)달주(達州)
월주(越州)
회주(懷州)
기주(紀州)
부주(富州)
미주(美州)
복주(福州)
사주(邪州)
지주(芝州)
월희
越喜
안원부영주(寧州)영주(寧州)
미주(郿州)
모주(慕州)
상주(常州)



각 부(府)에는 장관으로 도독(都督)이, 주(州)에는 자사(刺史)가 파견되었으며, 그 아래 현(縣)에는 현승(縣丞) 또는 현령(縣令)이 있었다.

5. 발해의 기타 행정 구역

발해는 요동반도 남단의 비사성을 비롯하여 요동의 신성, 개모성, 백암성, 요동성, 안시성 등과 요서 지역의 일부를 점유하고 성을 설치했다. 796년 발해 국왕이 야마토국에 보낸 메시지에는 옛 고구려 영토 전체를 회복했고, 국왕의 권위가 이제 요하 너머까지 빛난다고 언급되어 있다.

발해 행정 지도


발해는 쑹화강우수리강 유역과 동해 연안 전체를 점령하게 되었다. 이외에도 약홀주(若忽州) (단둥), 목저주(木底州) (예우타이(葉武臺), 파쿠현, 랴오닝성, 태자하 근처), 현도주 (玄兎州) (만저우리 근처) 등의 주가 있었다.

6. 발해 행정 구역의 특징

발해는 고구려의 5부 체제를 계승하고 당나라의 3성 6부제를 참고하여 5경 15부 62주 체제를 확립했다. 발해의 행정 구역은 민족 구성에 따라 다르게 운영되었는데, 이는 발해가 다민족 국가였음을 보여준다. 발해는 넓은 영토를 효율적으로 통치하고,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행정 구역을 운영하였다.

발해는 고구려의 영역 대부분과 말갈의 영역 일부를 포함하는 넓은 영토를 다스렸다. 796년 발해 국왕이 일본에 보낸 국서에는 "고구려의 옛 땅을 모두 회복하고, 왕의 위엄이 요하 너머까지 떨치고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발해가 쑹화강우수리강 유역, 그리고 동해 연안 전체를 차지했음을 보여준다.

만주원류고에는 발해가 요동반도 남단의 비사성을 점령했다는 기록이 있고, 요사에는 발해가 요동의 신성, 개모성, 백암성, 요동성, 안시성 지역과 요서 지역 상당 부분을 점유하며 성을 설치했다는 기록이 있다.

발해의 행정 구역은 안동도호부에서 유래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남해주(南海州)는 과거 거소주(去素州)·거단주(去旦州)·식리주(識利州), 월희주(越喜州)는 과거 월희주, 동평부(東平府)는 과거 불열주(拂涅州), 장령부(長嶺府)는 과거 제북주(諸北州), 압록부(鴨綠府)는 과거 안시주(安市州)와 창암주(倉巖州), 회원부(懷遠府)는 과거 연진주(延津州), 현덕부(顯德府)는 과거 여산주(黎山州)에 해당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