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원류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주원류고》는 1777년 건륭제의 명으로 아구이, 우민중 등이 편찬하여 1778년에 완성된 만주족의 역사서이다. 건륭제는 한족 역사가들의 만주어 이해 부족에 대한 불만을 품고 만주족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이 책의 편찬을 지시했다. 이 책은 만주족이 부여, 고려, 삼한, 백제, 신라, 발해 등과 계통을 같이 한다고 주장하며, 청나라 건국의 정통성을 강조한다. 총 20권으로 구성되어 부족, 강역, 산천, 국속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만주족의 기원과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문헌으로 평가받는다.
《만주원류고》는 1777년(건륭 42년) 건륭제의 명으로 편찬이 시작되어 이듬해인 1778년에 완성된 만주족의 역사책이다. 건륭제는 한족 역사가들이 만주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고증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29] 이에 아구이, 우민중 등 명성있는 대학사들을 모아 문헌을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만주족의 뿌리에 대한 주장을 평가하도록 하였다.[29]
2. 편찬 경위
2. 1. 편찬 배경
아구이(), 
동고(董誥), 
우민중(于敏中), 
허션, 
왕걸(王杰) 등이 《만주원류고》 편찬에 참여하였다.[28]
건륭제는 한족 역사가들이 만주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제대로 된 고증을 하지 못하는 것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29] 이에 만주족의 전통을 정립하고 종족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대규모 편찬 사업을 지시했고, 그 결과물이 《만주원류고》이다.
《만주원류고》는 만주족 지배 계층의 시각에서 만주족의 역사를 서술하여, 한족 중심 사관에서 벗어나고자 하였다. 이 문서는 고대부터 여진족에서 만주족에 이르기까지 그들이 지녔던 민족성을 보여주는 문서이다. 여진족과 만주족의 계보는 부여, 삼한, 백제, 신라, 숙신, 발해[5][6] 그리고 시대별 여진에까지 이어진다고 보았다.
2. 2. 편찬 참여 인물
《만주원류고》 편찬에는 총 35명의 학자가 참여하였다. 주요 참여 인물은 다음과 같다.[29]
《만주원류고》는 총 20권으로, 부족, 강역, 산천, 국속의 4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43]
건륭제는 한족 역사가들이 만주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고증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 이에 1777년 대학사 아구이, 우민중 등에게 칙명을 내려 명성있는 대학사들을 모아 문헌을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만주족의 뿌리에 대한 주장을 평가하도록 하였다.[29] 건륭제는 만주 전통의 틀을 정립하고 종족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흠정만주원류고》 편찬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이 사업에 총 35명의 학자를 투입하였다.[29]
3. 구성
권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권 1 ~ 7 부족(部族) 숙신, 부여, 읍루, 삼한, 물길, 백제, 신라, 말갈, 발해, 완안, 건주 등 권 8 ~ 13 강역(疆域) 흥경, 길림, 흑룡강 등 만주와 한반도 북부 지역 권 14 ~ 15 산천(山川) 장백산, 혼동강, 압록강, 두만강 등 주요 산과 강 권 16 ~ 20 국속(國俗) 만주 기사, 관복, 정교, 제사, 언어, 물산, 잡철
각 부문은 다시 여러 중분류와 소분류로 나뉜다. 부족 부문(권1~7)은 숙신, 부여, 읍루, 삼한, 물길, 백제, 신라, 말갈, 발해, 완안, 건주 등 여러 부족과 이웃했던 소론[44][45], 퍄카[46] 등의 흥망성쇠를 다루며, 뒤에 《금사(金史)〉성씨고(姓氏考)》를 덧붙였다.[47][48]
제1권 부족편에는 《발상세기(發祥世紀)》를 인용, 만주족이 애신각라(愛新覺羅)라는 성을 얻게 된 내력과 만주(滿洲) 건국 과정을 기록하였다.[49]
3. 1. 부족 (部族)
〈만주원류고〉의 부족(部族) 부분은 만주족과 관련된 여러 부족 및 국가의 흥망성쇠를 다룬다.
숙신, 부여, 읍루, 삼한, 물길, 백제, 신라, 말갈, 발해, 완안, 건주 등과 이웃했던 소론[44][45], 퍄카[46] 등의 흥망성쇠를 기록하고,[47] 뒤에 〈금사성씨고〉를 덧붙였다.[48]
3. 2. 강역 (疆域)
疆域|지앙위중국어은 권8부터 권13까지로, 만주와 한반도 북부 지역의 역사적 지리 변천을 다룬다. 〈명위소성참고〉를 덧붙였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 | 소분류 |
|---|---|
| 8 | 흥경, 길림, 흑룡강, 숙신사지, 숙신성·숙신현, 부여국도, 부여성·부여부, 읍루국계, 읍루고지·읍루현, 삼한분지, 삼한속국, 삼한고지·마한도독부·진주·삼한현 |
| 9 | 옥저·예, 물길행정, 물길칠부고지, 물길방국, 백제리지, 백제도성·백제군읍, 백제제성, 신라, 계림주, 신라구주, 말갈, 흑수주·흑수부, 철리월희고지 |
| 10 | 발해국경, 홀한주·홀주성, 상경·용천부, 용주, 호주, 발주, 중경·현덕부, 노주, 현주, 철주, 탕주, 영주, 흥주, 동경·용원부, 경주, 염주, 목주, 하주, 남경·남해부, 옥주, 청주, 초주, 서경·압록부, 신주, 환주, 풍주, 정주, 장령부, 해주, 부여부, 막걸부, 고주, 안녕군, 정리부, 정주, 심주, 안변부, 안주, 솔빈부, 익주, 건주, 동평부, 몽주, 타주, 동평채, 회원부, 부주, 미주, 복주, 철리부, 광주, 포주, 의주, 귀주, 안원부, 영주, 모주, 영동동삼주, 개주, 숭주, 집주, 록주 |
| 11 | 요동북지계, 요 상경장춘주, 요동경요양부, 개주, 정주, 보주, 진주, 노주, 래원성, 철주, 흥주, 탕주, 숭주, 해주, 록주, 환주[15], 풍주[15], 정주[15], 모주[15], 현주, 종주, 건주, 귀덕주, 심주, 집주, 광주, 요주, 수주, 통주, 한주, 쌍주, 은주, 동주, 함주, 신주, 빈주, 용주, 호주, 발주, 영주, 동주, 동주, 솔빈부, 정리부, 철리부, 안정부, 장령부, 진해부, 기주, 동주, 상주, 길주, 록주, 형주, 의주, 승주, 순화성, 영주, 연주, 궤주, 소주, 복주, 숙주, 안주, 영주[16], 솔주[16], 하주[16], 원주[16], 발해주[16], 영강주, 하주, 상주, 요영위·아연여진, 이덕여진, 오국부 |
| 12 | 금상경, 회녕부, 조주, 융주, 신주, 부여로, 해란로, 솔빈로, 합사한로, 호이얼하로, 오이얼구덕륵통군사, 함평로·함평부, 한주, 금동경·요양부, 징주, 심주, 귀덕주, 개주, 복주, 래원주, 박색부 |
| 13 | 원심양로, 개원로, 함평부, 해란부석달륵달등로, 조주, 박색부, 부:명위소성참고 |
3. 3. 산천 (山川)
《만주원류고》 권14와 권15는 만주와 한반도 북부 지역의 주요 산과 강을 기록하고 있다.'''권14'''
개운산, 천주산, 융업산, 장백산, 청령, 마치령, 이륵호령, 장령, 동모산, 휘산, 백평산, 요산・호호마산, 고감산, 과라산, 마안산, 냉산, 덕림석, 용수산, 사산, 조필산, 의무려산, 천산, 십삼산, 수산, 명왕산, 화표산, 웅악산, 금산, 질려산, 용봉산, 갈할령[17][18], 태란강, 길림애, 고륵산[19][20], 호이얼기산[21][22], 의한산[23][24], 이마호산강, 살얼호산[25][26], 철배산, 석흠산, 상간애, 비분산, 아부달리강, 고라고애, 청태계, 황골조, 견마령, 각화도, 흥안령, 피도, 여옹산, 송산, 탑산, 행산, 부재:단단대령제산
'''권15'''
혼동강, 압록강, 애호하, 두만강, 동가강, 요하, 혼하・심수, 태자하, 사하, 대청하, 시하, 범하, 휘발하, 이돈하, 이이얼문하, 소릉하, 대릉하, 양장하, 주자하, 솔빈수・찰란수, 해란수, 라림하, 아륵초가하, 해고륵수, 호이얼하, 혼춘하, 눈강, 도이얼하, 흑룡강, 둔하, 하륵혼하, 오루하, 혼우박, 부재:약수제수
3. 4. 국속 (國俗)
만주족의 풍속, 제도, 문화를 기록하였다.'''기사(旗射)'''
만주족은 전통적으로 활쏘기를 중시했다.
'''관복(冠服)'''
만주족 고유의 복식 문화를 기록하였다.
'''정교(政敎)'''
건륭제는 자서(自序)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列聖相承。謨烈昭垂。述先志者。莫重於受命。贻后昆者。尤切于明伦。是则藏山副墨。大备典谟。而纲举目张。后先有叙。|열성상승。모렬소수。술선지자。막중어수명。이후곤자。우절우명륜。시즉장산부묵。대비전모。이강거목장。후선유서。|열성이 서로 이어받고, 공렬이 밝게 드리워져 있으니, 선대의 뜻을 기술하는 자는 천명을 받는 것보다 중요한 것이 없고, 후손에게 남기는 자는 윤리를 밝히는 것보다 절실한 것이 없다. 이에 명산에 간직할 문서와 부본을 갖추어 경전과 법규를 크게 갖추고, 벼리가 들리면 그물이 펼쳐지듯 앞뒤 순서가 있게 하였다.중국어
이는 선대 황제들의 업적을 계승하고, 후손들에게 교훈을 남기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 것이다.
'''제사(祭祀)'''
제천(祭天), 사신(祀神), 잡례(雜禮), 관제(冠制) 등 다양한 제사 의식과 절차를 상세히 기록하였다.
'''언어(言語)'''
만주어에 대한 기록과 함께, 《금사구국어해고(金史舊國語解攷)》를 부록으로 첨부하여 만주어 연구 자료를 제공하였다.
'''물산(物産)'''
만주 지역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물품을 기록하였다.
'''잡철(雜綴)'''
기타 여러 가지 내용을 기록하였다.
4. 내용
《흠정만주원류고》는 만주족 지배 계급의 관점에서 편찬되었으며, 한족 중심의 시각에서 벗어나 사서(史書)를 기록한 문서이다. 이 책은 고대부터 여진족에서 만주족에 이르기까지 그들이 지녔던 민족성을 보여준다. 건륭제는 만주인들의 역사를 설명하기 위해 《만주원류고》를 편찬하도록 하였다. 만주인이 가지고 있는 뿌리 의식을 보여주고 고대를 사실적으로 고증하여 사람들에게 보여줌으로써 만주인의 유산을 입증하여 청나라 통치의 정통성을 강조하고자 했다.[41]
《만주원류고》는 여러 사서의 문헌 기록, 학자들의 주장, 그리고 만주족의 민족 의식을 반영하여 작성되었다. 20세기에 작성된 만주족에 관한 근대 기록들 역시 건륭제가 편찬한 《만주원류고》를 중심으로 만주족의 역사를 서술하였으며, 이는 만주족의 정체성에 대한 청나라의 시도 중 정점으로 평가받는다.[42]
4. 1. 만주족의 기원 및 계보
《흠정만주원류고》는 한족 중심 사관에서 벗어나 만주인 지배층의 시각에서 편찬한 것으로, 여진족에서 만주족으로 이어지는 자신들의 민족성을 나타내는 문헌이다. 이 책에서는 여진, 만주인이 시대별로 부여, 고려, 삼한, 백제, 신라, 숙신, 발해[30][31], 읍루[32], 물길[33], 말갈[34], 발해[35][36][37][38], 여진(건주, 완안[39])으로 그 계통이 이어진다고 설명한다. 청나라의 건국은 1,000여 년 동안 이어져 온 계통의 고유한 정치적, 문화적 발전과 진보의 결과라는 것이다.《만주원류고》에서는 금나라의 시조를 신라 혹은 고려의 인물로 단정하면서 부여, 삼한, 백제, 신라, 발해 등을 만주족의 계통과 기원으로 포함시켰다. 한족 중심 사관을 가진 현대 중국 학자들은 《흠정만주원류고》가 만주족을 숭상하기 위해 편찬되었다고 폄하하기도 하지만, 숭상을 위해서라면 굳이 한민족을 골라 관련성을 주장할 필요가 없었다. 고려와 발해 이후 만주족들의 민족 의식에서 한반도인이 깊게 관련되어 있었다는 것을 《만주원류고》를 통해 알 수 있다. 적어도 만주족들은 매우 예전부터 신라와 고려를 자신들의 뿌리라고 믿고 있었다.
만주족들이 예전부터 믿고 있던 민족 뿌리 의식을 바탕으로 역대 사료들에 나타나는 기록 가운데 만주족 계통과 유사한 민족들을 취사선택하여 고증하고자 하였는데, 한반도의 왕조가 만주족의 뿌리인 것으로 선택되었다. 역대 문헌들을 조사하고 만주족이 가지고 있던 민족 의식에 기반하여 수 년간 대학사들이 연구하였으며, 언어학적인 방법도 이용되어 설명하고 있다.[40]
4. 2. 아이신 교로 (애신각라) 씨족
아이신 교로 씨는 13세기 전설적인 전사 부쿠리 용숀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다. 홍타이지는 부쿠리 용숀이 처녀 잉태로 태어났다고 주장했다. 전설에 따르면, 엥굴렌, 젱굴렌, 페쿨렌 세 천녀가 백두산 인근 불후리 오모라는 호수에서 목욕하던 중, 까치가 페쿨렌에게 붉은 과일을 떨어뜨렸고, 그녀는 그것을 먹고 부쿠리 용숀을 임신했다. 그러나 이 전설은 다른 만주 씨족인 후르하(Hurha)에도 전해진다.[1]4. 3. 역사적 관점
《흠정만주원류고》는 한족 중심 사관에서 벗어나 만주인 지배층의 시각에서 편찬한 역사서이다. 여진족에서 만주족으로 이어지는 민족 정체성을 나타내는 문헌으로, 부여, 고려, 삼한, 백제, 신라, 숙신, 읍루, 물길, 말갈, 발해, 여진(건주, 완안)으로 이어지는 계통을 설명한다. 청나라 건국은 1,000여 년 동안 이어진 만주족 고유의 정치적, 문화적 발전의 결과로 묘사된다.[30][31][32][33][34][35][36][37][38][39]《만주원류고》는 금나라의 시조를 신라 혹은 고려의 인물로 단정하고, 부여, 삼한, 백제, 신라, 발해 등을 만주족의 기원으로 포함시켰다. 현대 중국 학자들은 이를 만주족을 숭고하게 만들기 위한 시도로 폄하하기도 하지만, 만주족의 민족 의식에는 고려, 발해 이후 한반도인이 깊게 관련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주족들은 신라와 고려를 자신들의 뿌리로 믿고 있었으며, 이러한 믿음을 바탕으로 역사 기록에서 만주족 계통과 유사한 민족들을 선택하여 고증하고자 하였다.[40]
건륭제는 만주인의 역사를 설명하고 청나라 통치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만주원류고》 편찬을 명했다. 만주인의 뿌리 의식을 보여주고 고대 역사를 사실적으로 고증하여 만주인의 유산을 입증하고자 했다.[41]
《만주원류고》는 여러 사서의 기록, 학자들의 주장, 만주족의 민족 의식을 반영하여 작성되었다. 20세기에 작성된 만주족에 관한 근대 기록들 역시 《만주원류고》를 중심으로 만주족의 역사를 서술하였다. 이는 만주족의 정체성에 대한 청나라의 시도 중 정점으로 평가받는다.[41][42]
5. 의의와 평가
《만주원류고》는 만주족의 정체성 확립과 청나라 통치의 정당성을 강화하려는 시도로 평가된다.
5. 1. 한국사와의 관련성
《흠정만주원류고》는 한족 중심 사관에서 벗어나 만주인 지배층의 시각에서 편찬한 것으로, 여진족에서 만주족으로 이어지는 민족성을 나타내는 문헌이다. 내용적으로는 여진, 만주인이 시대별로 부여, 고려, 삼한, 백제, 신라, 숙신, 발해[30][31], 읍루[32], 물길[33], 말갈[34], 발해[35][36][37][38], 여진(건주, 완안[39])으로 그 계통이 이어진다고 설명한다. 특히 금나라의 시조를 신라 혹은 고려의 인물로 단정하면서 부여, 삼한, 백제, 신라, 발해 등을 만주족의 계통과 기원으로 포함시켰다.[40]이는 만주족들이 예전부터 신라와 고려를 자신들의 뿌리라고 믿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민족 뿌리 의식을 바탕으로 역대 사료들에 나타나는 기록 가운데 만주족 계통과 유사한 민족들을 취사선택하여 고증하고자 하였는데, 그 결과 한반도의 왕조가 만주족의 뿌리인 것으로 선택되었다.[40]
이처럼 《만주원류고》는 부여, 삼한, 백제, 신라, 발해 등 한국 고대사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어 한국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또한 금나라 시조를 신라 또는 고려 출신으로 비정하는 등 한민족과의 연관성을 강조하여, 한국과 만주의 역사적 관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참조
[1]
서적
The Qing Dynasty and Traditional Chinese Culture
Rowman & Littlefield
[2]
서적
Chinese and Indian Warfare – From the Classical Age to 1870
Routledge
[3]
간행물
"''Manzhou yuanliu kao'' and the Formalization of the Manchu Heritage"
1987-11
[4]
웹사이트
金史/卷135
https://zh.wikisourc[...]
[5]
서적
淸史講義
[6]
서적
New Light on the origins of the Manchu
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7]
서적
A Translucent Mirror: History and Identity in Qing Imperial Ide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02-15
[8]
간행물
New Light on The Origins of The Manchus
1990
[9]
서적
渤海国とは何か
吉川弘文館
2017-12
[10]
뉴스
韓・日・モンゴルの共通のルーツは「ジュシン族」
http://japanese.dong[...]
2006-03-14
[11]
뉴스
【寄稿】「水」で見る北京・東京・ソウルの歴史
http://www.chosunonl[...]
2016-01-24
[12]
뉴스
【寄稿】「水」で見る北京・東京・ソウルの歴史
http://www.chosunonl[...]
2016-01-24
[13]
뉴스
「金、清、韓国史に編入を」…東北工程対応策提案
http://japanese.join[...]
2006-09-15
[14]
뉴스
특별기획 만주대탐사 2부작 2부 금나라를 세운 아골타, 신라의 후예였다!
http://www.kbs.co.kr[...]
2009-09-05
[15]
서적
滿洲源流考
四庫全書 (早稲田大学図書館所蔵版)
[16]
서적
滿洲源流考
四庫全書 (早稲田大学図書館所蔵版)
[17]
서적
滿洲實錄
四庫全書
[18]
문서
参考:ジョーギヤ・ホトンの戦
[19]
서적
滿洲實錄
四庫全書
[20]
문서
参考:グレ・イ・アリンの戦
[21]
서적
滿洲實錄
四庫全書
[22]
문서
参考:太祖滅輝発国
[23]
서적
滿洲實錄
四庫全書
[24]
문서
参考:宜罕山の戦
[25]
서적
滿洲實錄
四庫全書
[26]
문서
参考:サルフの戦い
[27]
논문
"《『滿洲源流考』의 전거자료와 발해 강역에 대한 서술태도》"
한국고대학회
2018
[28]
서적
만주원류고
파워북
[29]
논문
"《『滿洲源流考』에 나타난 淸高宗의 東夷意識》"
만주연구 3
2005
[30]
서적
淸史講義
[31]
서적
New Light on the origins of the Manchu
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32]
서적
對皇太極所謂諸申的辨正
[33]
서적
中國東北古民族發達史
[34]
서적
滿族文化與宗敎硏究
[35]
서적
渤海王国の社会と国家
https://www.obirin.a[...]
桜美林大学大学院 国際学研究科
2018-07-29
[36]
서적
渤海と古代の日本
校倉書房
[37]
서적
東北アシア考古學-世界考古學
同成社
[38]
서적
ПриморьеГосударство Бохай и памятники его культуры в
[39]
서적
만주원류고
파워북
[40]
간행물
『滿洲源流考』 部族편의 내용과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2018
[41]
저널
Emperor Qianlong: Son of Heaven, Man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42]
저널
《Manzhou yuanliu kao》 and the Formalization of the Manchu Heritage
[43]
서적
만주원류고
파워북
[44]
문서
清初的「索倫」諸部
2006
[45]
간행물
숲속의 사람들, 어원커족
동북아역사재단
2017
[46]
간행물
아무르강의 어렵민, 허저족
청아출판사
2017
[47]
서적
만주원류고
파워북
[48]
문서
〈滿洲源流考〉綜述
2009
[4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