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역은 1882년 개업한 베를린 도심선의 서쪽 종착역으로, 장거리선과 S반이 운행하는 철도역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되었다가 재건되었으며, 냉전 시대에는 연합군의 수송 거점으로 사용되었다. 1971년 새로운 대합실 건물이 건설되었고, 1984년 S반 영업권이 베를린교통공사로 양도되었다. 2003년부터 S반 승강장 이설 작업이 진행되어 U반과의 환승 거리가 단축되었고, 2010년에는 에너지 절약을 위한 개축이 이루어졌다. 현재 장거리선, 지역간 열차, S반 노선이 운행하며, U7 빌머스도르퍼 슈트라세역, 버스 노선과 환승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2년 개업한 철도역 - 쓰루가역
쓰루가역은 후쿠이현 쓰루가시에 위치한 JR 서일본과 하피라인 후쿠이 소속의 철도역으로, 호쿠리쿠 본선, 고세이 선, 오바마 선, 호쿠리쿠 신칸센 4개 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이며 신칸센 개통에 따라 승강장이 신설되었으나, 신오사카역을 잇는 신선 계획은 착공 미정이고 과거 쓰루가항 선은 폐선되었다. - 1882년 개업한 철도역 -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은 1882년 개통된 베를린 도심의 주요 교통 허브로, 다양한 노선의 환승역이자 알렉산더 광장과 주요 명소 접근성이 뛰어나며, 역사적으로 전쟁 피해와 분단 등의 변화를 겪고 통일 후 현대화되었다. -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의 건축물 - 발트뷔네
발트뷔네는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22,000명 이상을 수용 가능한 야외 원형 극장으로, 올림픽을 위해 건설되어 나치 시대 선전 장소로 사용되다, 이후 다양한 문화 행사와 록 공연장으로 명성을 얻어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의 공연 및 베를린 필하모닉 여름 콘서트가 개최되는 장소이다. -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의 건축물 - 란트베어 운하
란트베어 운하는 페터 요제프 렌네가 설계한 베를린의 운하로, 슈프레 강에서 텔토 운하로 이어지며 36개의 교량이 있고, 관광 유람선이 이용되며 티어가르텐 공원과 베를린 동물원 사이를 지나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자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장소이다. - 베를린의 철도역 - 베를린 보타니셔 가르텐역
베를린 보타니셔 가르텐역은 1909년 개업하여 슈테글리츠-젤렌도르프 지역의 주택 건설을 지원하며 지역 교통망의 일부가 된 베를린 S반 철도역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분단 시대를 거쳐 재건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인근 역 및 버스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베를린의 철도역 -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역으로, 1875년 바이센제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S반 노선 S41, S42, S8, S85가 운행하고 베를린 노면전차 M4번 및 버스 158번과 환승 가능하다.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Bf |
주소 | 슈투트가르터 플라츠 36 10627 베를린 |
위치 | 베를린, 샬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구 |
국가 | 독일 |
소유주 | DB Netz |
운영사 | DB Station&Service |
노선 | 베를린 S반 독일 철도 |
승강장 | 4개 |
선로 | 8개 |
연결 노선 | 베를린 S반 독일 철도 |
DB 역 코드 | 0537 |
DS100 | BCHB |
IBNR | 10403 |
DB 역 카테고리 | 3 |
VBB 구역 | berlin: 베를린 A/5555 |
건축가 | 알 수 없음 |
건축 양식 | 알 수 없음 |
개업일 | 1882년 2월 7일 |
폐업일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www.bahnhof.de |
서비스 | |
DB 레기오 노르도스트 | FEX: 베를린 동물원역 방면 RE 6: 베를린 슈판다우역 방면 RE 7: 베를린 반제역 방면, 베를린 동물원역 방면 RB 23-BB: 베를린 반제역 방면 (골름 경유),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역 방면 |
오스트도이체 아이젠반 | RE 1: 베를린 반제역 방면, 베를린 동물원역 방면 RE 2: 베를린 슈판다우역 방면, 베를린 동물원역 방면 RE 8N: 베를린 슈판다우역 방면, 베를린 동물원역 방면 |
베를린 S반 | S3: 베스트크로이츠역 방면, 자비니플라츠역 방면 S5: 베스트크로이츠역 방면, 자비니플라츠역 방면 S7: 베스트크로이츠역 방면, 자비니플라츠역 방면 S9: 베스트크로이츠역 방면, 자비니플라츠역 방면 |
2. 역사
샤를로텐부르크역은 1882년 베를린 도심선 건설과 함께 개업하여 초기에는 서쪽 종착역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되어 임시 복구되었다.
전쟁 이후 베를린 분할 점령 시기에는 영국군의 운송 거점으로 사용되었고, 1971년 새로운 대합실 건물이 건설되었다. 1984년 서베를린 S반 운영권이 독일국영철도에서 베를린교통공사로 이관되면서, 샤를로텐부르크역은 BVG 운영 첫 S반 열차의 출발역이 되었다.
2000년대 이후 베를린 지하철 7호선 빌머스도르퍼 슈트라세역과의 환승 편의를 위해 S반 승강장이 동쪽으로 이설되었고, 에너지 절약 및 시설 개선 공사가 진행되었다.
2. 1. 초기 역사 (1882년 ~ 1945년)
샤를로텐부르크역은 1882년 2월 7일 베를린 도심선 건설 당시 서쪽 종착역으로 개업했다. 당시 독립 도시였던 샤를로텐부르크의 슈타트반 노선의 서쪽 종착역으로, 베를린-블랑켄하임 철도가 남서쪽으로 뻗어 있었으며, 알자스-로렌의 메츠로 가는 철도 노선인 ''카노넨반''의 일부 구간이었다. 슈투트가르트 광장(Stuttgarter Platz)에 위치했던 구 대합실 건물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파괴되어 임시 역사로 재건축되었다. 1945년까지 장거리역에 철도 기지가 부속되어 있었다.[5][6]
2. 2. 냉전 시대 (1945년 ~ 1990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군이 베를린을 점령하면서 영국군은 샤를로텐부르크역을 운송 거점역으로 사용했다.[5][6] 다른 연합군의 경우 미군은 리히터펠데 베스트역, 프랑스군은 테겔역, 소련군은 뷘스도르프에 수송 시설을 설치했다.이 역은 동독을 거쳐 서독의 브라운슈바이크까지 연합군 군인 및 외교관을 수송하는 영국 군사 열차 ('''"베를리너"''')의 베를린 종착역이었다.[2]
빌머스도르퍼 슈트라세를 보행자 구역으로 전환하면서 쿠르퓌르스텐담과의 새로운 연결 도로가 건설되어야 했다. 역 서쪽을 지났던 카이저프리드리히슈트라세(Kaiser-Friedrich-Straße)가 남쪽으로 연장되어 루이셤슈트라세(Lewishamstraße)와 만나게 되면서 이 역 아래를 통과해야 했다. 새로운 대합실 건물은 1971년 7월 6일에 영업을 시작했고, 귄터 회노(Günter Hönow)가 설계했다.[7]
1984년 1월 9일 독일국영철도에서 보유하고 있었던 서베를린 S반 영업권이 베를린교통공사로 양도되면서, 그 날 오전 4시에 BVG에서 운행하는 최초의 S반 열차가 샤를로텐부르크역에서 출발하여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으로 운행했다.[8]
2. 3. 현대 (1990년 이후)
베를린 지하철 7호선의 빌머스도르퍼 슈트라세역과의 환승 거리를 단축시키기 위해 2003년부터 S반 승강장 이설 작업이 시작되었다. 기존 S반 승강장은 철거되고 약 200m 동쪽으로 이설되었다. 이 과정에서 역사 서쪽 출입구가 폐쇄되었고 S반 승강장 동쪽 끝에 새로운 출입구가 개설되었다.[9] 2005년 6월 6일에 새로운 S반 북쪽 승강장이 먼저 개업했고, 남쪽 승강장은 2006년 여름에 개업했다. 장거리선 승강장은 과거의 위치에 계속 존치되었다. 승강장 이설 과정에서 샤를로텐부르크역 승강장 일대에 방음벽이 설치되었다. 이설 이후 S반과 U반 사이의 환승 거리는 단축되었지만, 장거리선 승강장에서 U반으로 환승하려면 S반 승강장을 완전히 횡단해야 한다.[10]2010년에는 독일 연방정부 예산으로 에너지 절약을 위한 개축이 진행되었다. 개축 이후 에너지 사용량이 41% 감소했다.[9] 2012년 9월부터 2013년 4월까지는 승강장 아래 터널 위쪽을 지나는 장거리선 노반 개보수 공사가 진행되었다.[10] 도이체 반은 샤를로텐부르크역을 "미래의 역사"로 개량할 계획을 발표했다.[11]
3. 시설
총 4개의 섬식 승강장이 설치되어 있으며, 장거리선과 S반선에 각각 2개씩 배당되어 있다. 장거리선 승강장은 역 하부를 통과하는 루이셤슈트라세 서쪽에 설치되어 있다. S반 승강장은 2005년에 동쪽으로 이설되었고, 빌머스도르퍼 슈트라세역과의 환승 거리가 단축되었다. 베를린 S반의 주요 역 20곳 중 하나로 승강장에서 열차 출발 지시가 진행되었다.[12] 2016년 초부터 1인 승무용 ZAT-FM이 도입되었다.[13]
베를린 순환선의 할렌제역에서 출발하는 단선 연결선이 있으며, 이 역의 최남단 S반 승강장인 5번 승강장으로 연결된다. 베스트엔트 방면에서의 연결선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파괴되어 재건축되지 않았다.
역 북쪽에서 남쪽으로의 승강장 정보는 다음과 같다.
8 | S3, S5, S7, S9 | 베스트크로이츠 · 반제 · 포츠담 중앙역 · 슈판다우 방면 |
---|---|---|
7 | ||
6 | S3, S5, S7, S9 | 중앙역 · 에르크너 · 슈트라우스베르크 노르트 · 아렌스펠데 · BER 공항 방면 |
5 | S | 할렌제역발 비정규 열차 시발 승강장 |
4 | rowspan="2" | | 반제 · 슈판다우 방면(서행) |
3 | ||
2 | rowspan="2" | | 중앙역 · 동역 방면(동행) |
1 |
4. 운행 노선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역에는 다음 노선이 정차한다.[3]
노선 | 경로 (주요 정류장) |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베를린 동물원역 – 베를린 중앙역 – 베를린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 – 베를린 동역 – 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 – BER 공항 | |
마그데부르크 – 브란덴부르크 – 포츠담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베를린 중앙역 – 에르크너 – 퓌르스텐발데 – 프랑크푸르트 (오데르) (– 코트부스) | |
나우엔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베를린 중앙역 –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 – 뤼벤 – 코트부스 | |
비텐베르게 – 페를레베르크 – 프릿츠발크 – 노이루핀 라인스베르거 토어 – 크렘멘 – 펠텐 (마르크) – 헤니히스도르프 – 팔켄제 – 베를린-슈판다우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
데사우 – 바트 벨치히 – 미헨도르프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베를린 중앙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 뷘스도르프-발트슈타트 – 뤼벤 – 젠프텐베르크 | |
비스마르 – 슈베린 – 비텐베르게 – 나우엔 – 베를린-슈판다우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베를린 중앙역 – 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 – BER 공항 – 터미널 1-2 | |
골름 – 포츠담 – 포츠담 그리브니츠제 – 베를린-반제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베를린 중앙역 – 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 – BER 공항 – 터미널 1–2 | |
슈판다우 – 베스트크로이츠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중앙역 – 알렉산더플라츠 – 동역 – 카를스호르스트 – 쾨페니크 – 에르크너 | |
베스트크로이츠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중앙역 – 알렉산더플라츠 – 동역 – 슈트라우스베르크 노르트 | |
포츠담 – 반제 – 베스트크로이츠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중앙역 – 알렉산더플라츠 – 동역 – 아렌스펠데 | |
슈판다우 – 베스트크로이츠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중앙역 – 알렉산더플라츠 – 동역 – 쇤바이데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
4. 1. 장거리 열차
2018년 12월 시간표 개정으로 장거리 열차가 일부 정차하기 시작했다. 빈 중앙역과 베를린을 연결하는 나이트젯 456/457 열차의 베를린 측 종착역으로 사용된다.[14][15] 2019년 말부터는 IC 2078 열차가 샤를로텐부르크역에 종착한다.[16]노선 | 경로 (주요 정류장) |
---|---|
나이트젯·유로나이트·유로시티 | 베를린 중앙역 경유, 빈 중앙역 방면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방면 |
EN 40456/40457 | 베를린 중앙역 경유, 부다페스트 뉴거티역 방면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방면 |
EC 60456/60457 | 베를린 중앙역 경유, 브로츠와프 중앙역 방면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방면 |
4. 2. 지역간 열차 (RegionalExpress, RegionalBahn)
RE 8 열차는 야간에만 정규 정차하며, 주간에는 1회만 정차한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샤를로텐부르크역을 기점으로 서쪽은 RE 7, 동쪽은 RE 2 노선을 운행하는 임시 열차가 편성된다.[17]다음 노선이 이 역에 정차한다:[3]
노선 | 경로 (주요 정류장) |
---|---|
마그데부르크 – 브란덴부르크 – 포츠담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베를린 중앙역 – 에르크너 – 퓌르스텐발데 – 프랑크푸르트 (오데르) (– 코트부스) | |
나우엔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베를린 중앙역 – 쾨니히스 부스터하우젠 – 뤼벤 – 코트부스 | |
비텐베르게 – 페를레베르크 – 프릿츠발크 – 노이루핀 라인스베르거 토어 – 크렘멘 – 펠텐 (마르크) – 헤니히스도르프 – 팔켄제 – 베를린-슈판다우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
데사우 – 바트 벨치히 – 미헨도르프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베를린 중앙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 뷘스도르프-발트슈타트 – 뤼벤 – 젠프텐베르크 | |
비스마르 – 슈베린 – 비텐베르게 – 나우엔 – 베를린-슈판다우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베를린 중앙역 – 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 – BER 공항 – 터미널 1-2 | |
골름 – 포츠담 – 포츠담 그리브니츠제 – 베를린-반제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베를린 중앙역 – 베를린 오스트크로이츠 – BER 공항 – 터미널 1–2 |
4. 3. S반 (S-Bahn)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역에는 S3, S5, S7, S9 노선이 운행한다.[3]노선 | 경로 (주요 정류장) |
---|---|
슈판다우 – 베스트크로이츠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중앙역 – 알렉산더플라츠 – 동역 – 카를스호르스트 – 쾨페니크 – 에르크너 | |
베스트크로이츠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중앙역 – 알렉산더플라츠 – 동역 – 슈트라우스베르크 노르트 | |
포츠담 – 반제 – 베스트크로이츠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중앙역 – 알렉산더플라츠 – 동역 – 아렌스펠데 | |
슈판다우 – 베스트크로이츠 – 베를린 샤를로텐부르크 – 중앙역 – 알렉산더플라츠 – 동역 – 쇤바이데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
5. 인접 교통
베를린 U7 빌머스도르퍼 슈트라세역과 환승할 수 있다. 베를린 버스 109, 309, 310, X49, N7번과 환승할 수 있다. 이 중 109번, N7번은 장거리선 역사 근처(S Charlottenburg/Gervinusstr.)에 정차하고, 나머지 노선은 S반 역사 근처(U Wilmersdorfer Str./S Charlottenburg) 정류장에 정차한다. 310번은 두 정류장 모두에 정차한다.
참조
[1]
웹사이트
Der VBB-Tarif: Aufteilung des Verbundgebietes in Tarifwaben und Tarifbereiche
https://www.swp-pots[...]
Verkehrsverbund Berlin-Brandenburg
2019-11-26
[2]
Citation
British Military Train Card
http://www.western-a[...]
2007-11-09
[3]
웹사이트
Timetables for Berlin-Charlottenburg station
http://kursbuch.bahn[...]
[4]
Citation
British Military Train Card
http://www.western-a[...]
2007-11-09
[5]
웹사이트
Bahnbetriebswerk Berlin-Charlottenburg – Zeittafel: Bauliche Anlagen – Bezeichnungen – Beheimatungen
https://www.bahnstat[...]
[6]
웹사이트
WestkreuzPark! – Naturpark am Westkreuz in Berlin
https://westkreuzpar[...]
[7]
서적
Die Stadtbahn. Ein Viadukt mitten durch Berlin
Verlag GVE
2002
[8]
문서
최초의 BVG 열차를 리히텐라데발로 소개하는 자료도 있음.
[9]
웹인용
Konjunkturprogramm, Ausgewählte Highlights, Berlin-Charlottenburg, geplante Maßnahmen
http://www.bahnhof.d[...]
2012-01-31
[10]
웹사이트
Bahnhöfe + Regionalverkehr: Bauarbeiten im Bahnhof Berlin-Charlottenburg führen zu Einschränkungen im Fußgängertunnel und Ausfall von Regional-Express-Zügen, Sanierung der Gleiströge über dem Bahnsteigtunnel
http://archiv.berlin[...]
[11]
뉴스
Charlottenburg wird „Zukunfts-Bahnhof“
https://www.tagesspi[...]
2018-02-02
[12]
웹인용
Drucksache 17/15669
http://pardok.parlam[...]
2015-03-19
[13]
서적
Kurzmeldungen – S-Bahn
2016-06
[14]
웹인용
Nightjet 456
http://fahrplan.oebb[...]
2018-10-29
[15]
웹인용
Nightjet 457
http://fahrplan.oebb[...]
2018-10-29
[16]
웹인용
Deutsche Bahn: bahn.de
https://reiseauskunf[...]
2019-12-16
[17]
웹사이트
https://www.rbb24.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