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로나이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로나이트(EuroNight, EN)는 유럽에서 운행되는 야간 열차 서비스이다. 여러 철도 회사들이 노선을 공유하며,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ÖBB)가 2016년 12월 나이트젯(Nightjet) 서비스를 도입했다. 유로나이트는 오스트리아, 크로아티아, 체코, 프랑스, 헝가리, 이탈리아, 네덜란드,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웨덴, 스위스 등 다양한 국가에서 운행되며, 독일철도는 시티 나이트 라인(City Night Line)을 운영했으나 2016년 12월에 서비스를 중단했다. 유로나이트는 다양한 객차 구성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여러 유럽 도시 간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철도 - 인터시티
    인터시티는 장거리 고속 열차 서비스를 의미하는 용어로, 1930년대 미국에서 시작되어 유럽 각국과 세계 여러 국가에서 각국의 철도 환경에 맞춰 다양한 형태로 구축 및 운영되고 있다.
  • 유럽의 철도 - 유로시티
    유로시티는 1987년 TEE와 국제 인터시티를 대체하여 출범한 국제 열차 등급으로, 1등석과 2등석, 식당차 등을 갖추고 13개국 200여 개 도시를 연결했으며, 2000년대 이후 고속철도에 의해 대체되어 서유럽에서는 점차 사라지는 추세이다.
  • 야간열차 - 시티 오브 뉴올리언스
    시티 오브 뉴올리언스는 시카고와 뉴올리언스를 연결하는 암트랙 장거리 여객열차로, 1908년 시카고 뉴올리언스 리미티드로 시작하여 이름 변경, 운행 중단 및 재개를 거치며 미국 중서부와 남부의 중요한 교통 수단 역할을 하고 있다.
  • 야간열차 - 카시오페이아 (열차)
    카시오페이아는 JR 동일본과 JR 홋카이도가 1999년부터 2016년까지 우에노역과 삿포로역을 잇는 침대 특급 열차로 운행했으며,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 후에는 단체 전용 열차로, E26계 객차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관차가 견인하는 투어 상품으로 운영되었다.
  • 열차 등급 - 무궁화호
    무궁화호는 대한민국의 여객열차로, 1983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와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장거리, 지방 노선의 역할을 해 왔으며, 2004년 이후 지방 노선의 주력 열차가 되었으나, 현재는 노후화된 차량과 ITX-마음의 등장으로 운행 구간과 정차역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 열차 등급 - ITX-새마을
    ITX-새마을은 2014년 5월 1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로,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중앙선 등 다양한 노선에서 운행되며, 2013년에 총 23편성이 도입되었다.
유로나이트

2. 역사

1993년 유럽 각 도시를 연결하는 야간 열차 TEN (Trans Euro Nacht)을 대체하여 최초의 유로나이트가 도입되었다.[1] 유로나이트는 침대차(JR의 개인실 침대 수준), 간이 침대차(쿠셰트. JR의 B침대 수준), 2등석으로 구성되었다. 일부 열차에는 1등차, 식당차, 짐차가 연결되었으며, 대부분의 차내 서비스는 국제 수면차 회사(International Sleeping Car Company)에서 운영하였다. 식당차가 연결되지 않은 열차는 침대 요금에 아침 식사 비용이 포함되어 서비스가 제공되었다.[1]

최근(2022년 3월) 고속철도망 정비에 따라 노선이 축소되는 경향이 있지만, 시티나이트라인(이후 나이트젯)으로 전환된 노선도 있으며 서비스 개선도 진행되고 있다.[1] 국경에서는 승무원이 대신 출입국 수속 등을 진행한다.[1]

2. 1. 도입 배경

1993년유럽 연합의 도시를 연결하는 야간 열차로 '''트랜스 유로 나흐트'''(Trans EuroNachtde)가 처음 운행하기 시작했다. 이 열차는 에어컨침대차가 편성되었고, 승객이 이용할 수 있는 식당차가 있었다. 식당차에서는 코스 요리와 음료수를 포함한 조식 등을 운영했으나, 현재는 합리화로 폐지되었다. 이 열차는 국경을 넘어가면 승무원이 출입국 절차를 대행한다.[1]

이 열차는 침대차와 2등 좌석 차량으로 구성되었다. 대부분의 열차는 일등석, 식당차, 화물차가 연결되었고, 대부분의 차내 서비스는 '''국제 침대차 회사'''(Compagnie internationale des wagons-lits et du tourisme , CIWL영어)가 운영했다. 식당차가 편성되지 않는 열차의 경우 침대차 요금에 아침 식사가 포함되어 서비스가 제공된다.[1]

2. 2. 발전 과정

1993년에 최초로 운행하기 시작해 현재까지 유럽 연합의 도시를 연결하는 야간 열차로 '''트랜스 유로 나흐트'''(Trans EuroNachtde)로 도입했다. 이 열차는 에어컨침대차가 편성이 되었고 승객이 이용할 수 있는 식당차가 있었다. 식당차의 경우 코스 요리와 음료수를 포함한 조식을 운영했으나 현재는 합리화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이 열차는 국경을 넘어가면 승무원이 대행해 출입국 절차가 진행된다.

이 열차는 침대차와 2등 좌석 차량으로 구성되었다. 대부분의 열차는 일등석, 식당차, 화물차가 연결되었고, 대부분의 차내 서비스는 '''국제 침대차 회사'''(Compagnie internationale des wagons-lits et du tourisme|CIWL영어)가 운영한다. 식당차가 편성되지 않는 열차의 경우 침대차 요금에 아침 식사가 포함되어 서비스가 제공된다.

고속철도의 개통과 동시에 노선이 급감하고 있으나 시티 나이트 라인과 같은 노선의 경우 서비스 개선이 진행되고 있다.

3. 특징

1993년 유럽 연합의 도시들을 연결하는 야간 열차로 '''트랜스 유로 나흐트'''(Trans EuroNachtde)가 도입되면서 유로나이트가 시작되었다. 유로나이트는 에어컨침대차를 갖추고 있었으며, 초기에는 승객을 위한 식당차도 운영했다.[1]

유로나이트는 일반 승차권 외에 예약과 추가 요금이 필요하며, 추가 요금은 좌석 종류(일반 좌석, 쿠셰트, 슬리핑)에 따라 다르다. 쿠셰트는 쿠션, 담요, 베개를 제공하는 침대이고, 슬리핑은 침구류를 갖춘 침대이다.

고속철도 개통으로 유로나이트 노선은 감소 추세이지만, 시티 나이트 라인처럼 서비스 개선을 진행하는 노선도 있다.

3. 1. 객차 구성

1993년부터 운행을 시작한 유로나이트는 침대차(JR의 개인실 침대 수준), 간이 침대차(쿠셰트. JR의 B침대 수준), 2등석으로 구성되었다. 일부 열차에는 1등차, 코스 요리와 음료를 제공하는 식당차, 짐차가 연결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유로나이트 차내 서비스는 국제 수면차 회사(International Sleeping Car Company)에서 운영하고 있다.[1] 식당차가 연결되지 않은 열차의 경우, 침대 요금에 아침 식사 비용이 포함되어 서비스가 제공된다.

3. 2. 서비스

1993년부터 운행을 시작한 유로나이트는 유럽 연합의 도시들을 연결하는 야간 열차이다. 처음에는 '''트랜스 유로 나흐트'''(Trans EuroNachtde)라는 이름으로 도입되었다. 이 열차는 에어컨침대차를 갖추고 있으며, 승객을 위한 식당차도 있었다. 식당차에서는 코스 요리와 음료를 포함한 조식을 제공했으나, 현재는 합리화로 인해 폐지되었다. 국경을 통과할 때는 승무원이 출입국 절차를 대행한다.[1]

유로나이트는 침대차와 2등 좌석 차량으로 구성된다. 대부분 일등석, 식당차, 화물차가 연결되며, 차내 서비스는 주로 '''국제 침대차 회사'''(Compagnie internationale des wagons-lits et du tourisme , CIWL영어)가 운영한다. 식당차가 없는 열차에서는 침대차 요금에 아침 식사가 포함되어 제공된다.

유로나이트 이용 시 예약과 추가 요금이 필요하다. 추가 요금은 일반 좌석, 쿠셰트(Couchette car, 누워서 가는 침대), 슬리핑(Sleeping car, 침대) 중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4. 운행 노선

편수이름출발지
(지역)목적지
(지역)회사계획 시분EN 17
EN 18모스크바니스러시아 철도, 벨라루스 철도, 폴란드 철도, 체코 철도,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46시간 45분EN 220
EN 221베네치아파리뗄로13시간 30분EN 234
EN 235알레그로 토스카로마트렌이탈리아14시간EN 236
EN 237알레그로 돈 조반니베네치아오스트리아 연방 철도12시간EN 246
EN 247EN 포르알베르크
EN LA 르네상스. 레포메이션 2010브레겐즈오스트리아 연방 철도10시간EN 300
EN 301스칸디나비아 나이트 익스프레스/
베를린 나이트 익스프레스베를린말뫼베올리아 트랜짓, 게오르그 운송기구9시간 30분
8시간 30분EN 420
EN 421뒤셀도르프오스트리아 연방 철도11시간EN 436
EN 437얀 키에푸라암스테르담바르샤바PKP 인터시티, DB 아우토주그, 벨라루스 철도, 러시아 철도17시간EN 444
EN 445EN 슬로바키아프라하코시체ČD, ZSSK10시간 9분EN 446
EN 447D 21JA오버하우젠쾰른PKP 인터시티, DBEN 452
EN 453오스트 웨스트 익스프레스모스크바파리독일철도, 러시아 철도EN 456
EN 457피닉스프라하베를린ČD, DB4시간 46분
4시간 33분EN 459카노푸스취리히프라하ČD, DB14시간 47분EN 462
EN 463칼만 임레부다페스트뮌헨MÁV, ÖBB[12]9시간 24분EN 464
EN 465취리히 호수그라츠취리히ÖBB, 크로아티아 철도, 세르비아 철도11시간
10시간EN 466
EN 467빈왈츠부다페스트취리히MÁV, ÖBB12시간EN 472
EN 473이스테르부다페스트부쿠레슈티14시간 30분EN 476
EN 477메트로풀베를린부다페스트MÁV14시간EN 491
EN 492한스 알버스함부르크ÖBB12시간EN 498
EN 499리신스키뮌헨자그레브, 9시간EN 1236/1238
EN 1237/1239알레그로 로시니로마ÖBB15시간



다음 운송업체들은 현재 지정된 차량과 유로나이트(EN) 노선에서 근무하는 열차 승무원을 보유하고 있다. 많은 철도 회사들이 같은 철도 노선을 따라 여러 노선에서 차량을 공유한다. 예를 들어, 로마 사이의 EN 235는 ÖBBTrenitalia의 차량을 모두 공유한다.



독일철도는 독일, 이탈리아, 체코, 스위스, 네덜란드 사이에 고급 호텔 수준의 야간 열차 서비스인 추가적인 시티 나이트 라인을 운영했다. 그중 ''코페르니쿠스''와 ''카누푸스''는 EN 458/459로 지정된 유로나이트 열차였다. 독일철도는 2016년 12월 자체 야간 열차 서비스를 모두 중단했다.[3]

번호이름노선운영사소요 시간
EN 233/232
EN 235/234
알레그로 토스카빈 중앙역 – 빈 마이들링 역 – 클라겐푸르트 중앙역 – 빌라흐 중앙역 – 파두아 역 – 비첸차 역 – 베로나 포르타 누오바 역 – 브레시아 역 – 밀라노 로고레도 역 – 제노바 피아차 프린치페 역 – 라 스페치아 중앙역ÖBB, Trenitalia16시간
EN 40466
EN 40236
빈 중앙역 – 생트푈텐 중앙역 – 아엠슈테텐 – 생트 발렌틴 – 린츠 중앙역 – 벨스 중앙역 – 아트낭-푸흐하임 – 푀클라브룩 – 잘츠부르크 중앙역 – 빌라흐 중앙역 – 타르비시오 보스코베르데 역 – 우디네 역 – 포르데노네 역 – 코넬리아노 역 – 트레비소 센트랄레 역 – 베네치아 메스트레 역 – 베네치아 산타 루치아 역ÖBB12시간
EN 40233
EN 40294
빈 중앙역 – 빈 마이들링 역 – 클라겐푸르트 중앙역 – 빌라흐 중앙역 – 볼로냐 중앙역 – 피렌체 산타 마리아 노벨라 역 – 로마 테르미니 역 (빌라흐에서 볼로냐, 리미니, 안코나까지 직통 열차 연결)ÖBB12시간, (14)시간
EN 345
EN 346
스톡홀름 중앙역 – 노르셰핑 중앙역 – 링셰핑 중앙역 – 네스외 – 알베스타 – 헤슬레홀름 – 룬드 중앙역 – 말뫼 중앙역 – 코펜하겐 공항오덴세함부르크 중앙역베를린 중앙역SJ13시간
EN 402
EN 403
실레시아크라쿠프 – 오슈비엥침 – 체호비체지에지체보후민PKP Intercity, ČD3시간
EN 40456
EN 407
쇼팽그라츠 중앙역 – 비너 노이슈타트 중앙역 – 빈 중앙역 – 오스트라바 중앙역 – 카토비체 역 – 바르샤바 그단스크 역 - 바르샤바 동역PKP Intercity, ČD, ÖBB14시간
EN 442
EN 443[6][4][5]
슬로바키아[5]프라하 중앙역 – 콜린 역 – 파르두비체 중앙역 – 체스카 트레보바 역 – 올로모우츠 중앙역 – 오스트라바-스비노프 – 오스트라바 중앙역 – 보후민차드차질리나브르트키 – 크랄로바니 – 루조므베르크리프토프스키 미쿨라시슈트르바포프라드-타트리스피슈스카 노바 베스 – 마르게차니 – 키삭 – 코시체 – 미할라니 – 트레비쇼브 – 바노프체 나트 온다보우 – 미할로프체 – 스트라슈케 – 브레코브 – 훔네네ČD, ŽSSK12시간
9시간
EN 40458
EN 40459
카누푸스프라하 중앙역우스티 나트 라벰 – 드레스덴 중앙역 – 라이프치히 중앙역 – 에르푸르트 중앙역 – 프랑크푸르트(마인) 중앙역만하임 중앙역 – 칼스루에 중앙역 – 프라이부르크(브라이스가우) 중앙역 – 바젤 – 취리히 중앙역ČD13시간
EN 50466
EN 50467
프라하 중앙역체스케 부데요비체 역 – 린츠 중앙역 – 잘츠부르크 중앙역 – 인스브루크 중앙역 – 펠트키르히 역 – 부흐스 SG – 사르강스 역취리히 중앙역ČD14시간
EN 50462
EN 50237
부다페스트 켈레티 역 – 켈렌폴드 역 – 타타바냐 역죄르 역 – 헤예샬롬 역 – 빈 중앙역 – 빈 마이들링 역 – 생트푈텐 중앙역 – 린츠 중앙역 – 잘츠부르크 중앙역 – 뮌헨 동역 – 아우크스부르크 중앙역 – 슈투트가르트 중앙역MÁV13시간
EN 40414
EN 40465
취리히제자그레브 중앙역 – 도보바 – 류블랴나 역 – 예세니체 역 – 빌라흐 중앙역 – 인스브루크 중앙역 – 펠트키르히 역취리히 중앙역14시간
10시간
EN 40462
EN 40467
부다페스트 켈레티 역 – 켈렌폴드 역 – 타타바냐 역죄르 역 – 헤예샬롬 역 – 빈 중앙역 – 빈 마이들링 역 – 생트푈텐 중앙역 – 린츠 중앙역 – 잘츠부르크 중앙역 – 인스브루크 중앙역 – 펠트키르히 역 – 부흐스 SG – 사르강스 역취리히 중앙역MÁV12시간
EN 472
EN 473
이스터부다페스트 켈레티 역 – 솔노크베케슈차바 – 뢰커셔자 – 쿠르티치 – 아라드 – 퍼거러슈 – 브라쇼브플로이에슈티 베스트부쿠레슈티 노르드 역MÁV, CFR14
(30)시간
EN 40457
EN 40476
메트로폴베를린 중앙역브로츠와프 글로브니 역 – 오폴레 글로브니 역 – 브라티슬라바 중앙역 – 부다페스트 켈레티 역MÁV14시간
EN 414
EN 40237
슈투트가르트 중앙역 – 울름 중앙역 – 아우크스부르크 중앙역 – 뮌헨 동역 – 잘츠부르크 중앙역 – 슈바르차흐-생트 파이트 – 빌라흐 중앙역 – 예세니체 역 – 레스체 블레드 역 – 크란 – 류블랴나 역 – 지다니 모스트 – 세브니차 – 도보바 – 사브스키 마로프 – 자그레브 중앙역13시간
EN 1152
EN 1153
브라티슬라바빈 중앙역자그레브스플리트ŽSSK, 18시간
EN 295
EN 294
뮌헨 중앙역 – 뮌헨 동역 – 잘츠부르크 중앙역 – 빌라흐 중앙역 – 볼로냐 중앙역 – 피렌체 산타 마리아 노벨라 역 – 로마 테르미니 역 (빌라흐에서 볼로냐, 리미니, 안코나까지 직통 열차 연결)ÖBB13시간 (13)시간
EN 40295
EN 40235
뮌헨 중앙역 – 뮌헨 동역 – 잘츠부르크 중앙역 – 빌라흐 중앙역 – 파두아 역 – 비첸차 역 – 베로나 포르타 누오바 역 – 브레시아 역 – 밀라노 로고레도 역 – 제노바 피아차 프린치페 역 – 라 스페치아 중앙역ÖBB, Trenitalia15시간
EN 237
EN 236
슈투트가르트 중앙역 – 아우크스부르크 중앙역 – 뮌헨 동역 – 잘츠부르크 중앙역 – 빌라흐 중앙역 – 타르비시오 보스코베르데 역 – 우디네 역 – 포르데노네 역 – 코넬리아노 역 – 트레비소 센트랄레 역 – 베네치아 메스트레 역 – 베네치아 산타 루치아 역ÖBB12시간
EN 424
EN 425
베를린 – 할레 – 에르푸르트프랑크푸르트(마인)마인츠코블렌츠본-뵈엘 역아헨리에주-기유맹 역브뤼셀 북역브뤼셀 남역ÖBB14시간
EN 476
EN 477[6][7][8][9][10][11]
메트로폴[10]프라하 중앙역프라하-리베뉴 역 – 콜린 역 – 파르두비체 중앙역 – 초체뉴 역 – 우스티 나트 오를리치 – 체스카 트레보바 역 – 브르노 중앙역 – 브르제츨라프 역쿠티브라티슬라바 중앙역노베 잠키슈투로보바츠 – 부다페스트 뉴가티 역ČD, MÁV


5. 사진



EN477 침대 차량


EN477 침대 차량 복도

참조

[1] 간행물 International Services from May 23 Thomas Cook Publishing 1993-05-01
[2] 웹사이트 EuroNight to Copenhagen, Prague, Moscow http://www.nshispeed[...] Dutch Railways NS 2012-10-09
[3] 뉴스 DB to withdraw all remaining sleeper trains http://www.railjourn[...] 2015-12-21
[4] 웹사이트 320 (Ostrava –) Bohumín – Čadca, Dětmarovice – Petrovice u Karviné https://www.cd.cz/en[...] České dráhy 2024-06-09
[5] 웹사이트 Timetable 2023/2024 https://www.zssk.sk/[...] ŽSSK 2024-06-17
[6] 웹사이트 001 Praha – Česká Třebová – Přerov – Bohumín https://www.cd.cz/en[...] České dráhy 2024-06-09
[7] 웹사이트 002 (Praha –) Česká Třebová – Brno – Kúty https://www.cd.cz/en[...] České dráhy 2024-04-28
[8] 웹사이트 260 Česká Třebová – Křenovice horní n. https://www.cd.cz/en[...] České dráhy 2024-06-09
[9] 웹사이트 250 (Brno -) Šakvice - Kúty https://www.cd.cz/en[...] České dráhy 2023-12-10
[10] 웹사이트 477 METROPOL EuroNight (Breclav - Budapest-Nyugati) https://elvira.mav-s[...] MÁV 2024-06-22
[11] 문서 Operates as IC 576/577 between Prague and Břeclav.
[1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eurail.co[...] 2015-1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