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나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로나이트(EuroNight, EN)는 유럽에서 운행되는 야간 열차 서비스이다. 여러 철도 회사들이 노선을 공유하며,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ÖBB)가 2016년 12월 나이트젯(Nightjet) 서비스를 도입했다. 유로나이트는 오스트리아, 크로아티아, 체코, 프랑스, 헝가리, 이탈리아, 네덜란드, 폴란드,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웨덴, 스위스 등 다양한 국가에서 운행되며, 독일철도는 시티 나이트 라인(City Night Line)을 운영했으나 2016년 12월에 서비스를 중단했다. 유로나이트는 다양한 객차 구성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여러 유럽 도시 간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철도 - 인터시티
인터시티는 장거리 고속 열차 서비스를 의미하는 용어로, 1930년대 미국에서 시작되어 유럽 각국과 세계 여러 국가에서 각국의 철도 환경에 맞춰 다양한 형태로 구축 및 운영되고 있다. - 유럽의 철도 - 유로시티
유로시티는 1987년 TEE와 국제 인터시티를 대체하여 출범한 국제 열차 등급으로, 1등석과 2등석, 식당차 등을 갖추고 13개국 200여 개 도시를 연결했으며, 2000년대 이후 고속철도에 의해 대체되어 서유럽에서는 점차 사라지는 추세이다. - 야간열차 - 시티 오브 뉴올리언스
시티 오브 뉴올리언스는 시카고와 뉴올리언스를 연결하는 암트랙 장거리 여객열차로, 1908년 시카고 뉴올리언스 리미티드로 시작하여 이름 변경, 운행 중단 및 재개를 거치며 미국 중서부와 남부의 중요한 교통 수단 역할을 하고 있다. - 야간열차 - 카시오페이아 (열차)
카시오페이아는 JR 동일본과 JR 홋카이도가 1999년부터 2016년까지 우에노역과 삿포로역을 잇는 침대 특급 열차로 운행했으며,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 후에는 단체 전용 열차로, E26계 객차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관차가 견인하는 투어 상품으로 운영되었다. - 열차 등급 - 무궁화호
무궁화호는 대한민국의 여객열차로, 1983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와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장거리, 지방 노선의 역할을 해 왔으며, 2004년 이후 지방 노선의 주력 열차가 되었으나, 현재는 노후화된 차량과 ITX-마음의 등장으로 운행 구간과 정차역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 열차 등급 - ITX-새마을
ITX-새마을은 2014년 5월 1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로,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중앙선 등 다양한 노선에서 운행되며, 2013년에 총 23편성이 도입되었다.
유로나이트 |
---|
2. 역사
1993년 유럽 각 도시를 연결하는 야간 열차 TEN (Trans Euro Nacht)을 대체하여 최초의 유로나이트가 도입되었다.[1] 유로나이트는 침대차(JR의 개인실 침대 수준), 간이 침대차(쿠셰트. JR의 B침대 수준), 2등석으로 구성되었다. 일부 열차에는 1등차, 식당차, 짐차가 연결되었으며, 대부분의 차내 서비스는 국제 수면차 회사(International Sleeping Car Company)에서 운영하였다. 식당차가 연결되지 않은 열차는 침대 요금에 아침 식사 비용이 포함되어 서비스가 제공되었다.[1]
최근(2022년 3월) 고속철도망 정비에 따라 노선이 축소되는 경향이 있지만, 시티나이트라인(이후 나이트젯)으로 전환된 노선도 있으며 서비스 개선도 진행되고 있다.[1] 국경에서는 승무원이 대신 출입국 수속 등을 진행한다.[1]
2. 1. 도입 배경
1993년에 유럽 연합의 도시를 연결하는 야간 열차로 '''트랜스 유로 나흐트'''(Trans EuroNachtde)가 처음 운행하기 시작했다. 이 열차는 에어컨과 침대차가 편성되었고, 승객이 이용할 수 있는 식당차가 있었다. 식당차에서는 코스 요리와 음료수를 포함한 조식 등을 운영했으나, 현재는 합리화로 폐지되었다. 이 열차는 국경을 넘어가면 승무원이 출입국 절차를 대행한다.[1]이 열차는 침대차와 2등 좌석 차량으로 구성되었다. 대부분의 열차는 일등석, 식당차, 화물차가 연결되었고, 대부분의 차내 서비스는 '''국제 침대차 회사'''(Compagnie internationale des wagons-lits et du tourisme , CIWL영어)가 운영했다. 식당차가 편성되지 않는 열차의 경우 침대차 요금에 아침 식사가 포함되어 서비스가 제공된다.[1]
2. 2. 발전 과정
1993년에 최초로 운행하기 시작해 현재까지 유럽 연합의 도시를 연결하는 야간 열차로 '''트랜스 유로 나흐트'''(Trans EuroNachtde)로 도입했다. 이 열차는 에어컨과 침대차가 편성이 되었고 승객이 이용할 수 있는 식당차가 있었다. 식당차의 경우 코스 요리와 음료수를 포함한 조식을 운영했으나 현재는 합리화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이 열차는 국경을 넘어가면 승무원이 대행해 출입국 절차가 진행된다.이 열차는 침대차와 2등 좌석 차량으로 구성되었다. 대부분의 열차는 일등석, 식당차, 화물차가 연결되었고, 대부분의 차내 서비스는 '''국제 침대차 회사'''(Compagnie internationale des wagons-lits et du tourisme|CIWL영어)가 운영한다. 식당차가 편성되지 않는 열차의 경우 침대차 요금에 아침 식사가 포함되어 서비스가 제공된다.
고속철도의 개통과 동시에 노선이 급감하고 있으나 시티 나이트 라인과 같은 노선의 경우 서비스 개선이 진행되고 있다.
3. 특징
1993년 유럽 연합의 도시들을 연결하는 야간 열차로 '''트랜스 유로 나흐트'''(Trans EuroNachtde)가 도입되면서 유로나이트가 시작되었다. 유로나이트는 에어컨과 침대차를 갖추고 있었으며, 초기에는 승객을 위한 식당차도 운영했다.[1]
유로나이트는 일반 승차권 외에 예약과 추가 요금이 필요하며, 추가 요금은 좌석 종류(일반 좌석, 쿠셰트, 슬리핑)에 따라 다르다. 쿠셰트는 쿠션, 담요, 베개를 제공하는 침대이고, 슬리핑은 침구류를 갖춘 침대이다.
고속철도 개통으로 유로나이트 노선은 감소 추세이지만, 시티 나이트 라인처럼 서비스 개선을 진행하는 노선도 있다.
3. 1. 객차 구성
1993년부터 운행을 시작한 유로나이트는 침대차(JR의 개인실 침대 수준), 간이 침대차(쿠셰트. JR의 B침대 수준), 2등석으로 구성되었다. 일부 열차에는 1등차, 코스 요리와 음료를 제공하는 식당차, 짐차가 연결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유로나이트 차내 서비스는 국제 수면차 회사(International Sleeping Car Company)에서 운영하고 있다.[1] 식당차가 연결되지 않은 열차의 경우, 침대 요금에 아침 식사 비용이 포함되어 서비스가 제공된다.3. 2. 서비스
1993년부터 운행을 시작한 유로나이트는 유럽 연합의 도시들을 연결하는 야간 열차이다. 처음에는 '''트랜스 유로 나흐트'''(Trans EuroNachtde)라는 이름으로 도입되었다. 이 열차는 에어컨과 침대차를 갖추고 있으며, 승객을 위한 식당차도 있었다. 식당차에서는 코스 요리와 음료를 포함한 조식을 제공했으나, 현재는 합리화로 인해 폐지되었다. 국경을 통과할 때는 승무원이 출입국 절차를 대행한다.[1]유로나이트는 침대차와 2등 좌석 차량으로 구성된다. 대부분 일등석, 식당차, 화물차가 연결되며, 차내 서비스는 주로 '''국제 침대차 회사'''(Compagnie internationale des wagons-lits et du tourisme , CIWL영어)가 운영한다. 식당차가 없는 열차에서는 침대차 요금에 아침 식사가 포함되어 제공된다.
유로나이트 이용 시 예약과 추가 요금이 필요하다. 추가 요금은 일반 좌석, 쿠셰트(Couchette car, 누워서 가는 침대), 슬리핑(Sleeping car, 침대) 중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4. 운행 노선
편수
(지역)
(지역)
EN 18
EN 221
EN 235
EN 237
EN 247
EN LA 르네상스. 레포메이션 2010
EN 301
베를린 나이트 익스프레스
8시간 30분
EN 421
EN 437
EN 445
EN 447
EN 453
EN 457
4시간 33분
EN 463
EN 465
10시간
EN 467
EN 473
EN 477
EN 492
EN 499
EN 1237/1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