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도어는 인도 아삼 주, 서벵골 주, 네팔 동부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1963년 초등학교에서 교육 매체로 도입되었고, 현재 중등 수준까지 사용되며, 아삼 주의 공용어이기도 하다. 보도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지만, 과거에는 라틴 문자, 아삼 문자 등 다양한 문자가 사용되었다. 음운론적으로 6개의 모음, 16개의 자음, 8개의 이중 모음을 가지며, 고, 중, 저 세 가지 성조를 사용하여 단어의 의미를 구분한다. 문장은 주어+동사 또는 주어+목적어+동사 구조를 가지며, 10진법을 사용하여 숫자를 표현한다. 아삼 주에서는 10학년까지 필수 과목으로 교육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삼주 - 아삼어
    아삼어는 인도 아삼 주에서 주로 사용되는 동부 인도아리아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아삼주의 공용어이자 인도 공화국에서 인정하는 22개의 공용어 중 하나이며, 아삼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된다.
  • 아삼주 - 마줄리
    마줄리는 인도 아삼주 브라마푸트라강에 위치한 세계에서 가장 큰 강 섬 중 하나로, 아홈 왕국 시대 문화적 중심지였으며 바이슈나비즘의 주요 중심지로서 사트라가 설립되었고, 현재는 토지 침식으로 면적이 감소하며 농업, 수직기 제직, 관광 산업이 이루어진다.
  • 네팔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네팔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티베트버마어파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티베트버마어파 - 구룽어
    구룽어는 티베트-부르마어족의 구룽어파에 속하며 네팔과 인도에서 사용되는 성조 언어이다.
보도어
기본 정보
이름보도어
다른 이름보로어
고유 이름বর' (보로)
데바나가리 문자로 쓰여진
데바나가리 문자로 쓰여진 "보로 라오" (보도어)
사용 국가인도, 네팔
사용 지역보돌랜드 (아삼 주)
사용자보도족
추정 화자 수140만 명 (2011년 인구 조사)
순위1,543,300명
언어 분류
어족중국티베트어족
어파티베트버마어파
하위 어파 (미확실)중앙 티베트-버마어군
어군살어군
어족보로-가로어족
어군보로어군
문자
문자 체계데바나가리 문자 (공식)
동부 나가리 문자 (현대)
로마자 (현대)
공용어 지정
국가인도
아삼 주
지위아삼 주의 보조 공용어
언어 코드
ISO 639-3brx
Glottologbodo1269
Glottolog 이름Bodo-Mech

2. 역사

보도어는 1913년부터 여러 보로 단체들이 시작한 사회 정치적 각성과 운동의 결과로, 1963년에 보로족이 지배적인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교육 매체로 도입되었다.[7] 오늘날 보도어는 중등 수준까지 교육 매체로 사용되며, 아삼 주(Assam)의 관련 공용어이기도 하다. 1996년부터 구와하티 대학교에서 보로 언어와 문학을 대학원 과정으로 제공하고 있다. 시, 드라마, 단편 소설, 소설, 전기, 기행문, 아동 문학, 문학 평론 등 다양한 보로어 서적이 있다.[7]

2. 1. 문자 체계와 문자 운동

보도어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자를 사용해왔다. 초기에는 '데오다이'라는 문자가 사용되었다고 전해지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8] 19세기에는 선교사들에 의해 라틴 문자가 도입되었고,[9] 20세기 초에는 아삼 문자/벵골 문자가 사용되었다.[9]

1960년대 아삼어 운동의 영향으로 보로족은 자신들의 언어를 위한 독자적인 문자를 요구하게 되었다.[12] 1970년대에는 라틴 문자 채택을 둘러싼 격렬한 문자 운동이 발생했다.[10] 보도 사히티야 사바(BSS)는 1970년에 라틴 문자를 채택하기로 결정했지만,[10] 아삼 정부는 라틴 문자가 외래 기원이라는 이유로 이를 거부했다.[13] 이는 우다야찰을 위한 운동으로 이어졌다.[13]

1974년, BSS는 아삼 정부에 반하여 라틴 문자로 된 보로족 교과서 ''Bithorai''를 발행했다.[14] 아삼 정부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학교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았고, 이는 전 보도 학생 연합(ABSU)과 우다야찰 운동을 주도하던 아삼 평원 부족 위원회(PTCA)가 참여한 격렬한 운동을 촉발시켰다. 1974년 11월에는 경찰의 발포로 운동 자원 봉사자 15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5]

1975년, BSS는 인도 연방 정부의 제안에 따라 데바나가리 문자를 채택하기로 결정했다.[16] 그러나 라틴 문자 사용에 대한 요구는 계속되었고,[18] 보도랜드 자치 위원회는 자치 지역에서 라틴 문자를 사용할 것을 결의하기도 했다.

최종적으로, 인도 헌법 제8 부속서에 보도어를 포함시키기 위한 조건으로 데바나가리 문자 사용이 확정되었다. 현재 보도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지만, 산스크리트어와는 다른 부분이 있다. 예를 들어, बर'[bɔɽɔ]는 보도어를 나타낸다.

3. 분포

보도어는 주로 인도 아삼 주, 서벵골 주, 그리고 네팔 동부(자파 군)에서 사용된다.[19] 자칭은 어느 지역에서나 /bɔɽo ni rau/(보도의 말)이지만, 별칭으로는 보도 또는 보로(Boro), 메치(Mech), 메스(Mes), 메체(Meche) 등이 있다.[19]

아삼 주 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일부 자음 발음이 다르다.[19] 서벵골 주에서는 잘파이구리와 그 주변에 보도족 거주지가 있으며, 이 지역의 보도족은 벵골어와 이중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19] 네팔에서는 메체어로 알려져 있다.[19]

보도어는 메갈라야 주에서 사용되는 가로어, 라바어(Rabha), 티와어(Tiwa), 아삼 동부의 힐 카차리어(Hill Kachari), 디마사어(Dimasa), 방글라데시의 콕보로크어 등과 가까운 관계에 있다.[19]

3. 1. 방언

아삼 주의 보도어는 브라마푸트라 강 북안을 중심으로 사용되며, 서부 방언(코크라자르, 봉가이강 지구)과 동부 방언(바르페타, 날바리, 캄루프, 다르랑 일부)으로 나뉜다.[19] 서부 방언 중 코크라자르 방언이 표준 보도어로 간주된다.[19] 이 선거구에서는 유일한 보도족 출신 국회의원 S. K. Bwismuthiary가 있었다. 아삼 주에서는 고등학교 수준까지 보도어로 수업을 받을 수 있다.

서벵골 주의 보도어와 네팔의 메체어는 매우 유사하지만, 아삼 주의 보도어와는 자음 발음 및 문법 면에서 차이가 있다.

4. 음운론

보도어는 6개의 모음, 16개의 자음, 8개의 이중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설 후방 비원순 모음 /ɯ/가 특징적이다. 보도어는 성조 언어로, 고, 중, 저 세 가지 성조를 통해 단어의 의미를 구별한다.[20]

4. 1. 모음

보도어의 모음
전설중설후설
IPAiɯu
로마자 표기iwu
문자
IPAeao
로마자 표기eao
문자


  • 모든 모음은 음절의 시작, 중간, 끝에 나타난다.

4. 2. 이중 모음

보도어에는 8개의 이중 모음(/iu/, /eo/, /ai/, /ao/, /oi/, /ui/, /ɯi/, /ɯu/)이 있다.

이중 모음
iou
iiu
eeo
aaiao
ooi
uui
ɯɯiɯu


4. 3. 자음

보도어에는 16개의 자음이 있다.

자음
colspan=2 rowspan=2|순음치경음연구개음성문음
IPAROM문자IPAROM문자IPAROM문자IPAROM문자
비음mnngcolspan=3 |
파열음유기음phthkhcolspan=3 |
유성음bdgcolspan=3 |
마찰음무성음colspan=3 |scolspan=3 |colspan=3 |
유성음colspan=3 |zcolspan=3 |h
탄음/전동음colspan=3 |~ rrcolspan=3 |colspan=3 |
접근음유성음wcolspan="3" |ycolspan="3" |
설측음colspan=3 |lcolspan=3 |colspan=3 |


  • 세 개의 무성 유기 파열음 /, , /는 음절 종결 위치에서 무성음화되지 않는다. 이들의 무기 유성 대응은 방출되며 단어 종결 위치에서 발생할 수 없다.
  • 때때로 /, , , /는 각각 /, , , /로 발음된다.
  • 자음 /, , , , , /는 모든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다.
  • 자음 /, , , , , /는 토착 보도어 단어의 끝에 나타날 수 없지만 외래어에서 발생한다.
  • 자음 /, , /는 단어의 시작 부분에 나타날 수 없다.

4. 4. 성조

보도어는 성조 언어이므로, 성조의 변화는 의미에 영향을 미친다.[20]

높은 성조와 낮은 성조의 예시와 의미 차이
높은 성조의미낮은 성조의미
Buh때리다Bu붓다
Hah진흙, 할 수 있다Ha자르다
Hahm여위다Ham낫다
Gwdwh가라앉다Gwdw과거
Jah먹다Ja있다
Rahn마르다Ran나누다


5. 문법

보도어의 문장은 "주어 + 동사(SV)" 또는 "주어 + 목적어 + 동사(SOV)"로 구성된다.[7]

보도어 문장의 예시
주어 + 동사주어 + 목적어 + 동사
앙 므윈티야라이므윈 아 애플 자동
니즘 아 운두덩눙 웡캄 자바이?
앙 프이바이앙 느크으 머장 머느


6. 어휘

보도어는 십진법을 사용하며 1부터 10까지 고유한 숫자 단어를 가지고 있다. 그 이후에는 숫자 단어를 결합하여 더 큰 숫자를 만든다.[21]

보도어와 가로어 숫자 비교
숫자보도어영어가로어 (A.chikku)
0LatikhoZero
1SeOneSa
2NwiTwoGni
3ThamThreeGittam
4BrwiFourBri
5BaFiveBonga
6DoSixDok
7SniSevenSni
8DaenEightChet
9GuNineSku
10ZiTenChikking
11Zi seEleven
12Zi nwiTwelve
13Zi thamThirteen
14Zi brwiFourteen
15Zi baFifteen
16Zi doSixteen
17Zi sniSeventeen
18Zi daenEighteen
19Zi guNineteen
20Nwi ziTwenty
30Tham ZiThirty
40Brwi ZiForty
50Ba ZiFifty
60Do ZiSixty
70Sni ZiSeventy
80Daen ZiEighty
90Gu ZiNinety
100Zause/ Se zauOne Hundred
200Nwi zauTwo Hundred
300Tham zauThree Hundred
1,000Se RwzaOne Thousand
2,000Nwi RwzaTwo Thousand
10,000Zi RwzaTen Thousand


7. 문자

보도어는 공식적으로 데바나가리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아삼 문자로 표기되거나 라틴 문자를 사용한 긴 역사도 있다. 한 연구자는 현재는 사라진 Deodhai script|데오다이 문자영어를 사용했다고 제안한다.[8]

보도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지만, 문자 사용법은 산스크리트어 등에서 사용되는 것과는 다르다. 보도어 고유의 모음을 표기하기 위해 특정 문자에 다른 음가를 부여하거나 보조 기호를 사용한다. क, ग 등의 기본 자음자는 k, g의 자음에 더해 [ɔ]의 모음을 가진다. 그러나 기본 자음자가 어말에 오는 경우에는 이 [ɔ] 음가는 없다. [ɔ]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 (아포스트로피)를 붙인다. 예를 들어 बर "많다"는 [bɔr]이고, 보도어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बर' [bɔɽɔ]가 된다. 또한 ओ/ो 문자는 원래 음가는 [o]이지만, 보도어에서는 [ə]~[ɯ]의 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8. 교육

1913년부터 여러 보로 단체들이 시작한 사회·정치적 각성과 운동의 결과로, 1963년에 보로족이 지배적인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보로어가 교육 매체로 도입되었다. 오늘날 보로어는 중등 수준까지 교육 매체로 사용되며, 아삼 주의 관련 공용어이기도 하다. 1996년부터 구와하티 대학교에서 보로 언어와 문학 대학원 과정이 제공되고 있다.[7]

보도어는 아삼 주 부족 지역에서 아삼어를 배우고 싶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10학년까지 필수 과목이다. 이 과목은 중앙 중등 교육 위원회(CBSE) 및 켄드리아 비디알라야 상가탄(KVS) 산하 학교를 포함한 모든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가르쳐야 한다. 이 법안은 2017년 8월 의회에서 통과되었다.[22]

9. 예시

세계 인권 선언 제1조의 보도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23]

; 데바나가리 문자로 된 보도어

: गासै सुबुं आनो उदांयै मान सनमान आरो मोनथाय लाना जोनोम लायो। बिसोरो मोजां- गाज्रि सान्नो हानाय गोहो आरो सोलो दं। बिसोरो गावखौनो गाव बिदा फंबाय बायदि बाहाय लायनांगौ।

; 음역 (ISO 15919)

: ''Gāsai subuṁ āno udāṁyai mān sanmān āro monthāy lānā jonom lāyo. Bisorā mojāṁ-gājri sānno hānāy goho āro solo daṁ. Bisoro gāvkhauno gāv bidā phaṁbāy bāydi bāhāy lāynāṁgau.''

; 라틴 문자로 된 보도어

: ''Gaswi subung anw udangwi man sanman arw mwnthai lana jwnwm layw. Biswrw mwjang-gajri sannw hanai gwhw arw swlw dong. Biswrw gaokhwunw gao bida phongbai baidi bahai lainangwu.''

; 번역 (문법)

: 모든 인간은 존엄과 권리에 있어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난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에게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2011: Language http://censusindia.g[...]
[2] 간행물
[3] 간행물
[4] 뉴스 Assam Assembly Accords Associate Official Language Status To Bodo https://www.ndtv.com[...] PTI 2020-12-30
[5] 웹사이트 THE ASSAM OFFICIAL LANGUAGE (AMENDMENT) ACT, 2020 https://legislative.[...]
[6] 웹사이트 Languages Included in the Eighth Schedule of the Indian Constitution https://rajbhasha.go[...]
[7] 웹사이트 Boro language, RCILTS, IIT Guwahati https://web.archive.[...] 2021-07-07
[8] 간행물
[9] 간행물
[10] 간행물
[11] 간행물
[12] 간행물
[13] 간행물
[14] 간행물
[15] 간행물
[16] 간행물
[17] 간행물
[18] 간행물
[19] 간행물
[20] 서적 Bodo-English Dictionary The Bodo Catholic Youth Association
[21] 웹사이트 Sino-Tibetan Languages: Bodo https://mpi-lingweb.[...] 2009
[22] 뉴스 Assam to make Assamese mandatory till Class 10; Bodo, Bengali options for some http://www.hindustan[...] 2017-04-19
[23] 웹사이트 Bodo language and alphabet https://www.omniglot[...] 2023-08-07
[24] URL http://censusindi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