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차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테차크는 남슬라브어 동사 "stajati"에서 파생된 단어로, "키가 크고 서 있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에 걸쳐 분포된 중세 묘비이다. 이 묘비들은 석공들에 의해 조각되었으며, 사회적, 종교적 상징, 인물 이미지 등 다양한 장식 모티프를 특징으로 한다. 스테차크의 기원과 종교적 배경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하며, 보스니아 교회 또는 보고밀파와의 관련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현재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4개국에 걸쳐 28곳이 등재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문화 - 보스니아어 키릴 문자
보스니아어 키릴 문자는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보스니아에서 널리 쓰인 문자 체계로, 세르비아어 또는 마케도니아어 키릴 문자와 구별되는 글자 모양을 가지며 글라골 문자와 연관성이 깊고,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민족적 소속 논쟁에도 불구하고 보스니아 문화유산으로 여겨진다. - 보고밀파 - 루시퍼
루시퍼는 "빛을 가져오는 자"라는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금성을 지칭했으나, 기독교에서 타락천사이자 사탄으로 여겨지며, 이사야서의 구절을 근거로 악마 이미지가 확립되었고 현대에는 사탄과의 연결을 배제하려는 시도도 존재한다. - 보고밀파 - 노브고로드의 서
노브고로드의 서는 1932년부터 벨리키 노브고로드에서 발굴된 유물, 특히 2000년에 발견된 고대 교회 슬라브어 시편과 알렉산더의 텍스트가 기록된 나무 밀랍 태블릿 세 개를 지칭하며, 동슬라브어 특징과 보고밀파 관련 내용이 담겨 있어 종교적 소수자들의 신앙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 연구되고 있다. - 몬테네그로의 세계유산 - 코토르
코토르는 몬테네그로에 있는 도시로, 다양한 역사를 거치며 아드리아 해에서 가장 잘 보존된 중세 도시 중 하나이자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역사적인 건축물과 고대 성벽,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유명하다. - 몬테네그로의 세계유산 - 두르미토르
두르미토르는 몬테네그로 북부에 위치한 산괴로, 48개의 2,000m가 넘는 봉우리와 18개의 빙하호를 포함하며, 198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몬테네그로 산악 관광의 중심지이다.
스테차크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유형 | 문화유산 |
지정 기준 | (iii), (vi) |
ID | 1504 |
지역 | 유럽 및 북아메리카 |
위치 정보 | |
등재 정보 | |
국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
등재 연도 | 2016년 (제40차 세계유산위원회) |
면적 | 51.38 ha (완충 지역 334.93 ha) |
상세 정보 | |
설명 | 발칸반도에 있는 기념비적인 중세 묘비 |
명칭 | 스테치 중세 묘비 묘지군 |
2. 어원
스테차크(Stećak, 복수형: Stećci)라는 단어는 오래된 단어 *''stojećak''*의 수축된 형태이며, 이는 남슬라브어 동사 ''stajati'' (영어: ''stand'')에서 파생되었다.[7] 문자 그대로 "키가 크고 서 있는 것"을 의미한다.[7]
스테차크는 헤르체고비나, 중앙 보스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포드리네, 크로아티아의 달마티아, 그리고 몬테네그로, 코소보, 서부 세르비아, 북서부 보스니아, 크로아티아(리카와 슬라보니아)의 작은 지역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헤르체고비나에서는 ''마셰티'' / ''마셰테'' (이탈리아어 ''massetto''는 "큰 바위"를 의미하거나, 터키어 ''meşhet''/''meşhed''는 "쓰러진 영웅의 묘비"를 의미한다), 중앙 및 서부 보스니아에서는 ''므라모리'' / ''므라모르예'' / ''므라모로비'' (대리석)라고 불리며,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에서는 ''우사데니크'' (이식)라고 불린다. 스테차크 비문에서는 ''빌리그'' (표시), ''카멘 빌리그'' (돌 표시), ''캄'' / ''카미'' / ''카멘'' (돌), ''흐람'' (신사), ''즈라멘'' (표지), ''쿠차'' (집), ''라카'' (구덩이), ''그레브/그로브'' (무덤)라고 불린다.[7] 1495년 독서집에서는 ''카미'' (돌)로 기록되어 있다.
''스테차크''라는 이름은 높이 솟아 있는 단일석 (즉, ''산두크''와 ''슬례멘야크'' 형태)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지만, 20세기에는 ''스테차크''라는 단어가 판 묘비 (즉, ''플로체'')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과학계에서 받아들여졌다. ''스테차크''라는 단어 자체에 대한 원래의 언급은 불확실하며, 1851년 이반 쿠쿨레비치 사크친스키의 메모, 1852년 부크 카라지치의 사전 (1812년 초판에는 이 용어가 존재하지 않았지만)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자그보즈드의 평민들이 그들을 ''스타르비르스코'' ("오래된 신앙의")라고 불렀다는 점에서 모순된다. 1860년 보고슬라브 슐렉의 사전 등 학술 사전에서는 1956/58년에야 언급하고 있다.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동 헤르체고비나와 세르비아의 스타리 블라흐 지역에서 사용된 것으로 여겨진다. 20세기 초까지 용어의 혼란이 있었으며, 일부 학자들은 ''나드그로브니 빌리에지'' (묘비 표지) 및 ''므라모르예'' (대리석)와 같은 일반적인 용어가 더 적절하다고 제안했다.
''스테차크''라는 용어는 지역 방언에서는 흔하지 않으며 어원학적 가치가 없고 의미론적으로 부적절하고 모순된다. "서다"라는 동사에서 파생되었지만, 그것이 지칭하는 상자 형태는 주로 눕혀져 있으며, 기둥과 십자가의 또 다른 하위 유형은 주로 똑바로 서 있다. 이 똑바로 서 있는 하위 유형은 전체 스테차크 수의 5%에도 미치지 못한다. 원래 스테차크 비문에서는 가장 흔하게 ''카미'' (형태에 관계없이 "돌"을 의미)라고 불리므로, 일부 학자들은 모든 형태의 묘비에 대해 ''카미크'' (복수형 ''카미치'')라는 용어를 제안했으며, ''스테차크''는 똑바로 서 있는 하위 유형만을 의미한다. ''카미크''라는 용어는 원래의 의미에 더 가깝고, 전문 문헌에서 ''스테차크''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
스테차크 지역 또는 묘지 민속 이름은 크기, 나이 또는 표현에 대한 존경과 감탄을 보여준다: 디브스코 그로블레 (거인 묘지), 마셰테 (큰 돌), 므라모리/므라모르예 (대리석 블록), 그르츠코 그로블레 (정교회 묘지), 투르스코 그로블레 (무슬림 묘지), 카우르스코 그로블레 (가우르 묘지).[4]
3. 특징
스테차크는 평평하거나 박공 모양의 표면을 가진, 받침대 유무에 관계없이 돌로 만들어진 수평 및 수직 묘비로 묘사된다.[7] 1952년 드미트리 세르게예프스키는 스테차크를 눕혀진 스테차크와 서 있는 스테차크로 나누었다. 셰피크 베슐라기치는 슬라브, 상자, 받침대가 있는 상자, 능선/박공, 받침대가 있는 능선/박공, 기둥, 십자가 등 7가지 주요 형태를 제시했고, 두브라브코 로브레노비치는 라디밀자에 슬라브, 받침대가 있는 슬라브, 상자, 받침대가 있는 상자, 키가 큰 상자, 받침대가 있는 키가 큰 상자, 석관(즉, 능선/박공), 받침대가 있는 석관, 십자형 등 9가지 유형이 있다고 보았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는 약 40,000개의 상자, 13,000개의 슬라브, 5,500개의 박공형 묘비, 2,500개의 기둥/오벨리스크, 300개의 십자형 묘비와 약 300개의 불확실한 형태의 묘비가 확인되었으며, 이 중 5,000개 이상이 조각된 장식을 지니고 있다.[7]
마리안 벤젤은 스테차크가 1220년경 판 묘석에서 발전했다고 보았고(첫 번째는 12세기 중반[1]), 기념비적인 것은 1360년경, 시각적 표현이 있는 것은 1435~1477년경에 나타났으며, 1505년경에 생산이 끝났다고 추정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16세기 후반까지 지속되었고, 18세기까지 드문 예가 있었다고 본다. 상자 형태(''sanduk'')와 능선/안장 지붕(''sljemenjak'')의 스테차크는 14세기 중후반(1353-1477[7])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수직 기둥(''stup'')과 십자가(''krstača'' / ''križina'')는 15세기 중반 이후에 나타났다. 수직 형태는 스테차크에서 니샨으로의 전환 기간 동안 무슬림 무덤의 ''니샨''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지만, 14세기 말 마케도니아와 세르비아의 정복 지역에서 이미 나타났다. 이 형태는 세르비아와 동부 보스니아에서 주로 발견된다.
초기 단계의 슬라브는 서부 지중해 기원이지만, 스테차크(상자 및 능선 형태)는 발칸 지역의 석공 기술과 환경에 맞춤화된 특별한 생산 및 장식 방법을 보여준다. 처음에는 봉건 귀족들이 위신과 권력을 위해 만들었고, 이후 중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블라흐와 같은 다른 사회 계급이 이 전통을 받아들였다.
3. 1. 장식
스테차크의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장식인데, 크게 6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여기에는 사회적 상징, 종교적 상징, 사후 콜로 이미지, 인물 이미지, 명확한 장식, 그리고 분류되지 않은 모티프(대부분 상징적이거나 기하학적, 또는 손상된 부분)가 있다.[23] 이 중 많은 모티프는 오늘날까지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자주 등장하는 이미지로는 나선, 아케이드, 로제트, 포도 잎과 포도, 백합, 별(주로 육각형)과 초승달 등이 있다. 인물 이미지에는 사슴 행렬, 말, 콜로 춤, 사냥, 기사도 토너먼트가 있으며, 가장 유명한 것은 오른손을 들고 있는 남자의 이미지로, 충성의 제스처로 추정된다.[24]
묘비에 나타나는 시각적 표현들은 단순한 삶의 장면이 아니라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것으로 해석된다. 가로대가 있는 묘비의 방패, 초승달과 별은 문장(紋章)이 아닐 수 있으며, 양식화된 백합도 문장학적 의미로 사용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한 스테차크에는 묶인 사자와 그 위에 날개 달린 용이 묘사되어 있다.
여러 학자들은 스테차크의 모티프와 사후 숭배 전통이 로마화된 일리리아인과 초기 슬라브인의 전통, 그리고 기독교가 혼합된 결과라고 결론지었다.[23] 알로이즈 베나크는 뱀과 함께 있는 말, 새와 함께 있는 사슴의 묘사가 죽은 자의 영혼을 저세상으로 인도하는 것을 상징하며, 이는 이아포디아인 유물에서도 발견된다고 언급했다.
동물 중에서는 사슴이 가장 많이 표현되었으며, 주로 헤르체고비나 지역 스테차크에서 발견된다. 드라골라브 스레요비치에 따르면, 기독교가 확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래된 숭배와 신성한 사슴에 대한 믿음은 사라지지 않았다. 사슴은 죽은 자를 저승으로 이끄는 존재로 여겨졌다. 셰피크 베슐라기치는 사슴 표현을 종합했는데, 때로는 새(등이나 뿔 위)나 십자가, 백합이 함께 나타나며, 사슴이나 암사슴의 연작, 활과 화살, 개, 창이나 칼을 가진 사냥꾼(주로 말을 탄)이 함께 등장하기도 한다. 사냥 장면뿐만 아니라 사슴을 타고 있는 남자가 이끄는 콜로 행렬에서도 사슴이 나타난다.
콜로 모티프(총 132개) 행렬과 춤의 방향은 항상 명확하지 않지만, 즐거운 춤이 아닌 죽음의 춤임을 보여준다. 동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에서는 ''Ljeljenovo kolo''크로아티아의 렐제/크랄리체 봄 행렬은 칼과 꽃을 가지고 있으며, 중세 세르비아의 블라크가 베오그라드 동쪽에서 오순절에 춤을 추는 것과 유사하다.라고 불리는 춤이 있는데, ''ljeljen''은 ''jelen''(사슴)의 지역 이름이다. 이 춤은 손을 들어 게이트를 만들고, 리더가 댄서들을 통과시킨 후 얽힐 때까지 춤을 추다가 반대 방향으로 풀어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는 영혼을 다른 세계로 인도하고 생명의 갱신을 의미하는 장례 의식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묘지 내에서 넓게 분포하지만, 드물게 중앙이나 눈에 띄는 위치에 있는 교차형 스테차크(''크리시네'')에는 초승달과 별 장식이 주로 나타난다. 이는 특정 (이교) 종교적 소속을 나타내는 묘지 표식일 수 있다. 달과 별(태양)의 상징은 이교도와 기독교 신념의 조합으로 볼 수 있으며, 육각형 별은 금성(슬라브 신화에서 다니카)을, 달은 "별의 결혼"을 나타낼 수 있다.
3. 2. 비문
스테차크 비문은 "코바치" 또는 "클레사르"(대장장이, 석공)가 조각했으며, 비문은 "디약" 또는 "피사르"(학생, 서기)가 템플릿을 사용하여 편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까지 33명의 석공 이름이 알려져 있으며, 그중 가장 주목할 만한 인물은 그루바치이다. 그루바치는 뛰어난 기술을 가진 석공이자 서기였으며, 볼유니와 스톨라츠 근처 오플리치치에 스테차크를 만들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서기는 세모라드였으며, 스톨라츠 주변에서 활동했다. 석공들은 달마티아와 라구사에서 기술을 배웠고, 내륙 지역 출신들은 그들에게서 기술을 전수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스테차크는 크게 헤르체고비나와 동부 보스니아의 두 석공 학교로 나눌 수 있다. 헤르체고비나 학교는 아케이드가 있는 석관, 형상 장면, 풍부한 모티프가 특징이며, 동부 보스니아 학교는 별장 형태의 석관과 꽃무늬가 특징이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역별 석공 학교 및 작업장 위치는 다음과 같다.
지역 | 중심지 및 작업장 위치 |
---|---|
헤르체고비나 | 스톨라츠 주변, 트레비네, 빌레차, 가츠코, 네베시네, 코니치, 리슈티차 주변 |
서부 보스니아 | 쿠프레스와 두브노 사이 |
중부 보스니아 | 트라브니크 주변 |
동부 보스니아 | 클라단, 올로보, 일리야시 사이, 즈보르니크 주변, 루드메르, 로가티차 주변 |
크로아티아에는 치스타 벨리카와 체피쿠체에 두 개의 작업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크로아티아 체티나강 주변 스테차크는 드문 장식이 특징이며, 8-10%만이 단순한 장식을 가지고 있다. 상부 체티나의 스테차크는 크기가 작고 크닌과 리브노의 스테차크와 관련이 있으며, 중간 체티나의 스테차크는 더 기념비적이다. 비텔리치 마을에서 발견된 독특한 석판 스테차크는 달마티아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기하학적 장식이 특징이며, 몬테네그로 니크시치의 성 베드로 교회 근처 기념물과 연관성을 보인다.
몬테네그로에서는 니크시치 주변과 플레블랴 시정촌의 글리스니차 및 바슈코보에 스테차크 작업장이 존재했을 수 있다. 세르비아에는 특정한 중심지가 없었으며, 석공들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온 것으로 추정된다.
4. 기원과 종교적 배경
"스테차크"라는 단어는 '*stojećak*'의 줄임말로, 남슬라브어 동사 '*stajati*' (영어: '*stand*')에서 유래했다.[7] 문자 그대로 "키가 크고 서 있는 것"을 의미한다.[7] 헤르체고비나에서는 ''마셰티''/''마셰테''(이탈리아어 '*massetto*'는 "큰 바위", 터키어 '*meşhet*'/'*meşhed*'는 "쓰러진 영웅의 묘비"를 뜻한다)라고 불린다. 중앙 및 서부 보스니아에서는 ''므라모리''/''므라모르예''/''므라모로비''(대리석),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에서는 ''우사데니크''(이식)라고 불린다. 스테차크 비문에는 ''빌리그''(표시), ''카멘 빌리그''(돌 표시), ''캄''/''카미''/''카멘''(돌), ''흐람''(신사), ''즈라멘''(표지), ''쿠차''(집), ''라카''(구덩이), ''그레브/그로브''(무덤)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7] 1495년 독서집에는 ''카미''(돌)로 기록되어 있다.[7]
''스테차크''는 원래 높이 솟은 단일석(''산두크''와 ''슬례멘야크'' 형태)을 지칭했지만, 20세기 들어 판 묘비(''플로체'')를 포함하는 일반 용어로 학계에서 받아들여졌다.[7] ''스테차크''라는 단어 자체는 1851년 이반 쿠쿨레비치 사크친스키의 기록,[7] 1852년 부크 카라지치의 사전(1812년 초판에는 없지만, 자그보즈드 평민들이 ''스타르비르스코''("오래된 신앙의")라고 불렀다는 점에서 모순된다[7]), 1860년 보고슬라브 슐렉의 사전 등에서 찾을 수 있으며,[7] 학술 사전에서는 1956/58년에야 언급된다.[7] 이 용어는 동 헤르체고비나와 세르비아 스타리 블라흐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 것으로 여겨진다.[7] 20세기 초까지 용어 혼란이 있었고, 일부 학자들은 ''나드그로브니 빌리에지''(묘비 표지) 및 ''므라모르예''(대리석)와 같은 일반적인 용어가 더 적절하다고 제안했다.[7]
''스테차크''는 지역 방언에서 흔하지 않고 어원학적 가치가 없으며[7] 의미론적으로도 부적절하고 모순된다. "서다"라는 동사에서 파생되었지만, 상자 형태는 주로 눕혀져 있고, 기둥과 십자가 형태는 주로 서 있기 때문이다. 서 있는 형태는 전체 스테차크의 5% 미만이다. 원래 비문에서는 ''카미''("돌")로 불렀기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모든 형태의 묘비에 ''카미크''(복수형 ''카미치'')를, ''스테차크''는 서 있는 형태만을 지칭하는 용어로 제안했다.[7] ''카미크''는 원래 의미에 더 가깝고, 전문 문헌에서 ''스테차크''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7]
스테차크 묘지 민속 이름은 크기, 나이, 표현에 대한 존경과 감탄을 보여준다. 디브스코 그로블레(거인 묘지), 마셰테(큰 돌), 므라모리/므라모르예(대리석 블록), 그르츠코 그로블레(정교회 묘지), 투르스코 그로블레(무슬림 묘지), 카우르스코 그로블레(가우르 묘지) 등이 있다.[4]
스테차크의 문화·예술, 종교, 민족적 관련성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16] 셰피크 베슐라기치는 스테차크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고유의 중세 문화·예술 현상이라고 주장했다.[17] 밀로반 가바치 등은 선사 시대와 현대 시대의 이 지역 및 유라시아 거석 문화 전통과의 관련성을 고려했다.[18] 일부 학자들은 '상자' 형태가 해안 도시의 로마네스크 건축과 고딕 건축 주택에서, '능선' 형태는 중세 기독교 석관이나 보스니아 나무집에서 영감을 받았을 수 있다고 보았다.[12] 두브라브코 로브레노비치는 스테차크가 서부 지중해 기원 및 관련성의 일부라고 분석했다.[19] 스테차크는 새로운 사회적 사건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오스만 제국 점령으로 인한 이주로 인해 한동안 버려진 산악 지역과 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9]
19세기 중반, 아서 에반스의 1875년 논문 이후[20] 알렉산더 솔로비예프, 코스타 뢰르만, 치로 트루헬카 등 많은 학자들은 스테차크가 보스니아 교회(보고밀파 또는 다른 이원론적 집단)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16] 다른 학자들은 보스니아 교회가 가톨릭교회 프란체스코회에 의해 세워졌다고 주장했다.[21] 그러나 알로이스 베나츠는 스테차크가 제1차 불가리아 제국에서 건설되지 않았으며, 보스니아 왕국과 보스니아 교회 중심지였던 중앙 보스니아에서는 수가 적고 상태가 좋지 않은 스테차크가 더 많이 발견되었지만, 오래된 연대의 스테차크도 더 많았다고 언급했다.[22] 스테차크와 보고밀파의 배타적 관계는 베니 칼라이와 187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점령 이후 범보스니아 정체성을 장려한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과 같이 정치적, 이념적 이유로 19세기 후반부터 과학적 이유보다 더 많이 전파되었다.[23]
마리안 벤젤 등 20세기 중반 이후 많은 학자들은[24] 스테차크 묘비가 가톨릭, 정교회, 보스니아 교도들 사이의 공통 전통이라고 결론지었다. 벤젤의 결론은 특정 종교보다는 지역 문화 현상을 반영한다는 다른 역사가들의 주장을 뒷받침했다.[8] 비문/모티프는 중세 보스니아와 자클루미아의 세 교회 조직 중 하나에 묘지/고인의 교파적 소속을 드러내기도 한다. 이러한 상호 교파성은 스테차크의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이며, 중세 보스니아 공동체의 높은 기독교화를 나타낸다. 그러나 스테차크를 배타적으로 기독교적으로 인식할 근거는 충분하지 않다.
크리스티안 고틀로프 빌케는 고대 지중해 영적, 종교적 개념에서 상징적 모티프의 기원을 찾았다. 지로 바슬레르는 후기 로마네스크 건축 예술 표현에서 몇 가지 유사점을 보았고, 상징적 모티프를 기독교 이전, 기독교, 마니교(보고밀)의 세 가지 요소로 나누었다.[16] 셰피크 베슐라기치는 스테차크를 세우고 장식한 사람들이 완전히 기독교화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는데, 죽은 사람과 함께 부속품을 두는 오래된 관습, 금속, 섬유, 도자기, 가죽, 동전, 은 귀걸이, 금도금 은, 순금 등 스테차크 아래 무덤에서 발견된 유물들이 그 증거이다. 입에 동전을 넣는 관습(카론의 오볼), 무덤과 머리 근처에 마시는 그릇을 놓는 관습 등은 고대부터 전해져 내려왔다. 무덤 구덩이는 대부분 하나의 매장에 사용되었지만, 때로는 둘 이상의 매장에도 사용되었다. 몬테네그로의 스테차크 비문을 바탕으로 베실라기치는 뼈를 씻어 구덩이로 되돌리는 재매장의 기독교 이전 관습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4. 1. 다양한 학설
스테차크는 헤르체고비나, 중앙 보스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포드리네, 크로아티아의 달마티아, 그리고 몬테네그로, 코소보, 서부 세르비아, 북서부 보스니아, 크로아티아(리카와 슬라보니아)의 작은 지역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난다.[4]스테차크는 받침대 유무에 관계없이 평평하거나 박공 모양의 표면을 가진 돌로 만들어진 수평 및 수직 묘비로 묘사된다.[5] 1952년 드미트리 세르게예프스키는 스테차크를 눕혀진 스테차크와 서 있는 스테차크로 나누는 일반적인 분류를 설정했다.[6] 그러나 스테차크의 체계화는 현재 완료되지 않았다. 셰피크 베슐라기치는 슬라브, 상자, 받침대가 있는 상자, 능선/박공, 받침대가 있는 능선/박공, 기둥, 십자가 등 7가지 주요 형태를 제시했다.[11] 반면 두브라브코 로브레노비치는 라디밀자에 슬라브, 받침대가 있는 슬라브, 상자, 받침대가 있는 상자, 키가 큰 상자, 받침대가 있는 키가 큰 상자, 석관(즉, 능선/박공), 받침대가 있는 석관, 십자형 등 9가지 유형이 있다고 보았다.[6]
유네스코에 따르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는 약 40,000개의 상자, 13,000개의 슬라브, 5,500개의 박공형 묘비, 2,500개의 기둥/오벨리스크, 300개의 십자형 묘비와 약 300개의 불확실한 형태의 묘비가 확인되었으며, 이 중 5,000개 이상이 조각된 장식을 지니고 있다.[7]
마리안 벤젤은 가장 오래된 스테차크가 122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판 묘석에서 발전했다고 가정했으며(첫 번째는 아마도 12세기 중반에 세워졌을 것이다[1]), 기념비적인 것은 1360년경, 시각적 표현이 있는 것은 1435~1477년경에 나타났고, 전체 생산은 1505년경에 끝났다고 보았다.[5] 그러나 일부에서는 16세기 후반까지 지속되었고, 18세기까지 드문 예가 있었다고 본다.[12] 상자 형태(''sanduk'')와 능선/안장 지붕(''sljemenjak'')의 스테차크는 14세기 중후반(1353-1477[13])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나머지 두 가지 기본 형태인 수직 기둥(''stup'')과 십자가(''krstača'' / ''križina'')는 15세기 중반 이후에 나타났다. 수직 또는 서 있는 형태는 스테차크에서 니샨으로의 전환 기간 동안 무슬림(터키) 무덤 꼭대기에 있는 수직의 모놀리식 돌인 ''니샨''의 영향을 받을 수 있었지만, 14세기 말에 마케도니아와 세르비아의 정복된 지역에서 이미 나타났다.[5] 이 형태는 세르비아와 동부 보스니아에서 주로 발견된다.[12]
단순한 눕혀진 판이나 슬라브를 포함하는 초기 단계는 이 지역에 특유한 것이 아니라 광범위한 서부 지중해 기원이며, 따라서 ''스테차크''(상자 및 능선 형태를 의미)라는 용어는 모든 묘비 형태에 대해 오해의 소지가 있다. 슬라브는 14세기와 15세기의 서부 지중해 세계에서 전형적인 매장 형태였으며, 발칸 지역에서 석공 기술과 미세 환경에 따라 맞춤화된 특별한 생산 및 장식 방법이 있었다.[14] 처음에는 개별적인 위신과 권력을 확립하려는 봉건 귀족들이 스테차크를 만들었고, 때로는 그들의 문장이 장식되기도 했다.[14] 나중에는 사회경제적 성장을 경험하고 15세기 중반부터 거의 독점적으로 스테차크를 건설한 중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블라흐와 같은 다른 사회 계급이 이 전통을 받아들였다.[15]
스테차크의 문화·예술, 종교, 민족적 관련성에 대해서는 아직 결론이 나지 않은 다양한 이론들이 존재한다.[16] 베슐라기치가 대표하는 일반적인 가설에 따르면, 스테차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독창적인 중세 문화·예술 현상이다.[17] 밀로반 가바치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훨씬 더 광범위한 맥락을 연구했으며, 선사 시대와 현대 시대의 이 지역 및 유라시아의 거석 문화 전통과의 관련성을 고려했다.[18] 일부 학자들은 '상자' 형태가 해안 도시의 로마네스크 건축과 고딕 건축 주택에서, '능선' 형태는 중세 기독교의 석관 또는 현지 보스니아 나무집에서 영감을 받았을 수 있다고 보았다.[12] 로브레노비치의 종합적인 분석에 따르면, 스테차크는 더 넓은 서부 지중해 기원 및 관련성의 일부이다.[19] 스테차크는 새로운 사회적 사건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오스만 제국 점령으로 인한 이주로 인해 한동안 버려진 산악 지역과 주로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19]
19세기 중반, 특히 아서 에반스의 1875년 논문 이후[20] 알렉산더 솔로비예프, 코스타 뢰르만, 치로 트루헬카를 포함한 많은 학자들은 처음에는 스테차크가 보스니아 교회 즉, 보고밀파 또는 다른 이원론적 집단의 기원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16] 다른 사람들은 보스니아 교회가 실제로 가톨릭교회의 프란체스코 수도사들에 의해 세워졌다고 주장했다.[21] 그러나 베나크는 스테차크가 제1차 불가리아 제국에서 건설되지 않았으며, 보스니아 왕국과 보스니아 교회의 중심지가 있던 중앙 보스니아에서는 더 적은 수로 건설되었고, 상태가 좋지 않은 스테차크도 더 많이 발견되었지만, 오래된 연대의 스테차크도 더 많았다고 언급했다.[22] 스테차크와 보고밀파 사이의 배타적인 관계는 19세기 후반부터 베니 칼라이와 187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점령 이후 오스만 제국 이후의 범보스니아 정체성을 장려한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과 같이 정치적, 이념적 이유로 인해 과학적인 이유보다 더 많이 전파되었다.[23] 이 주장은 이미 1899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립 박물관의 초대 관장인 코스타 뢰르만에 의해 의문이 제기되었으며, 거의 한 세기 동안 국제 역사학에서 지배적인 이론이었다.[24]
20세기 중반 이후 마리안 벤젤과 같은 많은 학자들은[24] 한때 중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예술과 유물에 관한 세계 최고의 권위자였으며,[9] 스테차크 묘비가 가톨릭, 정교회, 보스니아 교도들 사이에서 공통적인 전통이었다고 결론지었다. 벤젤의 결론은 특정 종교적 신념에 속하기보다는 지역 문화 현상을 반영한다는 다른 역사가들의 주장을 뒷받침했다.[8] 때로는 비문/모티프가 중세 보스니아와 자클루미아에 있는 세 개의 교회 조직 중 하나에 묘지/고인의 교파적 소속을 드러내기도 한다. 스테차크의 이러한 상호 교파성은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 중 하나이며, 중세 보스니아 공동체의 높은 수준의 기독교화를 나타낸다. 그러나 배타적으로 기독교로 인식될 근거는 충분하지 않다고 여겨진다.
크리스티안 고틀로프 빌케는 고대 지중해 영적, 종교적 개념에서 상징적 모티프의 기원을 찾았다. 지로 바슬레르는 후기 로마네스크 예술의 예술적 표현에서 몇 가지 유사점을 보았으며, 상징적 모티프는 기독교 이전, 기독교 및 마니교 (즉, 보고밀)의 세 가지 구성 요소로 나뉜다.[16] 베실라기치는 스테차크를 세우고 장식한 사람들이 완전히 기독교화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는데, 그 이유는 죽은 사람과 함께 부속품을 두는 오래된 관습을 실천했고, 금속, 섬유, 도자기 및 가죽으로 만든 많은 유물, 동전, 은색 귀걸이, 금도금 은색 및 순금 등 스테차크 아래 무덤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입에 동전을 넣는 관습 (카론의 오볼), 무덤과 머리 근처에 마시는 그릇을 놓는 것과 같은 관습은 고대부터 전해져 내려왔다. 무덤 구덩이는 대부분 하나의 매장에 사용되었지만, 때로는 두 개 이상의 매장에도 사용되었다. 몬테네그로의 한 스테차크 비문을 바탕으로 베실라기치는 뼈를 씻어 구덩이로 되돌리는 재매장의 기독교 이전 관습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스테추치의 특징은 묘비에 다양한 장식 모티프가 사용되었다는 점인데, 이들은 오늘날까지도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묘비에는 소용돌이 모양, 연속된 아치 모양 무늬, 포도 잎과 열매, 태양과 초승달이 표현되어 있다. 우의적인 모티프로는 연속된 사슴, 전통 민속 무용인 콜로, 사냥, 오른손을 든 충성을 맹세하는 사람의 이미지 등이 그려져 있다.
일부 역사가들은 보스니아 교회가 불가리아의 보고밀파 또는 다른 이원론 그룹인지에 대해 논쟁을 벌인다. 또 다른 설로는 보스니아 교회가 실제로는 가톨릭 교회의 프란체스코회 수도사들에 의해 창설되었다고 명시되어 있다.[22] 스테추치 자체는 보고밀 종교 공동체의 유물이 아니라, 원래 보스니아 교회 것이지만, 토착 종교의 신화나 의식이 남아있거나, 지역 슬라브 귀족의 지위를 나타내는 문장의 상징이나 사람들의 행위가 배치되는 등[23], 특정 신앙에 속한다기보다는 보스니아의 문화 현상을 반영하고 있다.[24]
오늘날 많은 스테추치는 사라예보 국립 박물관 정원 등에 전시되어 있다.
4. 2. 블라흐족 기원설
스테차크의 민족적 기원에 대한 주류 학설은 블라흐인 공동체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2] 이 이론은 아직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았지만, 가장 지배적인 학설이다.[3] 이 이론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에서는 스테차크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며, 처음에는 봉건 귀족들이 만들었고 나중에 블라흐인들이 받아들였다고 주장한다.[4] 또한 블라흐인 인구가 적고, 고립되어 있었으며, 후기 중세 시대에는 민족적 계층보다는 사회-전문적인 계층이었고, 신화적 상징은 "블라흐" 이교 신앙보다는 고대 슬라브 신앙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4]5. 분포 및 보존
"토착" 블라흐족 이론은 보구밀 흐라바크(1956)와 마리안 벤젤(1962)에 의해 제안되었으나, 아서 에반스가 그의 저서 ''일리리쿰의 골동품 연구''(1883)에서 처음 제안했다.[11] 그는 펠릭스 폰 루찬과 함께 코나블레 주변 스테차크 무덤을 연구하면서 많은 수의 두개골이 슬라브족 기원이 아니면서도, 더 오래된 "일리리아" 민족과 유사하다는 것을 추정했으며, 두브로브니크 기념물에는 15세기까지 블라흐족이 거주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고 언급했다. 묘비 비문 연구 결과, 블라흐족 부족(Vlahovići, Pliščići, Predojevići, Bobani, Drobnjaci 등) 출신 개인들도 스테차크 무덤 아래에 묻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1]
흐라바크는 역사적 문서와 스테차크에 새겨진 희귀한 비문에 언급된 인물들의 관계를 연결한 최초의 학자였다. 1953년 스톨라츠 근처 볼준 묘지에서 온 대장장이-석공 그루바치가 1477년 이전에 보고바크의 스테차크를 건설했으며, 헤르체고비나 블라흐족 기념물 대부분이 15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11] 벤젤은 유사한 연대와 역사적으로 알려진 인물이 있는 16개의 스테차크를 연구했다. 그녀는 14세기 중반 봉건 귀족들이 돌 기념물을 도입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 전통은 형상 장식을 도입한 블라흐족 부족들이 받아들였을 것이라고 보았다. 벤젤은 스테차크 제작 종말을 오스만 제국 침략과 새로운 사회적 상황과 관련시켰으며, 블라흐족과 인근 슬라브족이 이슬람으로 개종하면서 부족 조직과 특정 민족 정체성의 특징을 잃게 되었다고 언급했다.
시마 치르코비치(1964)와 마르코 베고(1973)는 블라흐족 사이에서 스테차크 출현이 그들의 사회 경제적 상승과 일치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자클루미아 지역에서 확인되었으며, 이곳에는 라딜랴의 가장 잘 알려진 묘지가 있고, 블라흐족 가문 Miloradović-Stjepanović from genus Hrabreni와 관련되어 있다. 블라흐족 사이에서 비싼 장례를 주문할 수 있는 재정적 가능성은 역사적 문서에서 뒷받침되는데, 1377년 세티나 출신 블라흐족 오스토야 보고비치가 블라흐족 프리보야 파팔리치의 장례 비용으로 40 리라를 지불한 예가 있다. 당시 스플리트에서 장례 비용은 4~8리라였으며, 40리라로 시베니크에 있는 프란체스코 수도회 교회에서 가족 무덤을 살 수 있었다.
베나츠는 달마티아 자고라 지역의 세티나 강 오른쪽 제방에 스테차크가 분포하는 반면, 강 왼쪽 지역(초기 중세 시대 교회와 함께 묘지가 있음)에는 스테차크가 없다는 사실을 통해 이 무덤들이 해당 지역의 블라흐족 공동체에 속했음을 보여준다고 결론지었다. 시베니크, 트로기르 및 크닌 사이의 삼각형, 그리고 브르리카와 트릴지 주변 지역은 블라흐족의 주요 중심지였으며, 달마티아에서 가장 많은 수의 스테차크가 있다. 1982년 베나츠는 이들의 최고 밀집 지역이 남부 헤르체고비나(트레비네, 빌레차, 류비네 및 스톨라츠 영토)에 있으며, 이곳에 블라흐족이 많이 집중되어 있었다고 언급했다. 일부 스테차크 비문(인명)은 이를 일부 블라흐족 족장과 명확하게 관련시킨다. 볼준-스톨라츠 출신 타라 볼유노비치, 블라호비치-류빈예 출신 부코사브 블라체비치, 라딜랴-스톨라츠 출신 흐라브레니와 밀로라도비치, Bobani, Pliščići, Predojevići, 드로브냐치와 같은 다른 블라흐족 그룹의 특징적인 구성원들이며, 이러한 족장들에게 가장 훌륭한 기념물이 속한다.
세티나 군의 스테차크 출현은 넬리피치 귀족 가문이 경제적, 정치적 권력을 되찾으려는 노력과 관련이 있다. 이들은 1345년 헝가리의 러요시 1세에게 크닌을 몰수당하고 시니와 세티나 군을 교환했다. 그들은 블라흐족의 지원으로 번성했으며, 이들은 그들의 봉사에 대한 보상으로 혜택과 일반적인 블라흐족 법을 받았다. 많은 갈등과 마지막 귀족 넬리피치의 죽음 이후, 그리고 이반 프랑코판 이후, 블라흐족은 스테판 부크치치 코사차를 지지했다. "달마티아 유형"의 능선 스테차크는 코사차 귀족 가문이 통치한 달마티아와 보스니아 남서부 지역에서만 찾을 수 있다. 코사차는 세티나의 탈로바치 군대와 폴지차 및 해안의 베네치아 군대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위험한 지역에 군사적이고 잘 조직된 블라흐족을 정착시키는 데 관심이 있었다. 따라서 달마티아 유형은 코사차의 수도 이모츠키 서쪽과 남쪽에서만 발견되며, 나중에는 보스니아의 몰락 이후 북쪽에서도 발견된다.
1982년 모스타르 근처 라슈카 고라에서 출토된 108개의 스테차크 무덤(13~14세기) 유골과 리브노 근처 그르보레지에서 출토된 유골은 동질성을 보여주었으며, 다른 혼합물이 없는 깨끗한 디나르 인류학적 유형을 보여주며, 아마도 슬라브족이 아닌 토착 블라흐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파블로비치 귀족 가문의 것으로 종종 여겨지는 프라차 근처 파블로바크 묘지에서 출토된 11개의 유골 연구에서도 블라흐족 기원을 나타내는 깨끗한 디나르 유형이 나타났지만, 역사적 자료에는 파블로비치를 블라흐족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비스코 마을 근처 폴야니체 고원에서 스테차크 아래 묻힌 28개 매장(1440~1450년대)에서 출토된 40개 유골에 대한 1991년 인류학적 연구는 인구 대다수가 아마도 토착 디나르 유형에 속하며, 슬라브족이 아닌 기원임을 보여주었다. 21개 유골은 어린이의 것이었고, 19개 성인 유골 중 13개는 남성의 것이었다.
스테차크가 현지 또는 외국 중세 문서에 언급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수수께끼 중 하나이다. 민간 전승은 미신과 환상적인 이야기로 가득한 신화적 인식을 보존했는데, 이는 오스만 제국 점령 기간 동안 민족 이동과 종교적 개종으로 인해 세 민족 모두에게서 역사적 기억의 단절이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스테차크에 대한 최초의 여행기 언급은 1530년 베네딕트 쿠리페시치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에블리야 첼레비는 1626년에 그들을 알려지지 않은 영웅들의 묘비 기념물로 묘사했다.
스테차크는 일반적으로 집단으로 모여 있는데, 개별 가족 묘지, 전체 가족 묘지, 때로는 수백 개 표본이 있는 농촌 지구의 대형 묘지 등이 있다. 가족 묘지 예로는 콘지츠 인근 비스쿠프 마을에 있는 산코비치 귀족 가문 묘지, 스톨라츠 근처 라디믈랴에 있는 밀로라도비치-스테파노비치 귀족 가문(흐라브레니) 묘지, 사라예보 근처 파블로비치 귀족 가문 묘지, 카칸 근처 도냐 즈고슈차의 미상 가족 묘지 등이 있다. 오늘날 많은 스테차크는 사라예보에 있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립 박물관 뜰에도 전시되어 있다.
몇몇 주목할 만하거나 연구된 개별 스테차크는 다음과 같다.
- 가장 오래된 스테차크로 알려진 것은 12세기 트레비녜 주판 그르데샤의 것이다.
- 비문이 새겨진 가장 오래된 스테차크로 알려진 것은 스톨라츠 근처 비도슈탁에서 발견된, 1231년으로 추정되는 숫자가 새겨진, 사제 다비지브의 아내 마리야의 것이다.
- 보스니아 대공과 자주 혼동되는 특정 브라트코 부코비치의 무덤은 스톨라츠 근처 볼유니 마을 근처에 있으며, 14세기 말에 만들어졌다. 무덤에 새겨진 비문은 보스니아 키릴 문자의 이카비아어로 작성되었다.
- 15세기 중반, 이모츠키 근처 치스타와 크로아티아 스플리트에 있는 예르코 쿠스트라지치와 그의 아내 브라드나의 두 개의 능선 스테차크.
- 15세기 중반 전투에서 사망한 브르코이 보그다니치(라드밀의 아들)의 능선 스테차크로, 석공 유리나가 크로아티아 로브레치에서 제작.
5. 1. 유네스코 세계유산
28개의 스테차크 유적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다.[1] 이 유적지들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에 걸쳐 분포해 있다.[1]스테차크는 다음의 세계유산 등록 기준을 충족한다.[1]
- 기준 (iii): 스테차크는 유럽 대륙의 지중해성 기후를 가진 석회암 지역에서 인간이 수생 환경에 적응한 독특한 증거를 보여준다.[1]
- 기준 (vi): 스테차크는 석회암 지역에서 인류학적 가치를 지닌 15,000년 이상의 고고학적 유물을 포함한다.[1]
ID | 이름 | 위치 | 좌표 |
---|---|---|---|
1504-001 | 라딜랴 | 스톨라츠(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02 | 그르카 글라비차 | 비스쿠프, 코니이츠(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03 | 칼루피 | 크레코비, 네베시네(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04 | 보라크 | 부라티, 로가티차(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05 | 마쿨리에 | 노비 트라브닉(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06 | 두고 폴리에 | 블리디니에, 야블라니차(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07 | 그보즈노 | 칼리노비크(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08 | 그레브니체와 라드밀로비차 두브라바 | 발지, 빌레차(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09 | 비야차 | 류부슈키(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10 | 올로브치 | 클라다니(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11 | Mramor | 무시치, 올로보(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12 | 쿠차린 | 흐란치치, 고라즈데(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13 | 볼유니 | 스톨라츠(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14 | 돌로비 | 우몰리아니, 트르노보(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15 | 루부리차 폴리에 | 소코라츠(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16 | 포트쿠크 | 비투냐, 베르코비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17 | 베차니 | 셰코비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18 | Mramor | 브르비차, 포차(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19 | 쳉기차 바라 | 칼리노비크(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20 | 라반스카 브라타 | 쿠프레스(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1504-021 | 벨리카 이 말라 크르르리비차 | 치스타 벨리카(크로아티아) | |
1504-022 | 성 바르바라 | 두브라브카, 코나블레(크로아티아) | |
1504-023 | 그르츠코 그로블리에 | 자블라크(몬테네그로) | |
1504-024 | 바레 주기차 | 자블라크(몬테네그로) | |
1504-025 | 그르츠코 그로블리에 | 플루지네(몬테네그로) | |
1504-026 | 므라모르제 | 페루차츠, 바이나 바슈타(세르비아) | |
1504-027 | 므라모르제 | 라스티슈테, 바이나 바슈타(세르비아) | |
1504-028 | 그르츠코 그로블리에 | 흐르타, 프리예폴레(세르비아) |
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Joint Nomination for Inclusion of Stećci – Medieval Tombstones in the World Heritage List
http://www.unesco.or[...]
UNESCO
2014-04-14
[2]
뉴스
Čiji su naši stećci?
http://www.dw.com/bs[...]
Deutsche Welle
2014-11-23
[3]
웹사이트
Marian Wenzel 18 December 1932 – 6 January 2002
https://web.archive.[...]
Bosnian Institute
2009-11-03
[4]
웹사이트
Examination of nominations of cultural properties to the World Heritage List
https://whc.unesco.o[...]
UNESCO
2016
[5]
학술지
Heritage in and as diplomacy: a practice based study
https://www.tandfonl[...]
2022
[6]
학술지
ED-XRF analysis of silver and gold jewelry found in Medieval necropolis Crkvina, Donja Zgošća (Kakanj municipality), BiH
https://godisnjak.an[...]
2022-04-26
[7]
웹사이트
Stećaks – Mediaeval Tombstones (Bosnia and Herzegovina)
https://whc.unesco.o[...]
UNESCO
2011-04-18
[8]
서적
Bosnian, Croatian, Serbian, a Textbook: With Exercises and Basic Gramma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10
[9]
뉴스
Marian Wenzel
https://www.theguard[...]
2002-03-05
[10]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1]
학술지
Vlachs and Stećak Tombstones
https://ff.unsa.ba/s[...]
2020
[12]
백과사전
Race
http://www.encyclope[...]
[13]
서적
National Races: Transnational Power Struggles in the Sciences and Politics of Human Diversity, 1840-194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19
[14]
학술지
Prediction of Y haplogroup in analysis of human skeletal remains from archaeological sites in Bosnia and Herzegovina
https://web.archive.[...]
[15]
학술지
DNA Analysis of Human Skeletal Remains From The Medieval Necropoles in Bosnia and Herzegovina
https://genubih.ba/w[...]
[16]
학술지
DNA analysis of skeletal remains of an important historical figure from the period of mediaeval Bosnia
[17]
학술지
Austro-Ugarska i nauka o bogumilskim stećcima: osvrt na tri inostrane knjige o stećcima
Arheološki institut
1980
[18]
서적
Bosnian Style on tombstones and metal
Sarajevo-Publishing
1999
[19]
문서
[20]
웹사이트
Jezik Boljunskih Natpisa
http://www.post.ba/d[...]
Staroslavenski institut
[21]
뉴스
Balkans to nominate medieval tombstones to U.N. list
http://www.reuters.c[...]
2009-11-02
[22]
서적
The Bosnian Church: Its Place in State and Society from the Thirteenth to the Fifteenth Century: A New Interpretation.
SAQI, The Bosnian Institute
2007
[23]
서적
Geschichte Bosniens
S.Fischer Verlag
1996
[24]
서적
The Late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Late Twelfth Century to the Ottoman Conquest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