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겐빌레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겐빌레아는 가시가 많은 덩굴 식물로, 작고 흰색의 꽃과 화려한 색상의 포엽으로 덮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식물은 18세기 프랑스의 식물학자 필리베르 꼬메르송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현재 전 세계 따뜻한 기후 지역에서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된다. 부겐빌레아는 다양한 품종이 있으며, 괌, 그레나다 등 여러 지역의 공식 꽃으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부겐빌레아의 수액은 피부 발진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아유르베다에서는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부겐빌레아 | |
---|---|
부겐빌레아 | |
![]() | |
![]() | |
학명 | |
속명 | 부겐빌레아 (Bougainvillea) |
학명 정보 | Comm. ex Juss. |
동의어 | 트리시클라 (Tricycla) Cav. |
분류 | |
목 | 나데시코목 (Caryophyllales) |
과 | 오시로이바나과 (Nyctaginaceae) |
종 | |
하위 종 | 문서 참조 |
명칭 | |
영어 발음 | /ˌbuːɡənˈvɪli.ə/, /ˌboʊ-/ |
로마자 발음 | BOO|gən|VIL|ee|ə, BOH|- |
일본어 명칭 | ブーゲンビリア |
2. 식물학적 특징
부겐빌레아는 높이 1m에서 12m까지 자라며, 가시가 있는 가지로 다른 식물을 타고 오른다. 잎은 어긋나고 단순하며, 난형-첨두형이다.
1768년 브라질에서 이 나무를 발견한 프랑스 탐험가 부갱빌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대표적인 종으로는 ''Bougainvillea buttiana'', ''Bougainvillea glabra'', ''Bougainvillea peruviana'', ''Bougainvillea spectabilis''가 있다.
2015년, 미야자키현 미야자키시의 미야자키 공항 빌딩에서 재배되고 있던 부겐빌레아에서 기존 품종보다 한층 큰 신품종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기존 품종인 엘리자베스 앵거스(Elizabeth Angus)의 돌연변이로 추정된다. 이 품종은 공항 빌딩 운영 회사의 초대 사장 岩切章太郎의 이름을 따서 「엘리자베스 앵거스 쇼타로」로 명명되었다.[19]
2. 1. 생태
일년 내내 비가 오는 곳에서는 상록수이고, 건조기가 있는 곳에서는 낙엽수이다. 잎은 어긋나고 단순하며, 달걀형-첨두형이고, 길이는 4cm~13cm이고 너비는 2cm~6cm이다. 식물의 실제 꽃은 작고 일반적으로 흰색이지만, 세 개의 꽃이 모인 각 꽃송이는 식물과 관련된 밝은 색깔(분홍색, 마젠타색, 자주색, 빨간색, 주황색, 흰색 또는 노란색)의 세 개 또는 여섯 개의 꽃받침으로 둘러싸여 있다. 부겐빌레아 글라브라(Bougainvillea glabra)는 꽃받침이 얇고 종이처럼 보이기 때문에 때때로 "종이꽃"이라고 불린다. 열매는 좁고 다섯 개의 엽으로 된 수과이다.2. 2. 꽃과 포엽
식물의 실제 꽃은 작고 일반적으로 흰색이지만, 세 개의 꽃이 모인 각 꽃송이는 밝은 색깔(분홍색, 마젠타색, 자주색, 빨간색, 주황색, 흰색 또는 노란색)의 세 개 또는 여섯 개의 포엽으로 둘러싸여 있다. 부겐빌레아 글라브라(Bougainvillea glabra)는 포엽이 얇고 종이처럼 보이기 때문에 때때로 "종이꽃"이라고 불린다.[19] 꽃의 색깔은 빨강에서 하양까지 다양하며, 분홍, 마젠타, 보라, 주황, 노랑으로 보이는 것도 있다. 하지만 실제 꽃은 이른바 꽃의 중앙에 있는 작은 세 개의 흰 부분이다(사진에서는 두 개만 보인다). 색이 있는 꽃잎처럼 보이는 부분은 꽃을 둘러싼 잎(포엽)이며, 일반적으로 3장 또는 6장이다.2. 3. 열매
열매는 좁고 다섯 개의 엽으로 된 수과이다.3. 역사
이 식물을 처음으로 기술한 유럽인은 프랑스 해군 제독 루이 앙투안 드 부갱빌의 세계 일주 항해에 동행한 식물학자 필리베르 꼬메르송이었으며, 1789년 앙투안 로랑 드 쥐시외에 의해 처음 발표되었다.[3] 꼬메르송의 연인이자 조수였던 잔 바레는 남장을 하고 항해에 참여하여 세계 일주를 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4]
꼬메르송의 기술 20년 후, 1789년 앙투안 로랑 드 쥐시외의 제네라 플란타룸에서 '부긴빌레아(Buginvillæa)'로 처음 발표되었다.[5] 이 속의 철자는 1930년대 인덱스 케웬시스에서 "''부겐빌레아(Bougainvillea)''"로 확립될 때까지 여러 가지 방식으로 표기되었다. 19세기 초, 이 두 종이 유럽에 처음 소개되었고, 곧 프랑스와 영국의 묘목장에서 이러한 품종을 호주와 이전 식민지 전역에 판매했다. 한편, 큐 가든은 세계 곳곳의 영국 식민지에 자신들이 증식한 식물을 분포시켰다.
4. 재배 및 이용
부겐빌레아는 따뜻한 기후에서 인기 있는 관엽식물이며, 플로리다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남인도, 캘리포니아주, 지중해 분지 등에서 널리 재배된다.[6][7] 울타리, 담벼락, 화분, 행잉 바스켓, 생울타리 또는 강조 식물로 재배하며, 길게 늘어지는 가시가 있는 가지에는 심장 모양의 잎과 흰색, 분홍색, 주황색, 보라색, 버건디색의 종이 같은 포엽이 무성하게 핀다. 겹꽃과 무늬가 있는 등 많은 재배 품종이 있다.
오늘날 많은 부겐빌레아는 식물학자들이 인식하는 18종의 남미 부겐빌레아 중 3종만을 교배하여 만들어졌다. 300종이 넘는 부겐빌레아 품종이 있으며, 많은 잡종이 여러 세대에 걸쳐 교배되어 각각의 기원을 확인하기 어렵다. 전 세계적으로 자연적인 돌연변이가 자발적으로 발생하며, 많은 수의 식물이 생산되는 곳이라면 눈 변이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동일한 재배 품종에 여러 이름이 붙게 되어 부겐빌레아 재배 품종 이름에 대한 혼란이 가중되었다.
부겐빌레아의 생장 속도는 품종에 따라 느린 것부터 빠른 것까지 다양하다. 적도 지역에서는 일년 내내 꽃이 피는 경향이 있으며, 다른 지역에서는 계절적이며 개화 주기는 일반적으로 4~6주이다.
''B.'' × ''buttiana''는 ''B. glabra''와 ''B. peruviana''의 정원 잡종으로, 수많은 정원용 재배 품종을 만들어냈다.
부겐빌레아는 해충이 거의 없는 식물이지만, 벌레, 달팽이, 진딧물에 취약할 수 있다. 일부 나비목 종의 유충도 먹이 식물로 이용하는데, 예를 들어 거대표범나방 (''Hypercompe scribonia'')이 있다.
4. 1. 재배 환경
부겐빌레아는 서리에 약하며 미국농무부(USDA) 내한성 구역 9b 및 10에서만 잘 자란다. 하지만 서늘한 기후에서는 실내 식물이나 행잉 바스켓으로 기를 수 있다.[6] 정원에서는 여름철 식물로 적합하며, 내건성이 뛰어나 따뜻한 기후에서는 연중 재배하기에 이상적이다. 높은 내염성으로 해안 지역에 색채를 더하는 데 자연스러운 선택이 된다.

부겐빌레아는 건조한 토양, 매우 밝은 직사광선, 잦은 비료를 주는 환경에서 가장 잘 자란다. 하지만 일단 자리를 잡으면 물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으며, 실제로 물을 너무 많이 주면 무성하게 자라지 않는다.[8]
4. 2. 번식
부겐빌레아는 꺾꽂이로 쉽게 번식할 수 있다.[8]4. 3. 분재
부겐빌레아는 훈련이 용이하고 봄에 화려하게 꽃이 피기 때문에 분재 애호가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수종이다.[9] 온대 지방에서는 실내 화분 식물로 기를 수 있으며, 분재 기법으로 크기를 작게 유지할 수 있다.4. 4. 품종
'샌디에이고 레드'[10]와 '메리 팔머스 인챈트먼트'[11] 품종은 왕립원예협회의 정원공로상을 수상했다. 2015년 미야자키현 미야자키시의 미야자키 공항 빌딩에서 기존 품종보다 큰 신품종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기존 품종인 '엘리자베스 앵거스(Elizabeth Angus)'의 돌연변이로 추정된다. 이 신품종은 공항 빌딩 운영 회사의 초대 사장 岩切章太郎의 이름을 따서 '엘리자베스 앵거스 쇼타로'로 명명되었다.[19]5. 상징 및 문화
여러 지역에서 부겐빌레아는 공식 꽃으로 지정되어 있다. 괌에서는 'Puti Tai Nobiu'로 알려져 있으며[12], 타이완의 롄장 현과 핑둥 현, 말레이시아 이포[13], 필리핀 타그빌라란, 미국 캘리포니아주 카마릴로, 라구나 니구엘, 샌클레멘테, 중국 광둥성의 선전, 후이저우, 주하이, 강문, 푸젠성 하문[14], 일본 오키나와 나하 등이 부겐빌레아를 공식 꽃으로 지정하였다. 그레나다의 국화이기도 하다.
남아메리카 원산의 부겐빌레아는 서식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리오플라텐스 스페인어로는 '산타리타(santa-rita)', 콜롬비아 스페인어로는 '베라네라(veranera)', 페루 스페인어로는 '파펠리요(papelillo)'라고 부른다. 브라질 포르투갈어로는 '프리마베라(primavera)', '트레스마리아스(três-marias)', '셈프레-루스토사(sempre-lustrosa)', '산타리타(santa-rita)', '세볼레이루(ceboleiro)', '로제이루(roseiro)', '로제타(roseta)', '리소(riso)', '파타기냐(pataguinha)', '파우-드-로제이라(pau-de-roseira)', '플로르-드-파펠(flor-de-papel)' 등으로 불린다.
꽃말은 '열정'이며[18], 여름의 계절어로도 사용된다.[18] '영혼의 꽃'이라고도 불린다.
6. 독성
부겐빌레아의 수액은 Toxicodendron 속 식물과 유사하게 피부 발진을 유발할 수 있다.[15]
7. 분류
2010년 기준으로, 부겐빌레아속은 분꽃과 부겐빌레아아족(3속 포함)에 속하며, 피소니아아족(4속 포함)은 자매군으로 여겨진다.[16][17]
아족 | 속 (종 수) |
---|---|
피소니아아족 | |
부겐빌레아아족 |
7. 1. 종
생명 목록에 따르면, 부겐빌레아속에는 다음 16종이 있다.[16][17]- 부겐빌레아 베르베리디폴리아(Bougainvillea berberidifolia)
- 부겐빌레아 캄파눌라타(Bougainvillea campanulata)
- 부겐빌레아 글라브라(Bougainvillea glabra)[21]
- 부겐빌레아 헤르초기아나(Bougainvillea herzogiana)
- 부겐빌레아 인페스타(Bougainvillea infesta)
- 부겐빌레아 레흐만니아나(Bougainvillea lehmanniana)
- 부겐빌레아 말메아나(Bougainvillea malmeana)
- 부겐빌레아 모데스타(Bougainvillea modesta)
- 부겐빌레아 파키필라(Bougainvillea pachyphylla)
- 부겐빌레아 페루비아나(Bougainvillea peruviana)
- 부겐빌레아 프레콕스(Bougainvillea praecox)
- 부겐빌레아 스펙타빌리스(Bougainvillea spectabilis)[21]
- 부겐빌레아 스피노사(Bougainvillea spinosa)
- 부겐빌레아 스티피타타(Bougainvillea stipitata)
- 부겐빌레아 트롤리(Bougainvillea trollii)
- 부겐빌레아 × 부티아나(Bougainvillea × buttiana) (''B. glabra × B. peruviana'')
8. 민간 요법
인도의 아유르베다에서는 부겐빌레아 잎에 포함된 피니톨이 당뇨병에 효과가 있다고 여겨져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었다.[20]
참조
[1]
웹사이트
Genus: ''Bougainvillea'' Comm. ex Juss.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0-07-07
[2]
웹사이트
''Bougainvillea'' Comm. ex Juss.
http://www.worldflor[...]
The World Flora Online Consortium
2022-07-27
[3]
웹사이트
Bougainvillea Comm. ex Juss.
http://www.tropicos.[...]
Missouri Botanical Garden
[4]
뉴스
A Female Explorer Discovered On The High Seas
https://www.npr.org/[...]
2010-12-26
[5]
웹사이트
Jussieu, A.L. de. Genera Plantarum
https://www.biodiver[...]
[6]
서적
The Concord Desk Encyclopedia
Concord Reference Books
[7]
웹사이트
Bougainvillea, A "Mediterranean" Staple
https://medium.com/w[...]
2023-09-14
[8]
웹사이트
Growing Bougainvilleas
http://aggie-horticu[...]
[9]
웹사이트
BonsaiDojo Species Guide - Bougainvillea Bonsai Tree
http://www.bonsaidoj[...]
[10]
웹사이트
''Bougainvillea'' 'San Diego Red'
https://www.rhs.org.[...]
RHS
[11]
웹사이트
''Bougainvillea'' 'Mary Palmer's Enchantment'
https://www.rhs.org.[...]
RHS
[12]
웹사이트
Bougainvillea
http://www.ctahr.haw[...]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University of Hawaiʻi at Mānoa
2007-10
[13]
웹사이트
Welcome to Ipoh - The Bougainvillea City
http://www.perak.inf[...]
Passage to Kinta District
[14]
웹사이트
Xiamen City Flower and City Tree
http://www.cdsndu.or[...]
[15]
웹사이트
Reactions in the Skin Caused by Plants
http://www.lni.wa.go[...]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Labor and Industries
2001-08
[16]
간행물
Species 2000 & ITIS Catalogue of Life, 2020-12-01
www.catalogueoflife.[...]
Species 2000: Naturalis, Leiden, the Netherlands
[17]
웹사이트
GRIN Species Records of ''Bougainvillea''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8]
서적
花のことば辞典:四季を愉しむ
講談社
2019-03
[19]
뉴스
ブーゲンビリア新品種 宮崎空港ビルで発見
https://www.the-miya[...]
[20]
논문
Pinitol - A new Anti-Diabetic compound from the leaves of Bougainvillea Spectabilis
Indian Drugs Research Laboratory
[21]
웹사이트
GRIN Species Records of ''Bougainvillea''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