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여신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여신궁은 일제강점기 일본 제국이 내선일체 이념을 선전하기 위해 백제의 옛 수도인 부여에 건설하려던 신사이다. 오진 천황, 진구 황후, 고교쿠 천황, 덴지 천황을 모실 예정이었으나, 태평양 전쟁 종전으로 인해 완공되지 못했다. 부여신궁은 조선인 강제 동원 및 내선일체 선전에 이용되었으며, 1945년 건설이 중단된 후 1957년 백제의 충신을 기리는 부여 삼충사가 세워졌다. 삼충사는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백제역사유적지구 내에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여군의 역사 - 낙화암
    낙화암은 백제 멸망 당시 많은 궁녀들이 투신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백마강변의 바위 절벽으로, 역사적 사실과 과장된 전설이 혼재된 비극적인 장소이다.
  • 부여군의 역사 - 사비
    사비는 백제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수도로 현재의 부여군에 위치하며, 웅진에서 천도 후 백제 멸망까지 120년간 유지되며 남부여로도 불렸고, 부소산성과 나성의 이중 방어 체제와 왕궁, 정림사 등의 주요 시설을 갖춘 백제 문화의 중심지였다.
  • 일제강점기의 신토 - 경성신사
    경성신사는 일제강점기 서울에 세워진 일본 신사로, 남산대신궁으로 시작하여 경성신사로 개칭되었고 국폐소사로 격상되었으나, 일본 패전 후 폐지되어 현재는 숭의여자대학교가 위치하며, 식민지 지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일제강점기의 신토 - 조선신궁
    조선신궁은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식민지배 강화와 황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건립한 신사로, 천조대신과 메이지 천황을 주신으로 모셨으며, 신사 참배 강요 논쟁과 해방 후 철거, 그리고 건립 과정의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일제의 식민 통치와 한국인들의 저항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한국의 없어진 건축물 - 조선극장
    조선극장은 일제강점기 경성부에 개관하여 연극, 영화 상영 등 조선인들의 문화 향유 및 민족의식 고취에 기여했으나 화재로 소실되어 폐관되었다.
  • 한국의 없어진 건축물 - 경성신사
    경성신사는 일제강점기 서울에 세워진 일본 신사로, 남산대신궁으로 시작하여 경성신사로 개칭되었고 국폐소사로 격상되었으나, 일본 패전 후 폐지되어 현재는 숭의여자대학교가 위치하며, 식민지 지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부여신궁 - [지명]에 관한 문서
신사 정보
종교신토
지도 유형대한민국
모시는 신오진 천황(하치만)
이름부여 신궁
위치조선(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면
창건미완공
사격관폐대사

2. 건축

일제 강점기 말, 일본 제국은 내선일체 이념을 선전하기 위해 고대 일본과 관련이 깊고 백제의 수도였던 부여에 신도(神都) 건설을 계획했다. 이 계획의 핵심으로 신사인 부여신궁을 짓기로 하고, 1939년 6월에 관폐대사(官弊大社)로 정식 인가받았다.

부여신궁의 주제신은 오진 천황, 진구 황후, 고교쿠 천황, 덴지 천황으로 결정되었는데, 이들은 모두 고대 한일 관계와 관련이 깊은 천황들이다. 당초 1943년 완공 예정이었으나 공사가 지연되었고, 태평양 전쟁이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의 항복으로 끝나면서 완공되지 못했다.

2. 1. 봉안될 신

2. 2. 완공 지연 및 중단

일제 강점기 말기, 일본 제국은 내선일체 이념을 선전하기 위해 고대 일본과 관련이 깊고 백제의 수도였던 부여에 신도(神都) 건설을 계획했다. 이 계획의 핵심은 부여신궁이라는 신사를 짓는 것이었고, 1939년 6월에 관폐대사(官弊大社)로 정식 인가를 받았다.

부여신궁에 봉안될 신은 오진 천황, 진구 황후, 고교쿠 천황, 덴지 천황으로 결정되었는데, 이들은 모두 고대 한일 관계와 관련이 깊은 천황들이다. 당초 1943년 완공 예정이었으나 공사가 지연되었고, 1945년 8월 15일 태평양 전쟁일본 제국의 항복으로 종전되면서 완공되지 못했다.

3. 일제의 강제 동원 및 선전

부여신궁은 완공되지 못했음에도 공사 중 이미 경성부조선신궁과 함께 조선을 대표하는 신사로 알려졌다.[9] 영화 《너와 나》에는 충청도 출신의 지원병이자 조선인 최초의 중일 전쟁 전사자인 이인석이 출정 전에 부여신궁에 참배하는 내용이 나오는 등, 일제 강점기 말기의 내선일체 선전과 홍보에 널리 이용되었다.[10]

특히 조선총독부1940년부터 봉사대라는 이름으로 조선인을 강제 동원하여 무료 봉사하도록 했다. 봉사대에는 조선영화인협회 소속의 영화인들이나 조선문인협회 소속 문인들, 개신교 목사들처럼 지식인들이 대거 동원되어 신사 조영 작업에 참여하여 육체노동을 하였다.[11][12]

3. 1. 조선인 강제 동원

부여신궁은 완공되지 못했음에도 경성부조선신궁과 함께 조선을 대표하는 신사로 알려졌다.[9] 영화 《너와 나》에는 충청도 출신의 지원병이자 조선인 최초의 중일 전쟁 전사자인 이인석이 출정 전에 부여신궁에 참배하는 내용이 나오는 등, 일제 강점기 말기의 내선일체 선전과 홍보에 널리 이용되었다.[10]

조선총독부1940년부터 봉사대라는 이름으로 조선인을 동원하여 무료 봉사하도록 했다.[11] 봉사대에는 조선영화인협회 소속의 영화인들이나 조선문인협회 소속 문인들, 개신교 목사들처럼 지식인들이 대거 동원되어 신사 조영 작업에 참여하여 육체노동을 하였다.[11][12]

3. 2. 내선일체 선전

부여신궁은 완공되지 못했음에도 공사 중 이미 경성부조선신궁과 함께 조선을 대표하는 신사로 알려졌다.[9] 영화 《너와 나》에는 충청도 출신의 지원병이자 조선인 최초의 중일 전쟁 전사자인 이인석이 출정 전에 부여신궁에 참배하는 내용이 나오는 등, 일제 강점기 말기의 내선일체 선전과 홍보에 널리 이용되었다.[10]

특히 조선총독부1940년부터 봉사대라는 이름으로 조선인을 동원하여 무료 봉사하도록 했다. 봉사대에는 지식인들이 대거 동원되어, 조선영화인협회 소속의 영화인들이나 조선문인협회 소속 문인들, 개신교 목사들도 신사 조영 작업에 참여하여 육체노동을 하였다.[11][12]

조선총독은 ''내선일체''를 강조하고자 했다. 이 신사는 한국의 전통과 신토 관습을 결합하고, 일본 역사에서 한국의 역할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 주신은 아마테라스였지만, 부여신궁은 특히 한국과 관련된 오진 천황, 사이메이 천황, 덴지 천황, 진구 황후의 4명의 ''가미''를 모셨다.[2]

4. 한국 전통과의 융합 시도

1930년대에 한국은 일부 사람들에게 동화 시도로 여겨지는 현지 관습과 신토 신사를 융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것은 종종 조선총독부에 의해 방해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30년대의 지방 관리들은 한국 공동체를 신사에 연결하려 시도하여 한국과 신토 전통의 융합을 이끌었다.[2]

초기에 조선총독부는 많은 한국 관습을 억압했다. 그러나 1933년부터 농촌 진흥 운동과 함께 변화가 있었다. 이것은 한국 마을의 사당 부지를 신토와 유사한 부지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했다. 많은 한국 현(縣)들이 이러한 부지를 인정하기 시작하여 한국과 일본 전통을 통합했다.[2]

아마테라스 오미카미가 인기를 얻었지만, 한국 전통도 역할을 했다. 축제에는 씨름과 같은 한국의 관습이 포함되었다. 전통 의상을 입은 한국 시장들이 의식을 주도하여 일본과 한국 관습의 혼합을 보여주었다.[2]

4. 1. 초기 조선총독부의 한국 전통 억압

초기에 조선총독부는 많은 한국 관습을 억압했다.[2] 그러나 1933년부터 농촌 진흥 운동과 함께 변화가 있었는데, 이는 한국 마을의 사당 부지를 신토와 유사한 부지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했다.[2] 많은 한국 현(縣)들이 이러한 부지를 인정하기 시작하여 한국과 일본 전통을 통합했다.[2]

1930년대에 한국은 일부 사람들에게 동화 시도로 여겨지는 현지 관습과 신토 신사를 융합하기 시작했다.[2] 그러나 이것은 종종 조선총독부에 의해 방해받았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1930년대의 지방 관리들은 한국 공동체를 신사에 연결하려 시도하여 한국과 신토 전통의 융합을 이끌었다.[2] 아마테라스 오미카미가 인기를 얻었지만, 한국 전통도 역할을 했다.[2] 축제에는 씨름과 같은 한국의 관습이 포함되었다.[2] 전통 의상을 입은 한국 시장들이 의식을 주도하여 일본과 한국 관습의 혼합을 보여주었다.[2]

4. 2. 농촌 진흥 운동과 변화

1930년대에 한국은 일부 사람들에게 동화 시도로 여겨지는 현지 관습과 신토 신사를 융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것은 종종 조선총독부에 의해 방해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30년대의 지방 관리들은 한국 공동체를 신사에 연결하려 시도하여 한국과 신토 전통의 융합을 이끌었다.[2]

초기에 조선총독부는 많은 한국 관습을 억압했다. 그러나 1933년부터 농촌 진흥 운동과 함께 변화가 있었다. 이것은 한국 마을의 사당 부지를 신토와 유사한 부지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했다. 많은 한국 현(縣)들이 이러한 부지를 인정하기 시작하여 한국과 일본 전통을 통합했다.[2]

아마테라스 오미카미가 인기를 얻었지만, 한국 전통도 역할을 했다. 축제에는 씨름과 같은 한국의 관습이 포함되었다. 전통 의상을 입은 한국 시장들이 의식을 주도하여 일본과 한국 관습의 혼합을 보여주었다.[2]

4. 3. 한국 전통 요소의 포함

1930년대에 한국은 일부 사람들에게 동화 시도로 여겨지는 현지 관습과 신토 신사를 융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것은 종종 조선총독부에 의해 방해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30년대의 지방 관리들은 한국 공동체를 신사에 연결하려 시도하여 한국과 신토 전통의 융합을 이끌었다.[2]

초기에 조선총독부는 많은 한국 관습을 억압했다. 그러나 1933년부터 농촌 진흥 운동과 함께 변화가 있었다. 이것은 한국 마을의 사당 부지를 신토와 유사한 부지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했다. 많은 한국 현(縣)들이 이러한 부지를 인정하기 시작하여 한국과 일본 전통을 통합했다.[2]

아마테라스 오미카미가 인기를 얻었지만, 한국 전통도 역할을 했다. 축제에는 씨름과 같은 한국의 관습이 포함되었다. 전통 의상을 입은 한국 시장들이 의식을 주도하여 일본과 한국 관습의 혼합을 보여주었다.[2]

5. 해방 이후

1945년에 부여신궁 건설이 중단되었고, 1957년 그 자리에 백제의 충신 셋을 기리는 부여 삼충사가 세워졌다.[1] 이들은 진구 황후에 맞서 싸웠을 것으로 추정된다.[1] 삼충사는 부여신궁을 짓는 데 사용되었던 동일한 재료를 사용했다.[1] 삼충사는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백제역사유적지구 내에 있다.[5][1]

5. 1. 부여 삼충사 건립

1945년에 부여신궁 건설이 중단된 후, 1957년 그 자리에 백제의 충신 셋을 기리는 부여 삼충사가 세워졌다.[1] 이들은 진구 황후에 맞서 싸웠을 것으로 추정된다.[1] 삼충사는 부여신궁을 짓는 데 사용되었던 동일한 재료를 사용했다.[1] 삼충사는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백제역사유적지구 내에 있다.[5][1]

5. 2. 백제역사유적지구 유네스코 등재

참조

[1] 간행물 Shinto Deities that Crossed the Sea: Japan's "Overseas Shrines," 1868 to 1945 https://www.jstor.or[...] 2010
[2] 서적 Overseas Shinto Shrines: Religion, Secularity and the Japanese Empire Bloomsbury Academic 2022-10-06
[3] 웹사이트 POINT 정책정보포털 https://policy.nl.go[...] 2023-04-04
[4] 문서 https://core.ac.uk/d[...]
[5] 웹사이트 Samchungsa Shrine https://whc.unesco.o[...] 2023-11-08
[6] 서적 日本統治下朝鮮都市計画史研究 柏書房 2004
[7] 간행물 拓務省告示第2号 官報第3732号 1939-06-16
[8] 간행물 内務省告示第264号 官報第5660号 1945-11-22
[9] 서적 일제하 아나키즘운동의 전개 국학자료원 2003-12-30
[10] 서적 한국사 이야기 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 바람) 한길사 2004-05-01
[11] 서적 일제하 아나키즘운동의 전개 국학자료원 2003-12-30
[12] 서적 친일파 99인 3 돌베개 1993-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