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전-마산 복선전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전-마산 복선전철은 한국철도공사스마트레일이 운영하는 총 연장 50.2km의 복선 전철 노선이다. 2014년 6월 27일에 착공하여, KTX-이음ITX-마음이 운행하며, 부전역, 사상역 등 7개의 역이 있다. 사상역 서쪽 구간의 하저터널 붕괴 사고와 전동차 운행 여부 문제 등의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 병점기지선
    병점기지선은 경기도 화성시 병점역과 오산시 서동탄역을 잇는 2.2km의 한국철도공사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되며, 향후 동탄인덕원선 및 수도권고속철도와의 연결이 추진 중이다.
  • 경전선 - 광주역
    광주역은 1922년 개업하여 경전선과 호남선의 중요 정차역이었으나, KTX 운행이 광주송정역으로 이관된 후 현재는 일반 열차만 운행하며, 도시철도 연계 부족과 셔틀열차 폐지로 환승이 불편하다.
  • 경전선 - 진례역
    진례역은 2010년에 개통하여 화물 및 여객 영업을 시작했으며, 경전선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는 지상역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부전-마산 복선전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명부전-마산 복선전철
노선명2부전-마산선
나라대한민국
상태공사 중
기점부전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종점마산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
역수7
개통일2026년
소유자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차량 운행 업무,
스마트레일역무 관리,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영업 거리50.2km
실제 거리30.2km
시설 연장50.2km
궤간1,435mm(표준궤)
선로2
전철화가공전차선, 강체가선(터널구간)
교류 25,000V 60Hz
신호ATP
영업 최고 속도172km/h
설계 최고 속도0km/h

2. 연혁

3. 노선 정보

4. 역 목록

거리영업
거리접속 노선소재지비고부전Bujeon釜田동해선부산광역시부산진구사상Sasang沙上경부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부산 도시철도 5호선(예정)사상구강서금호Gangseogeumho江西錦湖강서구에코델타시티Eco Delta City부경경마공원Busan Gyeongnam Racecourse Park釜慶競馬公園칠산Chilsan七山부산신항선경상남도김해시신호소장유Jangyu長有신월Sinwol新月진례Jillye進禮경전선신호소창원중앙Changwonjungang昌原中央창원시용강Yonggang龍岡경전선, 덕산선신호소창원Changwon昌原경전선마산Masan馬山경전선


4. 1. 부산광역시 구간

부산 도시철도 1호선부산진구사상Sasang沙上경부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부산 도시철도 5호선(예정)사상구강서금호Gangseogeumho江西錦湖강서구에코델타시티Eco Delta City부경경마공원Busan Gyeongnam Racecourse Park釜慶競馬公園


4. 2. 경상남도 구간

거리영업
거리접속 노선소재지비고칠산Chilsan七山부산신항선김해시신호소장유Jangyu長有김해시신월Sinwol新月김해시진례Jillye進禮경전선김해시신호소창원중앙Changwonjungang昌原中央경전선창원시용강Yonggang龍岡경전선, 덕산선창원시신호소창원Changwon昌原경전선창원시마산Masan馬山경전선창원시


5. 논란 및 사건 사고

부전-마산 복선전철 건설 과정에서는 낙동강 고가 횡단 논란, 하저터널 붕괴 사고, 전동차 운행 여부 문제 등 여러 논란과 사건 사고가 있었다.

5. 1. 낙동강 고가 횡단 논란

당초 사상역 서쪽 구간은 고가로 건설될 예정으로, 부산김해경전철의 고가와 병행 건설될 예정이었다.

주민들은 조망권 침해 등을 이유로 고가 건설에 반대하였으나,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는 두 고가의 복층화나 지하화는 여건상 어렵다는 입장이었다.[4]

논의 끝에 2010년, 해당 구간은 하저터널로 지어지는 것이 확정되었다.[5]

5. 2. 하저터널 붕괴

2020년 3월 18일,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낙동강 동쪽)의 하저터널 피난구 공사 현장에서 지반 침하 사고가 발생하였다.[6] 이후 단순한 지반 침하가 아니라, 피난터널뿐 아니라 본선용 터널까지 일부 붕괴된 큰 사고였음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었다.[7][8][9]

같은 해 6월 21일, 붕괴 원인 조사를 위한 진입로 확보 작업 중 민간 잠수부가 사망하는 사고가 이어졌다.[10] 현재 붕괴 원인을 조사하는 한편, 토양 동결 공법으로 터널을 재공사하고 있다.[11]

5. 3. 전동차 운행 여부 문제

국토해양부는 2009년에 이 노선에 운행할 열차를 준고속열차(KTX-이음)로 확정하였고[12], 실제로 이 노선의 신설 역사 승강장에는 통근형 전동차가 정차할 수 없는 규격의 승강장 안전문만 설치되고 있었다. 그러나 부산시와 경상남도는 일반 열차 방식을 채택했지만, 정부는 배차 간격이 90분인 준고속열차 투입을 고수했다. 하지만 배차 간격이 너무 길고 요금 자체가 광역전철보다 더 비싸다는 지적이 이어지면서, 일반 열차를 추가로 투입해 운행 간격을 30분대로 줄이는 방안이 추진됐다.

참조

[1] 문서 차량 운행 업무
[2] 문서 역무 관리,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3]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388호
[4] 뉴스 사상에 `고가도로 숲`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5] 뉴스 부산 부전∼경남 마산간 복선전철 낙동강 아래로 통과… 하저터널로 시공키로 http://news.kmib.co.[...] 국민일보
[6] 뉴스 부전∼마산 복선 경전철 터널 피난구 공사 현장 '폭삭'(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7] 뉴스 부전~마산 복선터널, 침하 아닌 터널붕괴 제기 http://www.knn.co.kr[...] KNN
[8] 뉴스 ‘터널 지반붕괴 또 있었다’, 개통 지연? http://www.knn.co.kr[...] KNN
[9] 뉴스 터널붕괴, 부산시*지자체 왜 몰랐나? http://www.knn.co.kr[...] KNN
[10] 뉴스 부전∼마산 복선전철 침하 조사 중 또 사고…내년 2월 개통 차질 https://www.yna.co.k[...] 연합뉴스
[11] 뉴스 부전-마산 붕괴된 터널, 얼려서 복구 http://www.knn.co.kr[...] KNN
[12] 뉴스 ‘전동열차 vs. 준고속열차’…부산~마산복선철도 달릴 주인공은? https://www.hani.co.[...] 한겨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