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적(狄)은 고대 중국 문헌에 등장하는 북방 이민족 집단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예기에서는 북쪽의 狄(적)으로 분류되었으며, 사기 등에는 장적, 적적, 백적 등의 명칭으로 나타난다. 狄(적)은 한자 형태에 따라 불을 다루는 수렵 민족과 관련 있다는 해석이 있으며, 현대 한국 학계에서는 특정 민족을 지칭하기보다는 중국 왕조의 입장에서 북방 이민족을 통칭하는 용어로 본다. 狄(적)은 주나라 시대에 중국과 빈번한 전쟁을 벌였으며, 춘추전국시대에 이르러 독립적인 정치체로서 사라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고대 민족 - 흉노
흉노는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동아시아 스텝 지역에서 활동한 유목민족 연맹 또는 제국으로, 묵돌 선우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한나라와의 전쟁과 내분으로 멸망했으며, 민족 및 언어적 기원은 불분명하고 유목 생활에 기반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고대 민족 - 쿠차
쿠차는 타림 분지의 고대 오아시스 도시 국가로, 실크로드 교역 중심지이자 토하라인 거주지였으며, 다양한 민족 교류와 불교 번성으로 독특한 문화를 이루었으나 13세기 이후 쇠락했고, 현재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속한다. - 인종 및 민족 차별어 - 니거
'니거'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인종차별적 욕설로, 흑인을 지칭하는 중립적 단어에서 모욕적 의미로 변질되어 현재는 금기시되며, 흑인 사회 내부에서 변형된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흑인이 아닌 사람이 사용하는 것은 인종차별 행위로 간주된다. - 인종 및 민족 차별어 - 샤오르번
샤오르번은 중일전쟁 이후 중국에서 일본을 경멸적으로 부르는 용어로, "작은 일본"을 의미하며 일본의 침략에 대한 적개심과 반일 감정의 표현으로 사용된다. - 중국의 역사 - 연호
연호는 군주의 권위와 통치권을 상징하며, 군주의 즉위와 함께 사용되는 칭호로,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국가들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일본, 중화민국, 북한 등에서 사용된다. - 중국의 역사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북적 | |
|---|---|
| 개요 | |
| 다른 이름 | 적(狄) |
| 분류 | 사방(四方)의 오랑캐 중 하나 |
| 위치 | 중국의 북쪽 |
| 역사적 시기 | 주(周) ~ 춘추전국시대 |
| 민족적 특징 | 유목 생활, 군사적 능력 |
| 역사 | |
| 기원 | 귀방(鬼方) 또는 험윤(獫狁) |
| 주요 활동 시기 | 주나라 시대 |
| 주요 활동 지역 | 화북 지방 북부 |
| 국가 | 대(翟) 중산국(中山國) |
| 주요 사건 | 진(晉)나라에 의해 축출 |
| 문화 | |
| 생활 방식 | 유목, 약탈 |
| 군사 | 기마병 중심 |
| 다른 문화와의 관계 | 중원 문화와 대립, 융(戎)과 함께 언급됨 |
| 관련 인물 및 집단 | |
| 주요 인물 | 주나라 무종(周武宗) 조상자(趙襄子) |
| 관련 집단 | 화하족(華夏族) |
| 기타 | |
| 현대적 의미 | 중국 내 소수 민족 |
| 같이 보기 | 흉노(匈奴) 돌궐(突厥) 몽골(蒙古) |
2. 명칭 및 분류
예기에 따르면, 중국은 동쪽의 이(夷), 남쪽의 만(蠻), 서쪽의 융(戎), 북쪽의 狄(적)으로 구분되었다. 狄(적)은 융(戎)과 함께 이(夷)나 만(蠻)보다 더 호전적이고 덜 문명화된 것으로 여겨졌다. 사기 등 중국 사서에는 장적(長狄), 적적(赤狄), 백적(白狄) 등의 명칭이 등장한다.
2. 1. 어원 및 해석
일본 학자 오카다 히데히코는 殷(은)나라 시조 설화와 연관 지어 狄(적)을 해석하기도 한다. 은 왕조의 전설적인 시조인 계의 어머니는, 유융(有娀)의 딸이자 제곡의 차비였던 간적이다. 간적은 여동생과 함께 현구에서 물놀이를 하던 중, 현조의 알을 실수로 삼켜 버렸고, 그 후에 계가 태어났다. 유융(有戎)의 「융」은 서방의 유목민을 의미하며, 유융(有戎)의 딸인 간적의 「적」은 북방의 수렵민을 의미한다.[7] 여신이 야외에서 목욕하는 장소에서 하늘에서 내려온 새의 알을 삼켜 임신하고, 사내아이를 낳는다는 것은, 북아시아의 수렵민이나 유목민에게 공통적인 시조 전설이며, 은나라 사람들이 북방의 수렵민 「북적」 출신인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은나라가 실존했던 도시 국가였던 것은 확실하지만, 몽골 고원에서 산서 고원을 거쳐 남하하여, 하남의 하(夏)나라를 정복한 것으로 보인다.[7]3. 역사

중국 초기 이웃 국가들의 문화와 역사에 대한 현존하는 기록은 대부분 주나라 후기에 속한다. ''예기''에서는 중국과 [융], [이](그리고 그 주변의 다른 야만 부족들)을 포함한 5개 지역의 백성들은 모두 각자의 본성을 가지고 있었고, 이를 바꿀 수 없었다고 언급한다. 여기서 북쪽의 부족들은 [디]라고 불렸는데, 그들은 짐승과 새의 가죽을 입었고 동굴에 살았으며, 일부는 곡물을 먹지 않았다.[6] 디는 융과 연관되었으며, 이나 만보다 더 호전적이고 덜 문명화된 것으로 여겨졌다.
동주 시대에, 진나라를 비롯한 중국 국가들은 디 영토로 확장되었고, 그 후 디는 종종 그들의 적이 되었다. 디는 여러 중국 국가와 결혼 및 무역 조약을 맺기도 하였다. 선우와 "백적"은 기원전 6세기 동안 산시성 북부 섬서성 북서부의 황하 주변 지역에서 산시성과 허베이성의 태항산맥으로 이동했다.
기원전 569년, 진 도공은 오랑캐에 대한 새로운 평화 정책(''허 룽'')을 발표하기도 하였으나, 기원전 541년에 진나라는 이 정책을 중단하고 다시 폭력적으로 변하여, 현재의 태원에서 오종(無終)과 "다수의 디"(群狄, ''Qundi'')를 공격했다.
기원전 400년경, 대부분의 디와 융은 독립적인 정치체로서 사라졌다.
3. 1. 하(夏)·은(殷) 시대
적(翟)인은 기원전 20세기경 오르도스 지방에서 번성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고고학 유물을 통해 시대별 인구 증가와 경제적 발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은 물과 풀을 찾아 동쪽과 남쪽으로 이동하여, 하·은 전기에는 화북 일대(산시성, 하북성, 섬서성)에 유목 지역이 존재했다.[6] 은나라 후기 유물에서 다수의 청동기나 도기 등이 출토되어 생산력 발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많은 유적에서 은나라 양식의 기물이 발견되어 화하족과의 교류를 엿볼 수 있다.[6]; 오카다 히데히코에 의한 전설
은 왕조의 전설적인 시조인 계의 어머니는 유융(有娀)의 딸이자 곡의 차비였던 간적이다. 간적은 여동생과 함께 현구에서 물놀이를 하던 중, 현조의 알을 실수로 삼켜 버렸고, 그 후에 계가 태어났다. 유융(有戎)의 ‘융’은 서방의 유목민을 의미하며, 유융(有戎)의 딸인 간적의 ‘적’은 북방의 수렵민을 의미한다.[7] 여신이 야외 목욕 장소에서 하늘에서 내려온 새의 알을 삼켜 임신하고, 사내아이를 낳는다는 것은 북아시아의 수렵민이나 유목민에게 공통적인 시조 전설이며, 은나라 사람이 북방의 수렵민 ‘북적’ 출신인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은나라가 실존했던 도시 국가였던 것은 확실하지만, 몽골 고원에서 산시 고원을 거쳐 남하하여 하남의 하(夏)나라를 정복한 것으로 보인다.[7]
3. 2. 주(周) 시대
주나라 시기에는 狄(적)에 대한 기록이 더욱 상세해진다. 예기에는 狄(적)의 생활, 풍습, 언어 등이 기록되어 있다.[6] 주나라와 狄(적)은 빈번하게 전쟁을 벌였으며, 특히 주나라 시대에 들어서면서 대규모 전쟁이 반복적으로 행해졌다.[6] 전쟁으로 인해 적인들은 관중 등의 서북 지역에서 쫓겨나 많은 수가 동쪽이나 북쪽으로 이동했다고 여겨진다. 狄(적)은 융(戎)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夷)나 만(蠻)보다 호전적이고 덜 문명화된 것으로 여겨졌다.3. 3. 춘추전국시대
주나라가 쇠퇴하면서, 백적(白狄)은 남하하여 허베이와 산시 등 장성 연안에 중산국(中山國)이라는 강력한 국가를 세웠고, 이후 제후국이 되었다. 진(晉) 문공 중이(重耳)를 섬기며 외척이 된 중신 호씨(狐氏) 일족은 백적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1] 중산국은 춘추전국 시대에 중원의 쟁란에 참여했으나, 조(趙)에 의해 멸망했고, 백적인은 화하인(華夏人)에 동화되었다.[1]한편, 비교적 북방에 거주했던 인구가 가장 많은 적적(赤狄)은 기원전 11세기경부터 주로 북쪽과 북서쪽으로 이동하면서 몽골 고원, 시베리아, 만주, 한반도의 원주민을 정복하고, 중원의 기술과 산물을 들여와 큰 변화와 인구 증가를 가져왔다.[1] 이들은 훗날 흉노의 일부를 구성했다고 여겨지며, 서방으로 전파된 유목 문화의 흐름도 이 이동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1]
4. 문화 및 생활 방식
예기에 따르면, 狄(적)은 짐승과 새의 가죽을 입고 동굴에 살았으며, 일부는 곡물을 먹지 않았다.[1] 이들은 유목, 수렵 생활을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머리를 묶지 않거나 몸에 문신을 새기는 풍습이 있었다.[1]
4. 1. 언어
예기에 따르면, 狄(적)의 언어는 중국과 서로 통하지 않았다.[1] 예기에는 동쪽에 전령, 남쪽에 대표자, 서쪽에 디-디, 북쪽에 통역관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5. 현대적 관점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단계의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따라 검토 및 수정하여 출력하겠습니다.)
참조
[1]
문서
Commentaries on Discourses of the States
http://www.guoxue123[...]
[2]
논문
Baxter-Sagart Old Chinese reconstruction, version 1.1 - order: by Mandarin and Middle Chinese
http://ocbaxtersagar[...]
2014-09-20
[3]
웹사이트
Di 狄
http://www.chinaknow[...]
2012
[4]
간행물
Steppe Nomads as a Philosophical Problem in Classical China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1
[5]
문서
白鳥庫吉は狄をテュルク系民族であるという見解を示している(モンゴル系ではなく)。
[6]
문서
『逸周書』には周の初期に数百の国を滅亡または服属させ、五千人を斬首・捕虜13000人を得たと記す。
[7]
서적
だれが中国をつくったか
PHP研究所
2005-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