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벌레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벌레목(Phasmatodea)은 곤충의 한 무리로, 나뭇가지나 잎과 매우 흡사한 형태를 띠는 것이 특징이다. 크기는 2cm에서 64cm까지 다양하며, 일부 종은 세계에서 가장 긴 곤충으로 기록되기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가장 많은 종을 볼 수 있다. 초식성이며, 위장, 자절, 화학 물질 분비 등 다양한 방어 수단을 가지고 있다. 일부 종은 처녀생식을 하며, 짝짓기가 매우 오랫동안 지속되기도 한다. 대벌레는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며, 로봇 공학 연구에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벌레목 - 대벌레아목
    대벌레아목은 과거 areola의 존재 여부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4개의 상과로 분류되며, 그중 일부는 대벌레목에 속하고 대한민국에는 3개 과에 속하는 5종의 대벌레가 서식한다.
  • 대벌레목 - 아가테메라속
    아가테메라속은 아가테메라아속에 속하며, claraziana, crassa, elegans, grylloidea, luteola, maculafulgens, mesoauriculae, millepunctata 종을 포함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대벌레목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학명Phasmatodea
명명자Jacobson & Bianchi, 1902
상위 분류군 표시4
하위 분류군""수수마니오이데아
티메마토데아
에우파스마토데아(=베로파스마토데아)
일반 정보
어원(고대 그리스어)
다른 이름Phasmida
Phasmatoptera
Cheleutoptera
영어 이름phasmids
생물학적 정보
화석 범위쥐라기 - 현세
피나케리아 히스파니카
피나케리아 히스파니카

2. 형태

대벌레는 크기가 매우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암컷이 같은 종의 수컷보다 더 크게 자란다.[3] 가장 작은 종의 수컷은 약 2cm 길이까지 자란다.[4] 반면, 다리가 뻗은 길이를 포함하여 전체 길이가 64cm에 달하는 미동정 종 ''Phryganistria "chinensis"''는 세계에서 가장 긴 곤충이 될 수 있다.[5] 가장 무거운 대벌레 종은 암컷의 무게가 65g에 달하는 ''Heteropteryx dilatata''일 가능성이 높다.[6]

일부 대벌레는 원통형 막대 모양을 하고 있으며, 다른 대벌레는 납작한 잎 모양을 하고 있다. 많은 종이 날개가 없거나 날개가 퇴화되어 있다.[7] 가슴은 날개가 있는 종에서는 길며 날개 근육을 수용하고, 날개가 없는 형태에서는 짧다. 첫 번째 날개 쌍은 좁고 경화되어 있으며(딱딱해짐), 뒷날개는 넓고 길이를 따라 곧은 정맥과 여러 개의 가로 정맥이 있어 곤충 중에서 독특하다.[8] 몸은 잎맥과 유사한 융기, 나무껍질과 같은 결절위장을 위해 식물과 비슷하게 변형된다. ''Carausius morosus''와 같은 몇몇 종은 주변 환경에 맞춰 색소 침착을 변경할 수도 있다. 입은 머리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씹는 턱은 종 전체에서 균일하다. 다리는 일반적으로 길고 가늘며, 일부 종은 다리 자절(부속지 탈락)이 가능하다.[7] 대벌레는 길고 가느다란 촉각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종에서는 몸의 나머지 부분만큼 길거나 더 길다.

암컷 ''Extatosoma tiaratum''의 머리


모든 대벌레는 겹눈을 가지고 있지만, 홑눈(빛에 민감한 기관)은 Lanceocercata, Necrosciinae, Pseudophasmatidae, Palophidae 및 Phylliidae의 5개 그룹에서만 알려져 있다. 이들 중 처음 세 그룹만이 홑눈을 가진 암컷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날개와 마찬가지로 이를 잃은 조상으로부터 다시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9] 대벌레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상당한 세부 사항을 인식할 수 있는 인상적인 시각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야행성 생활 방식에 적합하다. 대벌레는 작은 겹눈과 제한된 수의 면을 가지고 태어나며, 탈피를 통해 성장함에 따라 각 눈의 면의 수와 광수용체 세포의 수가 증가한다. 성충 눈의 감도는 첫 번째 (발달 단계)의 약 10배이다. 눈이 더 복잡해짐에 따라 어둠과 빛 변화에 적응하는 메커니즘도 향상된다. 어두운 환경의 눈은 빛을 차단하는 스크리닝 색소가 낮에 비해 적고, 가용 빛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망막층의 폭 변화는 성충에서 훨씬 더 뚜렷하다. 성충 곤충의 눈 크기가 클수록 방사선 손상을 입기 쉬운데, 이는 완전히 자란 개체가 주로 야행성인 이유를 설명한다. 새로 출현한 곤충의 빛에 대한 감도가 감소하면 부화하는 낙엽에서 벗어나 더 밝게 비춰지는 잎으로 이동하는 데 도움이 된다. 어린 대벌레는 주행성 (주간) 먹이를 먹고 자유롭게 이동하며 먹이 섭취 범위를 넓힌다.[10]

대벌레는 가늘고 긴 몸으로 이나 가지 등에 의태하며, 딱딱한 난각으로 덮인 알도 식물의 종자를 닮았다.[68]。 몸길이는 수 cm에서 50cm가 넘는 것까지 다양하다. 불완전변태를 하며,[68]。 기본적으로 양성 생식이지만, Ramulus irregulariterdentatus|ナナフシモドキnl 등은 단성생식을 하며 수컷이 매우 드물다.[69]

날개와 비행 능력을 잃은 경우가 많다. 퇴화 정도는 다양하며, 암수 모두 완전한 비행 능력을 가진 것부터 수컷만 비행 능력을 가진 것, 암수 모두 완전히 날개가 없는 것까지 있다. 잎벌레의 암컷처럼 윗날개를 가지고 있지만 비행 능력을 잃은 예도 있다.

방어 수단 중 하나로, 적에게 습격당했을 때 다리를 스스로 잘라내는 자절을 하는 종이 많다. 잃어버린 다리는 어린 유충 시기에 탈피와 함께 재생되지만, 성장 단계가 높을수록 재생되기 어렵고, 성충에서는 재생되지 않는다.

대벌레는 자신의 몸무게의 40배의 무게를 운반할 수 있으며, 뮌헨 공과대학교 등에서 대벌레 모델이라고 불리는 6족 로봇을 개발했다.[70]

대벌레는 날 수 없지만, 산란 전의 성충이 조류에게 포식되어 딱딱한 난각에 보호된 알이 소화되지 않고 분변과 함께 배설되어 부화하여 분포를 넓혔을 가능성이 고베 대학, 고치 대학, 도쿄 농공대학 등에 의한 유전자 분석에 기초한 연구에서 지적되고 있다.[71]

  • 장스 메가스틱: 몸길이 약 35cm.
  • 프리가니스트리아 차이넨시스( Zhao): 2014년 8월에 중국 남부 광시 좡족 자치구에서 발견된 몸길이 62.4cm의 대벌레로, 지금까지 알려진 80만 7625종의 곤충 중 가장 길다.[77]


''Phobaeticus serratipes''


암컷 ''Phobaeticus chani'',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긴 곤충.

2. 1. 곤충의 다리 구조

대벌레는 다리에 두 가지 유형의 패드를 가지고 있다. 끈적거리는 "발가락 패드"와 다리 위쪽에 있는 비 끈적거리는 "뒤꿈치 패드"가 있다. 뒤꿈치 패드는 미세한 털로 덮여 있어 낮은 압력에서 강한 마찰을 생성하여 각 단계에서 표면에서 힘차게 떼어낼 필요 없이 붙잡을 수 있게 한다.[11] 끈적거리는 발가락 패드는 등반 시 추가적인 그립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지만 평평한 표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11]

3. 생태

대벌레는 초식성이며, 주로 나무와 관목의 잎을 먹고 산다. 신열대구 생태계에서 대벌레목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광선 간극에서 우점적인 초식 동물로 여겨진다.[31] 과학자들은 대벌레가 생태계에서 초기 천이 식물을 섭식하고 배설을 통해 토양을 비옥하게 하여 후기 천이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돕는다고 본다. 이는 열대 우림의 순환에 기여한다.[31]

대벌레는 산림과 음수목에 피해를 주는 잎 섭식 동물로 알려져 있다. 호주의 ''Didymuria violescens'', ''Podacanthus wilkinsoni'', ''Ctenomorphodes tessulatus'', 북아메리카의 ''Diapheromera femorata'', 오세아니아 코코넛 농장의 ''Graeffea crouani'' 등이 경제적으로 중요한 발생을 일으킨다.[32] 미국 남부, 미시간, 위스콘신에서는 대벌레가 참나무 등 활엽수의 잎을 먹어 공원과 휴양지에 큰 피해를 준다. ''Diapheromera femorata''의 대규모 발생은 아칸소와 오클라호마의 오치타 산맥에서 기록되었으며, 나무 전체의 잎이 완전히 사라지기도 한다.[33] 이들은 날 수 없기 때문에 발생 범위는 제한적이지만, 피해는 심각할 수 있다. 화학 살충제를 사용하거나 지상 화재로 알을 제거하는 방제 방법이 있지만, 부작용도 있다.[33] 뉴사우스웨일스에서는 기생 말벌(''Myrmecomimesis'' spp.)을 이용한 방제 연구가 진행 중이다.[34]

대벌레는 가늘고 긴 몸으로 이나 가지 등 식물에 의태하며, 딱딱한 난각으로 덮인 알은 식물의 종자와 유사하다.[68] 몸길이는 수 cm에서 50cm가 넘는 것까지 다양하며, 일본에는 15~20종 정도가 서식한다. 불완전변태를 하며, 기본적으로 양성 생식을 하지만, Ramulus irregulariterdentatus|ナナフシモドキnl 등은 단성생식을 하고 수컷이 매우 드물다.[69]

날개와 비행 능력을 잃은 경우가 많으며, 퇴화 정도는 다양하다. 암수 모두 비행 능력이 있거나, 수컷만 있거나, 암수 모두 없는 경우가 있다. 잎벌레의 암컷처럼 윗날개는 있지만 비행 능력이 없는 경우도 있다.

대벌레는 자신의 몸무게의 40배를 운반할 수 있다. 뮌헨 공과대학교 등에서 대벌레의 이러한 능력을 연구하여 산업용 로봇을 개량했고, '대벌레 모델'이라고 불리는 6족 로봇이 개발되었다.[70]

대벌레는 날 수 없지만, 고베 대학, 고치 대학, 도쿄 농공대학 등의 연구에 따르면, 산란 전 성충이 조류에게 포식된 후 소화되지 않은 알이 분변과 함께 배설되어 부화하면서 분포를 넓혔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71]

3. 1. 방어

대벌레목 종은 공격을 사전에 예방하는 방어 기제(1차 방어)와 공격이 시작된 후에 사용되는 방어 기제(2차 방어)를 보인다.[14]

대벌레목과 가장 쉽게 연관되는 방어 기제는 식물 의태 형태인 위장이다. 대부분의 대벌레는 나뭇가지와 잎 형태를 효과적으로 재현하며, 일부 종(''Pseudodiacantha macklotti'', ''Bactrododema centaurum'' 등)은 몸이 덩굴 이끼 또는 지의류로 덮여 위장을 보완한다. 완전히 움직이지 않는 것은 눈에 띄지 않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14] 일부 종은 주변 환경 변화에 따라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Bostra scabrinota'', ''Timema californica'').[19][15] 은폐를 보완하기 위한 또 다른 행동 적응으로, 많은 종이 몸을 좌우로 흔드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는 바람에 흔들리는 잎이나 잔가지를 모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벌레가 포식을 피하고 나뭇가지와 유사하게 보이는 또 다른 방법은 곤충이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뻣뻣하고 움직이지 않는 자세를 취하는 강직 상태에 들어가는 것이다.[16] 성충의 야행성 식습관 또한 대벌레가 포식자로부터 숨는 데 도움이 된다.[16]

수컷 ''Peruphasma schultei''의 뒷날개 공포(깜짝 놀라게 하는) 과시


아성충 암컷 ''Haaniella dehaanii''의 방어 자세


겉보기에 다른 방어 방법으로, 많은 대벌레목 종은 일반적으로 숨겨져 있는 밝은 색상을 번개처럼 드러내고 큰 소리를 내어 접근하는 포식자를 깜짝 놀라게 하려고 한다.[17] 나뭇가지나 잎에서 방해를 받으면, 일부 종은 아래로 떨어져 탈출하면서 자유 낙하하는 동안 날개를 잠시 펼쳐 곤충이 착지하면 사라지는 밝은 색상을 과시한다. 다른 종은 최대 20분 동안 과시를 유지하여 포식자를 겁주고 더 큰 모습을 전달하려 한다. ''Pterinoxylus spinulosus''와 같은 일부 종은 날개 부분을 비벼서 내는 소리와 함께 시각적 과시를 동반한다.[17]

''Extatosoma tiaratum''의 어린 유충과 같은 일부 종은 복부를 몸과 머리 위로 구부려 개미나 전갈을 닮아 곤충이 먹이가 되는 것을 피하는 또 다른 방어 기제인 의태를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Diapheromera femorata''와 같은 일부 종의 알에는 개미를 유인하는 엘라이오솜(종종 씨앗에 부착된 육질 구조)을 닮은 육질 돌기가 있다. 알이 집단으로 옮겨지면 성충 개미는 엘라이오솜을 유충에게 먹이는 반면, 대벌레 알은 보호된 환경의 둥지 깊숙한 곳에서 발달하도록 남겨진다.[18]

위협을 받으면, 넙적다리 가시가 뒷가슴 다리에 장착된 일부 대벌레(''Oncotophasma martini'', ''Eurycantha calcarata'', ''Eurycantha horrida'', ''Diapheromera veliei'', ''Diapheromera covilleae'', ''Heteropteryx dilatata'' 등)는 복부를 위로 구부리고 다리를 반복적으로 함께 흔들어 위협을 움켜잡는 방식으로 대응한다. 위협이 잡히면, 가시는 인간에게서 피를 흘리게 하고 상당한 고통을 줄 수 있다.[19]

일부 종은 곤충이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화학 화합물을 포함한 방어 분비물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앞쪽(앞) 가장자리에 있는 한 쌍의 샘을 갖추고 있다. 일부는 독특한 냄새를 생성하고, 다른 일부는 포식자의 눈과 입에 따끔거리고 타는 듯한 느낌을 유발할 수 있다.[20] 스프레이에는 종종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휘발성 대사산물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이전에 곤충이 식물성 식품 공급원에서 농축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곤충이 자체 방어 화학 물질을 제조하는 것으로 보인다.[21] 또한, 적어도 한 종인 ''Anisomorpha buprestoides''의 방어 스프레이 화학 물질은[21] 곤충의 생활 단계 또는 특정 개체군에 따라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이러한 화학 스프레이 변동은 또한 플로리다의 개체군에서 지역별 색상 형태와 일치하며, 다른 변종은 뚜렷한 행동을 보인다.[23] ''Megacrania nigrosulfurea''의 스프레이는 파푸아뉴기니의 한 부족이 항균 성분 때문에 피부 감염 치료에 사용한다.[24] 일부 종은 더 짧은 거리의 방어 분비를 사용하며, 방해를 받으면 개체가 다리 관절과 외골격 이음새를 통해 반사적으로 출혈하여 맛이 없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혈액(혈림프)이 포식자를 단념시킨다. 또 다른 계략은 괴롭힘을 당할 때 위 내용물을 역류시켜 잠재적인 포식자를 격퇴하는 것이다.[25]

방어 수단 중 하나로, 적에게 습격당했을 때 다리를 스스로 잘라내는 자절을 하는 종이 많다. 잃어버린 다리는 자절이 어린 유충 시기에 이루어진 것이라면 탈피와 함께 재생되지만, 성장 단계의 말기에 가까운 시기의 자절일수록 재생되기 어렵고, 최종 유충, 성충에서의 자절은 재생되지 않는다.

4. 생활사

대벌레의 생활사는 암컷이 알을 낳으면서 시작된다. 암컷은 산란관이나 배 전체를 움직여 알을 땅에 튕기거나, 숙주 식물의 겨드랑이에 알을 조심스럽게 놓거나, 흙 속 작은 구덩이에 묻거나, 먹이 식물의 줄기나 잎에 붙이는 방식으로 산란한다. 암컷 한 마리는 종에 따라 짝짓기 후 100개에서 1,200개의 알을 낳는다.[19]

많은 대벌레 종은 처녀생식을 한다. 즉, 암컷은 수컷과 짝짓기를 하지 않고도 알을 낳아 새끼를 낳을 수 있다. 처녀생식으로 태어난 알은 모두 암컷이며, 어미와 똑같은 약충으로 부화한다. 교잡으로 생겨난 대벌레 종은 보통 의무적 처녀생식을 하며,[26] 비잡종은 선택적 처녀생식을 하여 유성 생식 능력을 유지한다. 이들의 성적 행동은 수컷의 존재와 풍부함에 달려있다.[27]

대벌레 알은 모양과 크기가 씨앗과 유사하며 단단한 껍질을 가지고 있다. 알에는 뚜껑과 같은 구조인 덮개가 있어 약충이 부화할 때 이 덮개를 열고 나온다. 알이 부화하기까지는 13일에서 70일 이상 걸리며, 평균 20일에서 30일 정도이다.[19] 온대 지역의 일부 종은 겨울 동안 발달이 지연되는 휴면을 겪는다. 휴면은 알을 낳는 성충에 대한 광주기성의 영향으로 시작되거나 유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휴면은 겨울 추위에 노출되면 깨지고, 다음 봄에 알이 부화한다. ''Diapheromera femorata''와 같은 경제적으로 중요한 종은 휴면으로 인해 2년 주기로 발생한다.[28]

다양한 대벌레 종의 알 (축척 아님)


많은 종의 알은 덮개 위에 지방질 덩어리 모양의 머리를 가지고 있다. 이 구조는 개미 유충의 먹이인 일부 식물 씨앗의 엘라이오솜과 유사하여 개미의 관심을 끈다. 개미는 알을 지하 둥지로 가져가 머리를 제거하여 유충에게 먹이지만, 대벌레 배아는 해치지 않는다. 알은 둥지에서 부화하고, 처음에는 개미를 닮은 어린 약충(대벌레의 또 다른 모방 사례)은 둥지에서 나와 나무로 올라가 잎사귀 속에서 안전을 찾는다.[19] 대벌레 알은 옥살산칼슘으로 코팅되어 있어 조류의 소화관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조류가 처녀생식 대벌레 종, 특히 섬으로의 확산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9]

대벌레는 불완전 변태를 하며, 여러 번의 약충 령기를 거친다. 약충은 부화 후 허물을 먹는다. 대부분의 종은 여러 번 탈피 후 몇 달이 지나면 성체가 된다. 대벌레의 수명은 종에 따라 다르지만, 몇 달에서 최대 3년까지이다.[30]

5. 분포

대벌레목은 남극파타고니아를 제외한 전 세계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이들은 열대아열대 지역에 가장 많다.[12] 동남아시아남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다양성이 발견되며, 그 다음으로 오스트레일리아, 중앙 아메리카, 그리고 미국 남부 지역에서 발견된다.[12] 보르네오 섬에서는 300종 이상의 종이 알려져 있으며, 이곳은 대벌레목이 가장 풍부한 지역이다.[13] 열대에서 온대에 분포한다.[68]

6. 분류

대벌레목의 분류는 복잡하고, 구성원 간의 관계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35] 목 이름에 대한 혼란도 있는데, 많은 학자들이 Phasmida라는 명칭을 선호하지만, 이는 잘못 형성된 이름이다.[39] Phasmatodea는 올바르게 형성된 명칭이며 널리 사용되고 있다.[39]

대벌레목은 바퀴목, 사마귀목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이들의 관계는 불확실하며, 이 그룹은 분기도가 아닐 수 있다. 대벌레목은 한때 메뚜기목의 아목으로 취급되었으나, 현재는 자체적인 목으로 인정받고 있다.[37] 대벌레목의 모든 종은 방어 목적으로 가슴 앞부분 내부에 한 쌍의 외분비선을 가지고 있으며, 교미 시 수컷이 암컷을 잡을 수 있도록 돕는 특수 경화판인 맹판을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38]

전통적으로 대벌레목은 다리 아랫면에 웅덩이 모양의 영역(아레올라) 유무에 따라 Anareolatae와 Areolatae 두 아목으로 나뉘었으나, 이 분류는 계통발생 관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39] 최근에는 대벌레목을 아가테메라아목(Agathemerodea), 티메마아목(Timematodea), 대벌레아목(Verophasmatodea)의 세 아목으로 나누는 분류 체계가 제안되기도 하지만,[40] 분자 연구 결과는 이를 완전히 뒷받침하지 않는다.[41][42][43]

가장 오래된 대벌레 화석은 중쥐라기에 나타난 Susumanioidea이며, 현대 대벌레류는 초기 백악기에 처음 나타났다.[46] 가장 오래된 잎벌레(Phylliinae) 화석은 독일 메셀에서 발견된 ''Eophyllium messelensis''로, 현존하는 종과 매우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이 그룹의 행동 양식이 거의 변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47]

현재 3,500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아직 기술되지 않은 종도 많다.[48][43]

아목종 수정의 노트이미지
Timematodea21[49]계통 발생 트리에서 가장 먼저 분기된 것으로 간주됨
Timema dorotheae
Euphasmatodea3514[50]현존하는 종의 대다수
Phasma gigas



2002년 "생명의 나무 프로젝트"(''The Tree of Life Web Project'')에서는 다음과 같은 계통 분류를 제안했다.[80]

Phylliidae에 속하는 잎벌레

6. 1. 한국의 대벌레

コブキテヅルモドキ일본어 Datames mouhoti영어 (Bates, 1865)는 몸길이가 수컷 37 - 42mm, 암컷 45 - 51mm이다. 일본 (규슈 (오스미 반도), 오키나와섬, 쿠메지마, 미야코지마, 이리오모테섬), 중국, 타이완에 분포하며 양성생식을 한다.

オオナナフシモドキ일본어 Baculum irregulariterdentatum영어 (Brunner von Wattenwyl, 1907)는 몸길이가 수컷 57 - 62mm (매우 드물며 몇 마리밖에 발견되지 않음), 암컷 74 - 100mm이다. 일본 (간토 혼슈, 시코쿠, 규슈)에 분포한다. Phraortes elongatusnl와 혼동되는 예가 많지만, 속은 '''더듬이가 짧고''', Phraortesnl 속은 '''더듬이가 긴'''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イシガキナナフシ일본어 Entoria ishigakiensis영어 (Shiraki, 1935)는 일본 (이시가키섬, 이리오모테섬), 타이완에 분포한다. Entoria okinawaensisnl와 동종일 가능성이 있다.

ヤマトナナフシ일본어 Entoria japonica영어 (Shiraki, 1911)와 オオナナフシ일본어 Entoria magna영어 (Shiraki, 1911)는 원기재 논문에 Yoshihama에서 채집했다는 기록이 있고, Shiraki (1935)는 가나가와현 Yoshihama로 기재하였으나, 그 후 기재가 없어 자세한 내용은 불명이다.

Entoria nuda영어 (Brunner von Wattenwyl, 1907)는 일본 (아마미오섬, 이시가키섬, 다이토 제도), 타이완에 분포한다.

オキナワナナフシ일본어 Entoria okinawaensis영어 (Shiraki, 1935)는 일본 (아마미오섬, 오키나와섬, 구메섬, 미나미다이토섬, 미야코섬, 이시가키섬, 야에야마 제도|이리오모테섬]])에 분포한다. 미야코대벌레 ミヤコナナフシ일본어 Entoria miyakoensis영어 (Shiraki, 1935)와 나고대벌레 ナゴナナフシ일본어 Entoria nagoensis영어 (Shiraki, 1935)는 동종이다.

Rhamphophasma japanicum영어 (Brunner von Wattenwyl, 1907)는 일본에 분포한다.

ニホントビナナフシ일본어 Micadina phluctainoides영어 (Rehn, 1904)는 몸길이가 수컷 36 - 40mm, 암컷 46 - 56mm이다. 일본(이바라키현 이서의 혼슈, 규슈, 아마미오섬, 오키나와섬, 구메섬)에 분포한다. 혼슈의 개체는 단성생식을 하지만, 야쿠섬 이남의 개체는 양성생식을 한다. 류큐점박이대벌레 リュウキュウトビナナフシ일본어 Micadina rotundata영어 (Shiraki, 1935)는 동종이다.[75]

ヤスマツトビナナフシ일본어 Micadina yasumatsui영어 (Shiraki, 1935)[72]는 일본(혼슈, 시코쿠, 규슈)에 분포한다. 단성생식을 하며, 수컷은 알려지지 않았다.

シラキトビナナフシ일본어 Micadina fagi영어 (Ichikawa and Okada, 2008)[75]는 일본(홋카이도)에 분포한다. 단성생식을 하며, 수컷은 알려지지 않았다.

가시대벌레(トゲナナフシ일본어 Neohirasea japonica영어 (de Haan, 1842)는 몸길이가 암컷 57-75mm이다. 일본(지바현 이서의 혼슈, 시코쿠, 규슈)에 분포한다. 가시대벌레붙이(Neohirasea lugens영어 (Brunner von Wattenwyl, 1907)는 동종이다.[76]

나뭇가지대벌레


나뭇가지대벌레(ナナフシモドキ일본어 Phraortes illepidus영어 (Brunner von Wattenwyl, 1907)는 몸길이가 수컷 65-82mm, 암컷 82-110mm이다. 일본(혼슈, 시코쿠, 규슈, 도입종으로 홋카이도), 타이완에 분포한다. 체색은 녹색형, 짙은 갈색형, 회갈색형으로 다양하다. 햇볕이 잘 드는 잡목림 등에서 발견된다. 식성은 벚나무, 찔레, 참나무, 떡갈나무 등 다양하다. 도시 근교에도 많이 서식하는 흔한 종이다. 대벌레(Phraortes elongatus영어 (Thunberg, 1815)와 Phraortes mikado영어 (Rehn, 1904)는 동종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벌레붙이를 Phraortes elongatus영어 (Thunberg, 1815)로 혼동하는 경우가 많지만, 속은 '''더듬이가 짧고''', Phraortesnl 속은 '''더듬이가 긴'''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미야코나뭇가지대벌레(ミヤコモドキ일본어 Phraortes miyakoensis영어 (Shiraki, 1935)는 일본(오키나와섬, 미야코지마, 이시가키섬, 이리오모테섬)에 분포한다.

타이완날개대벌레(Sipyloidea sipylus영어 (Westwood, 1859)는 일본(규슈, 아마미오섬, 오키노에라부섬, 오키나와섬, 이시가키섬, 이리오모테섬), 중국, 타이완,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단성생식을 하며, 수컷은 매우 드물다.

7. 인간과의 관계

대벌레는 연구나 애완동물로 길러지는데, 거의 300종이 사육된다.[59] 가장 흔하게 사육되는 것은 인도(또는 실험실) 대벌레인 ''Carausius morosus''로, 상추와 같은 채소를 먹는다.[60] 말레이시아 화교들은 특정 식물로 사육된 대벌레 ''Eurycnema versirubra''(Serville, 1838) [=''Eurycnema versifasciata'']의 배설물을 질병 치료를 위한 약재 차로 만들어 마신다.[61]

식물 세밀화가 마리안 노스(1830–1890)는 1870년대 여행 중에 본 잎벌레와 대벌레를 그렸다.[62]

마리안 노스의 대벌레 그림, 1870년대


사라왁의 부족민들은 파스미드와 그 알을 먹는다.[63] 덩트르카스토 제도의 일부 원주민들은 전통적으로 특정 파스미드의 다리로 낚시 바늘을 만들었다.[64]

대벌레의 보행 방식을 분석하여 6족 보행 로봇 공학에 적용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파스미드의 각 다리는 중앙 집중식 제어 시스템 대신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보인다.[65]

오스트레일리아와 하와이에서는 골리앗, 가시, 어린이 대벌레를 포함한 많은 종류의 대벌레가 이국적인 애완동물로 길러진다. 대벌레를 애완동물로 기르는 관습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또는 베트남 전쟁 동안 중국인, 일본인 또는 베트남인 이민자에 의해 오스트레일리아로 전해졌을 가능성이 높다.

대벌레는 한나라 시대부터 애완동물로 길러졌다. 극동 지역 사람들은 대벌레가 귀뚜라미처럼 행운과 를 가져다준다고 믿었으며, 새장 안에 보관되었다.[66]

비디오 게임 ''Disco Elysium''에는 거대한 대벌레와 인슐린디안 파스미드라는 크립티드를 중심으로 한 줄거리가 포함되어 있다.

대벌레가 춤추는 듯한 방식으로 앞뒤로 흔들리는 클립은 2020년에 미끼와 전환으로 인터넷 밈이 되었다.[67]

로드하우 대벌레는 멸종된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오스트레일리아 동쪽의 암초 볼스 피라미드에서 생존해 있는 것이 재발견되었다.[78]

참조

[1] 서적 Ozark Magic and Folklore. http://worldcat.org/[...] Dover Publications 2012
[2] 웹사이트 World's longest insect revealed http://www.nhm.ac.uk[...] Natural History Museum 2008-10-16
[3] 서적 Insect Biodiversity: Science and Society John Wiley & Sons Ltd
[4] 간행물 Revision of ''Timema'' Scudder (Phasmatoptera: Timematodea) including three new species 1993
[5] 웹사이트 World's New Longest Insect Is The Length Of Your Arm https://www.iflscien[...] 2017-08-14
[6] 웹사이트 Phasmids: An Introduction to the Stick Insects and Leaf Insects http://phasmid-study[...]
[7] 서적 Introduction to Insect Biology and Diversity Oxford University Press
[8] 문서 To be or not to be: postcubital vein in insects revealed by microtomography https://hal.archives[...]
[9] 문서 A second view on the evolution of flight in stick and leaf insects (Phasmatodea) https://bmcecolevol.[...]
[10] 간행물 Post-embryonic photoreceptor development and dark/light adaptation in the stick insect Carausius morosus (Phasmida, Phasmatidae)
[11] 웹사이트 How stick insects honed friction to grip without sticking http://phys.org/news[...] Phys.org 2014-02-19
[12] 웹사이트 Distribution for order Phasmida http://phasmida.spec[...]
[13] 서적 Phasmids of Borneo Kota Kinabalu 2001
[14] 서적 Insect Behavior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5] 간행물 The swaying behavior of Extatosoma tiaratum: motion camouflage in a stick insect? 2016-01-01
[16] 간행물 The defensive behaviour of the Javanese stick insect, ''Orxines macklotti'' De Haan, with a note on the startle display of ''Metriotes diocles'' (Westw.)(Phasmatodea, Phasmidae)
[17] 간행물 The defensive behavior of ''Pterinoxylus spinulosus'' Redtenbacher, a winged stick insect from Panama (Phasmatodea)
[18] 웹사이트 ''Diapheromera femorata'': Common American Walkingstick http://animaldiversi[...] University of Michigan
[19] 간행물 Biology and Ecology of the Phasmatodea
[20] 간행물 Insects and their chemical weaponry: New potential for drug discovery 2010-12
[21] 간행물 Single-Insect NMR: A New Tool To Probe Chemical Biodiversity 2006-09
[22] 간행물 Developmental and Geographical Variation in the Chemical Defense of the Walkingstick Insect Anisomorpha buprestoides
[23] 간행물 Survey of the Color Forms of the Southern Twostriped Walkingstick (Phasmatodea: Areolatae: Pseudophasmatidae: Pseudophasmatinae: Anisomorphini), With Notes on Its Range, Habitats, and Behaviors 2009-03
[24] 간행물 Actinidine and glucose from the defensive secretion of the stick insect ''Megacrania nigrosulfurea''
[25] 서적 The Other Insect Societie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6] 간행물 Hybrid origin of a parthenogenetic genus?
[27] 간행물 Geographic parthenogenesis and the common tea-tree stick insect of New Zealand
[28] 서적 Encyclopedia of Insect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9] 간행물 Potential role of bird predation in the dispersal of otherwise flightless stick insects http://www.lib.kobe-[...] 2018-05-29
[30] 웹사이트 Stick Insect: Phasmida http://animals.natio[...] National Geographic 2010-03-12
[31] 간행물 Population dynamics and natural history of a neotropical walking stick, Lamponius Portoricensis Rehn (Phasmatodea: Phasmatidae)
[32] 간행물 The worldwide status of stick insects (Insecta: Phasmida) as pests of agriculture and forestry, with a generalised theory of phasmid outbreaks 2015
[33] 서적 Insect Enemies of Eastern Forests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34] 간행물 The importance of research into forest insect problems in New South Wales
[35]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the Phasmatodea http://www.phasmatod[...] Phasmatodea.com
[36] 서적 Animal biodiversity: An outline of higherlevel classification and survey of taxonomic richness
[37] 웹사이트 Phasmida Species File Online. Version 5.0 http://phasmida.spec[...] 2015-10-02
[38] 서적 Leaf and Stick Insects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39] 간행물 Revision of the genera of the Areolatae, including the status of ''Timema'' and ''Agathemera'' (Insecta: Phasmatodea) http://www.sidalc.ne[...]
[40] 서적 Animal biodiversity: An outline of higher-level classification and survey of taxonomic richness https://books.google[...] Magnolia Press
[41] 간행물 Extreme convergence in stick insect evolution: phylogenetic placement of the Lord Howe Island tree lobster
[42] 간행물 A molecular phylogeny of Phasmatodea with emphasis on Necrosciinae, the most species-rich subfamily of stick insects
[43] speciesfile Phasmida Leach, 1815 2024-06-15
[44] speciesfile Agathemeridae Bradler, 2003 2024-06-15
[45] speciesfile Agathemerodea Zompro, 2004 2024-06-15
[46] 간행물 The oldest Euphasmatodea (Insecta, Phasmatodea): modern morphology in an Early Cretaceous stick insect fossil from the Crato Formation of Brazil https://onlinelibrar[...] 2022-05
[47] 간행물 The first fossil leaf insect: 47 million years of specialized cryptic morphology and behavior 2006
[48] 문서 Phasmids of Borneo Natural History Publications (Borneo), Kota Kinabalu
[49] speciesfile Timematodea Kevan, 1977 2024-06-15
[50] speciesfile Euphasmatodea Bradler, 1999 2024-06-15
[51] 뉴스 Insect poses prickly questions http://www.odt.co.nz[...] Otago Daily Times 2013-10-16
[52] 간행물 Missing stickman found: The first male of the parthenogenetic New Zealand Phasmid genus Acanthoxyla Uvarov, 1944 discovered in the United Kingdom 2018
[53] 간행물 "Dryococelus australis" 2021-11-13
[54] 웹사이트 Indian walking stick http://www.ipm.ucdav[...] UC IPM 2015-10-10
[55] 간행물 Stem-group stick insects (Phasmatodea) in the early Eocene at McAbee, British Columbia, Canada, and Republic, Washington, United States of America
[56] 문서 Eine zusatzliche oder alternative Funktion der 'kryptischen' Schaukelbewegung bei Gottesanbeterinnen und Stabschrecken (Mantodea, Phasmatodea). 1991-01-15
[57] 간행물 Effects of Mating on Predation in the Stick Insect Diapheromera veliei Walsh (Phasmatodea: Heteronemiidae)
[58] 간행물 Intersexual Aggression in the Stick Insects ''Diapheromera veliei'' and ''D. covilleae'' and Sexual Dimorphism in the Phasmatodea
[59] 간행물 Changes to the PSG Culture List
[60] Submitted manuscript Effects of different diets on the survival, longevity and growth rate of the Annam stick insect, Medauroidea extradentata (Phasmatodea: Phasmatidae)
[61] 간행물 The winged stick insect, Eurycnema versifasciata Serville (Phasmida, Phasmatidae), 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life history
[62] 웹사이트 Leaf-Insects and Stick-Insects https://artuk.org/di[...] 2015-10-02
[63] 간행물 The worldwide status of phasmids (Insecta: Phasmida) as pests of agriculture and forestry, with a generalised theory of phasmid outbreaks https://nhm.openrepo[...] 2015
[64] 서적 The lexicon of Proto Oceanic vol. 1 Material culture https://openresearch[...] Pacific Linguistics 2020-02-09
[65] 간행물 Control of Walking in the Stick Insect: From Behavior and Physiology to Modeling 1999
[66] 웹사이트 Care of Stick Insects - Australian Museum https://australian.m[...] 2016-05-08
[67] 뉴스 Our Turn: 2020's Best Meme https://www.fsunews.[...] 2024-11-10
[68] 서적 節足動物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69] 웹사이트 「色が違う」5歳児、珍しいオスのナナフシモドキ発見 https://www.asahi.co[...] 2021-05-28
[70] 서적 自律ロボット概論 プレミアムブックス版 マイナビ出版
[71] 웹사이트 ナナフシは鳥に食べられて子孫を拡散させる!?~飛べない昆虫の新たな長距離移動法の提唱 https://www.kobe-u.a[...] 2023-11-19
[72] 간행물 Orthoptera of the Japanese Empire (Part IV) Phasmidae 1935
[73] 학술지 Phasmiden und Mantiden Japans. 日本動物学会
[74] 간행물 On the identity of Entoria okinawaensis Shiraki (Phasmida) 1998
[75] 학술지 Review of Japanese species of Micadina Redtenbacher (Phasmatodea, Diapheromeridae), with description of a new speces 日本直翅類学会
[76] 서적 Catalogue of type specimens of stick- and leaf-insects in the Naturhistorisches Museum Wien (Insecta: Phasmida) Naturhistorisches Museum
[77] 뉴스 全長62.4センチのナナフシ、世界最長の昆虫か 新華社 https://www.afpbb.co[...] 프랑스통신사|AFP 2016-05-06
[78] 웹사이트 幻の昆虫「ロードハウナナフシ」は生きていた ―― 再発見の物語 https://www.oist.jp/[...] 2017-10-06
[79] 서적 Phasmids of Borneo Natural History Publications (Borneo)
[80] 웹사이트 Strepsiptera. Twisted-wing parasites. Version 24 September 2002 http://tolweb.org/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