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롱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롱성은 베트남 메콩강 삼각주에 위치한 성으로, 1732년 응우옌 왕조에 의해 개척되었다. 19세기 후반 떠이선 왕조와 응우옌 왕조 간의 격전지였으며, 베트남 전쟁 시기에는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다. 1976년 짜빈성과 합병되어 끄우롱성이 되었다가 1991년 다시 분리되었다. 현재는 1개의 성급 시, 1개의 시사, 6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업과 농업이 발달했다. 주요 농산물로는 망고스틴, 람부탄, 두리안 등이 있으며, 국도 1A와 미투언 대교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롱성 - 껀터 대교
껀터 대교는 베트남 껀터와 빈롱 성을 연결하는 메콩강의 사장교로서, 베트남 국도 1A호선 남북 종단 프로젝트의 일부이며 건설 중 붕괴 사고로 개통이 지연되었으나 완공 후 지역 교통 흐름 개선에 기여했다. - 빈롱성 - 빈롱 (빈롱성)
빈롱은 베트남 빈롱성에 위치한 메콩강 삼각주의 교통 요충지 도시로, 꼬찌엔강을 끼고 있어 수상 교통이 발달했으며, 11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안빈섬, 까이베 수상 시장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빈롱성의 지리 - 빈민 (베트남)
빈민은 베트남 빈롱성에 위치한 시 trấn으로, 껀터 시와 인접한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자몽 생산지로 알려져 있다. - 빈롱성의 지리 - 땀빈현
땀빈현은 베트남 롱안성에 위치한 현이다. - 메콩강 삼각주 - 롱안성
롱안성은 베트남 남부 경제 요충지이며, 열대 몬순 기후에 속하고, 1개의 성급 시, 1개의 시사, 13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의 충청남도와 우호 교류 협력을 맺고 있다. - 메콩강 삼각주 - 안장성
안장성은 메콩강 삼각주 상류에 위치한 베트남의 성으로, 하우장강과 티엔장강이 흐르는 평야 지대이며 쌀 생산이 활발하고 캄보디아와 국경을 접하며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는 지역이다.
빈롱성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빈롱 성 |
별칭 | 영원한 번영 |
국가 | 베트남 |
지역 | 메콩 강 삼각주 |
성도 | 빈롱 |
면적 | 1525.73 km² |
인구 (2023년) | 1,329,630 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2022년) | 1,028,820 명 |
행정 | |
인민위원회 주석 | 르 꽝 응어이 |
인민의회 의장 | 부이 반 응히엠 |
경제 | |
총 GDP | 47.121조 VND (20.47억 USD) |
사회 및 문화 | |
민족 | 베트남인, 크메르족, 호아족, 참족 |
인적 개발 지수 (HDI) (2020년) | 0.713 (29위) |
기타 정보 | |
시간대 | ICT |
UTC 오프셋 | +7 |
전화 지역 번호 | 70 |
ISO 3166-2 | VN-49 |
공식 웹사이트 | 빈롱 성 공식 웹사이트 |
이미지 | |
![]() | |
![]() | |
![]() | |
![]() | |
언어 | |
베트남어 | Tỉnh Vĩnh Long (省永隆) |
한자 | 省永隆 |
2. 역사
1732년, 응우옌 왕조의 응우옌푹쭈에 의해 개척되었다. 당시에는 용호영(龍湖營)에 속해 정원(定遠)이라 불렸으나, 1779년에 홍진(弘鎮)으로 개칭되었다. 1780년부터 1805년까지는 영진(永鎮)이라 불렸고, 1806년부터 1832년까지 다시 영청진(永清鎮)으로 개칭되었다. 1832년부터 1950년까지는 성(省)으로 승격되어 빈롱(Vĩnh Long)이라 불렸다.
오늘날의 빈롱성은 1732년 응우옌 왕조가 세운 롱호딘(營)의 일부로서, 벤째성, 짜빈성, 껀터의 일부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역은 18세기 후반에 떠이선 왕조의 형제들과 응우옌 왕조 사이에 가장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1784년 응우옌후에는 망팃강에서 응우옌아인을 돕는 시암군을 격파했다.
1951년부터 1954년까지는 빈짜(Vĩnh Trà/永茶)성이라 불렸고, 1954년부터 1975년까지는 다시 빈롱(Vĩnh Long)성이라 불렸다. 1951년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남부 저항 행정 위원회는 빈롱성과 짜빈성을 통합하여 빈짜성으로 합병하였다. 빈짜성은 1954년까지 존재했다. (그러나, 북베트남은 이 지역을 상당 기간 관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협정은 시행되지 않았다.) 1957년에 남베트남은 빈롱성을 형성했는데, 쩌우타인현, 쯔락현(현재의 벤째성 일부), 땀빈현, 빈민현, 사덱현, 럽보현 6개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1961년 까이늄현이 쯔락현에서 분리되었다. 득똔현과 득타인현이 1962년에 추가되었지만, 1966년에 새로 형성된 사덱성에 합류했다. 1975년을 기준으로 그 지방에는 일곱 개의 현이 있었다. (쩌우타인현, 쯔락현, 땀빈현, 빈민현, 민득현, 짜온현, 붕리엠현)
사이공 함락 이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은 빈롱성을 짜빈성과 합병하여 1976년 끄우롱성을 형성하였다. 1976년부터 1992년까지는 구룡(九龍/꾸롱)성으로 개칭되었다. 1991년 끄우롱성은 다시 빈롱성과 짜빈성으로 갈라졌다. 분단 당시 빈롱성은 1개 시(빈롱시)와 5개의 현(롱호, 붕리엠, 빈민, 땀빈, 짜온)으로 구성되었다.
1992년 5월 5일 이후로는 빈롱(Vĩnh Long)으로 개칭되었다. 1992년, 망팃현은 롱호현에서 다시 분할되었다. 2007년에는 빈떤현이 새로 만들어졌다.
2. 1. 응우옌 왕조와 떠이선 왕조
오늘날의 빈롱성은 1732년 응우옌 왕조가 세운 롱호딘(營)의 일부로서, 벤째성, 짜빈성, 껀터의 일부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4] 이 지역은 18세기 후반에 떠이선 왕조의 형제들과 응우옌 왕조 사이에 가장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1784년 응우옌후에는 망팃강에서 응우옌아인을 돕는 시암군을 격파했다.[4]2. 2. 프랑스 식민 통치와 베트남 전쟁
오늘날의 빈롱성은 1732년 응우옌 왕조가 세운 롱호딘(營)의 일부로서, 벤째성, 짜빈성, 껀터의 일부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4] 이 지역은 18세기 후반에 떠이선 왕조의 형제들과 응우옌 왕조 사이에 가장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1784년 응우옌후에는 망팃강에서 응우옌아인을 돕는 시암군을 격파했다.1951년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남부 저항 행정 위원회는 빈롱성과 짜빈성을 통합하여 빈짜성으로 합병하였다. 빈짜성은 1954년까지 존재했다. 1957년에 남베트남은 빈롱성을 형성했는데, 쩌우타인현, 쯔락현(현재의 벤째성 일부), 땀빈현, 빈민현, 사덱현, 럽보현 6개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1961년 까이늄현이 쯔락현에서 분리되었다. 득똔현과 득타인현이 1962년에 추가되었지만, 1966년에 새로 형성된 사덱성에 합류했다.
사이공 함락 이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은 빈롱성을 짜빈성과 합병하여 1976년 끄우롱성을 형성하였다. 1991년 끄우롱성은 다시 빈롱성과 짜빈성으로 갈라졌다.
2. 3. 현대
응우옌 왕조 시대인 1732년 오늘날의 빈롱성은 롱호딘(營)의 일부로서, 벤째성, 짜빈성, 껀터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고 있었다.[4] 이 지역은 18세기 후반 떠이선 왕조와 응우옌 왕조 사이의 격전지였다. 1784년 망팃강에서 응우옌후에는 응우옌아인을 지원하던 시암군을 격파했다.[4]1951년 베트남 민주공화국은 빈롱성과 짜빈성을 통합하여 빈짜성을 설립했으나, 실질적인 시행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57년 남베트남은 빈롱성을 6개 현으로 구성하여 설립하였다. 1961년 까이늄현이 쯔락현에서 분리되었고, 1962년 득똔현과 득타인현이 추가되었다가 1966년 사덱성에 편입되었다.
1975년 남베트남 멸망 이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은 빈롱성과 짜빈성을 합병하여 1976년 끄우롱성을 설립하였다. 1991년 끄우롱성은 다시 빈롱성과 짜빈성으로 분리되었으며, 당시 빈롱성은 1개 시와 5개 현으로 구성되었다. 1992년 망팃현이 롱호현에서 다시 분리되었고, 2007년에는 빈떤현이 신설되었다.[4]
3. 지리
메콩강 삼각주 중앙, 하우강(Bassac River)과 티엔강 사이에 위치한 빈롱성은 어업으로 유명하다. 면적은 1,496km²이다. 동경 105°41′18″~106°17′03″, 북위 9°52′40″~10°19′48″에 위치한다. 동쪽은 벤쩌성(Bến Tre), 남동쪽은 짜빈성(Trà Vinh), 서쪽은 껀터(Cần Thơ), 북서쪽은 동탑성(Đồng Tháp), 북쪽은 띠엔장성(Tiền Giang)과 접한다. 면적은 1,479.128km²로 베트남 전체 면적의 0.4%를 차지한다.
== 지형 ==
빈롱성은 메콩강 삼각주 중앙, 하우강(Bassac River)과 티엔강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어업으로 유명하다. 비교적 평탄한 저지대이며, 경사는 2도 미만이다. 중심부는 분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티엔장강(Tiền Giang)과 하우강(Hậu Giang) 방향으로 갈수록 고도가 점차 높아진다. 빈롱의 지층 구조는 이 지역과 마찬가지로 주로 신생대 제4기 해양 퇴적물로 형성되었다. 대규모 알칼리성 토양을 가지고 있지만, 알칼리 성분을 생성하는 지층이 상당히 깊기 때문에 알칼리 성분 비율이 낮아 동 지역의 다른 성에 비해 가장 비옥하다.
== 기후 ==
메콩강 삼각주 중앙, 하우강(Bassac River)과 티엔강 사이에 위치한 빈롱성은 어업으로 유명한 성이다. 빈롱성의 기후는 열대 고온 다습하며, 우기와 건기로 나뉜다. 평균 강수량은 1,400~1,450mm이며, 그중 강수량이 가장 많은 4월부터 11월까지가 연간 강수량의 약 85%를 차지한다. 평균 기온은 27℃로 비교적 높고, 최고 기온은 36.9℃, 최저 기온은 17.7℃이다. 일교차는 7.3℃이다. 평균 습도는 79.8%, 연간 일조 시간은 2,400시간이다.
== 자연환경 ==
빈롱성은 메콩강 삼각주 중앙, 하우강(Bassac River)과 티엔강 사이에 위치하여 어업으로 유명하다. 티엔장강(Tiền Giang)과 하우강(Hậu Giang) 유역에는 수만 헥타르에 달하는 충적토가 퇴적되어 있다. 홍수기 평균 충적량은 374 g/m²이다. 토양이 비옥하여 쌀 생산량이 높고, 3모작이 가능하다. 하천과 수로가 교차하는 곳에 도시가 형성되어 교역, 물류, 정보의 중심지가 된다. 빈롱성의 하천에서는 건축 자재로 사용되는 점토와 자갈을 풍부하게 채취할 수 있다. 자갈 매장량은 약 1억~1억 5천만 m³이며, 점토 매장량은 약 2억 m³로 주로 벽돌이나 도자기 생산에 이용된다.
3. 1. 지형
빈롱성은 메콩강 삼각주 중앙, 하우강(Bassac River)과 티엔강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어업으로 유명하다. 비교적 평탄한 저지대이며, 경사는 2도 미만이다. 중심부는 분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티엔장강(Tiền Giang)과 하우장강(Hậu Giang) 방향으로 갈수록 고도가 점차 높아진다. 빈롱의 지층 구조는 이 지역과 마찬가지로 주로 신생대 제4기 해양 퇴적물로 형성되었다. 대규모 알칼리성 토양을 가지고 있지만, 알칼리 성분을 생성하는 지층이 상당히 깊기 때문에 알칼리 성분 비율이 낮아 동 지역의 다른 성에 비해 가장 비옥하다.3. 2. 기후
메콩강 삼각주 중앙, 하우강(Bassac River)과 티엔강 사이에 위치한 빈롱성은 어업으로 유명한 성이다. 빈롱성의 기후는 열대 고온 다습하며, 우기와 건기로 나뉜다. 평균 강수량은 1,400~1,450mm이며, 그중 강수량이 가장 많은 4월부터 11월까지가 연간 강수량의 약 85%를 차지한다. 평균 기온은 27℃로 비교적 높고, 최고 기온은 36.9℃, 최저 기온은 17.7℃이다. 일교차는 7.3℃이다. 평균 습도는 79.8%, 연간 일조 시간은 2,400시간이다.3. 3. 자연환경
빈롱성은 메콩강 삼각주 중앙, 하우강(Bassac River)과 티엔강 사이에 위치하여 어업으로 유명하다. 티엔장강(Tiền Giang)과 하우장강(Hậu Giang) 유역에는 수만 헥타르에 달하는 충적토가 퇴적되어 있다. 홍수기 평균 충적량은 374 g/m²이다. 토양이 비옥하여 쌀 생산량이 높고, 3모작이 가능하다. 하천과 수로가 교차하는 곳에 도시가 형성되어 교역, 물류, 정보의 중심지가 된다. 빈롱성의 하천에서는 건축 자재로 사용되는 점토와 자갈을 풍부하게 채취할 수 있다. 자갈 매장량은 약 1억~1억 5천만 m³이며, 점토 매장량은 약 2억 m³로 주로 벽돌이나 도자기 생산에 이용된다.4. 행정 구역
빈롱성은 1개의 성급 시, 1개의 시사, 6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 빈롱 (永隆/Vĩnh Longvi)
- 빈민시사 (平明/Bình Minhvi)
- 빈탄현 (平新/Bình Tânvi)
- 롱호현 (龍湖/Long Hồvi)
- 망티트현 (斌沏/Mang Thítvi)
- 땀빈현 (三平/Tam Bìnhvi)
- 짜온현 (茶溫/Trà Ônvi)
- 붕리엠현 (泳濂/Vũng Liêmvi)
이들은 다시 5개의 사급 시(또는 소도시), 94개의 사, 10개의 방으로 세분된다.
4. 1. 시
빈롱시는 빈롱성의 성도이다.4. 2. 시사
빈롱성은 1개의 성급시, 1개의 시사, 6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빈롱성에는 빈롱, 빈민, 빈탄, 롱호, 망티트, 땀빈, 짜온, 붕리엠이 있다.4. 3. 현
빈롱성은 6개의 현과 1개의 시사, 1개의 성도로 구성되어 있다.- 빈떤현(Bình Tân / 平新縣)
- 롱호현(Long Hồ / 龍湖縣)
- 망팃현(Mang Thít / 斌沏縣)
- 땀빈현(Tam Bình / 三平縣)
- 짜온현(Trà Ôn / 茶溫縣)
- 붕리엠현(Vũng Liêm / 淎濂縣)
빈롱 성에는 5개의 사급 시, 94개의 사, 10개의 방이 있다.
5. 인구 통계
2019년 4월 1일 기준으로, 빈롱성의 인구는 102만 2791명(메콩 삼각주 13개 성 및 도시 중 10위)이었고, 인구 밀도는 687명/km²이었다. 이 중 도시 인구는 16만 9862명으로 지방 인구의 16.6%를 차지하며, 농촌 인구는 852,929명으로 인구의 83.4%를 차지한다. 남자 인구는 503,878명이다. 반면에 여성 인구는 518,913명이 된다. 15세부터 59세까지의 연령층이 빈롱 인구의 69.83%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2세대는 0세부터 14세, 60세 이상까지로 각각 지방 인구의 9.09%와 21.08%를 차지한다. 지역별 자연 인구 증가율은 0.02‰ 감소, 자연 인구 증가율은 0.87%이다.[7]
2009년 1월 4일까지 베트남 통계청에 따르면, 빈롱성은 20개의 민족을 가지고 있고 외국인들이 살고 있다. 낀족이 997,792명인 크메르는 21,820명, 중국인은 4987명, 나머지는 따이족, 참족, 므엉족 등의 민족이다.[8]
2019년 4월 1일 기준으로, 빈롱성은 11개의 전체 종교인은 372,280명에 달하며, 대부분이 불교인이 187,660명, 호아하오교는 66,269명, 가톨릭은 66,220명, 까오다이교는 46,226명이며[9], 개신교와 같은 다른 종교는 3,641명, 베트남 순수한 불교는 1,842명이며, 유교도는 1,842명, 그레이스 4세대(불교 계열)는 327명, 무슬림 56명, 민스도가 22명, 브우손끼흐엉이 16명, 나머지는 브라만으로 오직 한 사람뿐이다.[8]
베트남 통계청 통계자료에 따른 빈롱성의 인구는 아래 표와 같다.(단위: 명)
연도 | 인구 | 전년 대비 증가율 |
---|---|---|
2002 | 1,015,900 | 0.128% |
2003 | 1,017,400 | 0.147% |
2004 | 1,018,800 | 0.137% |
2005 | 1,020,200 | 0.137% |
2006 | 1,021,600 | 0.137% |
2007 | 1,022,800 | 0.117% |
2008 | 1,024,000 | 0.117% |
2009 | 1,025,100 | 0.107% |
2010 | 1,026,500 | 0.136% |
2011 | 1,029,100 | 0.253% |
2012 | 1,033,600 | 0.437% |
2013 | 1,040,500 | 0.667% |
2014 | 1,046,390 | 0.566% |
인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인구밀도는 698명/km² (2014년)으로 메콩 삼각주의 1.7배, 전국의 2.8배이며, 메콩 삼각주에서는 껀터 다음으로 2위이다. 빈롱시를 제외하고, 도내 다른 지역의 인구밀도 분포는 거의 동일하다. 인구밀도가 가장 낮은 곳은 쩌엉현으로 566명/km²이며, 가장 높은 롱호현의 82% 수준이다. 1990년부터 2000년까지 자연증가율은 다소 감소했다. 주요 원인은 껀터와 호찌민시(사이공)와 같은 대도시로의 이주이다. 1995년 자연증가율은 2005년 1.13%까지 감소했고, 2010년에는 0.92%까지 감소했다. 평균 출산율은 2005년 0.48%, 2010년 0.2%였다.
5. 1. 민족 구성
빈롱성의 인구는 2019년 4월 1일 기준으로 102만 2791명이며, 인구밀도는 687명/km²이다. 도시 인구는 16만 9862명으로 지방 인구의 16.6%를, 농촌 인구는 852,929명으로 83.4%를 차지한다. 남성 인구는 503,878명, 여성 인구는 518,913명이다. 15~59세 인구가 69.83%를 차지하며, 0~14세는 9.09%, 60세 이상은 21.08%이다. 지역별 자연 인구 증가율은 0.02‰ 감소, 자연 인구 증가율은 0.87%이다.[7]2009년 기준 빈롱성에는 20개의 민족이 거주하며, 낀족 997,792명, 크메르족 21,820명, 중국인 4,987명, 그 외 따이족, 참족, 므엉족 등이 있다.[8] 낀족은 각 시와 현에, 크메르족은 탐빈, 붕리엠, 빈민, 쩌우타인에, 화교는 빈롱시에 주로 거주한다.
2019년 4월 1일 기준 빈롱성의 종교 인구는 372,280명이다. 불교 187,660명, 호아하오교 66,269명, 가톨릭 66,220명, 까오다이교 46,226명이며,[9] 개신교 등 기타 종교 3,641명, 베트남 순수 불교 1,842명, 유교 1,842명, 그레이스 4세대(불교 계열) 327명, 무슬림 56명, 민스도 22명, 브우손끼흐엉 16명, 브라만 1명이다.[8]
5. 2. 종교
빈롱성의 종교는 다양하며, 2019년 4월 1일 기준으로 11개의 종교를 가진 372,280명의 신자가 있다. 이 중 불교 신자가 187,660명으로 가장 많고, 호아하오교(66,269명), 가톨릭(66,220명), 까오다이교(46,226명) 순이다.[9] 그 외에도 개신교(3,641명), 베트남 순수 불교(1,842명), 유교(1,842명) 신자 등이 있으며, 브라만교 신자는 단 한 명이다.[8] 2009년 기준으로 빈롱성에는 낀족 외에도 크메르족, 중국인 등 20개의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8]6. 경제
새우, 바사 및 짜 메기를 포함한 많은 종류의 물고기가 빈롱성의 물에서 풍부하게 서식한다. 비옥한 토양 덕분에 빈롱은 기묘하게 생긴 망고스틴, 가시가 많은 람부탄, 강한 향을 가진 두리안을 포함한 많은 이국적이고 맛있는 과일을 재배하기에 이상적인 장소이다. 빈롱의 광범위한 수로 덕분에, 이러한 과일과 다른 많은 품목들을 수상 시장의 많은 상인들에게서 아주 싼 값에 구입할 수 있다.
배를 이용하여 식료품을 사거나, 보트로만 접근할 수 있는 작은 섬에 있는 레스토랑과 관광 명소에 가는 등 일상적인 일에 배를 이용하는 것은 이곳에서 흔한 일이다. 관광 인프라는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편안한 숙박 시설과 훌륭한 음식을 즐길 수 있다.
연도 | 총생산액 (억 동) | 공업생산액 (억 동) | 농업생산액 (억 동) | 수입액 (백만 달러) | 수출액 (백만 달러) | 예산 (억 동) | 쌀 생산량 (톤) |
---|---|---|---|---|---|---|---|
2011 | 255.33 | 144.97 | 155.42 | 158 | 401 | 82.90 | 1,032,000 |
2012 | 283.35 | 169.00 | 159.33 | 103 | 412 | 88.64 | 1,080,000 |
2013 | 314.38 | 176.34 | 163.03 | 81 | 333 | 100.55 | 1,064,000 |
2014 | 361.87 | 196.25 | 169.94 | 157 | 283 | 108.06 | 1,087,000 |
빈롱성은 예로부터 띠엔장 강변의 벽돌 생산지로 알려져 왔다. 민간 기업들은 지난 15년 동안 이 지역 특유의 붉은 벽돌을 생산하여 대량으로 수출해왔다. 그러나 세계 경제의 악영향으로 벽돌 제조업이 쇠퇴하였다.
6. 1. 농업
새우, 바사와 짜 메기는 빈롱성의 물속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많은 종류의 물고기들 중 하나이다. 비옥하고 비옥한 토양은 빈롱성을 이상하게 생긴 망고스틴, 끝이 뾰족한 람부탄, 톡 쏘는 향긋한 두리안 등 많은 이국적이고 맛있는 과일들이 자라는 이상적인 장소로 만든다. 빈롱성의 광범위한 수로의 네트워크 때문에, 이 과일들과 많은 다른 물건들은 시장 상인들의 거대한 수상 시장 매대에서 싸게 구입할 수 있다.물을 이용한 여행은 보트로만 접근할 수 있는 작은 섬들에 위치한 식당과 관광지에 가는 것뿐만 아니라 식료품 쇼핑과 같은 평범한 일을 경험을 하게 해준다. 이곳에서는 관광 인프라가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지만, 아주 합리적인 가격에 편안한 숙박과 훌륭한 음식을 먹을 수 있다.
6. 2. 수산업
새우, 바사와 짜 메기는 빈롱성의 물속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많은 종류의 물고기들 중 하나이다. 비옥한 토양은 빈롱성을 망고스틴, 람부탄, 두리안 등 많은 이국적이고 맛있는 과일들이 자라는 이상적인 장소로 만든다. 빈롱성의 광범위한 수로의 네트워크 때문에, 이 과일들과 많은 다른 물건들은 시장 상인들의 거대한 수상 시장 매대에서 싸게 구입할 수 있다.6. 3. 교통
호찌민시 남서쪽으로 약 13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빈롱성은 국도 1A와 미투언 대교를 이용하여 버스, 밴 또는 자동차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하천이 많기 때문에 배는 오랜 역사를 통해 성의 주요 교통 수단이었다. 현재 성에는 딘까오 부두, 쩌엉 부두, 붕리엠 부두, 망띠뜨 부두가 있다. 지난 20년간 도로 건설에 힘써, 교통 시스템이 매우 편리해졌다.7. 교육
빈롱성에는 빈롱 공동체 대학, 빈롱 경제단기대학, 빈롱 교육단기대학, 구룡사립대학교, 빈롱 기술교육대학, 미엔타이 건축대학교를 포함한 여러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
8. 저명한 빈롱 출신 인물
- 보 반 끼엣(Võ Văn Kiệt)
- 베트로 끼(Petrus Ký)
- 응오 딘 툭(Ngô Đình Thục)
- 호아이 람(Hoài Lâm)
참조
[1]
Decision
Biểu số 4.6: Hiện trạng sử dụng đất vùng Đồng Bằng Sông Cửu Long năm 2022
https://monre.gov.vn[...]
2023-10-18
[2]
웹사이트
Tình hình kinh tế, xã hội Vĩnh Long năm 2018
https://qppl.vinhlon[...]
2020-05-10
[3]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ex by province(*) by Cities, provincies and Year
https://www.gso.gov.[...]
2024-09-28
[4]
웹사이트
Thành lập thành phố Vĩnh Long
https://baocantho.co[...]
2024-11-05
[5]
웹사이트
10 năm: quy mô dân số Vĩnh Long cơ bản ổn định
https://baovinhlong.[...]
[6]
웹인용
10 năm: quy mô dân số Vĩnh Long cơ bản ổn định
https://baovinhlong.[...]
2024-10-28
[7]
웹사이트
Tỷ lệ tăng tự nhiên dân số phân theo địa phương
http://www.gso.gov.v[...]
베트남 통계청
[8]
웹사이트
Kết quả toàn bộ Tổng điều tra Dân số và Nhà ở Việt Nam năm 2009
http://www.gso.gov.v[...]
베트남 통계청
[9]
웹인용
KHOA NHAN HOC
http://www.anthdep.e[...]
2015-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