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헬름 비르팅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헬름 비르팅거는 1865년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나 1945년에 사망한 오스트리아의 수학자이다. 빈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펠릭스 클라인 밑에서 수학을 공부했다. 그는 세타 함수, 스펙트럼 이론, 복소해석학, 기하학, 대수학, 정수론, 리 군, 매듭 이론 등 다양한 수학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으며, 71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또한, 클라인 백과사전의 '해석학' 섹션의 편집자 중 한 명이었으며, 여러 저명한 수학자들을 제자로 길러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스브루크 대학교 교수 -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알렉산더 판데어벨렌은 오스트리아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로, 빈 대학교 경제학 교수와 오스트리아 녹색당 당수를 역임했으며, 2017년부터 오스트리아 대통령으로 재직하며 유럽 연합을 지지하는 중도좌파적 자유주의 성향을 보인다. - 인스브루크 대학교 교수 - 요한 라돈
오스트리아의 수학자 요한 라돈은 측도론과 적분 기하학에 기여했으며, 라돈 변환, 라돈 측도, 라돈-니코딤 정리 등으로 알려져 있고, 그의 업적은 단층 촬영법과 같은 실제 응용 분야에 기여하여 오스트리아 과학 아카데미는 그의 이름을 딴 연구소를 설립했다. - 오스트리아의 수학자 - 크리스티안 도플러
크리스티안 도플러는 오스트리아의 수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로서 파동의 주파수가 상대 속도에 따라 달라지는 도플러 효과를 제시했다. - 오스트리아의 수학자 - 게오르크 요아힘 레티쿠스
오스트리아 태생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지도 제작자인 게오르크 요아힘 레티쿠스는 코페르니쿠스의 유일한 제자로서 지동설을 알리고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 출판을 추진했으며, 삼각법 연구와 지도 제작에도 기여했으나 말년에 불운을 겪었다. - 빈 대학교 교수 - 프란츠 브렌타노
프란츠 브렌타노는 독일 출신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로서, 아리스토텔레스 연구를 바탕으로 심적 현상의 의도성 개념을 도입하고 현상학, 분석철학 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에드문트 후설, 지그문트 프로이트 등 많은 제자를 배출했다. - 빈 대학교 교수 - 에르빈 슈뢰딩거
에르빈 슈뢰딩거는 파동역학 창시와 슈뢰딩거 방정식 유도로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한 오스트리아 이론물리학자로서, 노벨 물리학상 수상, '슈뢰딩거의 고양이' 사고 실험, 색채 과학 및 철학 연구, 『생명이란 무엇인가』 저술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나 사생활 논란도 있었다.
빌헬름 비르팅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65년 7월 15일 |
출생지 | 니더외스터라이히주 입스안데르도나우(입스안데르도나우) |
사망일 | 1945년 1월 15일 |
사망지 | 니더외스터라이히주 입스안데르도나우(입스안데르도나우) |
국적 | 오스트리아 |
연구 분야 | |
분야 | 수학 |
소속 | |
직장 | 인스브루크 대학교 빈 대학교 |
학력 | |
모교 | 빈 대학교 |
학위 지도 학생 | |
지도 교수 | 에밀 바이어() 구스타프 리터 폰 에셰리히() |
지도 학생 | 빌헬름 블라슈케 힐다 가이링거 쿠르트 괴델 빌헬름 그로스 에두아르트 헬리 레오폴트 피토리스 롤란트 바이첸뵈크 |
업적 | |
알려진 업적 | 복소해석학 (1변수 및 다변수 복소해석학) 비르팅거 미분 비르팅거 제시 비르팅거 공식 함수에 대한 비르팅거 부등식 비르팅거 표현 및 투영 정리 |
연구 분야 | 복소해석학 기하학 매듭 이론 리 군 |
수상 | |
수상 | 실베스터 메달 (1907년) |
2. 생애
1865년 7월 15일 오스트리아 니더외스터라이히주의 입스안데르도나우( Ybbs an der Donaude )에서 태어났다. 빈 대학교에서 수학하여 1887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고, 1890년에는 하빌리타치온을 수여받았다. 학업 과정 중 펠릭스 클라인의 지도를 받으며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와 괴팅겐 대학교에서도 공부했으며, 클라인에게서 큰 영향을 받았다.
빌헬름 비르팅거는 복소해석학, 기하학, 대수학, 정수론, 리 군 등 다양한 수학 분야에 걸쳐 총 71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폭넓은 연구 활동을 펼쳤다.[1] 그의 주요 연구 업적은 다음과 같다.
1895년에 빈 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었으나, 같은 해 인스브루크 대학교로 자리를 옮겼다. 이후 1905년에 다시 빈 대학교로 돌아와 교편을 잡았다. 1907년에는 수학 분야에서의 업적을 인정받아 왕립 학회로부터 실베스터 메달을 받았다.
1945년 1월 15일, 고향인 입스안데르도나우에서 세상을 떠났다.
3. 연구 업적
이 외에도 비르팅거는 클라인 백과사전의 '해석학' 섹션 편집자로 참여했으며, 스타니스와프 자렘바가 혼합 경계값 문제에 관심을 갖도록 영향을 주었다.[3]
3. 1. 세타 함수
1896년에 발표된 그의 첫 번째 주요 연구는 세타 함수에 관한 것이었다.[1]
3. 2. 스펙트럼 이론
비르팅거는 1897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고유값 개념을 일반화하여 연산자의 스펙트럼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다. 이 아이디어는 이후 저명한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에 의해 더욱 발전했으며, 오늘날 스펙트럼 이론이라는 수학 분야의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었다.
3. 3. 복소해석학, 기하학, 대수학, 정수론, 리 군
그는 다양한 수학 분야에서 활동하며 총 71편의 논문을 발표했다.[1] 그의 첫 번째 주요 연구는 1896년에 발표된 세타 함수에 관한 것이었다. 1897년 논문에서는 고유값의 일반화 개념으로 연산자의 스펙트럼을 제안했는데, 이는 이후 다비트 힐베르트에 의해 더욱 발전하여 현재 스펙트럼 이론 분야의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었다.
비르팅거는 복소해석학, 기하학, 대수학, 정수론, 리 군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논문을 기고했다. 또한 매듭 이론 분야에서는 쿠르트 라이데마이스터와 협력하여 1905년에 매듭군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기도 했다.[2] 그는 클라인 백과사전의 '해석학' 섹션 편집자 중 한 명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대화를 통해 비르팅거는 스타니스와프 자렘바가 특정 경계값 문제, 즉 나중에 혼합 경계값 문제로 알려지게 된 문제에 관심을 갖도록 이끌었다.[3]
3. 4. 매듭 이론
그는 매듭 이론 분야에서도 중요한 기여를 했는데, 쿠르트 라이데마이스터와 협력하여 1905년에 매듭군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2]
3. 5. 기타
그는 다양한 수학 분야에서 활동하며 총 71편의 논문을 발표했다.[1] 1896년에 발표된 그의 첫 번째 주요 연구는 세타 함수에 관한 것이었다. 그는 1897년 논문에서 고유값의 개념을 일반화한 연산자의 스펙트럼 개념을 제안했으며, 이 아이디어는 이후 다비트 힐베르트에 의해 더욱 확장되어 현재 스펙트럼 이론 분야의 주요 연구 대상이 되었다. 비르팅거는 또한 복소해석학, 기하학, 대수학, 정수론, 리 군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논문을 기고했다. 매듭 이론 분야에서는 쿠르트 라이데마이스터와 협력하여 1905년에 매듭군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기도 했다.[2] 또한 그는 클라인 백과사전의 '해석학' 섹션 편집자 중 한 명으로 참여했다.
대화 중에 비르팅거는 스타니스와프 자렘바의 관심을 특정 경계값 문제로 이끌었는데, 이는 나중에 혼합 경계값 문제로 알려지게 되었다.[3]
4. 교육 활동
그의 제자들 중 일부는 다음과 같은 과학자들이었다.
5. 주요 출판물
- "여러 복소 변수의 함수의 형식적 이론에 관하여" (독일어: Über die formalen Theorie der Funktionen von mehr komplexen Veränderlichen|de). 수학 연보 (Mathematische Annalen), 97권 1호, 357–375쪽, 1927년. doi:10.1007/BF01447872. [http://www.digizeitschriften.de/en/main/dms/img/?PPN=PPN235181684_0097&DMDID=dmdlog19 DigiZeitschirften에서 보기]. 이 중요한 논문에서 비르팅거는 여러 복소 변수 함수론에서 중요한 개념인 비르팅거 미분과 접 코시-리만 조건을 소개했다. 이 논문은 의도적으로 형식적인 관점에서 작성되었으며, 추론된 속성에 대한 엄격한 증명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 "행렬식 항등식과 유클리드 및 에르미트 거리 측정의 해석적 형태에 대한 응용" (독일어: Eine Determinantenidentität und ihre Anwendung auf analytische Gebilde in euklidischer und Hermitescher Maßbestimmung|de). 수학 월보 (Monatshefte für Mathematik und Physik), 44권 1호, 343–365쪽, 1936년. doi:10.1007/BF01699328.
- "여러 복소 변수 영역의 해석적 형태에 관한 적분 정리" (독일어: Ein Integralsatz über analytische Gebilde im Gebiete von mehreren komplexen Veränderlichen|de). 수학 월보 (Monatshefte für Mathematik und Physik), 45권 1호, 418–431쪽, 1936년. doi:10.1007/BF01708005.
6. 참고 문헌
- 호르니히, 한스 (1948). “빌헬름 비르팅거”. 《수학 월간지》 (독일어) 52 (1): 1–12. doi:[https://doi.org/10.1007/BF01320497 10.1007/BF01320497]. MR [https://mathscinet.ams.org/mathscinet-getitem?mr=0024394 0024394]. Zbl [https://zbmath.org/?q=an:0030.10102 0030.10102]. S2CID [https://api.semanticscholar.org/CorpusID:189765736 189765736]. [http://www.digizeitschriften.de/main/dms/img/?PPN=PPN362162050_0052&DMDID=dmdlog4 http://www.digizeitschriften.de/main/dms/img/?PPN=PPN362162050_0052&DMDID=dmdlog4]. [http://www.digizeitschriften.de/ DigiZeitschriften]에서 열람 가능. 비르팅거의 출판 목록이 포함된 충분한 기념 논문.
참조
[1]
문헌
[2]
문서
fundamental group of a knot complement
[3]
문서
mixed boundary condi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