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모예드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모예드족은 시베리아 북부와 북극해 연안에 거주하는 민족 집단으로, 네네츠인, 에네츠인, 응가나산인, 셀쿠프인, 카마신인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사모예드어를 사용하며, 언어와 지리적 특성에 따라 북부 및 남부 사모예드족으로 분류된다. 과거에는 유라츠인과 마토르인도 사모예드족에 속했으나 현재는 소멸되었다. 사모예드족은 우랄어족 Y염색체 하플로그룹 N이 높은 빈도로 나타나며, 셀쿠프인은 예니세이어족과 연관된 유전적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모예드족 - 에네츠인
    에네츠인은 유전학적으로 연구된 민족으로, 2002년 연구에서 대부분의 표본이 Y-DNA 하플로그룹 N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사모예드족 - 셀쿠프인
    셀쿠프인은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에 거주하며 셀쿠프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예니세이어족과 사모예드족의 상호작용으로 기원했으며, 전통적으로 사냥, 낚시, 순록 방목을 생계 수단으로 삼았다.
사모예드족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민족명사모예드족
주요 거주 지역러시아 북부, 시베리아
언어사모예드어족
종교샤머니즘, 정교회
인구
총 인구약 45,000명
네네츠인약 44,640명 (2010년)
에네츠인약 227명 (2010년)
응가나산인약 747명 (2010년)
셀쿠프인약 3,649명 (2010년)
카마스인소멸
사이얀 사모예드인소멸
문화
전통 생활 방식유목, 순록 사육, 어업, 수렵
사회 구조씨족 중심
종교적 신앙자연 숭배, 조상 숭배
역사
기원우랄 산맥 지역
이동시베리아 북부 지역으로 이동
러시아 제국러시아 제국에 편입
소비에트 연방소비에트 연방 시기 집단화 정책
현대러시아 연방 내 소수 민족으로 존속
언어
어족우랄어족 - 사모예드어족
주요 언어네네츠어, 에네츠어, 응가나산어, 셀쿠프어
유전적 특징
Y-DNA 하플로그룹N (주로 N1c)
mtDNA 하플로그룹다양한 하플로그룹 분포

2. 민족

사모예드족은 우랄 산맥 동부, 알타이 산맥 부근 서쪽, 사얀 산맥 등지에 분포했던 민족이다. 언어학적으로는 우랄어족 사모예드어파에 속하며, 핀-우고르어파와 관계가 있다. 주로 북극해에 가까운 네네츠 자치구와 노바야제믈랴(유럽 러시아 북동부), 야말로네네츠 자치구타이미르 자치구(시베리아 북서부)에 거주한다.

네네츠인의 인구가 4만 명 정도로 가장 많지만, 다른 민족들은 수십 명에서 천 명 정도의 규모이다. 생활 양식으로는 순록 목축 외에 수렵, 어업을 한다. 종교정교샤머니즘 등이다.

"사모예드"라는 명칭은 러시아어로 "스스로 먹는 자"를 의미하여 "식인종"이라는 오해를 낳아 차별적인 의미로 사용되었다. 20세기부터는 "사람"을 뜻하는 "네네츠"로 불리고 있다. 이는 사미인의 "랩인"과 비슷한 경우이다.

언어에 따라 북부 사모예드와 남부 사모예드로 나뉜다.


  • 북부 사모예드는 카닌 반도부터 타이미르 반도에 걸쳐 살고 있다. 유라츠족은 퉁구스어족의 에벤키족과 동화되어 소멸했다.
  • 남부 사모예드는 오비강·예니세이강 유역의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사얀 산맥 부근까지 분포했지만, 튀르크 민족 (야쿠트족 등) 또는 몽골 민족과 동화되어 셀쿠프족을 제외하고는 소멸했다. 카마신족은 최근까지 소수 인원으로 존재했지만, 러시아인에게 동화되어 소멸했다.


과거 몽골 고원 북부에서 동남 시베리아의 바이칼 호 호숫가 지역에 있는 셀렝게 유역에 걸쳐 할거했던 메르키트인은 기원적으로 남 사모예드 계통을 잇는 것으로 보이며, 후에 튀르크화하고, 더욱이 몽골화된 것으로 보인다.[5]

2. 1. 현존 민족

민족언어인구가장 중요한 영토기타 전통 영토
네네츠족네네츠어45,000[1]야말로-네네츠 자치구, 네네츠 자치구, 타이미르 돌간-네네츠 구한티-만시 자치구
에네츠족에네츠어200–300[1]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응가나산족응가나산어900–1,000[1]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셀쿠프족셀쿠프어3,700[1]톰스크주, 야말로-네네츠 자치구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카마신족카마스어 (사멸)20[2]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2. 2. 소멸 민족


  • 유라츠족: 유라츠어를 사용했다.[3] 퉁구스어족의 에벤키족과 동화되어 민족으로는 소멸했다.
  • 마토르족(모토르족): 마토르어를 사용했다.[3] 남부 사모예드는 과거 오비강, 예니세이강 유역의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사얀 산맥 부근까지 있었지만, 어떤 시점에서 네네츠족의 일파와 함께 튀르크 민족(야쿠트족 등) 또는 몽골 민족과 동화되어 셀쿠프족을 제외하고 민족으로는 소멸했다. Mators|마토르족프랑스어

3. 분류

전통적으로 사모예드어와 사모예드족은 두 개의 주요 지역 집단으로 나뉜다. 북부 사모예드어(네네츠어, 유라츠어, 에네츠어, 응가나산어)와 남부 사모예드어(셀쿠프어)이며, 사얀 산맥의 이름을 딴 사얀-사모예드어(카마스어, 마토르어)라는 하위 그룹이 더 있다. 이 분류는 순전히 지리적인 것으로, 언어학적 관계를 반영하지 않는다.[5]

사모예드족 중 가장 큰 집단은 네네츠족으로, 주로 러시아의 두 자치구인 야말로-네네츠 자치구와 네네츠 자치구에 거주한다. 일부 네네츠족과 대부분의 에네츠족, 응가나산족은 타이미르 돌가노-네네츠 자치구에 거주했었다. 대부분의 셀쿠프족은 야말로-네네츠 자치구에 살고 있지만, 톰스크주에도 상당한 인구가 있다.[5]

언어의 차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뉜다.[5]

구분민족비고
북부 사모예드유라츠족은 민족으로는 소멸
남부 사모예드카마신족, 마토르족은 민족으로는 소멸


  • 북부 사모예드는 카닌 반도부터 타이미르 반도에 걸쳐 광대한 지역에 살고 있다. 유라츠족만이 퉁구스어족의 에벤키족과 동화되었기 때문에 민족으로는 소멸했다.[5]
  • 남부 사모예드는 과거 오비강·예니세이강 유역의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사얀 산맥 부근까지 있었지만, 어떤 시점에서 네네츠족의 일파와 함께 튀르크 민족 (야쿠트족 등) 또는 몽골 민족과 동화되어, 셀쿠프족을 제외하고 민족으로는 소멸했다. 또한, 카마신족은 최근까지 소수 인원으로 존재했지만, 러시아인에게 동화되어 민족으로는 소멸했다.[5]
  • 과거 몽골 고원 북부에서 동남 시베리아의 바이칼 호 호숫가 지역에 있는 셀렝가강 유역에 걸쳐 할거했던 메르키트인은 기원적으로 사모예드어 계통을 잇는 것으로 생각되며, 후에 튀르크화하고, 더욱이 몽골화된 것으로 보인다.[5]

4. 역사

사모예드족의 겨울 의상 (1906년 이전)


사모예드족은 순록 목축 외에 수렵, 어업으로 생활했다. 종교정교와 전통적인 샤머니즘 등이다. 네네츠인은 인구가 4만 명 정도로 가장 많지만, 다른 민족들은 수십 명에서 천 명 정도의 규모이다.

4. 1. 러시아와의 관계

사모예드족의 원주지는 우랄 산맥 동부, 알타이 산맥 부근 서쪽, 사얀 산맥 등이다. 언어학적으로는 우랄어족 사모예드어파에 속하며, 우랄에서 러시아 북부를 중심으로 하는 핀-우고르어파와 관계가 있다.

주로 북극해에 가까운 네네츠 자치구와 노바야제믈랴(유럽 러시아 북동부), 야말로네네츠 자치구타이미르 자치구(시베리아 북서부)에 거주한다.

그러나 러시아어의 "사모"와 "에드"의 단어를 조합하면 '자기' + '먹는 자'로 연상되며, "사람 고기를 먹는 사람"이라는 견해가 있었다. 그 때문에 "사모예드"에는 차별적, 경멸적인 의미가 포함되어 20세기에 들어 이 호칭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대신 "사람"을 의미하는 "네네츠"라고 불리게 되었다[1]. (이는 사미인의 "랩인"의 경위와 공통된다.)

4. 2. 현대 사회

응가나산족, 1927


네네츠 가족


북부 셀쿠프족, 2012


카마신 가족, 1925

5. 유전적 특징

사모예드인은 우랄어족 Y염색체 하플로그룹 N이 약 90%의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6] 특히 N1a2 계통의 빈도가 높다 (핀-우고르족은 N1a1 계통). 그러나 셀쿠프인케트인에게 많은 Q 계통이 67%나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과거에는 예니세이어족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7]

참조

[1] 웹사이트 Demoskop Weekly No 543-544 http://demoscope.ru/[...]
[2] 웹사이트 Администрация Саянского района. Унифицированный туристский паспорт. Саянский район Красноярского края http://adm-sayany.ru[...] 2023-01-04
[3] 웹사이트 Unesco Red Book on Endangered Languages http://www.helsinki.[...]
[4] 웹사이트 Habit of a Samoyede woman and child subject to Russia in 1768. Femme Samoyèd. https://digitalcolle[...]
[5] 서적 몽골비사1 칭기스칸 이야기 平凡社 1970
[6] 논문 The Western and Eastern Roots of the Saami—the Story of Genetic “Outliers” Told by Mitochondrial DNA and Y Chromosomes 2004
[7] 문서 Tambets et al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