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산 왕조 가계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산 왕조 가계도는 사산 왕조의 역대 왕들과 그들의 가족 관계를 나타낸다. 사산 왕조는 224년 아르다시르 1세가 파르티아를 격파하고 건국했으며, 651년 야즈데게르드 3세가 아랍 칼리파조와의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멸망했다. 이 가계도에는 주요 왕들의 계보와 함께, 사산 왕조의 후손으로 여겨지는 여러 왕조 및 가문들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사산 왕조는 아르다시르 1세, 샤푸르 1세, 호스로 1세 등 여러 명의 뛰어난 통치자들을 배출했으며, 그들의 통치 기간 동안 문화와 경제가 번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계도 - 이새의 나무
    이새의 나무는 이사야의 예언에 따른 예수의 계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기독교 미술의 한 형태로, 잠든 이새로부터 솟아난 나무 가지에 그리스도의 조상들을 묘사하며, 중세 시대 계보 상징으로 사용되어 오늘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가계도 - 곡부 공씨 고려파 종손 가계도
사산 왕조 가계도
가계도
사산 왕조 가계도
사산 왕조 가계도
범례
SAS사산
BAB바박
ARD아르다시르 1세
R.224-41
SH1샤푸르 1세
R.241-72
HO1호르미즈드 1세
R.272-73
BA1바흐람 1세
R.273-76
NAR나르세 1세
R.293-302
BA2바흐람 2세
R.276-93
HO2호르미즈드 2세
R.302-09
BA3바흐람 3세
R.293
SH2샤푸르 2세
R.309-79
AR2아르다시르 2세
R.379-83
SH3샤푸르 3세
R.383-388
BA4바흐람 4세
R.388-99
YA1야즈데게르드 1세
R.399-420
BA5바흐람 5세
R.420-38
YA2야즈데게르드 2세
R.438-57
HO3호르미즈드 3세
R.457-59
PE1페로즈 1세
R.459-84
BL1발라시
R.484-88
KA1카바드 1세
R.488-96,
498-531
DJ1자마습
R.496-98
KH1호스로 1세
R.531-79
HO4호르미즈드 4세
R.579-90
BIS비스탐
R.591-95
KH2호스로 2세
R.591-628
KA2카바드 2세
R.628
PUR푸란도흐트
R.630-31
AZR아자르미도흐트
R.631
SHA샤흐리아르
AR3아르다시르 3세
R.628-630
YA3야즈데게르드 3세
R.632-51
SHR샤흐르바누
PI2페로즈 2세
NAR나르시에

2. 역사

사산 왕조는 왕조의 시조인 사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24년 아르다시르 1세가 마지막 파르티아(아르사케스) 왕 아르타바누스 4세(اردوان|아르다반fa)[1]를 격파하면서 건국되었으며, 마지막 사산 왕조 군주(632–651)가 초기 아랍 칼리파조에 19년간 맞서 싸웠으나 패배하면서 멸망했다. 아랍 칼리파조는 최초의 이슬람 제국이었다.

사산 왕조의 후손으로 여겨지는 왕조 및 귀족 가문은 다음과 같다.


  • 다부야 왕조(642–760): 자마스프의 후손.[2]
  • 파두스파니드(665–1598): 마잔다란 출신, 자마스프의 후손.[3]
  • 쉬르반 샤(1100–1382): 호르미즈드 4세의 가계.[4]
  • 바누 무나짐(9–10세기): 사산 왕자 미흐르 구쉬나스프의 후손.
  • 캄카리안 가문(9–10세기): 야즈데게르드 3세의 후손인 ''데흐칸'' 가문.
  • 미칼리드(9–11세기): 소그드 통치자 디바슈티치의 후손 가문, 바흐람 5세 구르의 후손.

2. 1. 건국

사산 왕조는 왕조의 시조인 사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24년 아르다시르 1세가 마지막 파르티아(아르사케스) 왕 아르타바누스 4세(اردوان|아르다반fa)[1]를 격파하면서 건국되었으며, 마지막 사산 왕조 군주인 야즈데게르드 3세(632–651)가 초기 아랍 칼리파조를 몰아내기 위한 19년간의 투쟁에서 패배하면서 멸망했다.[5] 아랍 칼리파조는 최초의 이슬람 제국이었다.

2. 2. 멸망

사산 왕조는 마지막 왕조 군주인 야즈데게르드 3세(632–651)가 아랍 칼리파조에 맞서 19년간 투쟁했으나 패배하면서 멸망했다.[1] 아랍 칼리파조는 최초의 이슬람 제국이었다.

사산 왕조의 후손으로 여겨지는 왕조 및 귀족 가문은 다음과 같다.

  • 다부야 왕조(642–760): 자마스프의 후손.[2]
  • 파두스파니드(665–1598): 마잔다란 출신, 자마스프의 후손.[3]
  • 쉬르반 샤(1100–1382): 호르미즈드 4세의 가계.[4]
  • 바누 무나짐(9–10세기): 사산 왕자 미흐르 구쉬나스프의 후손.
  • 캄카리안 가문(9–10세기): 야즈데게르드 3세의 후손인 ''데흐칸'' 가문.
  • 미칼리드(9–11세기): 소그드 통치자 디바슈티치의 후손 가문, 바흐람 5세 구르의 후손.

2. 3. 사산 왕조의 후손을 자처한 가문


  • 다부야 왕조(642-760), 자마스프의 후손.[2]
  • 파두스파니드(665-1598) 가문, 마잔다란 출신으로 자마스프의 후손.[3]
  • 쉬르반 샤(1100-1382), 호르미즈드 4세의 가계.[4]
  • 바누 무나짐(9-10세기), 사산 왕자 미흐르 구쉬나스프의 후손.
  • 캄카리안 가문(9-10세기), 야즈데게르드 3세의 후손인 ''데흐칸'' 가문.
  • 미칼리드(9-11세기), 소그드 통치자 디바슈티치의 후손 가문으로, 그는 다시 바흐람 5세 구르의 후손이었다.

3. 가계도

사산 왕조의 가계도는 매우 복잡하며, 왕위 계승 과정에서 여러 분쟁과 혼란이 있었다. 아래의 가계도는 주요 인물 및 왕조의 흐름을 중심으로 작성되었다.
참고: 실선은 부모-자식 관계, 점선은 혈연 관계에 대한 의문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사산
파파크
사푸르아르다시르 1세
사푸르 1세
호르미즈드 1세바흐람 1세나르세
바흐람 2세호르미즈드 2세
바흐람 3세아두르 나르세사푸르 2세
사푸르 3세
바흐람 4세야즈데게르드 1세
호스로바흐람 5세
야즈데게르드 2세
호르미즈드 3세페로즈 1세발라시
카바드 1세자마스프
호스로 1세
호르미즈드 4세
호스로 2세바흐람 6세
카바드 2세아자르미독트보란호스로 3세페로즈 2세호스로 4세파루흐자드 호스로 5세
아르다시르 3세호르미즈드 6세야즈데게르드 3세
페로즈 3세
나르시


  • 사산은 파파크의 아버지 또는 장인으로 추정된다.

3. 1. 사산 왕조 가계도 (간략)

사산 왕조 가계도 (간략)
사산
람베헤슈트고치르파파크
사푸르아르다시르 1세(224–242)데나그
나르세사푸르 1세(240–270)아르다시르 마르브샤, 아르다시르 키르만샤, 페로즈 1세 쿠샨샤, 나르세, 미르샤 메샨샤, 아르다시르 노드쉬라간샤
호르미즈드 1세(270–271)바흐람 1세(271–274)나르세 2세(293–302), 사푸르 메샨샤, 아두르-아나히드
호르모자크바흐람 2세(274–293)호르미즈드 2세(302–309), 호르미즈드, 호르미즈다그, 오다바크트, 바흐람, 사푸르, 페로즈, 샤푸르두흐타크
바흐람 3세(293)아두르 나르세(309)호르미즈드, 아르다시르 2세(379–383), 사푸르 2세(309–379), 아두르프라즈기르드, 자마스프, 아사이, 호르미즈두흐트, 사푸르 사칸샤
즈루안두흐트사푸르 3세(383–388)페로즈-구슈나스프
바흐람 4세(389–399)야즈데게르드 1세(399–420)
호스로(420)사푸르 4세(420)바흐람 5세(420–438), 나르세
야즈데게르드 2세(438–457)
호르미즈드 3세(457–459)페로즈 1세(457–484)발라시(484–488), 자르(Zarir)(† 485), 바체 2세
발렌두흐트
카바드 1세(488–496, 498–531)자마스프(496–498), 페로즈두흐트
카우스자마스프크세르크세스, 호스로 1세(531–579), 나르시, 니반두흐트
사푸르, 카바드피루즈
길 가브바라
빈두이히아노샤자드호르미즈드 4세(579–590), 비스타함(590/1–596 or 594/5–600), 야즈단다드
호르미즈드 5세(630–631)호스로 2세(590–628)카바드, 바흐람 6세(590-591), 차하르두흐트, 마-아두르 구슈나스프
로스탐 파로흐자드, 파루흐자드호스로 3세(630)사푸르 5세(630), 페로즈 2세(630), 호스로 4세(631)
카바드 2세(628)아자르미독트(630–631)마르단샤(† 628), 자반시르, 아르완드랑(† 628), 구란샤(† 628), 아프루드샤(† 628), 쿠르라(† 628), 푸실(† 628)
보란(629–630, 631–632)파루흐자드 호스로 5세(631)샤흐리야르(† 628)
아르다시르 3세(628–629)호르미즈드 6세(630–631)야즈데게르드 3세(632–651)
페로즈 3세(651–677), 바흐람 7세, 이즈둔다드
나르시(677–???), 호스로 6세


3. 2. 주요 인물

(224–242)사산 왕조의 초대 샤한샤발라시(Balash)데나그(Denag)나르세(Narseh)사푸르 1세
(240–270)아르다시르 키르만샤(Ardashir Kirmanshah)아르다시르 마르브샤(Ardashir Marvshah)페로즈 1세 쿠샨샤(Peroz I Kushanshah)나르세(Narseh)미르샤 메샨샤(Mihrshah Meshanshah)아르다시르 노드쉬라간샤(Ardashir Nodshiraganshah)호르미즈드 1세
(270–271)바흐람 1세
(271–274)나르세 2세
(293–302)사푸르 메샨샤(Shapur Meshanshah)아두르-아나히드(Adur-Anahid)바흐람 2세
(274–293)호르미즈드 2세
(302–309)호르모자크(Hormozdak)호르미즈두크트(Hormizddukhtak)호르미즈드(Hormizd)호르미즈다그(Hormizdag)오다바크트(Odabakht)바흐람(Bahram)사푸르(Shapur)페로즈(Peroz)샤푸르두흐타크(Shapurdukhtak)바흐람 3세
(293)아두르 나르세
(309)호르미즈드(Hormizd)아르다시르 2세
(379–383)사푸르 2세
(309–379)아두르프라즈기르드(Adurfrazgird)자마스프(Zamasp)아사이(Asay)호르미즈두흐트(Hormizddukht)사푸르 사칸샤(Shapur Sakanshah)사푸르 3세
(383–388)즈루안두흐트(Zruanduxt)페로즈-구슈나스프(Peroz-Gushnasp)바흐람 4세
(389–399)야즈데게르드 1세
(399–420)호스로(Khosrow)
(420)사푸르 4세
(420)바흐람 5세
(420–438)나르세(Narseh)야즈데게르드 2세
(438–457)아스베겐(Aswagen)호르미즈드 3세
(457–459)페로즈 1세
(457–484)발라시
(484–488)자르(Zarir)
(† 485)바체 2세(Vache II)발렌두흐트(Balendukht)카바드 1세
(488–496, 498–531)자마스프
(496–498)페로즈두흐트(Perozdukht)카우스(Kawus)자마스프(Jamasp)크세르크세스(Xerxes)호스로 1세
(531–579)나르시(Narsi)니반두흐트(Niwandukht)사푸르(Shapur)카바드(Kavadh)피루즈(Piruz)길 가브바라(Gil Gavbara)빈두이히(Vinduyih)아노샤자드(Anoshazad)호르미즈드 4세
(579–590)비스타함
(590/1–596 or 594/5–600)야즈단다드(Yazdandad)[미르한]샤흐르바라즈(Shahrbaraz)
(630)호르미즈드 5세(Hormizd V)
(630–631)호스로 2세
(590–628)카바드(Kavadh)바흐람 6세(Bahram VI)
(590-591)차하르두흐트(Chahardukht)마-아두르 구슈나스프(Mah-Adhur Gushnasp)로스탐 파로흐자드(Rostam Farrokhzad)파루흐자드(Farrukhzad)호스로 3세
(630)사푸르 5세(Shapur V)
(630)페로즈 2세
(630)호스로 4세
(631)카바드 2세
(628)아자르미독트
(630–631)마르단샤(Mardanshah)
(† 628)자반시르(Javanshir)아르완드랑(Arwandrang)
(† 628)구란샤(Guranshah)
(† 628)아프루드샤(Afrudshah)
(† 628)쿠르라(Khurrah)
(† 628)푸실(Pusdil)
(† 628)보란
(629–630, 631–632)파루흐자드 호스로 5세
(631)샤흐리야르(Shahriyar)
(† 628)호르미즈드 6세
(630–631)야즈데게르드 3세
(632–651)아르다시르 3세
(628–629)페로즈 3세(Peroz III)
(651–677)바흐람 7세(Bahram VII)이즈둔다드(Izdundad)미르 구슈나스프나르시(Narsieh)
(677–???)호스로 6세


참조

[1] 서적 Sasanian Persia:The Rise and Fall of an Empire I.B. Tauris 2010
[2] 백과사전 DABUYIDS http://www.iranicaon[...] 2013-12-16
[3] 백과사전 BADUSPANIDS http://www.iranicaon[...] 2013-12-16
[4] 문서
[5] 서적 Sasanian Persia:The Rise and Fall of an Empire I.B. Tauris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