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궁 김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개시는 조선 광해군 시대의 인물로, 광해군의 총애를 받으며 권력을 휘두른 상궁이다. 원래 선조의 시녀였으나 글을 잘하고 문서 처리에 능하여 선조의 나인으로 발탁되었고, 선조의 승은을 입어 특별상궁이 되었다. 광해군을 지지하는 대북파와 결탁하여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반대 세력 숙청에 관여했다. 인조반정 당시 김자점에게 뇌물을 받고 광해군을 배신하여, 반정 성공 후 요부로 지목되어 처형되었다. 여러 드라마, 영화, 웹툰 등에서 김개시를 다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23년 사망 - 김예직
김예직은 조선 중기 무신으로, 선조의 후궁 공빈 김씨의 동생이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했고 무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며 광해군 시대 탄핵을 받았으나 인조반정 이후 포상을 받았고 김종필의 12대 조상이다. - 1623년 사망 - 구로다 나가마사
구로다 나가마사는 일본 전국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활동한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 인질 생활과 도요토미 히데요시 휘하 참전을 거쳐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워 후쿠오카 번 초대 번주가 되었으며, 임진왜란 참전과 잔혹 행위에 대한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 조선 광해군 - 인조반정
인조반정은 1623년 서인 세력이 광해군의 폭정을 명분으로 일으킨 쿠데타이며, 광해군 폐위 후 인조가 즉위했으나 서인 세력 간의 갈등과 외침으로 조선 사회에 혼란을 가져왔다. - 조선 광해군 - 별에서 온 그대
1609년 조선에 떨어진 외계인 도민준과 톱스타 천송이의 로맨스를 그린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는 초능력, 미스터리, 갈등, 그리고 한류 확산과 사회문화적 현상까지 일으킨 작품이다. - 조선 선조 - 권율
조선 중기의 문관이자 무장인 권율은 안동 권씨 출신으로, 늦은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료 생활을 시작, 임진왜란 때 행주대첩에서 승리하는 등 활약하여 도원수에 올랐으며 이몽학의 난을 진압하는 데에도 기여,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선무공신 1등에 녹훈된 인물이다. - 조선 선조 - 임현
임현은 조선 중기 무관으로, 임진왜란 때 남원 전투에서 전사했으며, 정시문과 급제 후 관직 생활을 하다 파직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워 남원부사로 부임하여 남원성 전투에서 전사 후 의정부좌찬성으로 추증되고 충간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상궁 김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김개희 (金介姬), 김가시 (金可屎) |
출생 | 1584년, 조선 |
사망 | 1623년 (38–39세), 한성, 조선 |
아버지 | 김씨 (Lord Kim) |
어머니 | 강씨 (Lady Gang) |
신분 | |
직위 | 상궁 |
봉호 | 상궁 김씨 (尙宮 金氏) |
배우자 | |
배우자 | 이연, 선조, 이혼, 광해군 |
2. 생애
김개시는 조선 선조 때 궁녀로, 광해군의 아버지인 선조의 승은을 입어 특별상궁이 되었으나,[9] 후궁의 지위에는 오르지 못했다. 광해군이 즉위한 후 지밀나인을 거쳐 제조상궁까지 오르며 권력을 휘둘렀다. 광해군 대에 영창대군 사사와 인목왕후 폐비 등 정치적 사건에 깊이 관여하였으며, 인조반정으로 인해 처형되었다.
2. 1. 초기 생애
조선왕조실록의 『광해군일기』에는 김상궁(김개시)은 나이가 들어도 용모가 피지 않았지만, 흉악하고 약았으며 계교(計巧)가 많았다고 기록되어 있다.[7] 『계축일기』에는 '가히'라는 이름으로, 『연려실기술』과 『공사견문록』 등에는 '개희(介姬)', '가시(可屎)'로 표기되어 있다. 따라서 김개시의 이름은 '개똥이'가 아니라 '가희'의 음차로 보인다.[8]김개시는 원래 춘궁(광해군)의 시녀였으나, 글을 잘 알고 문서 처리에 능하여 선조의 나인으로 발탁되었다.[5] 이후 선조의 승은(承恩)을 입어 특별상궁이 되었으나,[9] 후궁에는 오르지 못했다. 민첩하고 꾀가 많아 선조와 광해군의 총애를 받았다.[10]
상궁 김씨의 가족이나 어린 시절에 대한 기록은 없다. 다만 궁녀로서 광해군의 궁궐에 있었다는 기록이 있을 뿐이다.
2. 2. 광해군 즉위와 정치 활동
조선왕조실록 『광해군일기』에는 김상궁의 이름이 개시(介屎)로 기록되어 있으며, 나이가 들어도 용모가 피지 않았지만 흉악하고 약았으며 계교(計巧)가 많았다고 한다.[7] 『계축일기』에는 '가히'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연려실기술』과 『공사견문록』 등에는 '개희(介姬)', '가시(可屎)' 등으로 표기되어 있어, '개똥이'가 아닌 '가희'의 음차로 보인다.[8]원래 춘궁(광해군)의 시녀였으나, 글을 잘 알고 문서 처리에 능하여 선조의 나인으로 발탁되었다.[5] 이후 선조의 승은(承恩)을 받아 특별상궁이 되었으나,[9] 후궁에는 오르지 못했다. 민첩하고 꾀가 많아 선조와 광해군의 총애를 받았다.[10] 연산군 시절 장녹수는 예술적 재능만 있었으나, 김개시는 춤과 노래뿐만 아니라 판단력이 뛰어나고 정치적 감각과 술수에 능했다.[11][5]
광해군의 왕위 계승을 위해 광해군을 추종하는 세력인 대북파와 손을 잡았다. 광해군 즉위 후 지밀나인이 되었다가[5] 훗날 제조상궁이 되었다.[12] 선왕의 특별상궁을 가까이 한다하여 비난의 소리가 있었으나,[12] 광해군은 김개시를 신임했고, 김개시는 광해에게 충심을 다하며 온갖 악역을 도맡아 했다.[12] 소북파 숙청, 영창대군 사망, 인목왕후 서궁 유폐에 큰 역할을 하였다.
김개시는 권신 이이첨과 쌍벽을 이룰 정도로 권력을 휘둘렀다.[12] 매관매직을 일삼는 등[13] 그 해독이 커서 윤선도, 이회 등이 여러 번 상소하여 탄핵하였으나, 도리어 그들이 유배되었다.[6] 『조야집요』에 따르면, 그의 권력은 중전 유씨를 능가하여 광해군이 어느 후궁의 처소에 침소를 드는 것까지 광해군에게 직접 정해줬다고 한다.
그러나 결국 인조반정의 주력 인물인 김자점에게 뇌물을 받고 광해군을 배신하였다. 수 차례 반정에 관한 상소가 올라왔으나 김개시는 광해군의 판단력을 흐리게 만들었다.[14] 인조반정 당일 구체적인 반정 참여 명단이 포함된 상소가 올라왔지만, 광해군은 김개시의 말만 듣고 이를 무시한 채 연회를 즐겼다.[15][16] 1623년 3월 13일 서인이 주도한 인조 반정이 성공한 뒤, 인조 측에 의해 요부로 지목된 후 처형되었다.[6]
2. 3. 인조반정과 최후
김개시는 권신 이이첨과 쌍벽을 이룰 정도로 권력을 휘둘렀다.[12] 매관매직을 일삼는 등[13] 그 해독이 커서 윤선도, 이회 등이 여러 번 상소하여 탄핵하였으나, 도리어 그들이 유배되었다.[6] 그녀의 권력은 광해군의 정실 부인 (폐비 유씨)을 능가하여 광해군이 어느 후궁의 처소에 침소를 드는 것까지 광해군에게 직접 정해줬다고 한다.그러나 결국 반정의 주력 인물인 김자점에게서 뇌물을 받고 광해군을 배신하였다. 수 차례 반정에 관한 상소가 올라왔으나 김개시는 광해군의 판단력을 흐리게 만들었다.[14] 인조반정 당일 구체적인 반정 참여 명단이 포함된 상소가 올라왔지만 광해군은 김개시의 말만 듣고 이를 무시한 채 연회를 즐겼다.[15][16] 1623년 인조 반정이 성공한 뒤, 인조 측에 의해 요부로 지목된 후 처형되었다.[6]
3. 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김씨 |
어머니 | 강씨 |
4. 평가
《계축일기》에는 상궁 김씨가 자신의 유산을 인목왕후의 딸인 정명공주 탓으로 돌리려 하여, 두 사람의 관계가 좋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다.[1]
5. 김개시가 등장하는 작품
김개시는 여러 미디어 매체에서 다양한 배우들에 의해 묘사되었다.
- 영화: 1962년 작 《인목대비》에서 배우 이민자가 김개시 역을 맡았다.
- 드라마: 1982년 MBC 《여인열전 - 서궁마마》의 김보연, 1986년 MBC 《조선왕조 오백년 - 회천문》의 원미경, 1995년 KBS 《서궁》의 이영애, 2000년~2001년 KBS 《천둥소리》의 이주화, 2003년~2004년 SBS 《왕의 여자》의 박선영, 2014년~2015년 KBS 《왕의 얼굴》의 조윤희와 전민서, 2015년 MBC 《화정》의 김여진, 신린아, 조정은, 2019년 tvN 《왕이 된 남자》의 민지아, 2021년 MBN 《보쌈 - 운명을 훔치다》의 송선미가 김개시를 연기했다.
- 웹툰: 2019년 카카오페이지 웹툰 시리즈 《마침내 푸른 불꽃이》에 등장한다.
5. 1. 영화
金介屎|김개시중국어를 연기한 배우는 다음과 같다.
5. 2. 드라마
방영 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역 |
---|---|---|---|
1982년 | MBC | 여인열전 - 서궁마마 | 김보연 |
1986년 | MBC | 조선왕조 오백년 - 회천문 | 원미경 |
1995년 | KBS | 서궁 | 이영애 |
2000년~2001년 | KBS | 천둥소리 | 이주화 |
2003년~2004년 | SBS | 왕의 여자 | 박선영 |
2004년~2005년 | KBS | 불멸의 이순신 | 최화정 |
2014년~2015년 | KBS | 왕의 얼굴 | 조윤희, 전민서 |
2015년 | MBC | 화정 | 김여진, 신린아, 조정은 |
2019년 | tvN | 왕이 된 남자 | 민지아 |
2021년 | MBN | 보쌈 - 운명을 훔치다 | 송선미 |
5. 3. 웹툰
2019년 카카오페이지 웹툰 시리즈 《마침내 푸른 불꽃이》에 등장한다.참조
[1]
문헌
광해군일기
[2]
웹사이트
김개시(金介屎)
http://encykorea.aks[...]
[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4]
문헌
속잡록
[5]
네이버지식백과
김개시
https://terms.naver.[...]
[6]
네이버지식백과
김개시 [金介屎]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7]
문헌
광해군일기
[8]
뉴스
사람이름 - 가히·논개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07-10-15
[9]
서적
불륜의 조선사
새벽이슬
[10]
문헌
광해군일기
[11]
서적
궁궐의 꽃, 궁녀
시공사
[12]
서적
궁궐의 꽃, 궁녀
시공사
[13]
매일경제
"[신병주의 조선판 탄핵] 연산군과 장녹수, 광해군과 김개시 국정 쥐락펴락한 왕의 여인들"
https://www.mk.co.kr[...]
2017-03-20
[14]
매일경제
"[신병주의 조선판 탄핵] 연산군과 장녹수, 광해군과 김개시 국정 쥐락펴락한 왕의 여인들"
https://www.mk.co.kr[...]
2017-03-20
[15]
문헌
속잡록
[16]
광해군일기
"[ 광해군일기, 중초본 ] 187권, 광해 15년 3월 12일 5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