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속 (불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속(불교)은 산스크리트어 'citta-saṃtāna'를 번역한 용어로, 마음 또는 인식의 연속적인 흐름을 의미하며, 불교에서 영구적인 자아 없이 인격의 연속성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이는 마치 촛불의 불꽃이 옮겨가듯 한 생에서 다음 생으로 이어지는 연속성을 제공하며, 업(karma)과 바사나(vasana, 업의 각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상속은 자상속과 타상속, 5종 상속 등으로 분류되며, 유식사상과 금강승 불교에서 발전하여, 아뢰야식, 여래장, 마음의 흐름(sems-rgyud)과 연결된다. 제14대 달라이 라마는 상속을 자아나 영혼 없이 의식이 연속적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상속 (불교)
마음의 흐름
마음의 흐름 (Mindstream)마음의 연속, 마음의 흐름
산스크리트어citta-saṃtāna (찟따-쌈따나)
팔리어citta-santati (찟따-산따띠)
티베트어sems rgyud (셈 귇)
불교
일부 불교 전통상좌부 불교
티베트 불교
선불교
마음의 흐름 설명
마음의 흐름 설명'마음의 흐름(산스크리트어: citta-saṃtāna, 팔리어: citta-santati, 티베트어: sems rgyud)은 일련의 연속적인 인식 행위 또는 의식 상태를 의미하는 불교 용어이다. 마음의 흐름은 마음이 찰나적이고 끊임없이 변화하며, 과거, 현재, 미래의 인식 상태 사이에는 인과적인 연결이 있다는 불교의 핵심 교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마음의 흐름은 무엇인가?'마음의 흐름은 단일한 불변의 실체가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정신적 사건들의 연속이다. 각 정신적 사건은 이전 사건의 결과이며, 다음 사건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인과적인 연결은 마음의 흐름에 연속성과 정체성을 부여한다.'
마음의 흐름이 중요한 이유'마음의 흐름은 불교에서 윤회, 업, 깨달음과 같은 중요한 개념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마음의 흐름은 우리가 어떻게 과거의 행동의 결과를 경험하고, 미래의 운명을 형성하며, 궁극적으로는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를 설명해준다.'
마음의 흐름 지속성
지속성'마음의 흐름은 죽음 이후에도 지속된다고 믿어진다. 죽음은 마음의 흐름의 끝이 아니라, 새로운 삶으로의 전환일 뿐이다. 윤회는 마음의 흐름이 끊임없이 다른 형태로 나타나는 과정이다.'
업(Karma)'업은 우리의 행동이 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인 힘이다. 우리의 행동은 마음의 흐름에 흔적을 남기고, 이러한 흔적은 미래의 경험을 형성한다. 긍정적인 행동은 행복한 결과를 가져오고, 부정적인 행동은 고통스러운 결과를 가져온다.'
깨달음'깨달음은 마음의 흐름에서 모든 부정적인 감정과 생각을 제거하고, 완전한 지혜와 자비를 얻는 것이다. 깨달음을 얻으면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나 영원한 행복을 누릴 수 있다.'
마음의 흐름에 대한 다양한 해석
상좌부 불교'상좌부 불교에서는 마음의 흐름을 찰나적인 정신적 사건들의 연속으로 본다. 각 사건은 이전 사건의 결과이며, 다음 사건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인과적인 연결은 마음의 흐름에 연속성과 정체성을 부여한다.'
티베트 불교'티베트 불교에서는 마음의 흐름을 더욱 복잡한 개념으로 본다. 마음의 흐름은 단지 정신적 사건들의 연속일 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가능성과 경향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잠재적인 가능성과 경향성은 업의 결과이며, 미래의 경험을 형성한다.'
선불교'선불교에서는 마음의 흐름을 초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마음의 흐름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고통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마음의 흐름에 집착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선 수행을 통해 마음의 흐름을 초월하고, 진정한 자아를 발견할 수 있다.'
마음의 흐름 연습
마음챙김 명상'마음챙김 명상은 현재의 순간에 주의를 기울이는 연습이다. 마음챙김 명상을 통해 우리는 마음의 흐름을 관찰하고, 그 흐름에 휘말리지 않고, 평화와 안정을 찾을 수 있다.'
자비 명상'자비 명상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연민과 이해를 키우는 연습이다. 자비 명상을 통해 우리는 마음의 흐름에서 부정적인 감정을 제거하고, 긍정적인 감정을 키울 수 있다.'
통찰 명상'통찰 명상은 마음의 흐름의 본질을 이해하는 연습이다. 통찰 명상을 통해 우리는 마음의 흐름이 찰나적이고, 고통스럽고, 실체가 없다는 것을 깨닫고,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
같이 보기
같이 보기나식

아뢰야식
마음
오온
상속 (불교)
상속 (相續)상속
영어continuity (컨티뉴이티)
불교 개념
불교 개념과거의 상태가 현재의 상태를 일으키고 현재의 상태가 미래의 상태를 일으킴
원인과 결과가 서로 이어져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
과거의 원인이 현재의 결과가 되고, 현재의 원인이 미래의 결과가 되는 것
모든 현상은 끊임없이 변화하며, 찰나생멸(刹那生滅)하는 것
불교 용어
불교 용어아비달마에서 사용되는 용어
마음(識)의 작용, 물질(色)의 흐름, 시간(時)의 흐름 등 모든 현상에 적용됨
상속 예시
상속 예시강물: 끊임없이 흐르는 물줄기, 이전의 물방울이 사라지고 새로운 물방울이 나타나지만 강물 자체는 지속됨
불꽃: 타오르는 불꽃, 이전의 불꽃이 사라지고 새로운 불꽃이 나타나지만 불꽃 자체는 지속됨
마음: 생각과 감정의 흐름, 이전의 생각이 사라지고 새로운 생각이 나타나지만 마음 자체는 지속됨
상속 중요성
상속 중요성윤회와 의 법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
과거의 행동이 현재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현재의 행동이 미래의 삶에 영향을 미침
수행을 통해 긍정적인 상속을 만들어 미래의 행복을 가져올 수 있음
같이 보기
같이 보기연기법
무상
찰나생멸
윤회

해탈

2. 상속의 정의와 어원

불교에서 '상속(相續)'은 산스크리트어 ''Citta-saṃtāna|치타-삼타나sa''를 번역한 것으로, 문자 그대로 "마음의 흐름"을 뜻한다. 이는 마음 또는 인식의 연속적인 순간들의 흐름을 의미한다. 불교에서는 영구적으로 존재하는 "자아"(아트만)를 부정하지만, 상속의 개념을 통해 인격의 연속성을 설명한다. 즉, 마음의 흐름은 마치 촛불의 불꽃이 다른 촛불로 옮겨가듯 한 생에서 다른 생으로 이어진다. 윌리엄 월드론은 "인도 불교도들은 개인의 마음 흐름이 한 생에서 다음 생으로 이어지는 연속성의 측면에서 마음의 '진화'를 보며, 이 변형이 한 생에서 다음 생으로 전달되는 기본적인 인과적 메커니즘이다."라고 설명했다.

중국어로는 ''''로 표현되며, 불교 디지털 사전에 따르면 "마음의 흐름의 지속"을 의미한다. 이는 ''wú xiàngxù'' 無相續 "마음의 흐름의 단절" (''asaṃtāna'' 또는 ''asaṃdhi''에서 유래) 및 ''shì xiāngxù'' 識相續 "의식의 흐름" (''vijñāna-saṃtāna''에서 유래)와 대조된다.[1]

후기 유식 사상에서는 ''citta-santāna'' 개념이 발전하여, 업의 씨앗이 저장되는 저장 의식 개념을 대체하기도 했다. 이는 아트만과 같은 "영구적이고 변하지 않으며 윤회하는 실체"가 아니라, 일련의 순간적인 의식으로 이해된다. 법칭은 저서 『타심상승론(他心相續成就)』(''Saṃtãnãntarasiddhi'')에서 마음의 흐름은 시작이 없는 시간적 연속이라고 설명했다.

2. 1. 산스크리트어 어원

cittasa는 '의식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1] cittasa는 '인상이나 흔적(vasanasa)'을 모으고 주의하는 두 가지 측면을 가지며, vijñāna와 관련이 있다.[1] Saṃtānasa 또는 santānasa는 '영원한', '연속체', '순간적인 사건의 연속' 또는 '생명의 흐름'을 의미한다.[2]

2. 2. 티베트어 어원

''치타''(citta)는 티베트어로 종종 ''셈스''(sems)로 번역되며, 산타나(saṃtāna)는 ''규드''(rgyud)에 해당한다. 따라서 Citta-saṃtāna|치타-삼타나sa는 ''셈스 규드''(sems rgyud)로 번역된다. ''규드''는 티베트 번역가(티베트어: ''로차와'')들이 산스크리트어 단어 "탄트라"를 번역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이다.[1]

''투그 규드''(Thugs-rgyud)는 ''셈스 규드''(sems rgyud)의 동의어이다.[2]

2. 3. 한국, 중국, 일본

心相續|xīn xiāngxù중국어한국어에서 '심상속', 일본어에서 '신 소조쿠'로 발음되며, "마음과 현상의 연속"을 의미한다.[1]

3. 상속의 종류

불교에서 말하는 상속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산스크리트어 Citta-saṃtāna|찟따-상따나sa는 문자 그대로 "마음의 흐름"을 뜻하며, 마음 또는 인식의 연속적인 순간들이 이어지는 것을 말한다. 이는 불교에서 부정하는 영원한 "자아"(아트만) 없이도 인격이 계속 이어질 수 있게 해준다.[1] 마치 촛불의 불꽃이 다른 촛불로 옮겨가는 것처럼, 마음의 흐름은 한 생에서 다음 생으로 이어진다.[2] 윌리엄 월드론은 "인도 불교도들은 개인의 마음 흐름이 한 생에서 다음 생으로 이어지는 연속성을 '마음의 진화'로 보았으며, 이 이러한 변화를 전달하는 기본적인 인과적 메커니즘이라고 생각했다"라고 설명했다.

월드론에 따르면, "마음의 흐름(''santāna'')은 정신적 번뇌(''kleśa'')와 행위(''karma'')에 의해 점차 증가하며, 다시 다음 세상으로 이어진다. 이런 식으로 존재의 순환은 시작이 없다."

바사나는 "업의 각인"을 의미하며, 삶과 순간 사이의 업의 연속성을 제공한다. 러스타우스에 따르면, 이러한 바사나는 한 사람이 세상을 특정한 방식으로 보고 경험하며, 특정 유형의 사람이 되도록 이끌고, 경험하는 방식을 형성하는 특정 이론을 구현하게 한다.

후기 유식 사상에서는 ''citta-santāna'' 개념이 발전하여, 업의 씨앗이 저장되는 저장 의식 개념을 대체했다. 이는 아트만과 같은 "영구적이고 변하지 않으며 윤회하는 실체"가 아니라, 순간적인 의식의 연속이다.

러스타우스는 유가행파에서 저장 의식(ālaya-vijñāna)과 여래장(tathāgatagarbha)의 발전과 교리적 관계를 설명하면서, ālaya-vijñāna의 실체화를 피하기 위해 "논리-인식론적 분파는 본질적으로 같은 아이디어를 위해 ālaya-vijñāna 대신 '마음의 흐름'인 ''citta-santāna''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비판을 부분적으로 회피했다. '흐름'이 실체화된 자아를 나타낸다고 부인하기가 더 쉬웠다"라고 언급했다.

법칭(7세기)은 저서 『타심상승론(他心相續成就)』(Saṃtãnãntarasiddhi)에서 마음의 흐름의 본질에 대해 썼는데, 법칭에 따르면 마음의 흐름은 시작이 없는 시간적 연속이었다.

마음의 흐름 개념은 금강승(탄트라 불교)에서 더욱 발전되었는데, 여기서 "마음의 흐름"(''sems-rgyud'')은 생애 내에서 뿐만 아니라 생애 사이에서도 연속적인 순간의 흐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4대 달라이 라마는 이를 자아나 영혼이 없지만, 연속적인 생애에 걸쳐 확장되는 의식의 연속으로 본다.

한편, 불교에서는 상속을 자상속과 타상속, 일상속과 다상속, 그리고 5종 상속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 참조)

3. 1. 자상속과 타상속

무아론에 따르면, '나'라는 존재 또는 자신의 소의신(몸과 마음)은 5온의 화합과 상속 위에서 가설(임시로 세움)된 것이다. 이러한 뜻에서 자신의 소의신을 '''자상속'''(自相續)이라고 하고, 다른 이의 소의신을 '''타상속'''(他相續)이라고 한다.

3. 2. 일상속과 다상속

불교 용어로서의 상속은 일반적인 상속과는 다른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상속은 부모가 사망한 후 자식에게 재산이나 권리가 넘어가는 것을 의미하지만, 불교에서는 이와 유사하게 선(善) 또는 불선(不善)의 법(法)이 현재 상태에서 미래 상태로 이어지는 것을 의미한다.[1]

불교에서 상속은 다상속(多相續)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다상속은 여러 상속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여러 선법(善法) 또는 불선법(不善法)이 동시에 작용하여 미래의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보시(布施)와 지계(持戒)를 함께 실천하면, 보시의 과보와 지계의 과보가 각각 따로 상속되어 미래에 복합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2]

이처럼 불교의 상속 개념은 단순한 재산 상속을 넘어, 행위와 그 결과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3. 3. 5종 상속

대비바사론》에서는 상속을 다섯 가지 종류로 구분한다.[1]

종류설명
중유상속(中有相續)죽음 이후 다음 생으로 이어지는 중간 상태에서의 상속이다.
생유상속(生有相續)중유 이후 새로운 생으로 이어지는 상속이다.
시분상속(時分相續)유아기에서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속이다.
법성상속(法性相續)선법(善法)에서 불선법(不善法) 또는 무기법(無記法)으로, 또는 그 반대로 이어지는 상속이다.
찰나상속(刹那相續)매 순간순간 이어지는 상속이다.



각각의 상속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서를 참조.

3. 3. 1. 중유상속(中有相續)

bar dobo라고도 하며, 죽음 이후 다음 생으로 이어지는 중간 상태에서의 상속을 의미한다.

3. 3. 2. 생유상속(生有相續)

생유상속(生有相續)은 중유(中有) 또는 죽음 이후 새로운 생(生)으로 이어지는 상속을 의미한다.

3. 3. 3. 시분상속(時分相續)

유아기에서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속을 말한다.

3. 3. 4. 법성상속(法性相續)

선법(善法)에서 불선법(不善法) 또는 무기법(無記法)으로, 또는 그 반대로 이어지는 상속을 의미한다.

3. 3. 5. 찰나상속(刹那相續)

찰나상속(刹那相續)은 매 순간순간 이어지는 상속을 뜻한다.

3. 4. 시상속, 생상속, 상사상속

상속(相續)에는 다음의 여러 가지 뜻이 있다. 이 문서에서는 이들 중 불교 용어로서의 상속(相續)에 대해 다룬다.[1]

  • 시상속(時相續): 찰나상속(刹那相續)이라고도 하며, 찰나 찰나의 순간마다 이어져 계속되는 것을 말한다.
  • 생상속(生相續): 유상속(有相續)이라고도 하며, 생(生), 즉 태어남을 원인으로 하여 이어져 계속되는 것을 말한다.
  • 상사상속(相似相續): 동분상속(同分相續)이라고도 하며, 상사(相似), 즉 서로 유사(類似)한 것 또는 동분(同分), 즉 같은 종류(種類)를 원인으로 하여 이어져 계속되는 것을 말한다.[1]

4. 유식사상과 상속

Citta-saṃtānasa(산스크리트어)는 문자 그대로 "마음의 흐름"을 뜻하며,[1] 마음 또는 인식의 연속적인 순간들의 흐름이다. 이것은 불교에서 영구적인 "자아"(아트만)가 없다고 보는 관점에서 인격의 연속성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마음의 흐름은 마치 하나의 촛불에서 다른 촛불로 불꽃이 옮겨가는 것처럼, 한 생에서 다른 생으로 이어진다.[2] 윌리엄 월드론은 인도 불교도들이 마음의 흐름을 통해 한 생에서 다음 생으로 이어지는 마음의 '진화'를 보았으며, 이 이러한 변형을 전달하는 기본적인 인과적 메커니즘이라고 설명했다.

월드론에 따르면, 마음의 흐름(''santāna'')은 정신적 번뇌(''kleśa'')와 행위(''karma'')에 의해 점차 증가하며, 다시 다음 세상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존재의 순환은 시작이 없다.

바사나("업의 각인")는 삶과 순간 사이에서 업의 연속성을 제공한다. 러스타우스는 바사나가 한 사람이 세상을 특정한 방식으로 보고 경험하며, 특정 유형의 사람이 되어 경험하는 방식을 형성하는 특정 이론을 구현한다고 설명한다.

4. 1. 아뢰야식과 여래장

후기 유식 사상에서 ''citta-santāna'' 개념은 업의 씨앗이 저장되는 아뢰야식 개념을 대체했다. ''citta-santāna''는 아트만과 같은 "영구적이고 변하지 않으며 윤회하는 실체"가 아니라 일련의 순간적인 의식이다.

유가행파에서는 아뢰야식(ālaya-vijñāna)과 여래장(tathāgatagarbha)의 발전과 교리적 관계를 설명한다. 아뢰야식의 실체화를 피하기 위해, "마음의 흐름"인 ''citta-santāna''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비판을 부분적으로 회피했다. "흐름"이 실체화된 자아를 나타낸다고 부인하기가 더 쉬웠기 때문이다.

법칭(7세기)은 저서 『타심상승론(他心相續成就)』(''Saṃtãnãntarasiddhi'')에서 마음의 흐름 본질에 대해 썼다. 법칭에 따르면 마음의 흐름은 시작이 없는 시간적 연속이었다.

마음의 흐름 개념은 금강승(탄트라 불교)에서 더욱 발전되었는데, 여기서 "마음의 흐름"(''sems-rgyud'')은 생애 내에서 뿐만 아니라 생애 사이에서도 연속적인 순간의 흐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4대 달라이 라마는 이를 자아나 영혼이 없지만, 연속적인 생애에 걸쳐 확장되는 의식의 연속으로 본다.

4. 2. 법칭의 타심상속론

법칭(7세기)은 저서 『타심상속성취(他心相續成就, Saṃtãnãntarasiddhi)』에서 마음의 흐름의 본질에 대해 썼다. 법칭에 따르면 마음의 흐름은 시작이 없는 시간적 연속이었다.

5. 금강승 불교와 상속

Citta-saṃtānasa (산스크리트어), 문자 그대로 "마음의 흐름"은 마음 또는 인식의 연속적인 순간들의 흐름이다. 불교에서는 영구적으로 존재하는 "자아"(아트만)를 부정하며, 마음의 흐름은 이러한 자아 없이도 인격의 연속성을 설명한다. 마치 하나의 촛불에서 다른 촛불로 불꽃이 옮겨가는 것처럼, 마음의 흐름은 한 생에서 다른 생으로 이어진다.

윌리엄 월드론은 인도 불교에서 마음의 흐름이 한 생에서 다음 생으로 이어지는 연속성을 가지며, 이 이러한 변형을 전달하는 기본적인 인과적 메커니즘이라고 설명했다. 즉, 마음의 흐름(''santāna'')은 정신적 번뇌(''kleśa'')와 행위(''karma'')에 의해 점차 증가하며 다음 세상으로 이어진다.

바사나 ("업의 각인")는 삶과 순간 사이의 업의 연속성을 제공하며, 한 사람이 세상을 경험하는 방식을 형성한다. 후기 유식 사상에서 ''citta-santāna''는 업의 씨앗이 저장되는 저장 의식의 개념을 대체했다. 이는 아트만과 같은 영구적인 실체가 아니라, 순간적인 의식의 연속이다. 유가행파에서는 저장 의식과 여래장의 교리적 관계에서 ''ālaya-vijñāna''의 실체화를 피하기 위해 "마음의 흐름"인 ''citta-santāna''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법칭은 저서 『타심상승론(他心相續成就)』(''Saṃtãnãntarasiddhi'')에서 마음의 흐름은 시작이 없는 시간적 연속이라고 설명했다.

금강승 (탄트라 불교)에서는 "마음의 흐름" 개념이 더욱 발전되었다.

5. 1. 달라이 라마의 견해

སེམས་རྒྱུད|sem-gyubo (마음의 흐름)는 생애 내에서 뿐만 아니라 생애 사이에서도 연속적인 순간의 흐름으로 이해될 수 있다.[1] 제14대 달라이 라마는 자아나 영혼은 없지만, 연속적인 생애에 걸쳐 확장되는 의식의 연속으로 '상속'을 설명한다.[2]

6. 현대적 의의

불교의 상속 개념은 개인과 사회의 변화 가능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특히, 마음의 흐름(Citta-saṃtānasa)은 아트만(자아) 없이도 인격의 연속성을 설명하며, 업의 영향을 받아 한 생에서 다음 생으로 이어진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6. 1. 업(Karma)과의 관계

상속은 업(카르마)의 연속성을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바사나는 "업의 각인"으로, 삶과 순간 사이의 업의 연속성을 제공한다.[1] 러스타우스에 따르면, 이러한 바사나는 한 사람이 "실제로 세상을 특정한 방식으로 보고 경험하며, 실제로 특정 유형의 사람이 되어 우리가 경험하는 방식을 즉시 형성하는 특정 이론을 구현하는지"를 결정한다.[1]

6. 2. 심리치료 및 명상과의 관계

Citta-saṃtānasa(산스크리트어)는 문자 그대로 "마음의 흐름"을 의미하며,[1] 마음 또는 인식의 연속적인 순간들의 흐름이다. 불교에서는 영구적으로 존재하는 "자아"(아트만)를 부정하지만, 마음의 흐름은 인격의 연속성을 제공한다. 마음의 흐름은 마치 촛불의 불꽃이 다른 촛불로 옮겨가는 것처럼, 한 생에서 다른 생으로의 연속성을 제공한다.[2] 윌리엄 월드론은 "인도 불교도들은 개인의 마음 흐름이 한 생에서 다음 생으로 이어지는 연속성의 측면에서 마음의 '진화'를 보며, 이 변형이 한 생에서 다음 생으로 전달되는 기본적인 인과적 메커니즘이다."라고 설명했다.

월드론에 따르면, "마음의 흐름(''santāna'')은 정신적 번뇌(''kleśa'')와 행위(''karma'')에 의해 점차 증가하며, 다시 다음 세상으로 이어진다. 이런 식으로 존재의 순환은 시작이 없다."

바사나 "업의 각인"은 삶과 순간 사이의 업의 연속성을 제공한다. 러스타우스에 따르면, 이러한 바사나는 한 사람이 "실제로 세상을 특정한 방식으로 보고 경험하며, 실제로 특정 유형의 사람이 되어 우리가 경험하는 방식을 즉시 형성하는 특정 이론을 구현하는지"를 결정한다.

참조

[1] 웹사이트 상속(相續) http://krdic.naver.c[...] 2013-01-08
[2] 웹사이트 相續 http://hanja.naver.c[...] 2013-0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