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경전철 동북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경전철 동북선은 왕십리역에서 상계역을 잇는 경전철 노선이다. 1990년대 서울 지하철 12호선으로 추진되었으나 외환 위기로 백지화되었고, 2007년 최초 사업 제안이 접수된 이후 여러 차례 사업자 변경 및 협상을 거쳐 2019년 착공하여 2020년 본 착공에 들어갔다. 노선은 총 16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역 사회 일각에서는 중전철 변경 및 수인분당선 직결 운행을 주장했으나, 경전철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또한, 용두역 인근을 지나가지만, 환승은 불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경전철 - 서울 경전철 신림선
서울 경전철 신림선은 영등포구 샛강역에서 관악구 관악산(서울대)역까지 7.6km를 운행하는 노선으로, 2022년 5월 개통되었으며 11개 역으로 구성, 기존 지하철 노선과의 환승을 통해 서울 남부 지역의 교통 편의를 개선하고 서울대학교 접근성을 향상시켰으며, 무인 자동운전 K-AGT 방식의 고무차륜 전동차를 운영한다. - 서울 경전철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은 강북구 북한산우이역부터 동대문구 신설동역을 잇는 총 연장 11.4km의 대한민국 최초 완전 지하 경전철 노선으로, 2017년 9월 개통되어 무인자동운전 시스템으로 운영되며, 향후 1호선 방학역 연결 지선 건설 계획이 있다. - 계획 중인 철도 노선 - 대경선
대경선은 구미역과 경산역을 잇는 광역철도 노선으로, 2024년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한국형 열차 제어 시스템을 적용하고 2량 대형 전동차를 운행하며, 현재 2단계 구간 사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고 일부 교통카드는 호환되지 않는다. - 계획 중인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은 녹산국가산업단지와 부산 도심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경제 위기로 인해 사상-하단 구간을 우선 추진하며, 2026년 개통을 목표로 총 6.9km, 7개의 역에 무인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서울 경전철 동북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명 | 서울 경전철 동북선 |
다른 이름 | 동북선 |
로마자 표기 | Dongbuk Line |
한자 표기 | 東北線 |
종류 | 도시 철도 |
체계 | 수도권 전철, 서울 경전철 |
상태 | 공사 중 |
운영 | |
소유자 | 서울특별시 |
운영자 | 동북선경전철, 로템SRS |
노선 제원 | |
기점 | 왕십리역 (서울특별시 성동구) |
종점 | 상계역 (서울특별시 노원구) |
역 수 | 16 |
노선 연장 | 13.3km |
궤간 | 1,435㎜ |
복선 구간 | 전 구간 |
전철화 방식 | 직류 750V |
차량 기지 | 서울특별시 노원구 한글비석로 318 (부람산 차량사업소) |
개통 정보 | |
개통 예정 | 2026년 7월 |
기타 정보 |
2. 연혁
- 2007년 3월 23일: 최초 사업제안서 접수
- 2010년 5월 20일: 제3자 제안공고
- 2010년 10월 7일: 우선협상대상자(가칭 동북뉴타운신교통주식회사, 주간사 경남기업) 지정
- 2015년 12월 30일: 우선협상대상자 해제
- 2016년 1월 4일: 차순위 협상대상자 현대엔지니어링과 협상 개시[5]
- 2017년 7월 23일: 차순위 협상대상자와 최종 협상 마무리
- 2018년 7월 5일: 동북선도시철도와 실시협약 체결
- 2019년 10월 9일: 착공식 개최
- 2020년 8월 1일: 본 착공
2. 1. 추진 과정
1990년대 서울 3기 지하철 계획의 일환으로 서울 지하철 12호선으로 추진되었으나, 1998년 9월 외환 위기의 여파로 사업이 백지화되었다. 이후 경전철로 전환해 추진하고 있으며, 영업 거리는 12호선 시절보다 좀 더 길어졌다. 모든 정거장에 엘리베이터, 스크린도어 등 편의시설이 설치되며 우이신설선, 신림선과 동일하게 역무실, 매표소 등 없이 무인 시스템으로 운영될 예정이다.2. 2. 건설 과정
1990년대에 서울 3기 지하철 구상 가운데 하나였던 서울 지하철 12호선으로 추진됐으나, 1998년 9월에 외환 위기의 여파로 해당 사업이 백지화된 이후 경전철로 전환해 추진하고 있다. 모든 정거장에 엘리베이터, 스크린도어 등 편의시설이 설치되며 우이신설선, 신림선과 동일하게 역무실, 매표소 등 없이 무인 자동 시스템으로 운영될 예정이다.2019년 10월 9일 착공식을 개최하였고, 2020년 8월 1일 본 착공에 들어갔다.[1] 2026년 7월 개통 예정이다.[1]
항목 | 내용 |
---|---|
총 연장 | 13.3㎞ (전구간 지하) |
역 수 | 16 |
운행 방식 | 무인 자동 운전, 철제차륜 |
시행 방식 | 민간투자사업 (BTO) |
서울 경전철 동북선은 왕십리역을 시작으로 제기동역, 고려대역, 미아사거리역, 월계역, 하계역을 거쳐 상계역까지 이어지는 서울특별시의 경전철 노선이다. 이 노선은 강북 지역의 철도 교통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해 추진되었으며, 총 연장 13.3km로 전 구간이 지하로 건설된다. 총 16개의 역이 있으며, 모든 정거장에는 엘리베이터, 스크린도어 등 편의시설이 설치된다. 또한 우이신설선, 신림선과 같이 역무실, 매표소 등이 없는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으로 운영될 예정이다.[1]
3. 노선
이 노선은 원래 1990년대 서울 지하철 12호선으로 추진되었으나, 1998년 9월 외환 위기로 인해 사업이 백지화되었다. 이후 경전철로 전환되어 추진되고 있으며, 영업 거리는 12호선 계획보다 연장되었다.[1]
3. 1. 정거장 목록
서울 경전철 동북선의 모든 정거장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다. 역 번호, 역명, 한자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누적 거리는 다음과 같다.
역 번호 |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소재지 |
---|---|---|---|---|---|---|
S301 | 왕십리 | 往十里 | 성동구 | |||
S302 | 동명초교 | 東明初敎 | 0.92 | 0.92 | 성동구 | |
S303 | 제기동 | 祭基洞 | 0.97 | 1.89 | 동대문구 | |
S304 | 고려대 (종암) | 高麗大 (鐘岩) | 1.25 | 3.14 | 동대문구 | |
S305 | 종암우체국 | 鍾岩郵遞局 | 0.67 | 3.81 | 성북구 | |
S306 | 종암경찰서 | 鍾岩警察署 | 0.82 | 4.63 | 성북구 | |
S307 | 미아사거리 | 彌阿사거리 | 0.62 | 5.25 | 성북구 | |
S308 | 장위 | 長位 | 0.83 | 6.08 | 성북구 | |
S309 | 북서울꿈의숲 | 北서울꿈의숲 | 0.97 | 7.05 | 성북구 | |
S310 | 우이천 | 牛耳川 | 0.86 | 7.91 | 노원구 | |
S311 | 월계 | 月溪 | 1.18 | 9.09 | 노원구 | |
S312 | 하계 | 下溪 | 0.74 | 9.83 | 노원구 | |
S313 | 서울시립과학관 | 서울市立科學館 | 0.70 | 10.53 | 노원구 | |
S314 | 은행사거리 | 銀杏四거리 | 1.32 | 11.85 | 노원구 | |
S315 | 불암산 | 佛巖山 | 0.66 | 12.51 | 노원구 | |
S316 | 상계 | 上溪 | 0.74 | 13.25 | 노원구 |
위 표에서 환승역을 제외한 역명은 가칭이다.
3. 1. 1. 본선
역 번호 | 역명 | 한자 역명 | 환승 | 역간 거리 (km) | 누적 거리 (km) | 소재지 |
---|---|---|---|---|---|---|
S301 | 왕십리 | 往十里 | 서울특별시 성동구 | |||
S302 | 동명초교 | 東明初敎 | 0.92 | 0.92 | 서울특별시 성동구 | |
S303 | 제기동 | 祭基洞 | 0.97 | 1.89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
S304 | 고려대 (종암) | 高麗大 (鐘岩) | 1.25 | 3.14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
S305 | 종암우체국 | 鍾岩郵遞局 | 0.67 | 3.81 | 서울특별시 성북구 | |
S306 | 종암경찰서 | 鍾岩警察署 | 0.82 | 4.63 | 서울특별시 성북구 | |
S307 | 미아사거리 | 彌阿사거리 | 0.62 | 5.25 | 서울특별시 성북구 | |
S308 | 장위 | 長位 | 0.83 | 6.08 | 서울특별시 성북구 | |
S309 | 북서울꿈의숲 | 北서울꿈의숲 | 0.97 | 7.05 | 서울특별시 성북구 | |
S310 | 우이천 | 牛耳川 | 0.86 | 7.91 | 서울특별시 노원구 | |
S311 | 월계 | 月溪 | 1.18 | 9.09 | 서울특별시 노원구 | |
S312 | 하계 | 下溪 | 0.74 | 9.83 | 서울특별시 노원구 | |
S313 | 서울시립과학관 | 서울市立科學館 | 0.70 | 10.53 | 서울특별시 노원구 | |
S314 | 은행사거리 | 銀杏四거리 | 1.32 | 11.85 | 서울특별시 노원구 | |
S315 | 불암산 | 佛巖山 | 0.66 | 12.51 | 서울특별시 노원구 | |
S316 | 상계 | 上溪 | 0.74 | 13.25 | 서울특별시 노원구 |
- 환승역을 제외하고, 역명은 가칭이다.
- 역 소재지는 전 구간 서울특별시 내이다.
4. 논란
지역 사회 일각에서 동북선을 중전철로 변경하여 수인분당선과 직결 운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6] 그러나 2024년 현재 동북선은 경전철로 건설 중이다. 용두역 인근을 지나지만, 2호선 성수지선과의 환승은 불가능하며, 이에 대해 서울시는 민간투자사업자와 협상 과정에서 환승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6]
4. 1. 중전철 직결 무산
지역 사회 일각에서 동북선을 중전철로 변경하여 수인분당선과 직결 운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6] 그러나 2024년 현재 동북선은 경전철로 건설 중이다. 이는 동북선 연선의 수송 능력 및 경제적 타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로 판단된다.4. 2. 용두역 환승 문제
서울 경전철 동북선은 용두역 인근을 지나지만,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용두역과의 환승은 불가능하다. 서울시는 민간투자사업자와의 협상 과정에서 환승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나,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다.[6]참조
[1]
웹사이트
속도내는 동북선 경전철…2019년 착공
http://www.hani.co.k[...]
2017-07-24
[2]
뉴스
신림선·동북선 등 철도망 사업에 내년 4181억원 투입
http://news.hankyung[...]
[3]
웹사이트
2025년 개통 예정 동북선 도시철도! 무인 경전철로 가까워지는 노원과 왕십리
https://blog.hyundai[...]
2020-02-21
[4]
웹사이트
홈페이지
https://opengov.seou[...]
[5]
뉴스
서울 동북선 경전철 협상 이달중 마무리...신림선도 첫 삽
http://www.ebn.co.kr[...]
EBN
2016-09-01
[6]
뉴스
서울시, 동북권 철도사업 경전철 확정… 주민 ‘강력 반발’
http://www.ikld.kr/n[...]
국토일보
2014-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