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자유 지수는 프리덤 하우스가 정치적 권리와 시민 자유를 기준으로 국가별 등급을 평가하는 지수이다. 이 지수는 1(가장 자유로움)에서 7(가장 자유롭지 않음)까지 등급을 매기며, 정치적 권리와 시민 자유의 평균을 기준으로 '자유', '부분적 자유', '자유롭지 않음'으로 분류한다. 평가는 선거 과정, 정치 다원주의 및 참여, 정부 기능, 표현의 자유, 법치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며, 연도별 결과를 통해 각 국가의 자유 정도 변화를 보여준다. 2023년 대한민국은 '자유' 국가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평가 방법의 중립성, 개념적 확장, 집계 문제, 척도의 투명성 부족 등 다양한 비판이 존재한다.
2. 평가 방법
프리덤 하우스는 세계 인권 선언에 명시된 정치적 권리와 시민 자유를 기준으로 국가별 등급을 평가한다.[16] 정치적 권리와 시민 자유는 각각 1등급(가장 자유로움)에서 7등급(가장 자유롭지 않음)까지 평가되며, 이 두 등급의 평균을 기준으로 '자유', '부분적 자유', '자유롭지 않음'으로 분류된다.
평가 요소는 정치적 권리 40점, 시민 자유 60점으로 총 100점 만점으로 구성된다. 정치적 권리는 선거 과정, 정치 다원주의 및 참여, 정부 기능의 세 가지 하위 범주로, 시민 자유는 표현의 자유 및 신념, 결사 및 조직의 권리, 법치, 개인의 자율성 및 개인의 권리의 네 가지 하위 범주로 평가된다.[33][34]
각 부문별 평가 점수 및 등급은 다음과 같다.
정치적 권리 부문 점수[34]
시민 자유 부문 점수
판정 등급
36~40
53~60
1
30~35
44~52
2
24~29
35~43
3
18~23
26~34
4
12~17
17~25
5
6~11
8~16
6
0~5
0~7
7
평균 등급
구분
1.0
자유
1.5
2.0
2.5
3.0
부분 자유
3.5
4.0
4.5
5.0
5.5
부자유(억압)
6.0
6.5
7.0
프리덤 하우스는 "선거 민주주의" 국가를 별도로 지정한다. 이는 경쟁적인 다당제 정치 시스템, 성인 선거권, 비밀 투표 및 합리적인 투표 보안, 주요 정당의 언론 접근성 등 네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또한, 정치적 권리 하위 범주 A(선거 과정)에서 7점 이상(12점 만점), 정치적 권리 총점 20점 이상, 시민 자유 총점 30점 이상을 받아야 한다.[9]
2. 1. 정치적 권리
정치적 권리는 세계 인권 선언에 기반하여 평가되며, 1등급부터 7등급까지로 나뉜다. 등급이 낮을수록 정치적 권리가 더 잘 보장됨을 의미한다. 정치적 권리는 크게 세 가지 하위 범주로 구성된다.[34]
부문
분류
질문
만점
요소
요소
요소
정치적 권리
40
선거 과정
12
현 정부 수반이나 기타 국가권한위원장이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는가?
4
현재의 국가 입법 대표들은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는가?
4
선거법과 체계가 공정하며, 관련 선거관리 기구에 의해 공평하게 시행되고 있는가?
4
정치의 다원성과 정치 참여
16
국민은 서로 다른 정당이나 그들이 선택한 다른 경쟁적인 정치 집단에서 조직할 권리를 가지고 있는가? 그리고 시스템은 이러한 경쟁 정당이나 집단의 흥망성쇠에 대한 과도한 장애물로부터 자유로운가?
4
야당이 선거를 통해 지지를 높이거나 힘을 얻을 현실적인 기회가 있는가?
4
국민의 정치적 선택은 군사, 외세, 종교계층, 경제 과점 또는 민주적으로 책임지지 않는 다른 강력한 집단의 지배로부터 자유로운가?
4
인구의 다양한 부문(종족, 종교, 성별, LGBT 및 기타 관련 집단 포함)이 완전한 정치적 권리와 선거 기회를 가지고 있는가?
4
정부 기능
12
자유롭게 선출된 정부 및 국가 입법 대표들이 정부의 정책을 결정하는가?
4
공무원의 부패에 대한 장치가 강하고 효과적인가?
4
정부는 개방성과 투명성을 가지고 운영되고 있는가?
4
각 국가 및 지역의 정치적 권리 등급은 다음과 같이 평가된다.[34]
정치적 권리 부문 점수
판정 등급
36~40
1
30~35
2
24~29
3
18~23
4
12~17
5
6~11
6
0~5
7
2. 1. 1. 선거 과정
정부 수반 및 국가권한위원장 선출, 국가 입법 대표 선출은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선거법과 체계는 공정해야 하며, 선거관리 기구는 공평하게 운영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해당 국가의 정치적 권리와 시민 자유를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개인들은 거주지, 고용, 또는 교육을 바꿀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여 이동의 자유를 누리고 있는가?
4
개인이 국가나 비국가 행위자의 부당한 간섭 없이 재산 소유권을 행사하고 민간 사업을 설립할 수 있는가?
4
개인들은 결혼 상대자와 가족의 크기 선택, 가정 폭력으로부터의 보호, 외모에 대한 통제 등 개인적인 사회적 자유를 누리고 있는가?
4
개인이 경제적 착취로부터 기회와 자유의 평등을 누리고 있는가?
4
시민 자유 부문 점수에 따라 판정 등급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34]
시민 자유 부문 점수
판정 등급
53~60
1
44~52
2
35~43
3
26~34
4
17~25
5
8~16
6
0~7
7
3. 연도별 결과
2023년 세계 자유 지수는 각 국가의 정치적 권리와 시민 자유를 평가하여 점수와 등급을 매기고, 이를 바탕으로 '자유', '부분 자유', '부자유' 국가로 분류한다.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1989년 민주화 이후 대체로 '자유' 국가 지위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일부 지표에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표현의 자유, 집회 및 결사의 자유, 법치주의 영역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19] 특히,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언론 탄압, 집회 및 시위 제한, 검찰 권력 강화 등의 논란이 일면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20]
4. 대륙별 결과
프리덤 하우스는 세계를 아프리카, 아시아-태평양, 유라시아, 유럽, 중동, 아메리카 등 6개 대륙으로 구분하여 각 대륙별 국가들의 자유 정도를 분석한다. 각 대륙별 '자유', '부분적 자유', '자유롭지 않음' 국가 수 및 인구 비율은 다음과 같다.
대륙
자유/부분적 자유/자유롭지 않음
아시아-태평양 (49개국)
자유 (44%)
부분적 자유 (36%)
자유롭지 않음 (20%)
유럽 (42개국)
자유 (86%)
부분적 자유 (14%)
아메리카 (35개국)
자유 (66%)
부분적 자유 (28%)
자유롭지 않음 (6%)
아프리카 (49개국)
자유 (18%)
부분적 자유 (41%)
자유롭지 않음 (41%)
중동 (18개국)
자유 (11%)
부분적 자유 (22%)
자유롭지 않음 (67%)
유라시아 (12개국)
부분적 자유 (42%)
자유롭지 않음 (58%)
5. 비판
자유의 집의 중립성과 ''세계의 자유'' 보고서에 사용된 방법론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16] 케네스 A. 볼렌은 인권 지수의 중립성과 편향성에 대해 여러 연구를 통해 논의했다.[17] 그는 비판들이 일부 국가의 평가 오류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체계적인 편향성을 입증하지는 못한다고 보았다. 대부분의 증거는 소수 사례에 대한 일화적인 증거이며, 평가에 체계적인 경향이 있는지, 아니면 산발적인 경향이 있는지는 미지수라고 밝혔다.[16] ''세계의 자유''의 자유 지수는 다른 민주주의 지수들과 80% 이상의 강력하고 긍정적인 상관 관계를 보인다.[18]
볼렌은 1986년 연구에서 ''세계 자유 지수''를 포함한 인권 측정에 대한 검토를 논의했다. 1980년대 ''세계 자유 지수''에 대한 비판은 가스틸에 의해 논의되었는데, 그는 이러한 비판이 설문 조사 등급에 대한 면밀한 검토보다는 자유의 집에 대한 의견에 근거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잔노네는 이에 대해 반박했다.[19] 아담 프르제보르스키는 자유의 집의 자유 정의가 자유의 행사보다는 자유를 강조한다고 비판했다. 예를 들어, 미국 시민은 정당을 결성하고 투표할 자유가 있지만, 대통령 선거에서조차 절반만이 투표하며, "같은 두 정당이 상업적으로 후원하는 목소리로 말한다"고 지적했다.[20]
자유의 집은 이념적 편향 비판에 대해 2010년 성명을 통해, 세계 인권 선언을 기반으로 하는 정치적 권리와 시민적 자유의 기본 기준에 근거하며, 이는 지리적 위치, 민족 또는 종교 구성, 경제 발전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국가와 영토에 적용된다고 밝혔다.[8]
메인워링 등은 자유의 집 지수가 좌익에 대한 점수 왜곡과 기준 변화에 따른 점수 변동이라는 두 가지 체계적인 편향을 가진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 자유의 집 지수는 아담 프르제보르스키의 지수 및 저자들 자신의 지수와 0.82의 피어슨 선형 상관 계수를 보이는 등 매우 강력하고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18]
볼렌은 이전의 ''세계 자유 지수'' 연구가 일화적이고 결정적이지 않다고 비판하며, 과학적 방법으로 더 연구해야 할 문제를 제기했다.[16] 그는 다변량 통계를 사용하여 이념적 편향 문제를 연구했다. 볼렌과 팩스는 요인 분석 모델을 통해 가스틸의 방법이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에 대해 -0.38 표준 편차의 편향을, 기독교 국가를 선호하는 +0.5 표준 편차의 더 큰 편향을 생성한다고 추정했다. 서스먼의 방법론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21] 반면, ''세계 자유 지수'' 비판자가 제시한 또 다른 방법은 1980년대에 좌익 국가에 대해 최소 +0.8 표준 편차의 편향을 생성했는데, 이는 "정치 과학자들이 일반 대중보다 좌익 정치에 더 호의적이라는 일반적인 발견과 일치한다"고 보았다.[21]
정치학자 앤드루 T. 리틀과 앤 멩은 프리덤 하우스와 민주주의 다양성 (V-Dem) 프로젝트가 생산하는 데이터가 주관적인 지표에 크게 의존하여 코더 편향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22]
디에고 지안노네는 자유의 집 보고서의 수용 및 활용에 대한 비판으로 다음과 같은 점들을 지적했다:[23]
개념적 확장: 조반니 사토리가 사회 연구에서 흔히 나타나는 방법론적 결함을 비판하는 용어이다.[24] 랜드만과 하우제르만(2003)에 따르면, 자유의 집 지수는 민주주의, 굿 거버넌스, 인권의 척도로 사용되어 '의미론적 정밀도의 손실'을 초래하는 개념적 확장을 만들어냈다고 지안노네는 지적한다. 즉, 모든 것을 측정하는 도구는 결국 아무것도 구별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25]
집계 문제: 스코블과 와이즈버그(1981)는 "시민 자유 점수 4점과 정치적 자유 점수 2점의 합은 시민 자유 점수 2점과 정치적 자유 점수 4점의 합과 같지만, 이러한 서로 다른 조합에 대한 실질적인 해석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26]
구성의 구체성과 엄격성 부족 및 척도의 투명성 및 재현성 부족: 전자는 스코블 등(1981)을, 후자는 하데니우스와 테오렐(2005)을 언급한다.[27] 뭉크와 베르코일렌(2002)은 "코딩 규칙이 제공되지 않고, 정보 출처가 충분히 정확하게 식별되지 않으며, 세분화된 데이터가 독립 연구자에게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자유의 집에서 제공하는 집계 데이터는 주로 신뢰를 바탕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28]
디에고 지안노네는 "민주주의 측정에 나타난 정치적, 이념적 측면: 프리덤 하우스 사례" (2010)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방법론 변화와 방법론적 측면과 정치적 측면 간의 엄격한 상호 연결성 때문에 FH 데이터는 끊어지지 않고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시계열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시계열 분석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결론 내렸다.[29]
이에 대해 프리덤 하우스 웹사이트는 정치적 권리와 시민 자유에 대한 진화하는 아이디어에 적응하기 위해 몇 가지 소규모 방법론적 변경을 수행했지만, 시계열 데이터는 소급하여 수정되지 않으며, 연도별 등급의 비교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방법론에 대한 모든 변경 사항이 점진적으로 도입된다고 답변한다.[8]
5. 1.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후퇴 논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대한민국에서 언론 탄압, 집회 및 시위 제한, 검찰 권력 강화 등의 문제가 제기되면서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프리덤 하우스의 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쳐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지수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20]
참조
[1]
웹사이트
Marking 50 Years in the Struggle for Democracy
https://freedomhouse[...]
2023-03-09
[2]
웹사이트
Freedom House Report: Asia Sees Some Significant Progress
http://www.voanews.c[...]
Voice of America
2012-10-13
[3]
웹사이트
Correlation Versus Interchangeability: the Limited Robustness of Empirical Finding on Democracy Using Highly Correlated Data Sets
http://www.personal.[...]
Gretchen Casper and Claudiu Tufis, Political Analysis
2017-10-20
[4]
간행물
List of Electoral Democracies FIW23
https://freedomhouse[...]
Freedom House
[5]
웹사이트
Freedom in the World 2019
https://freedomhouse[...]
Freedom House
2019-02-05
[6]
웹사이트
Freedom in the World 2020
https://freedomhouse[...]
Freedom House
2020-03-04
[7]
웹사이트
Freedom in the World 2021
https://freedomhouse[...]
Freedom House
2021-03-03
[8]
웹사이트
Freedom in the World 2010: Methodology
http://www.freedomho[...]
Freedom house
2011-12-23
[9]
웹사이트
Methodology: Freedom in the World 2018
https://freedomhouse[...]
2018-01-13
[10]
웹사이트
Countries and Territories
https://freedomhouse[...]
2021-03-05
[11]
웹사이트
Puerto Rico
https://freedomhouse[...]
2019-07-18
[12]
간행물
Country Status and ratings overview
https://freedomhouse[...]
Freedom House
2016-08-02
[13]
간행물
Country and Territory Ratings and Statuses, 1973-2024 (Excel Download)
https://freedomhouse[...]
Freedom House
[14]
간행물
Number and percentages of electoral democracies
https://freedomhouse[...]
Freedom House
2016-08-02
[15]
간행물
Freedom In the World 2018
https://freedomhouse[...]
Freedom House
[16]
논문
Political Rights and Political Liberties in Nations: An Evaluation of Human Rights Measures, 1950 to 1984
https://www.jstor.or[...]
1986-11
[17]
문서
[18]
논문
Classifying Political Regimes in Latin
[19]
논문
The Comparative Survey of Freedom: Experiences and Suggestions
[20]
논문
Freedom to choose and democracy
[21]
논문
Subjective Measures of Liberal Democracy
https://web.archive.[...]
2000-02
[22]
논문
Measuring Democratic Backsliding
https://osf.io/n32zk[...] [23]
논문
Political and ideological aspects in the measurement of democracy: the Freedom House case
2010-02
[24]
문서
Concept Misformation in Comparative Politics
[25]
문서
[26]
서적
Global Human Rights: Public Policies, Comparative Measures and NGO Strategies
Westview Press, Boulder, CO
1981
[27]
문서
[28]
논문
Conceptualising and Measuring Democracy: Evaluating Alternative Indices
http://www-bcf.usc.e[...]
2002-02
[29]
문서
[30]
웹인용
Marking 50 Years in the Struggle for Democracy
https://freedomhouse[...]
2023-03-09
[31]
간행물
List of Electoral Democracies FIW23
https://freedomhouse[...]
Freedom House
[32]
웹인용
Freedom House Report: Asia Sees Some Significant Progress
http://www.voanews.c[...]
Voice of America
2012-10-13
[33]
문서
최하위 점수:-4점
[34]
문서
[35]
웹사이트
https://freedomhou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