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송 (한림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한림아)은 원나라 말기 홍건적의 난을 배경으로 한림아가 옹립되어 건국된 대한송제국에 대한 문서이다. 1355년 유복통이 북송 휘종의 후예를 자처한 한림아를 소명왕으로 추대하여 건국되었으며, 안후이 성 보저우를 수도로 삼았다. 이후 수도를 개편하고 서송, 명하, 대진한 등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으나, 주원장의 공격으로 쇠퇴하여 1367년 멸망했다. 초대 황제는 한림아, 2대 황제는 성문욱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송 (한림아)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한송제국 국기
국기
수도보저우 (1355 ~ 1358)
공용어중국어
종교불교
정부 형태전제 군주제
지도자
지도자 칭호황제
지도자 이름한임아 (1355 ~ 1365)
면적 및 인구
경제
역사
존속 기간 시작1355년
존속 기간 끝1367년
이전 국가원나라
계승 국가명하

2. 역사적 배경

元朝|원조중국어 말기는 여러 사회적, 경제적 문제로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특히 몽골 지배층의 가혹한 수탈과 차별 정책은 한족들의 불만을 고조시켰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생한 홍건적의 난은 단순한 농민 반란을 넘어 한족의 부흥을 꿈꾸는 움직임으로 발전했다.

3. 대한송제국의 성립과 발전

1355년 유복통(劉福通) 등 홍건적 지도자들은 북송 휘종의 후예를 자처한 한림아를 소명왕으로 추대하고, 한림아의 아버지 한산동을 국태공으로 내세웠다. 유복통섭정을 맡아, 안후이 성 보저우를 수도로 대한송제국을 건국하였고, 1355년 3월 16일, 한림아는 황제(소명제)로 정식 즉위하였다.

1358년 2월 15일, 수도를 허난 성 볜량으로 옮겼으나, 1359년 3월 18일 다시 보저우로 돌아왔다. 1359년 3월 2일, 유복통이 섭정에서 물러나고 한림아가 직접 통치하기 시작했다. 1363년 1월 23일, 안후이 성 추저우로 세 번째이자 마지막 천도를 하였다.

1358년 4월 30일에 같은 홍건적 성향의 군주제 국가였던 서송과 우방국교를 맺었다. 그러나 1360년 4월 26일진우량서수휘를 살해하고 서송을 멸망시킨 뒤 그 영토를 복속하였다.

1363년 1월 19일, 명하제국대진한제국과 공동 우방국교를 성립하였다. 그러나 1364년 1월 29일, 대진한제국이 주원장과 탕화의 공격을 받아 멸망하면서 옛 대진한제국 영토는 이들에게 복속되었다.

3. 1. 한림아의 옹립과 대한송제국 건국

1355년 유복통(劉福通) 등 홍건적 지도자들은 북송 휘종의 후예를 자처한 한림아를 소명왕으로 추대하고, 한림아의 아버지 한산동을 국태공으로 내세웠다. 유복통섭정을 맡아, 안후이 성 보저우를 수도로 하여 대한송제국을 건국하였다. 1355년 3월 16일, 한림아는 황제(소명제)로 정식 즉위하였다.

3. 2. 초기 발전 과정

1355년 2월 15일, 유복통 휘종의 후예를 자처하며 15세의 한림아를 군주(소명왕)로 추대하고, 한림아의 아버지 한산동을 국태공으로 내세웠다. 이로써 옛 원나라 안후이 성 보저우를 수도로 대한송제국이 건국되었으며, 유복통은 4년간 섭정을 맡았다. 1355년 3월 16일, 한림아는 황제(소명제)로 정식 즉위하였다.

1358년 2월 15일, 수도를 허난 성 볜량으로 옮겼으나, 1359년 3월 18일 다시 보저우로 돌아왔다. 1359년 3월 2일, 유복통이 섭정에서 물러나고 한림아가 직접 통치하기 시작했다.

1363년 1월 23일, 안후이 성 추저우로 세 번째이자 마지막 천도를 하였다.

3. 2. 1. 서송(徐宋)과의 관계

1358년 4월 30일에 같은 홍건적 성향의 군주제 국가였던 서송과 우방국교를 맺었다. 그러나 1360년 4월 26일진우량서수휘를 살해하고 서송을 멸망시킨 뒤 그 영토를 복속하였다.

3. 2. 2. 명하(明夏), 대진한(大陳漢)과의 관계

1363년 1월 19일, 명하제국대진한제국과 공동 우방국교(共同 友邦國交)를 성립하였다. 그러나 1364년 1월 29일, 대진한제국이 주원장과 탕화의 공격을 받아 멸망하면서 옛 대진한제국 영토는 이들에게 복속되었다. 명하제국은 대한송제국의 동맹우방국(同盟友邦國)이었다. 1367년 1월 28일 대한송제국은 명나라에 병합되었고, 명하제국으로 복속 조치되었다.

4. 대한송제국의 쇠퇴와 멸망

1355년 한임아를 군주로 옹립하여 건국된 대한송제국은, 1363년 한산동유복통장사성이 보낸 첩자들에게 암살당하는 등 내부 권력 다툼과 정치적 혼란을 겪으며 쇠퇴하기 시작했다.

1364년 주원장이 대진한제국을 멸망시키면서 대한송제국은 다음 목표가 되었고, 1366년에는 주원장이 이끄는 홍건도 군사에게 1차 정벌을 당하는 등 외부적인 공격으로 멸망의 길을 걸었다.

4. 1. 쇠퇴 과정

송(한림아)의 쇠퇴는 내부 권력 다툼과 정치적 혼란, 지도력 약화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4. 1. 1. 한산동(韓山童), 유복통의 피살

1363년 1월 26일, 한산동(韓山童)이 장사성(張士誠)이 보낸 첩자들에게 암살되었다. 2월 23일에는 유복통(劉福通) 역시 같은 방식으로 암살되었다. 이 사건들은 한림아(韓林兒)가 이끄는 대한송제국(大韓宋帝國)에 큰 타격을 주었다.

4. 2. 주원장의 공격과 멸망

1364년 1월 29일, 주원장과 탕화대진한제국을 공격하여 멸망시키자, 대한송제국은 다음 목표가 되었다. 1366년 1월 19일, 주원장이 이끄는 홍건도 군사가 대한송제국을 1차 정벌하면서 정치적 참사를 겪었다.

4. 2. 1. 한림아의 최후

1365년 12월 31일, 한임아는 주원장에게 체포되어 추저우 냉궁(冷宮)에 감금되었다. 1366년 12월 15일, 주원장의 계략에 넘어간 한임아는 냉궁에서 저녁 술을 마시고 취한 상태에서, 주원장이 보낸 첩자들에게 검으로 난자당했다. 결국 한임아는 첩자들에게 끌려가 화이허(淮河) 강물에 던져져 익사했다.

4. 2. 2. 성문욱(盛文郁)의 즉위와 몰락

1365년 12월 28일, 한임아성문욱에게 보위를 선위하고 추저우 태황궁(太皇宮)에 칩거하였다. 그러나 1365년 12월 31일, 한임아는 주원장탕화에게 체포되어 추저우 냉궁(冷宮)에 연금되었다. 성문욱한임아의 양위를 받아 대한송제국 제2대 군주에 즉위하였으나, 1366년 12월 15일 한임아가 주원장의 계략에 빠져 그가 보낸 첩자들에게 살해되었다. 한임아는 검(劍)으로 난도질 당한 뒤, 화이허(淮河) 강물에 던져져 익사하였다.

1367년 1월 28일, 대한송제국은 주원장이 이끄는 홍건도 군사에게 최종 토벌되어 멸망하였다. 성문욱주원장에게 투항하였고, 대한송제국은 명하제국에 복속 병합되었다.

5. 역대 황제

(明皇帝)한임아1355년 ~ 1365년제2대오황제
(烏皇帝)성문욱1365년 ~ 1367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