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쇠재두루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쇠재두루미는 몸길이 약 90cm의 두루미과에 속하는 새이다. 몸통은 회색, 얼굴과 목은 검은색이며, 부리는 노란색이다. 유라시아 흑해에서 몽골 및 중국 북동부까지 번식하며, 겨울에는 아프리카 사헬 지역이나 인도 아대륙 서부 지역으로 이동한다. 쇠재두루미는 1758년 칼 폰 린네에 의해 공식적으로 기술되었으며, 린네는 이 종을 'Ardea virgo'로 분류했다. 북인도 언어에서 '쿤지' 또는 '쿠르잔'으로 불리며, 문학, 시, 관용구에 자주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두루미속 - 검은목두루미
    검은목두루미는 유라시아 대륙 북부에서 번식하고 유럽 남부 등지에서 월동하는 철새로, 잿빛 회색 몸통에 검은색과 흰색 무늬가 있으며, 습지나 농경지에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는 두루미과의 대형 조류이다.
  • 두루미속 - 흑두루미
    흑두루미는 두루미과에 속하며, 회색 몸통과 흰색 머리를 가진 조류로, 시베리아 등지에서 번식하고 한국 등지에서 월동하며 멸종위기종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몽골의 새 - 멧새
    멧새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수컷은 적갈색 바탕에 줄무늬가 있고 암컷은 색이 옅으며, 건조하고 개방된 서식지에서 덤불 속이나 땅에 둥지를 짓고 잡식성으로 생활하며 IUCN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된다.
  • 몽골의 새 - 수리부엉이
    수리부엉이는 유라시아 대륙에 널리 분포하는 대형 맹금류로, 다양한 깃털 색깔, 주황색 눈, 곧게 선 귀깃이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 먹이 오염 등으로 위협받고 있어 한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및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인도의 새 - 멧비둘기
    멧비둘기는 유라시아 동부와 일본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도 흔히 보이는 새로, 회색빛 등과 갈색 날개, 목 옆 줄무늬가 특징이며, 곡식, 열매, 곤충을 먹고 나무에 둥지를 짓는 여러 아종이 존재하는 종이다.
  • 인도의 새 - 슴새
    슴새는 태평양에 서식하는 해양성 조류로, 동아시아 해안 섬에서 번식하며 어류, 낙지 등을 먹고 땅 속에 둥지를 틀지만, 과거 식용 및 깃털 채취와 현재 어업 활동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
쇠재두루미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탈 차파르 보호구역의 쇠재두루미 떼, 추루, 라자스탄
탈 차파르 보호구역, 추루, 라자스탄의 쇠재두루미 떼
상태관심 필요
상태 기준IUCN 3.1
상태 참고IUCN
CITES부록 II
CITES 참고CITES
학명Grus virgo
명명자(Linnaeus, 1758) (원래는 Ardea)
이명Anthropoides virgo (Linnaeus, 1758)
Ardea virgo Linnaeus, 1758
Grus ornata Brehm, CL, 1855
G. virgo의 분포도
G. virgo의 분포. 번식, 통과, 비번식.
한국어 이름쇠재두루미
일본어 이름아네하즈루
영어 이름Demoiselle Crane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두루미목
두루미과
깃털두루미속
분포
서식지유라시아 중앙부
월동지아프리카 및 인도 아대륙
설명가장 작은 두루미 중 하나
크기몸길이: 85-100cm
날개 길이: 155-180cm
몸무게: 2-3kg
울음소리'쿤' (Koonj), 산스크리트어 'kraunch'에서 유래

2. 생김새

몸통은 회색이고 얼굴과 목은 검은색이다. 가슴의 검은색 깃털은 아래로 늘어지며 부리는 노란색이다. 어린 새는 어른 새에 비해 연하고 갈색빛이다. 쇠재두루미는 두루미 종류 중 가장 작다.[13][14] 몸길이는 85cm에서 100cm이고, 키는 76cm이며, 날개 길이는 155cm에서 180cm이다. 몸무게는 2kg에서 3kg이다. 유라시아두루미보다 약간 작지만, 깃털은 비슷하다. 목에는 길고 흰 줄무늬가 있으며, 목 앞쪽의 검은색은 깃털처럼 가슴까지 이어진다.

쇠재두루미는 우렁찬 울음소리를 내며, 유라시아두루미보다 더 높은 음을 낸다. 다른 두루미들처럼 쇠재두루미도 춤을 추는데, 유라시아두루미보다 도약이 적고 발레와 같은 모습이다. 전체 길이는 약 90cm로, 두루미과 중에서 작은 편이다.

3. 분류

쇠재두루미는 1758년 스웨덴의 박물학자 칼 폰 린네가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공식적으로 기술했다. 린네는 쇠재두루미를 두루미과와 왜가리속에 속하는 인 ''Ardea''에 배치하고 이명 ''Ardea virgo''를 만들었다. 그는 기준 산지를 동양으로 명시했지만, 이는 인도(India)로 제한되었다.[4][5]

린네는 이전 저자들의 설명을 인용했다. 영국의 박물학자 엘레아자르 알빈은 1738년에 "누미디아 두루미"를 설명하고 삽화를 그렸는데, "이 새는 특정한 행동 방식 때문에 데모아젤이라고 불리는데, 걷기, 허리 굽히기, 춤을 추는 모습에서 우아함을 흉내 내는 여인의 몸짓을 모방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6] 린네는 또한 1750년에 "누미디아의 데모아젤"을 설명하고 삽화를 그린 영국의 박물학자 조지 에드워드를 인용했다.[7] "la demoiselle de Numidie"라는 이름은 1676년 프랑스의 박물학자 클로드 페로가 사용했다.[8]

쇠재두루미는 현재 1760년 프랑스 동물학자 마투랭 자크 브리송이 도입한 ''Grus'' 속에 속한다. 이 종은 단일종으로 간주되며, 어떠한 아종도 인정되지 않는다.[9] 속명 ''Grus''는 "두루미"를 뜻하는 라틴어 단어이다. 종소명 ''virgo''는 "처녀"를 의미하는 라틴어이다.[10] 일부 권위자들은 이 종을 밀접하게 관련된 파라다이스두루미 (''Grus paradisea'')와 함께 ''Anthropoides'' 속에 배치한다.[1][11][12]

4. 서식 및 분포

쇠재두루미는 농경지, 초습지, 개활지 등에서 서식한다. 평지에서 산지의 평탄한 초원 지역에 서식한다. 중앙 유라시아의 흑해에서 몽골 및 중국 북동부까지 번식한다. 보통 물 근처의 듬성듬성한 초목이 있는 개방된 서식지에서 번식한다. 겨울에는 차드호에서 동쪽으로 에티오피아 남부까지 아프리카의 사헬 지역이나 인도 아대륙 서부 지역으로 이동한다. 이전에는 터키에 작은 개체군이 있었고, 북서 아프리카의 아틀라스 산맥에 고립된 잔류 개체군이 있었으나, 이들은 현재 모두 멸종되었다. 인도 월동지에서는 농경지에 모여 대규모 무리를 형성한다. 밤에는 얕은 개방된 물에서 횃대에 앉는다.

티베트 고원 등 구북구온대 지역에서 번식하며, 인도 아대륙이나 북동 아프리카, 중동 등에서 월동한다. 일본에는 드물게 미조로 도래한다. 2007년 6월, 아오모리현에서는 33년 만에 도래했다.[22] 에도 시대에도 포획되어, 쇼군에게 헌상된 기록이 있으며, 그림이 그려져 있다.[23] 천적은 검독수리이다.

5. 생태

쇠재두루미는 농경지, 초습지, 개활지, 평지에서 산지의 평탄한 초원 지역에 서식한다. 검독수리가 천적이다. 번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

5. 1. 번식

알은 4월과 5월 사이에 낳는다. 최소한의 둥지는 풀이나 맨땅이 드러난 곳에 짓는다. 한 배의 알은 보통 2개이다. 알은 하루 간격으로 낳으며, 첫 번째 알을 낳은 후 포란을 시작한다. 포란은 암컷과 수컷 모두가 하지만 주로 암컷이 한다. 알은 27~29일 후에 비동시적으로 부화한다. 새끼는 등 쪽은 옅은 갈색이고 배 쪽은 회백색이다. 새끼는 양쪽 부모 모두에게 먹이를 먹고 돌봄을 받는다. 나는 시기는 55~65일 사이다. 처음 번식하는 시기는 2살 때이다.

5. 2. 천적

쇠재두루미의 천적은 검독수리이다.

6. 문화

쇠재두루미는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상징을 가진다. 인도에서는 문학과 예술 작품에 자주 등장하며, 고대 인도의 전술 대형에도 영향을 주었다.[18][3][19][20] 일본에는 드물게 미조로 도래하며, 에도 시대에는 쇼군에게 헌상되기도 했다.[22][23]

6. 1. 인도

쇠재두루미는 북인도 언어에서 'koonj'/'kurjan'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지역의 문학, 시, 관용구 등에서 자주 언급된다. 아름다운 여성은 길고 가는 쇠재두루미의 우아한 모습에 비유되곤 한다. 집을 멀리 떠나거나 위험한 여정을 떠난 사람들을 비유할 때도 'koonj'가 종종 사용된다.[18]

'koonj'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kraunch'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두루미' 자체를 의미하는 인도유럽어족 동족어이다.[3] 힌두교 서사시 라마야나의 작가 발미키는 구애하는 쇠재두루미 한 쌍 중 수컷이 사냥꾼에게 죽임을 당하는 모습을 보고 영감을 받아 첫 번째 구절을 썼다고 전해진다. 사랑하는 암컷이 슬픔에 잠겨 울부짖으며 맴도는 것을 보고 그는 사냥꾼을 저주하는 시를 썼다. 이 순간 이전의 모든 시는 인간이 창작한 것이 아니라 계시된 것이라는 전통에 따라, 쇠재두루미에 관한 이 구절은 인간이 작곡한 최초의 시구로 여겨진다.[19]

쇠재두루미('koonj')의 이주 시 비행 대형은 고대 인도의 전술 대형에도 영감을 주었다. 마하바라타 서사시에는 쿠룩셰트라 전쟁 둘째 날 양측 모두 'koonj' 대형을 채택했다고 묘사되어 있다.[20]

6. 2. 일본

일본에는 드물게 미조로 도래한다. 2007년 6월, 아오모리현에서는 33년 만에 도래했다.[22] 에도 시대에도 포획되어, 쇼군에게 헌상된 기록이 있으며, 그림이 그려져 있다.[23]

참조

[1] 간행물 "''Anthropoides virgo''" 2022-02-14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서적 Indian Birds https://books.google[...] Brijbasi Printers, 1994
[4]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5]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Harvard University Press
[6] 서적 A Natural History of Birds : Illustrated with a Hundred and One Copper Plates, Curiously Engraven from the Life https://www.biodiver[...] Printed for the author and sold by William Innys
[7] 서적 A Natural History of Uncommon Birds https://www.biodiver[...] Printed for the author at the College of Physicians
[8] 서적 Mémoires pour Servir à l'Histoire Naturelle des Animaux https://www.biodiver[...] Imprimerie royale 1676
[9] 웹사이트 Finfoots, flufftails, rails, trumpeters, cranes, Limpkin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4-07-25
[10]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Christopher Helm
[11] 서적 The eBird/Clements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v2023 http://www.birds.cor[...] 2024-07-26
[12]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Lynx Edicions
[13] 웹사이트 Demoiselle Crane https://www.savingcr[...] Int. Crane Foundation
[14] 서적 The Book of Indian Birds Bombay Natural History Society
[15] 간행물 Migrations of the Demoiselle Crane (''Anthropoides virgo'', Gruiformes): remote tracking along flyways and at wintering grounds 2022
[16] 서적 Cranes of the World https://digitalcommo[...] Indiana University Press 1983
[17]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Europe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Individual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2005 2005-09
[19] 서적 Glimpses of Indian Culture https://books.google[...] Star Publications, 2005
[20] 서적 The Mahabharata: A Modern Rendering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06 2006-07-20
[21] 간행물 Grus virgo
[22] 뉴스 アネハヅル、33年ぶりに本県飛来 https://web.archive.[...] 東奥日報 2007-06-27
[23] 웹사이트 江戸時代の博物誌 > 第3章 珍禽奇獣異魚 | 描かれた動物・植物 http://www.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008-12-03
[24] 서적 ホメオパシー マテリアメディカ大全1(Abel-Agar) エンタプライズ 2008-07-27
[25] 간행물 Anthropoides virgo (Linnaeus, 1758) 쇠재두루미 CBD-CHM KOREA CIT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