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렴 수열 공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렴 수열 공간은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 K에 대해, 수렴하는 K-수열들의 집합으로 정의되는 벡터 공간이다. 이 공간은 노름을 부여하여 바나흐 공간을 이루며, 이를 c(K)로 표기한다. 0으로 수렴하는 수열들로 구성된 부분 공간 c₀(K)는 c(K)의 닫힌 부분 공간으로, 역시 바나흐 공간을 이루며 영 수렴 수열 공간이라고 한다. c(K)와 c₀(K)는 위상 벡터 공간으로 동형이지만, 바나흐 공간으로는 동형이 아니며, 분해 가능 바나흐 공간이며, 연속 쌍대 공간은 르베그 공간 ℓ¹(K)과 동형이다. 또한, ℓ¹(K)에서 ℓ⁰(K)까지의 다양한 포함 관계가 성립하며, c₀(K)는 무조건 샤우데르 기저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나흐 공간 - 르베그 공간
르베그 공간은 측도 공간과 실수 또는 복소수체에서 정의되는 위상 벡터 공간족으로, 함수의 절댓값의 p제곱을 적분한 값이 유한한 가측 함수들의 공간이며, 특히 L^2 공간은 힐베르트 공간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바나흐 공간 - 하디의 부등식
하디 부등식은 수열과 함수의 적분 형태에 대한 부등식으로, 횔더 부등식과 변수 치환, 민코프스키 부등식을 사용하여 증명되며, 다차원 공간 및 소볼레프 공간으로 확장된다. - 수열 - 코시 열
코시 열은 무한수열에서 항들이 뒤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수열로, 수렴열은 항상 코시 열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수의 완비성 정의 및 무한급수 수렴성 판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이다. - 수열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수렴 수열 공간 | |
---|---|
정의 | |
정의 | 유계 수열 공간은 수열 공간의 한 유형이다. |
영어 | Space of bounded sequences |
설명 | 유계 수열 공간은 모든 유계 수열의 집합이며, 수열 공간의 특별한 경우이다. 이는 수학적 분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함수 해석학에서 중요하게 다뤄진다. |
표기법 | |
표기 | ℓ∞ |
속성 | |
노름 공간 | ℓ∞ 공간은 노름 ||x||∞ = supn |xn|에 의해 바나흐 공간을 형성한다. |
부분 공간 | ℓ∞는 수렴 수열 공간 c와 영 수열 공간 c0을 부분 공간으로 포함한다. 즉, c0 ⊆ c ⊆ ℓ∞이다. |
분리 가능성 | ℓ∞는 분리 가능 공간이 아니다. 반면, c와 c0은 분리 가능하다. |
쌍대 공간 | c의 쌍대 공간은 ℓ1이고, c0의 쌍대 공간도 ℓ1이다. 즉, c* = ℓ1이고, c0* = ℓ1이다. |
표현 | c에서 스칼라 필드 F로의 유계 선형 함수 ω는 ℓ1의 수열 (x0,x1,...)과 수렴하는 수열 (y1,y2,...) ∈ c를 사용하여 ω(y) = x0lim yi + Σ xiyi로 표현할 수 있다. |
주의사항 | 위 식에서 수열 (xi) ∈ ℓ1이고 (yi) ∈ c0인 경우 ω(y) = Σ xiyi로 표현된다. |
2. 정의
가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라고 하자.
수렴하는 -수열 (=코시 열)의 집합
:
은 자연스럽게 -벡터 공간을 이룬다. 그 위에 다음과 같은 노름을 부여하자.
:
그렇다면 이는 -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이를 '''수렴 수열 공간''' 라고 한다.
0으로 수렴하는 수열들로 구성된 부분 공간
:
은 의 닫힌 부분 벡터 공간이므로, 마찬가지로 -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이를 '''영 수렴 수열 공간'''(零收斂數列空間, space of sequences converging to zero영어) 이라고 한다.[1]
2. 1. 수렴 수열 공간
가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일 때, 수렴하는 -수열(코시 열)의 집합 는 자연스럽게 -벡터 공간을 이룬다.[1] 이 공간에 노름 을 부여하면, -바나흐 공간이 되며, 이를 수렴 수열 공간 라고 한다.2. 2. 영 수렴 수열 공간
가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라고 할 때, 0으로 수렴하는 수열들로 구성된 부분 공간 은 의 닫힌 부분 벡터 공간이다.[1] 따라서 역시 -바나흐 공간을 이루며, 이를 영 수렴 수열 공간(零收斂數列空間, space of sequences converging to zero영어)이라고 한다.3. 성질
와 는 -위상 벡터 공간으로서 서로 동형이지만, 바나흐 공간으로서는 서로 동형이 아니다. 즉, 둘 사이에는 전단사 연속 선형 변환은 존재하지만, 전단사 등거리 선형 변환은 존재하지 않는다.
전단사 연속 선형 변환은 다음과 같다.
:
:
와 는 분해 가능 -바나흐 공간이다. 의 가산 조밀 집합은 다음과 같다.
:
는 분해 가능 거리 공간의 부분 집합이므로 분해 가능 공간이며, 는 의 가산 조밀 집합이다.[1]
와 의 연속 쌍대 공간은 모두 르베그 공간 과 동형이다.
의 경우, 이는 다음과 같다.
:
:
의 쌍대 공간은 르베그 공간 이므로, 와 는 반사 바나흐 공간이 아니다.[1]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1]
:
여기서 는 르베그 공간이며, 이다. 라면 가 성립한다.
위 포함 관계들은 -선형 변환이지만 일반적으로 등거리 변환이 아니다. 다만, 는 등거리 변환이다.
다음과 같은 수열들을 생각하자.
:
:
여기서 는 크로네커 델타이다.
은 의 무조건 샤우데르 기저를 이룬다.[2]
3. 1. 동형 관계
와 는 -위상 벡터 공간으로서 서로 동형이지만, 바나흐 공간으로서는 서로 동형이 아니다. 즉, 둘 사이에는 전단사 연속 선형 변환은 존재하지만, 전단사 등거리 선형 변환은 존재하지 않는다.전단사 연속 선형 변환은 다음과 같다.
:
:
3. 2. 분해 가능성
와 는 분해 가능 -바나흐 공간이다. 의 가산 조밀 집합은 다음과 같다.:
는 분해 가능 거리 공간의 부분 집합이므로 분해 가능 공간이며, 는 의 가산 조밀 집합이다.[1]
3. 3. 연속 쌍대 공간
와 의 연속 쌍대 공간은 모두 르베그 공간 과 동형이다.의 경우, 이는 다음과 같다.
:
:
의 쌍대 공간은 르베그 공간 이므로, 와 는 반사 바나흐 공간이 아니다.[1]
3. 4. 포함 관계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1]:
여기서 는 르베그 공간이며, 이다. 라면 가 성립한다.
위 포함 관계들은 -선형 변환이지만 일반적으로 등거리 변환이 아니다. 다만, 는 등거리 변환이다.
3. 5. 샤우데르 기저
다음과 같은 수열들을 생각하자.:
:
여기서 는 크로네커 델타이다.
은 의 무조건 샤우데르 기저를 이룬다.[2]
참조
[1]
서적
Functional analysis
Academic Press
1980
[2]
서적
Topics in Banach space theory
Springer-Verlag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