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장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장령은 1534년 잉글랜드 의회에서 제정된 법령으로, 잉글랜드 국왕 헨리 8세를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수장으로 선포하고, 교황의 권위를 부정하여 잉글랜드 국교회의 독립을 확립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헨리 8세의 이혼 문제와 종교 개혁의 영향으로 제정되었으며, 잉글랜드 교회는 로마 가톨릭으로부터 분리되어 국왕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이로 인해 왕실의 권한이 강화되었으며, 수도원 해산과 같은 정책으로 이어졌다. 수장령은 잉글랜드 종교 개혁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이후 엘리자베스 1세 시대에도 재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34년 기독교 - 루터 성경
루터 성경은 마르틴 루터가 번역한 독일어 성경으로, 독일어 표준화와 민족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으며, 다른 언어의 성경 번역에도 영향을 미쳤다. - 잉글랜드의 헌법 - 권리장전 (영국)
권리장전은 1689년 영국 의회가 왕권 남용 방지, 의회 권한 강화, 국민의 권리와 자유 보장을 위해 제정한 법률로, 입헌군주제의 초석을 다지고 다른 국가 헌법에 영향을 주었다. - 잉글랜드의 헌법 - 권리청원
권리청원은 1628년 잉글랜드 의회가 찰스 1세에게 제출한 국민의 기본권 보장 문서로, 의회 동의 없는 과세, 부당한 체포, 군대 강제 숙박, 군사 재판 남용 등을 금지하며 법의 지배 원리를 강화하고 영국 헌정사와 미국 헌법에 영향을 미쳤다.
수장령 | |
---|---|
법률 정보 | |
종류 | 의회 법률 |
국가 | 잉글랜드 왕국과 아일랜드 왕국 |
제정 | 1534년과 1558년 |
목적 | 잉글랜드의 군주를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수장으로 선언 |
1534년 수장령 | |
공식 명칭 | 국왕이 잉글랜드 교회의 유일한 최고 수장임을 확인하는 법률 |
영어 명칭 | An Act concerning the King's Highness to be the Supreme Head of the Church of England |
비준 날짜 | 1534년 11월 |
발효 날짜 | 1534년 |
![]() | |
주요 내용 | 헨리 8세를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수장으로 선언 교황의 권위를 부정 잉글랜드 교회 재산 몰수 |
1558년 수장령 | |
공식 명칭 | 여왕 폐하의 최고 권한을 회복하고 외국 권력의 관할권에 반대하는 법률 |
영어 명칭 | An Act Restoring to the Crown the Ancient Jurisdiction over the Estate Ecclesiastical and Spiritual and Abolishing All Foreign Power Repugnant to the Same |
비준 날짜 | 1559년 5월 8일 |
![]() | |
주요 내용 |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통치자를 군주로 선언 (최고 수장 대신) 교황의 권위를 재차 부정 성공회 신앙 재확립 |
역사적 배경 | |
헨리 8세의 결혼 문제 | 헨리 8세는 아라곤의 캐서린과의 혼인 무효를 원함 교황이 이를 거부하자 가톨릭 교회로부터 독립 시도 |
종교 개혁 | 유럽 전역에서 종교 개혁의 영향 |
정치적 야망 | 왕권 강화와 재정 확보 |
영향 | |
잉글랜드 종교 개혁 | 잉글랜드가 가톨릭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계기 |
영국 국교회 설립 | 잉글랜드 교회가 독립적인 교회로 발전 |
왕권 강화 | 군주가 종교적 권위까지 장악 |
같이 보기 | |
관련 법률 | 권리 장전 반역법 |
관련 인물 | 헨리 8세 엘리자베스 1세 토머스 크롬웰 토머스 모어 |
참고 문헌 | |
참고 서적 | Stillingfleet, Edward (1689). A discourse concerning the illegality of the late ecclesiastical commission in answer to the vindication and defence of it : wherein the true notion of the legal supremacy is cleared, and an account is given of the nature, original, and mischief of the dispensing power. |
2. 배경
헨리 8세가 로마 교황청과 결별하게 된 배경에는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했다. 표면적으로는 왕비 캐서린과의 이혼 문제가 있었지만, 그 이면에는 종교적, 정치적 갈등이 깊숙이 자리하고 있었다.
헨리 8세의 이혼 문제와 종교 개혁헨리 8세는 왕위 계승을 위해 아들을 원했지만, 캐서린과의 사이에서는 딸 메리만이 살아남았다. 이에 헨리 8세는 앤 불린과의 재혼을 위해 캐서린과의 혼인 무효를 추진했다. 그러나 당시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압력으로 이혼을 승인하지 않았다.
한편, 1517년 마르틴 루터가 시작한 종교 개혁은 잉글랜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14세기 위클리프 등의 영향으로 이미 영국 내에는 반(反)가톨릭 감정이 존재했고, 윌리엄 1세와 헨리 2세 시대부터 이어져 온 반교황주의 전통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루터의 종교 개혁 사상은 잉글랜드에서 빠르게 확산되었다.
정치적, 경제적 요인당시 잉글랜드에서 가톨릭 교회는 막대한 부와 권력을 소유하고 있었다. 성직자들은 국가 고위직을 차지하고, 교회는 국왕보다 더 넓은 토지를 보유했으며, 교회 법정의 횡포에 대한 불만도 커져가고 있었다. 헨리 8세는 이러한 교회의 권한을 축소하고 왕권을 강화하고자 했다.
결국 헨리 8세는 1533년 상소 금지법을 제정하여 교황과의 관계를 단절하고 잉글랜드를 주권 국가로 선언했다. 이 법은 유언, 결혼, 이혼 소송 등을 국왕의 사법 관할권 내에서 처리하도록 하고, 교황과 외국 법정에 대한 상소를 금지했다.
캔터베리 대주교 토마스 크랜머는 헨리 8세와 캐서린의 결혼을 무효화하고 앤과의 결혼을 합법화했다. 교황은 이에 반발하여 헨리 8세를 파문했지만, 잉글랜드의 로마 가톨릭 교회 이탈을 막을 수는 없었다.[26][27]
2. 1. 잉글랜드의 종교적 상황
헨리 8세가 로마 교황청과 결별을 선언한 표면적인 이유는 왕비 캐서린과의 이혼 문제였다. 캐서린 왕비는 18년 동안의 결혼 생활에서 딸 메리 밖에 낳지 못했다. 후사를 얻지 못하자 헨리 8세는 캐서린과 이혼하고 앤 불린과 재혼하려 했다. 하지만 14세기부터 영국에서는 반가톨릭 감정이 나타나고 있었다. 당시 가톨릭 교회 성직자는 국가 고위직을 차지하고 있었고, 교회는 국왕의 영지보다 넓은 광대한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또한 교회 법정의 횡포에 많은 사람들이 가톨릭 교회에 등을 돌리고 있었다.[21]1517년부터 시작된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은 잉글랜드에서도 상당한 지지를 얻었다. 루터의 교리는 1520년대에 이미 잉글랜드에 전파되었고, 윌리엄 1세와 헨리 2세 시대에 추진했던 반교황주의와 위클리프 등의 전통을 바탕으로 쉽게 확산될 수 있었다. 당시 의회는 헨리 8세가 추진한 종교개혁적 법안들을 별다른 논의 없이 통과시켜 헨리 8세에게 힘을 실어줬다.[21]
반면 토머스 모어 등 전통주의자들은 이 수장령을 반대하다 처형되었다. 헨리 8세는 왕위 계승자인 아들을 원했지만, 왕비 캐서린 오브 아라곤(스페인 출신)과의 사이에서 아이를 가질 수 없었다. 그러던 중 캐서린의 시녀이자 헨리 8세의 애인이었던 앤 불린이 임신한 것이 밝혀졌고, 출산 전에 정식으로 캐서린과 이혼하지 않으면 앤이 임신한 아이가 정식 계승자로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앤이 출산한 것은 결국 딸이었고, 훗날 엘리자베스 1세가 되었다). 이 때문에 캐서린과의 이혼(혼인 무효)을 시도했지만, 캐서린의 조카이자 스페인 왕 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와의 관계 악화를 우려한 당시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이 이혼을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헨리 8세는 국내 교회가 왕국의 법과 대립하는 법을 제정하는 것에 반발심을 품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헨리 8세와 로마 교황의 대립은 결정적인 것이 되었다.[21]
이 이혼 소송이 실패로 끝나자 잉글랜드에서 교황권을 모두 제거함으로써 이혼 문제를 해결하게 되었고, 헨리 8세의 측근인 토마스 크롬웰이 1529년부터 1536년까지 열린 종교 개혁 의회에서 이러한 목적에 맞는 법률을 잇따라 제정함으로써 실현했다. 의회의 반성직자 감정을 이용한 왕은 크롬웰의 노력으로 교황권과 성직자의 특권을 부정하고 로마 교황청과 결별하여 잉글랜드 국교회를 설립하기에 이르렀다.[22]
교황과 결별하려면 잉글랜드 국내 성직자의 동의가 반드시 필요했기 때문에, 1530년부터 1531년에 걸쳐 왕은 Convocation|성직자 회의영어를 협박하여 굴복시켰다. 이듬해 1532년에는 크롬웰이 기안한 하원의 청원 (교회의 입법권에 반대하는 내용)을 받아들여 성직자 회의를 다시 압박하여 굴복시키고 입법권을 포기하게 했다(Submission of the Clergy|성직자의 복종영어). 한편, 의회는 주교가 교황청에 상납하는 Annates|초수입세영어를 금지하는 초수입세 상납 금지법을 가결했지만, 이 당시에는 아직 교황과의 결별이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왕에게 발효 시기를 위임하는 가(假)금지법 형태를 취했다(2년 후인 1534년에 정식으로 제정).[23][24]
1533년에는 교황과 절연하고 주권 국가를 선언하는 「상소 금지법」이 제정되었다.[25] 이는 유언, 결혼, 이혼 소송 등이 국왕 사법 관할권 내에서 처리되도록 명령하고, 교황좌, 외국 법정으로부터의 소환 및 그들에 대한 상소를 금지하며, 국왕 이혼 문제를 국내에서 처리하는 것을 당면의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25] 가결은 4월이었지만, 그에 앞선 1월에 헨리 8세는 캔터베리 대주교 토마스 크랜머의 입회하에 임신 중인 앤과 극비 결혼했고, 4월(또는 5월)에 크랜머가 주재하는 법정에서 헨리 8세와 캐서린의 결혼 무효, 그리고 왕과 앤의 결혼은 합법이라는 판결이 내려졌다. 교황은 판결을 인정하지 않고 헨리 8세를 파문했지만, 잉글랜드로부터의 이탈은 막을 수 없었다(9월에 앤은 엘리자베스를 출산).[26][27]
2. 2. 헨리 8세의 이혼 문제와 정치적 배경
헨리 8세가 로마 교황청과 결별을 선언한 표면적인 이유는 왕비 캐서린과의 이혼 문제였다. 캐서린은 18년 동안의 결혼 생활에서 딸 메리 밖에 낳지 못했다. 후사를 얻지 못하자 헨리 8세는 캐서린과 이혼하고 앤 불린과 재혼하려 했다.[21]하지만 14세기부터 영국에서는 반가톨릭 감정이 나타나고 있었다. 당시 가톨릭 교회 성직자는 국가 고위직을 차지하고, 교회는 국왕의 영지보다 넓은 광대한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었다. 또한 교회 법정의 횡포에 많은 사람들이 가톨릭 교회에 등을 돌리고 있었다.
1517년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은 잉글랜드에서도 상당한 지지를 받았다. 윌리엄 1세와 헨리 2세 시대의 반교황주의와 위클리프 등의 전통을 바탕으로 루터의 교리는 1520년대에 이미 잉글랜드에 전파되어 쉽게 확산될 수 있었다. 당시 의회는 헨리 8세가 추진한 종교개혁적 법안들을 별다른 논의 없이 통과시켜 헨리 8세에게 힘을 실어줬다.
헨리 8세는 왕위 계승자를 원했지만, 왕비 캐서린 오브 아라곤(스페인 출신)과의 사이에서 아이를 가질 수 없었다. 그러던 중 캐서린의 시녀이자 헨리 8세의 애인이었던 앤 불린의 임신이 밝혀졌고, 출산 전에 정식으로 캐서린과 이혼하지 않으면 앤이 임신한 아이가 정식 계승자로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앤이 출산한 것은 결국 딸이었고, 훗날 엘리자베스 1세가 되었다).[21] 이 때문에 캐서린과의 혼인 무효를 시도했지만, 캐서린의 조카이자 스페인 왕 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와의 관계 악화를 우려한 당시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이 이혼을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헨리 8세는 국내 교회가 왕국의 법과 대립하는 법을 제정하는 것에 반발심을 품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헨리 8세와 로마 교황의 대립은 결정적인 것이 되었다.[21]
이 이혼 소송이 실패로 끝나자 잉글랜드에서 교황권을 모두 제거함으로써 이혼 문제를 해결하게 되었고, 헨리 8세의 측근인 토마스 크롬웰이 1529년부터 1536년까지 열린 종교 개혁 의회에서 이러한 목적에 맞는 법률을 잇따라 제정함으로써 실현했다. 의회의 반성직자 감정을 이용한 왕은 크롬웰의 노력으로 교황권과 성직자의 특권을 부정하고 로마 교황청과 결별하여 잉글랜드 국교회를 설립하기에 이르렀다.[22]
1533년에는 교황과 절연하고 주권 국가를 선언하는 「상소 금지법」이 제정되었다.[25] 이는 유언, 결혼, 이혼 소송 등이 국왕 사법 관할권 내에서 처리되도록 명령하고, 교황좌, 외국 법정으로부터의 소환 및 그들에 대한 상소를 금지하며, 국왕 이혼 문제를 국내에서 처리하는 것을 당면의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25] 가결은 4월이었지만, 그에 앞선 1월에 헨리 8세는 캔터베리 대주교 토마스 크랜머의 입회하에 임신 중인 앤과 극비 결혼했고, 4월(또는 5월)에 크랜머가 주재하는 법정에서 헨리 8세와 캐서린의 결혼 무효, 그리고 왕과 앤의 결혼은 합법이라는 판결이 내려졌다. 교황은 판결을 인정하지 않고 헨리 8세를 파문했지만, 잉글랜드로부터의 이탈은 막을 수 없었다(9월에 앤은 엘리자베스를 출산).[26][27]
2. 3. 종교 개혁 의회와 토머스 크롬웰
헨리 8세가 로마 교황청과 결별을 선언한 표면적인 이유는 왕비 캐서린과의 이혼 문제였다. 캐서린 왕비는 18년 동안의 결혼 생활에서 딸 메리 밖에 낳지 못했다. 후사를 얻지 못하자 헨리 8세는 캐서린과 이혼하고 앤 불린과 재혼을 서둘렀다. 그러나 14세기부터 영국에서는 반가톨릭 감정이 이미 나타나고 있었다. 당시 가톨릭 교회 성직자는 국가 고위직을 차지하고, 교회는 국왕의 영지보다 넓은 광대한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었다. 또한 교회 법정의 횡포에 많은 사람들이 가톨릭 교회에 등을 돌리고 있었다.[21]1517년부터 시작된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은 잉글랜드에서도 상당한 지지를 받았다. 마르틴 루터의 교리는 1520년대에 이미 잉글랜드에 전파되었고, 윌리엄 1세와 헨리 2세 시대에 추진했던 반교황주의와 위클리프 등의 전통을 바탕으로 쉽게 확산될 수 있었다. 당시 의회는 헨리 8세가 추진한 종교개혁적 법안들을 별다른 논의 없이 통과시켜 헨리 8세에게 힘을 실어줬다.[21]
헨리 8세는 왕위 계승자로서 남자를 원했지만, 왕비 캐서린 오브 아라곤(스페인 출신)과의 사이에서 아이를 가질 수 없었다. 그러던 중, 캐서린의 시녀이자 헨리 8세의 애인이었던 앤 불린의 임신이 밝혀졌고, 출산 전에 정식으로 캐서린과 이혼하지 않으면 앤이 임신한 아이가 정식 계승자로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앤이 출산한 것은 결국 여자아이였고, 훗날 엘리자베스 1세였다). 이 때문에 캐서린과의 이혼(혼인 무효)을 시도했지만, 캐서린의 조카이자 스페인 왕 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와의 관계 악화를 우려한 당시 로마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이 이혼을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헨리 8세는 국내 교회가 왕국의 법과 대립하는 법을 제정하는 것에 반발심을 품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헨리 8세와 로마 교황의 대립은 결정적인 것이 되었다.[21]
이 이혼 소송이 실패로 끝나자 잉글랜드에서 교황권을 모두 제거함으로써 이혼 문제를 해결하게 되었고, 헨리 8세의 측근인 토마스 크롬웰이 1529년부터 1536년까지 열린 종교 개혁 의회에서 이러한 목적에 맞는 법률을 잇따라 제정함으로써 실현했다. 의회의 반성직자 감정을 이용한 왕은 크롬웰의 노력으로 교황권과 성직자의 특권을 부정하고 로마 교황청과 결별하여 잉글랜드 국교회를 설립하기에 이르렀다.[22]
1530년부터 1531년년에 걸쳐 왕은 성직자 회의를 협박하여 굴복시켰다. 1532년에는 크롬웰이 기안한 하원의 청원 (교회의 입법권에 반대하는 내용)을 받아들여 성직자 회의를 다시 압박하여 굴복시키고 입법권을 포기하게 했다. 한편, 의회는 주교가 교황청에 상납하는 초수입세를 금지하는 초수입세 상납 금지법을 가결했지만, 이 당시에는 아직 교황과의 결별이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왕에게 발효 시기를 위임하는 가(假)금지법 형태를 취했다(2년 후인 1534년에 정식으로 제정).[23][24]
1533년에는 교황과 절연하고 주권 국가를 선언하는 「상소 금지법」이 제정되었다.[25] 이는 유언, 결혼, 이혼 소송 등이 국왕 사법 관할권 내에서 처리되도록 명령하고, 교황좌, 외국 법정으로부터의 소환 및 그들에 대한 상소를 금지하며, 국왕 이혼 문제를 국내에서 처리하는 것을 당면의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25] 가결은 4월이었지만, 그에 앞선 1월에 헨리 8세는 캔터베리 대주교 토마스 크랜머의 입회하에 임신 중인 앤과 극비 결혼했고, 4월(또는 5월)에 크랜머가 주재하는 법정에서 헨리 8세와 캐서린의 결혼 무효, 그리고 왕과 앤의 결혼은 합법이라는 판결이 내려졌다. 교황은 판결을 인정하지 않고 헨리 8세를 파문했지만, 잉글랜드로부터의 이탈은 막을 수 없었다(9월에 앤은 엘리자베스를 출산).[26][27]
3. 수장령의 내용 및 제정
1534년 11월 3일, 헨리 8세에 의해 수장령이 구체적으로 법령화되어 선포되었다.[31] 이 법은 한번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1529년부터 1536년까지 7차례에 걸쳐 소집된 잉글랜드 의회를 거치면서 여러 법령들을 통해 제정되었다.
수장령은 잉글랜드 종교 개혁의 주요 사건 중 하나로, 국왕 헨리 8세와 그 후계 군주에게 왕실의 최고 권위를 부여하고 현 군주를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수장으로 선언했다. 헨리 8세는 이 법을 통해 교황의 권위와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잉글랜드 교회의 독립성을 주장했다.
헨리 8세는 자신의 왕조를 잇기 위한 남자 상속자를 원했고, 아라곤의 캐서린과의 사이에서 아들을 얻지 못하자 혼인 무효를 추진했다. 그러나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이를 거부했고, 결국 헨리 8세는 수장령을 통해 잉글랜드 교회를 로마 가톨릭 교회로부터 분리시켰다.
수장령이 제정되기 전, 성직자 복종법이 제정되어 성직자의 복종을 입법화했으며, 제1계승법을 통해 왕과 앤 불린 사이의 자녀가 정통한 왕위 계승권을 가짐을 확인했다.
3. 1. 수장령 (1534)
1534년 11월 3일, 헨리 8세에 의해 수장령이 구체적으로 법령화되어 선포되었다.[31] 이 법은 1529년부터 1536년까지 7차례에 걸쳐 소집된 의회를 거치면서 여러 법령들을 통해 만들어졌다. 수장령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교회의 모든 권한은 왕에게 귀속되며, 왕이 모든 교회의 관할권을 가지고, 교황 칙서에 대한 거부권도 왕이 행사한다.
- 교황권에 의해 부당하게 빼앗긴 잉글랜드 교회의 모든 권리도 당연히 왕에게 귀속된다.
- 교황에 의해 집행되어 온 모든 행정 관리권도 잉글랜드 교회로 이전되어야 하며, 교회나 국가의 모든 회의도 왕에 의해 관장되어야 하고, 왕이 성직을 주고 박탈할 수 있으며 주교도 왕이 임명한다.
헨리 8세는 왕권에 거역하고 수장령을 비롯한 각종 법령을 준수하지 않거나 국왕을 교회 분열주의자라고 비난하는 자는 누구든지 대역죄인으로 간주하여 처벌한다는 반역자 법을 제정하여 선포하였다.[8]
수장령은 국왕을 "잉글랜드 교회의 지상 유일의 최고 수장"으로 선언하고, "그 존엄성에 속하는 모든 명예, 위엄, 탁월함, 관할권, 특권, 권한, 면책, 이익 및 상품"을 누릴 것이라고 명시했다.[3] 헨리 8세는 수장령을 통해 교황의 권위와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잉글랜드 교회''(Ecclesia Anglicana)의 독립성을 주장했다. 그는 자신과 그의 후계자를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통치자로 임명했다.
헨리 8세는 왕조를 이을 남자 상속자를 간절히 원했고, 전쟁과 왕위 계승 위기 이후 왕조가 도전을 받지 않고 계속되기를 바랐다. 아라곤의 캐서린이 아들을 낳지 못하자, 국왕은 형의 미망인과 결혼한 것에 대해 신이 자신을 벌하고 있다고 확신하여 수년간 그녀와의 무효화를 시도했다.[6]
교황 클레멘스 7세는 헨리 8세에게 무효화를 허가하는 것을 거부했다. 로마 가톨릭 교리는 결혼 계약을 죽을 때까지 파기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했으며, 교황청은 이전에 교회법적 장애가 교황 면제에 의해 면제되었다는 이유로 결혼을 단순히 무효화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7]
1534년 11월, 종교 개혁 의회의 여섯 번째 회기에서 잉글랜드 국왕을 "잉글랜드 국교회의 지상에서의 유일하고 최고의 수장"으로 선언하는 수장령이 제정되었다. 공직이나 교회의 직무에 종사하는 자는 국왕이 왕국과 국교회의 최고 통치자임을 선서해야 했으며(수장령 승인 선서), 이를 부정하는 자는 대역죄에 처하는 반역법도 함께 제정되었다. 그러나 교리 내용은 가톨릭과 거의 변함이 없었다.
수장령이 제정되기 전, 성직자의 복종을 입법화한 성직자 복종법이 제정되었고, 왕위 계승법(제1계승법)도 정해져 왕과 앤 사이의 자녀가 정통한 왕위 계승권을 가짐을 확인했다. 토머스 모어와 존 피셔는 제1계승법에 대한 선서를 거부하여 1535년에 처형당했다.
3. 2. 반역법 (1534)
1534년 11월, 종교 개혁 의회의 여섯 번째 회기에서 잉글랜드 국왕을 "잉글랜드 국교회의 지상에서의 유일하고 최고의 수장"으로 선언하는 수장령이 제정되었다.[31] 공직이나 교회의 직무에 종사하는 자는 국왕이 왕국과 국교회의 최고 통치자임을 선서(수장령 승인 선서)해야 했으며, 이를 부정하는 자는 대역죄로 처벌하는 반역법도 성립되었다.왕권에 거역하거나 수장령을 비롯한 각종 법령을 준수하지 않는 자, 국왕을 교회 분열주의자라고 비난하는 자는 대역죄인으로 간주하여 처벌한다는 내용의 반역자 법(Treasons Act)이 제정, 선포되었다.[31]
4. 수장령의 의미와 영향
수장령은 국왕이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수장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는 잉글랜드 종교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수장령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국왕은 백성들의 영혼을 치유할 권한을 신으로부터 부여받았으며, 교회 회중들과 목자와 양의 관계에 있다고 선언했다.
- 국왕은 자신의 영토를 다스리는 주권자이므로, 잉글랜드 교회 성직자들의 군주라고 명시했다.
- 잉글랜드 국왕은 로마 교황에게 복종할 의무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간단히 말해, 수장령은 이전까지 교황이 가지고 있던 권한을 잉글랜드 국왕 헨리 8세에게 귀속시키는 선언이었다.
4. 1. 잉글랜드 국교회의 성립과 정치적 영향
1534년 11월 3일 잉글랜드 의회[2]에서 최초의 수장령(26 헨리 8세. c. 1)이 통과되었다. 이는 잉글랜드 종교 개혁의 주요 사건 중 하나였다. 이 법은 국왕 헨리 8세와 그 후계 군주에게 왕실의 최고 권위를 부여하고 현 군주를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수장으로 선언했다. 이 법은 국왕을 "잉글랜드 교회의 지상 유일의 최고 수장"으로 선언하고, "그 존엄성에 속하는 모든 명예, 위엄, 탁월함, 관할권, 특권, 권한, 면책, 이익 및 상품"을 누릴 것이라고 명시했다.[3]수장령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었다.
- 국왕은 백성들의 영혼을 치유할 권한을 신으로부터 부여받았으며, 교회 회중들과 목자와 양의 관계에 있다.
- 국왕은 자신의 영토를 다스리는 주권자이므로, 잉글랜드 교회 성직자들의 군주이다.
- 잉글랜드 국왕은 로마 교황에게 복종할 의무가 없다.
간단히 말해, 수장령은 지금까지 교황이 보유했던 권한이 이제부터 모두 잉글랜드 국왕 헨리 8세에게 귀속됨을 선언한 것이었다. 이로써 헨리 8세는 교황의 권위와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잉글랜드 교회''(Ecclesia Anglicana)의 독립성을 주장했다. 그는 자신과 그의 후계자를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통치자로 임명했다.
헨리 8세는 자신의 왕조를 잇기 위한 남자 상속자를 간절히 원했고, 아라곤의 캐서린이 아들을 낳지 못하자 무효화를 시도했다.[6] 그러나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눈치를 보며 무효화를 허가하지 않았다.
이에 헨리 8세는 반역죄 법을 통과시켜 수장령을 부인하는 것을 반역으로 간주했다.[8] 토마스 모어 경과 같은 가톨릭 신자들은 신념을 굽히지 않아 처형되었다.[9]
1534년 11월, 잉글랜드 국왕을 "잉글랜드 국교회의 지상에서의 유일하고 최고의 수장"으로 선언하는 '''수장령'''이 제정되었다. 또한, 공직자 등에게 국왕이 왕국과 국교회의 최고 통치자임을 선서하도록 의무화했으며(수장령 승인 선서), 이를 부정하는 자를 대역죄에 처하는 반역법도 성립되었다.
성직자 복종법과 왕위 계승법(제1계승법)도 제정되어 왕권이 강화되었다. 토머스 모어와 존 피셔는 제1계승법에 대한 선서를 거부하여 1535년에 처형되었다.
잉글랜드 국교회의 성립으로 가톨릭으로부터의 분리 독립이 확정되었다. 헨리 8세는 1536년부터 1539년까지 수도원 해산을 실시하여 수도원의 토지·재산을 몰수하고, 젠트리 등에게 싸게 분여하여 왕실 재정을 풍족하게 했다.[30]
국왕 지상법의 제정은 잉글랜드 종교 개혁의 중요한 계기였지만, 정치적 성격이 강했다. 교리 내용과 국교회의 정통성 문제는 에드워드 6세, 메리 1세, 엘리자베스 1세 시대까지 이어졌다.
4. 2. 수도원 해산
헨리 8세는 1536년부터 1539년까지 수도원 해산을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해산에 반대하는 은총의 순례와 같은 반란이 일어났으나 진압되었다. 수도원 해산을 통해 수도원의 토지와 재산은 몰수되었고, 젠트리 등에게 싸게 분여되어 왕실 재원이 풍족해지고 왕권이 강화되었다.[30] 또한, 당시 인구가 포화 상태였던 런던에서는 교회와 수도원 토지 몰수가 도시 개발의 계기가 되기도 했다.4. 3. 엘리자베스 1세와 수장령 (1558)
헨리 8세의 수장령은 그의 독실한 로마 가톨릭교도 딸인 메리 1세 여왕의 통치 기간인 1554년에 폐지되었다. 1558년 11월 메리 1세가 사망하자, 그녀의 개신교 출신 이복 여동생인 엘리자베스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첫 번째 엘리자베스 의회는 엘리자베스를 잉글랜드 국교회의 최고 통치자로 선언하고, 공직 또는 교회 직책을 맡는 모든 사람이 교회의 수장으로서 군주에게 충성을 맹세하도록 요구하는 수장 서약을 제정한 수장령 1558[11][12]을 통과시켰다. 서약을 거부하는 사람은 반역죄로 기소될 수 있었다.[13]"최고 수장" 대신 "최고 통치자"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일부 가톨릭교도와 잉글랜드 국교회의 여성 지도자에 대해 우려하는 개신교도들을 안심시켰다. 정치가였던 엘리자베스 1세[14]는 비국교도 평신도나 잉글랜드 국교회의 확립된 규칙을 따르지 않는 사람들을, 그들의 행동이 의복 논쟁과 같이 잉글랜드 군주의 권위를 직접적으로 훼손하지 않는 한 기소하지 않았다. 따라서 엘리자베스 1세는 제2차 수장령을 통해 현재 개혁된 잉글랜드 국교회를 공식적으로 설립했다. 이것은 엘리자베스 종교 정착의 일부였다.[14]
역사학자 G. R. 엘튼은 "법률과 정치 이론에서 엘리자베스 시대의 최고 권력은 본질적으로 의회적이었지만, 헨리 8세의 권력은 본질적으로 개인적이었다"고 주장했다.[15] 왕의 최고 권력은 1649년부터 영국 공화국 시대에 소멸되었지만 1660년에 회복되었다. 스튜어트 왕들은 이를 주교 임명을 통제하는 정당성으로 사용했다.
당시 잉글랜드 신학자 리처드 후커는 교회와 국가에 대한 최고의 세속적 권위를 왕관에 통합함으로써 왕관의 모든 세속적 대상은 교회에 대한 정신적 대상이 되었고, 교회는 국가와 동일하게 확장되었다고 묘사했다.
4. 4. 아일랜드 수장령
1537년, 수장령(아일랜드) 1537영어 (28 헨. 8. c. 5 (I), '국왕, 그의 상속인 및 후계자를 아일랜드 교회의 수장으로 인정하는 법률')이 아일랜드 의회에서 통과되어, 헨리 8세를 아일랜드 교회의 최고 수장으로 확립했다. 이는 이전에 잉글랜드에서 이루어진 것과 같은 조치였다.[10]1560년, 아일랜드 의회는 을 통과시켰다.[18][19]
5. 수장령에 대한 평가와 현대적 의의
수장령은 잉글랜드 종교 개혁의 핵심 사건으로, 국왕 헨리 8세와 그 후계 군주에게 왕실 최고 권위를 부여하고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수장으로 선언한 법이다.[2] 이 법은 국왕을 "잉글랜드 교회의 지상 유일의 최고 수장"으로 명시하고, 그 지위에 따른 모든 권한을 부여했다.[3]
헨리 8세는 이 법을 통해 교황의 권위와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고, ''잉글랜드 교회''의 독립성을 주장했다. 그는 자신과 후계자들을 잉글랜드 교회의 최고 통치자로 임명했다. 이전에는 교황 레오 10세로부터 "신앙의 수호자"(Fidei defensorla)로 선언되기도 했으나,[4] 의회는 나중에 이 칭호를 국왕에게 수여했다.[5]
수장령은 헨리 8세의 개인적인 문제, 즉 왕위 계승을 위한 아들을 얻고자 하는 열망과 정치적, 종교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5. 1. 부정적 평가
Acts of Supremacy|수장령영어은 잉글랜드 교회의 수장 자리를 놓고 교황과 국왕 사이에 벌어진 갈등에서 비롯된 법이다. 당시 국왕 헨리 8세는 왕위를 이을 아들을 얻고자 했으나, 왕비 아라곤의 캐서린이 아들을 낳지 못하자 무효화를 시도했다.[6] 그러나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이를 허락하지 않았는데, 이는 로마 가톨릭 교리 상 결혼은 죽음으로만 파기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7] 또한, 캐서린의 조카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영향력도 무시할 수 없었다.결국 헨리 8세는 교황의 권위를 부정하고 잉글랜드 교회를 독립시키면서, 자신을 교회의 최고 수장으로 선포했다.[3] 이러한 조치는 왕권 강화를 위한 정치적 목적과 종교적 신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수장령에 반대한 사람들은 반역죄 법에 의해 처벌받았는데,[8] 대표적인 인물이 토마스 모어 경이다.[9] 그는 수장령을 부인하고 국왕의 권위에 도전했다는 이유로 처형되었다.
참조
[1]
서적
A discourse concerning the illegality of the late ecclesiastical commission in answer to the vindication and defence of it : wherein the true notion of the legal supremacy is cleared, and an account is given of the nature, original, and mischief of the dispensing power.
[2]
서적
Tudor England: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3]
웹사이트
Henry VIII's Act of Supremacy (1534) – original text
http://www.britainex[...]
[4]
간행물
Henry VIII
[5]
간행물
Defender of the Faith
[6]
서적
Henry VIII and His Queens
[7]
문서
To marry Catherine in the first place, Henry had requested and received a special dispensation from [[Pope Julius II]] to allow the wedding.
[8]
웹사이트
Treason Act, 1534
http://members.shaw.[...]
2007-05-09
[9]
웹사이트
The National Archives – The treason of Sir Thomas More
https://blog.nationa[...]
2024-11-11
[10]
웹사이트
Statutes passed in the Parliaments held in Ireland ... from the third year of Edward the second, A.D. 1310 [to the fortieth year of George III, A.D. 1800, inclusive] ... v. 1.
https://babel.hathit[...]
[11]
웹사이트
Elizabeth's Supremacy Act, Restoring Ancient Jurisdiction (1559), 1 Elizabeth, Cap. 1
https://history.hano[...]
2001-03
[12]
웹사이트
Act of Supremacy 1558
http://www.legislati[...]
The National Archives
[13]
웹사이트
The Act of Supremacy (1559).
http://www.tudorplac[...]
[14]
학술지
Elizabeth I
2012-01
[15]
서적
The Tudor Constitution: Documents and Commenta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P 2nd ed.
1982
[16]
서적
Reader's Guide to British History
Fitzroy Dearborn
[17]
서적
The Restoration Church of England, 1646–1689
[18]
웹사이트
Act of Supremacy (Ireland) 1560
https://www.legislat[...]
[19]
학술지
The Irish Parliament of 1560: The Anglican Reforms Authorised
http://www.jstor.org[...]
[20]
웹사이트
国王至上法 こくおうしじょうほうActs of Supremacy
https://kotobank.jp/[...]
[21]
문서
塚田、P156 - P157、川北、P144 - P145、松村、P624、陶山、P156 - P158。
[22]
문서
松村、P624 - P625、陶山、P158 - P159。
[23]
문서
松村、P625。
[24]
문서
今井、P36 - P38、塚田、P160、陶山、P159 - P164、P179。
[25]
웹사이트
上訴禁止法 じょうそきんしほう
https://kotobank.jp/[...]
[26]
문서
川北、P145。
[27]
문서
今井、P38 - P39、塚田、P160 - P163、陶山、P173 - P179。
[28]
문서
今井、P39 - P40、塚田、P163 - P164、松村、P729、P757 - P758、陶山、P179 - P180、P182 - P183。
[29]
문서
今井、P39 - P41、塚田、P164、陶山、P187 - P189。
[30]
문서
今井、P42 - P44、塚田、P164 - P165、川北、P145 - P148、陶山、P200 - P209。
[31]
서적
기독교회사
한국기독교문화원
1990-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