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이동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이동률은 특정 지역의 인구 이동을 나타내는 지표로, 유입 인구에서 유출 인구를 뺀 값을 연중 인구로 나누어 계산한다. 순이동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가족 재결합, 정치적 박해, 경제적 기회, 자연재해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유럽, 북아메리카, 중동 등은 순유입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등은 순유출을 보였다. 높은 순이동률은 자원 수요 증가와 경제 성장을 가져오지만, 과도한 인구 유입은 자원 부족과 사회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낮은 순이동률은 소비와 생산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간 이동 - 정착민
정착민은 기존 거주 지역에 새롭게 정착한 사람들을 지칭하며, 정착민 식민주의와 관련되어 토착민의 땅을 점유하는 과정에서 폭력을 수반하기도 하고, 현대에는 다양한 맥락에서 논쟁적으로 사용되며, 정치적, 사회적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경제적, 종교적, 정치적 요인과 정부 정책에 의해 이주가 발생한다. - 인간 이동 - 외국인 노동자
외국인 노동자는 국내 노동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유입된 노동자로, 송출국의 경제적 어려움과 수용국의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숙련·비숙련 노동자 유형에 따라 경제적 영향과 사회적 문제점을 야기하므로 권익 보호와 사회 통합 노력이 필요하다. - 개체군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개체군 - 생물
생물은 자기증식, 에너지 변환, 항상성 유지 능력을 갖추고 세포로 구성되며, 물질대사, 자극과 반응, 생식과 유전 등의 특징을 보이며 다양한 종으로 분류된다.
| 순이동률 | |
|---|---|
| 순이동률 정보 | |
| 정의 | |
| 정의 | 인구 1,000명당 순이동 건수 |
| 계산 방법 | |
| 계산 방법 | (이민자 수 - 이민자 수) / 인구 * 1,000 |
| 활용 | |
| 활용 | 인구 변화 분석 및 예측 |
| 참고 | |
| 참고 | 순이동률은 인구통계학에서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임. 양수 값은 인구 증가를, 음수 값은 인구 감소를 나타냄. 순이동률은 출생률, 사망률과 함께 인구 변동의 주요 요인임. |
2. 순이동의 요인
순이동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3] 이민자보다 출국자가 더 많은 국가는 상대적으로 경제적 기회가 많고 생활 수준이 높은 부유한 국가일 가능성이 높다. 반면 유입되는 사람이 적고 떠나는 사람이 더 많다면, 폭력 발생 가능성이 높거나 경제적 기회가 적고, 해당 국가의 기존 인구를 지원할 자원이 부족할 가능성이 높다.
2. 1. 사회적 요인
가족 구성원과 재결합하거나, 자신이 더 동일시하는 지역이나 국가(예: 자신의 민족 집단이 다수인 지역)로 이주하는 경우가 사회적 이동에 해당한다.[3]2. 2. 정치적 요인
전쟁이나 정치적 박해를 피해 난민으로 이동하는 것은 정치적 이동에 해당한다. 많은 경우, 이러한 이동은 강제 이주로 간주될 수 있다. 난민은 주로 인접 국가나 더 발전된 국가로 이동한다.[4]2. 3. 경제적 요인
경제적 이동은 개인이 더 나은 경제적 기회에 접근하여 더 높은 생활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이주하는 경우이다.[3] 2010~2020년까지 100만 명 이상의 순유출(입국 이민<출국 이주)을 겪은 10개국 중 방글라데시, 네팔(-180만 명), 필리핀(-120만 명)은 외국인 노동자, 즉 취업이민을 목적으로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13][14]2. 4. 환경적 요인
환경적 이동은 자연 재해로 인해 한 사람이 새로운 지역으로 강제 이주되는 경우를 말한다.[3]3. 순이동률 계산
순이동률은 다음 공식으로 계산한다.[5]
:N = (I - E) / M X 1,000
- N = 순이동률
- I = 해당 지역으로 유입되는 이민자 수
- E = 해당 지역에서 떠나는 이민자 수
- M = 연도 중간 인구
연초에 A국의 인구가 1,000,000명이었다. 그 해 동안 총 200,000명이 A국으로 이민(유입)을 왔고, 100,000명이 A국에서 이민(유출)을 갔다. 그 해 동안 총 100,000명의 출생과 100,000명의 사망이 있었다. 순이동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먼저, A국의 연중 인구를 구한다.
# M = [ 연초 인구 + 연말 인구 ] / 2
# M = [ 1,000,000 + (1,000,000 + 200,000 - 100,000) ] / 2
# M = [ 1,000,000 + 1,100,000 ] / 2
# M = 2,100,000 / 2
# M = 1,050,000
A국의 연중 인구는 1,050,000명이다.
둘째, A 국가의 순이동을 구한다. 이는 실제 비율이 아닌 단순히 이민자 수에서 출국자 수를 뺀 값이다.
# I - E = 200,000 - 100,000
# I - E = 100,000
A 국가의 순이동은 100,000명이다.
셋째, 위의 결과를 수식에 대입하여 국가 A의 순이동률을 구한다.
# N = (I - E) / M X 1,000
# N = 100,000 / 1,050,000 X 1,000
# N = 95.23809523809524
# N = 95.2
국가 A의 순이동률은 인구 1,000명당 95.2명이다. 이는 연초 국가 A의 인구 1,000명당 연말까지 유입 인구와 유출 인구의 차이가 인구 1,000명당 95.2명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6]
2000년 1월 1일에 어떤 국가 A의 인구가 1,000,000명이었고, 다음 해인 2001년 1월 1일까지 200,000명이 A로 유입되었고 100,000명이 다른 국가로 유출되었다고 가정할 때, 같은 기간 동안 100,000명의 아이가 태어났고 사망자는 없었다면, 2001년 1월 1일 시점의 A의 인구는 1,200,000명이 된다.
2000년 7월 1일 (2000년 1월 1일로부터 반년 후)의 인구는 1년 간의 증가 수를 절반으로 한 1,100,000명이라고 가정하면, 100,000명이 출국하고 200,000명이 유입되었으므로 출입국에서는 100,000명의 증가가 발생한다. 이때, 출입국 인구 비율은 다음과 같다.
:100,000 / 1,100,000 = 0.09091
이 값은 인구에 대한 비율이므로, 1000명당 비율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0.09091 X 1,000 = 90.91
이 값이 순이동률이 된다.
4. 세계적 동향
2010~2020년 동안 유럽, 북아메리카, 중동, 북아프리카, 호주, 뉴질랜드 지역은 순유입(입국 이민>출국 이주)이 나타났고,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카리브해,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호주 및 뉴질랜드를 제외한 오세아니아 지역은 순유출(입국 이민<출국 이주)이 나타났다.[11][12]
2000~2010년에 비해 2010~2020년에는 전반적으로 인구 이동 규모가 감소했으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은 해외 이주 증가로 순인구 이동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
2010~2020년 동안 100만 명 이상의 순유입을 겪은 국가는 대부분 소득이 높거나 중상위권에 해당하는 국가였으며,[13][14] 요르단, 레바논, 터키는 시리아 내전 등으로 인한 난민 유입이 많았다.
같은 기간 100만 명 이상의 순유출을 겪은 국가는 방글라데시, 네팔, 필리핀 등 외국인 노동자 송출이 많은 국가와 시리아, 베네수엘라, 미얀마 등 내전, 경제 위기, 불안, 분쟁 등을 겪은 국가들이었다.
5. 순이동과 인구 변화
2010-2020년 사이 인구가 자연감소(출생아 수<사망자 수)했지만 인구 순유입(입국 이민>출국 이주)이 나타난 국가는 벨라루스, 에스토니아, 독일, 헝가리, 이탈리아, 일본, 러시아, 세르비아, 우크라이나 등 9개국이다. 이들 중에서도 벨라루스, 독일, 이탈리아, 러시아 등 4개국은 자연감소를 상쇄할 정도로 인구 순유입이 충분히 높았으며, 나머지 5개국은 인구 감소 속도를 늦추긴 했지만, 2020년 인구가 2010년보다 적었다.
반면에 같은 기간 동안 자연감소는 물론 인구 순유출까지 겹쳐, 인구 감소 속도가 빨라지는 등 상황이 악화된 국가들도 있는데, 동유럽 국가들이 대표적으로 해당된다. 여기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그리스, 폴란드, 포르투갈,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도바, 루마니아 등 10개국이 있으며, 모두 유럽에 속한 국가들이다.[13][14]
6. 순이동의 문제점
높은 순이동률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부유하고 발전된 국가에서 나타나는 반면, 낮은 순이동률은 덜 발전되고 정치적 문제나 자원 부족을 겪는 국가에서 나타난다. 순이동은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지만, 과도한 인구 유입은 자원 부족, 사회 문제 등을 야기할 수 있다. 반대로, 과도한 인구 유출은 소비 및 생산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6]
이주는 기술 발전, 교통 발달 등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는 기회 증가로 이어지지만, 부양률 증가, 정부 자원 수요 증가, 공공 혼잡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높은 부양률은 노동력 감소와 경제 둔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를 늦추기 위해 국가들은 정년 연장 등의 정책을 시행하기도 한다.[8]
참조
[1]
학술지
Differential Net Migration Rates and the Quality of Life
1975-01-01
[2]
웹사이트
Population And Demography
http://statinja.gov.[...]
2017-05-04
[3]
웹사이트
BBC - GCSE Bitesize: Why do people migrate?
http://www.bbc.co.uk[...]
2017-04-05
[4]
서적
Population : an introduction to concepts and issues
2015-01-01
[5]
웹사이트
Net Migration Rate: Definition, Formula & Statistics - Video & Lesson Transcript
http://study.com/aca[...]
2017-03-29
[6]
웹사이트
New Data Reveal Continued Outmigration from Some Larger Combined Statistical Areas and Counties
https://www.census.g[...]
[7]
서적
Population : an introduction to concepts and issues
2015-01-01
[8]
학술지
Long-Run Economic Effects of Changes in the Age Dependency Ratio
https://research.stl[...]
2018-04-05
[9]
웹사이트
人口推計 - 将来純移動率の仮定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公式サイト
2013-01-15
[10]
웹인용
Net migration rate (per 1,000 population)
https://data.un.org/[...]
2021-07-19
[11]
웹인용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 세계 인구, 2100년에 109억 명 도달... 한국은? - 향후 인구 증감, 출산율, 기대수명, 국제 이동 예측"
https://blog.naver.c[...]
2021-07-21
[12]
웹인용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Highlights
https://population.u[...]
2021-07-21
[13]
웹인용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 세계 인구, 2100년에 109억 명 도달... 한국은? - 향후 인구 증감, 출산율, 기대수명, 국제 이동 예측"
https://blog.naver.c[...]
2021-07-21
[14]
웹인용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Highlights
https://population.u[...]
2021-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