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프어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야프 섬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로마자를 사용하며, 1970년대까지는 성문 파열음을 표기하지 않았으나, 이후 'q'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새로운 철자법이 도입되었다. 야프어는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며, 음절 구조는 자음-모음(CV) 또는 자음-모음-자음(CVC) 형태를 띤다. 문법적으로는 VSO형 어순을 따르며, 중첩을 통해 다양한 형태론적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세 가지 문법적 수(단수, 쌍수, 복수)와 세 가지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 및 청자 포함 여부를 구별하는 인칭 대명사 체계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프주 - 석화 (미크로네시아 연방)
미크로네시아 연방 야프 섬에서 사용된 석회암 원반 석화는 팔라우에서 채석되어 뗏목으로 운송되었으며, 부와 권력의 상징이자 사회적, 경제적 거래에 사용된 야프의 문화적 유산이다. - 야프주 - 야프 축구 국가대표팀
야프 축구 국가대표팀은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야프를 대표하는 축구팀으로, 2015년 미크로네시아 게임에 참가했으나 전패했으며 FIFA 회원이 아니므로 FIFA 월드컵에 참가할 수 없다. - 오세아니아어군 - 남오세아니아어군
남오세아니아어군은 오세아니아어족에 속하며 바누아투와 누벨칼레도니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들로, 바누아투 북중부어군, 바누아투 남부어군, 뉴칼레도니아어군 등으로 나뉘어 해당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오세아니아어군 - 오세아니아조어
오세아니아조어는 오세아니아어군의 공통 조상으로, 음운 체계와 어휘가 재구축되었으며, 어순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언어 - 추크어
추크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미크로네시아어군에 속하며, 어두에 겹자음이 오는 특징을 가진 언어이다.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언어 - 카핑아마랑이어
카핑아마랑이어는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카핑아마랑이 환초와 폰페이의 폰라키에드 마을에서 사용되는 폴리네시아어족 언어로, 다양한 어순과 중복 현상이 나타나며 학교와 교회에서 교육을 통해 세대 간 전승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야프어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야프어 |
사용 국가 | 미크로네시아 연방 |
사용 지역 | 야프섬 |
사용자 | 5,130명 (2005년)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어군 | 대양주 제어 |
분파 | 애드미럴티 제도 제어? |
관련 언어 | ングル완어 |
언어 코드 | |
ISO 639-2 | yap |
ISO 639-3 | yap |
Glottolog | yape1248 |
2. 문자
야프어는 로마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1970년대를 전후로 개발된 정서법이 있으며, 현대에는 이 두 가지 정서법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성문 파열음은 야프어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1970년대 이전에는 별도의 문자로 표기하지 않았으나, 이후에는 'q'나 아포스트로피(')를 사용하여 표기한다.[1]
2. 1. 1970년대 이전의 정서법
1970년대 이전의 야프어 정서법에서는 성문 파열음을 독립된 글자로 표기하지 않았다. 단어 끝의 성문 파열음은 마지막 모음 글자를 두 번 적는 방식으로 나타냈고, 자음의 성문음화는 아포스트로피를 사용하여 표기했다.[1]2. 2. 1970년대 이후의 정서법
야프어는 로마자로 표기한다. 1970년대까지 야프어 철자법에서는 성문 파열음을 독립된 글자로 적지 않았다. 단어 끝의 성문 파열음은 마지막 모음 글자를 두 번 적는 것으로 나타냈고, 자음의 성문음화는 아포스트로피로 나타냈다. 1970년대에는 장모음을 나타내기 위해 모음 글자를 두 번 적는 정서법이 만들어졌고, 성문 파열음이 적히지 않았을 때의 중의성을 막고자 성문 파열음을 ''q''로 적었다.[1] 이 ''q''를 쓰는 새 정서법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나, 야프섬에 관한 많은 저작과 지도에서 이 정서법으로 지명을 표기하여, 야프어와 그 정서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1]예를 들어, 1970년대 새로운 표기법이 도입되기 전, 야프 본섬의 고유 지명은 ''Waab''로 표기되었으며 (지금도 마찬가지) 이중 모음 문자 사이에 성문 파열음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1970년대 표기법이 도입된 후, 두 개의 ''a'' 모음을 (첫 번째는 단모음이고 두 번째는 장모음) ''q'' 성문 파열음 전후에서 구분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이름을 ''Waqaab''로 변경했다.[2]
새로운 표기법은 초등학교 수준의 공교육 시스템에서 가르쳤지만, 구세대와 신세대의 철자 선호도가 달라서 야프어 철자를 표준화하기 어려워졌다. 현대에는 ''Waqaab''를 구세대 철자법으로 표기하기도 하고, 세대 차이를 절충하기 위해 ''Waqab''와 ''Waʼab''와 같은 다른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2]
더 널리 받아들여진 아포스트로피 ''ʼ''가 성문 파열음으로 도입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일반적인 규칙이 생겨났다. 성문 파열음이 모음 사이에 있거나 모음으로 끝(또는 시작)하는 단어의 경우, ''q''를 사용하고, 성문 파열음이 자음 옆이나 자음 사이에 있는 경우 아포스트로피를 사용할 수 있다.[2]
2. 3. 현대의 정서법
현대에는 성문 파열음 표기를 위해 'q' 대신 아포스트로피(')를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1] 초등학교 수준의 공교육에서는 새로운 표기법을 가르치지만, 구세대와 신세대의 철자 선호도가 달라 야프어 철자를 표준화하기가 어려워졌다.[1]3. 음운론
야프어의 음절은 몇몇 문법 형식을 제외하면 자음-모음(CV) 또는 자음-모음-자음(CVC) 구조를 갖는다.[1] 모음 하나로만 이루어진 일부 문법적 형태는 예외이다.[1]
3. 1. 자음
야프어는 방출 마찰음을 가진 세계적으로 드문 언어 중 하나이다.[1] 성문음화된 비음과 접근음이 존재한다.[6] /h/colspan="2" | | 양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평음 | |||||||
성문음화 | ||||||||
파열음 | 평음 | |||||||
방출음 | ||||||||
마찰음 | 무성음 | < th> | < s> | < ch> | < g> | () < h> | ||
유성음 | < b> | < d> | ||||||
방출음 | < f'>[2] | < th'> | ||||||
접근음 | 평음 | < l> | < y/j> | < w> | ||||
성문음화 | < l'> | < y'> | < w'> | |||||
전동음 | 평음 | < r> |
3. 2. 모음
rowspan="3" | | 전설모음 | 후설모음 | ||||||
---|---|---|---|---|---|---|---|---|
비원순 | 원순 | 비원순 | 원순 | |||||
단모음 | 장모음 | 단모음 | 장모음 | 단모음 | 장모음 | 단모음 | 장모음 | |
고모음 | ɪ i | iː ii | ʊ u | ʊː uu | ||||
중모음 | ɛ e | eː ee | œ ö | œː oe | ʌ a | ɔ o | ɔː oo | |
근저모음 | æ ë | æː ea | ||||||
저모음 | a ä | aː ae | ɑː aa |
위 표에서 각 칸의 왼쪽은 음소를 나타내고, 오른쪽은 해당 음소를 야프어 정서법에서 표기하는 문자를 나타낸다. 야프어의 모음은 위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문법
야프어는 VSO형 언어이다.[7][3]
4. 1. 형태론
야프어의 형태론에는 중첩과 대명사 관련 내용이 있다. 중첩은 기동 형용사에서 상태 형용사를 파생시키거나 동사의 지소형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야프어의 인칭 대명사는 세 가지 문법적 수(단수, 쌍수, 복수), 세 가지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 청자 포함 여부를 구별한다.[1]4. 1. 1. 중첩
중첩은 기동 형용사에서 상태 형용사를 파생시키거나, 동사의 지소형을 만드는 등 여러 형태론적 기능에 사용된다.[1]예시는 다음과 같다.
- (1a) ''roow'': 빨개지다
- (1b) ''roow~roow'': 빨갛다
- (2a) ''toey'': 썰다
- (2b) ''si-toey~toey'': 조금 썰다
4. 1. 2. 대명사
야프어의 인칭 대명사는 세 가지 문법적 수(단수, 쌍수, 복수)와 세 가지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 및 청자 포함 여부를 구별한다.[1]단수 | 쌍수 | 복수 | |
---|---|---|---|
1인칭, 청자 포함 | gadow | gadaed | |
1인칭, 청자 제외 | gaeg | gamow | gamaed |
2인칭 | guur | gimeew | gimeed |
3인칭 | qiir | yow | yaed |
참조
[1]
간행물
SOWL 178
[2]
학위논문
Textual Structure and Discourse Prominence in Yapese Narrative
University of Hawaiʻi
2005
[3]
논문
2016
[4]
서적
The Oceanic languages
Curzon
2002
[5]
간행물
SOWL 178
[6]
논문
1977
[7]
논문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