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카버러 페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카버러 페어는 17세기 스코틀랜드 발라드 "엘핀 나이트"에서 파생된 영국의 전통 민요이다. 19세기에는 스카버러 페어 축제와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 백리향" 후렴구가 추가되었다. 사이먼 앤 가펑클의 1966년 버전은 "스카버러 페어/칸티클"로, 반전 가사인 "칸티클"을 추가하여 널리 알려졌다. 이 곡은 다양한 아티스트들에 의해 리메이크되었으며, 영화 졸업 사운드트랙에 수록되어 한국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에 관한 노래 - A New England
    빌리 브래그가 작곡하고 커스티 맥콜이 1985년에 발표하여 큰 성공을 거둔 "A New England"는 폴 사이먼의 영향을 받았으며, 씬 리지의 "Cowboy Song"에서 멜로디 영감을 얻었고, 맥콜의 요청으로 빌리 브래그가 추가 절을 작사하기도 했다.
  • 노섬브리아 - 노섬브리아 왕국
    노섬브리아 왕국은 앵글족의 베르니시아 왕국과 데이라 왕국이 통합된 앵글로색슨 왕국으로, 외부 침략과 내부 분열 속에서도 켈트, 앵글로색슨, 바이킹 문화가 융합된 독특한 문화를 꽃피웠으나 954년 웨섹스 왕국에 병합되어 멸망하였다.
  • 노섬브리아 - 율 (게르만)
    율은 게르만 민족의 겨울 축제로서, 오딘 신과 관련되며, 현대의 크리스마스와 유사한 시기에 율 보드, 율 로그 등의 다양한 전통과 함께 기념된다.
  • 사이먼 & 가펑클의 노래 - I Am a Rock
    폴 사이먼이 작곡하고 사이먼 & 가펑클이 재녹음하여 큰 성공을 거둔 "I Am a Rock"은 고독을 은유하는 가사가 특징이며, 대중문화 전반에서 고독과 소외를 상징하는 곡으로 활용된다.
  • 사이먼 & 가펑클의 노래 - The Only Living Boy in New York
    폴 사이먼이 작곡하고 사이먼 & 가펑클이 1970년에 발표한 "The Only Living Boy in New York"은 아트 가펑클이 멕시코에 있는 동안 폴 사이먼이 뉴욕에 남아 외로움을 느끼며 가펑클을 향한 메시지를 담아낸 곡으로, 다양한 아티스트에 의해 커버되고 여러 사운드트랙에도 사용되었다.
스카버러 페어
곡 정보
제목스카버러 페어
다른 제목엘핀 나이트 (The Elfin Knight), 위팅햄 페어 (Whittingham Fair)
장르민요
국가잉글랜드
지역요크셔
로우드 넘버12
차일드 넘버2
내용
주제불가능한 과제
가사"스카버러 페어에 가시거든 (Are you going to Scarborough Fair)"으로 시작하는 가사를 가진 발라드
특징연인에게 불가능한 과제를 제시하고, 그것을 수행하면 사랑을 돌려주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음.
역사 및 기원
기원중세 시대 기원으로 추정
유래 가능성16세기 스코틀랜드 발라드 "엘핀 나이트 (The Elfin Knight)"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음
스카버러 페어스카버러에서 열리는 연례 무역 박람회와 관련
가사 변형지역 및 시대에 따라 다양한 가사 변형 존재
대중 문화
사이먼 & 가펑클사이먼 & 가펑클의 1966년 버전으로 널리 알려짐
영화영화 졸업 사운드트랙에 사용
영향수많은 아티스트에 의해 커버 및 재해석됨

2. 역사

"스카버러 페어"는 17세기 스코틀랜드의 전통 발라드인 "엘핀 나이트"(The Elphin Knight)[5](차일드 멜러드 #2)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4] 두 노래 모두 연인에게 불가능한 과제를 제시하는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한 버전이 생겨났으며, 19세기 버전부터는 스카버러 페어라는 지명과 함께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 "백리향"이라는 특징적인 후렴구가 등장하는데, 이는 다른 발라드인 ''수수께끼를 현명하게 설명함''(차일드 멜러드 #1)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2. 1. 기원과 초기 형태

"스카버러 페어"의 가사는 프랜시스 제임스 차일드가 차일드 멜러드 #2로 수집한, 167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스코틀랜드 발라드 "엘핀 나이트"[5]와 공통점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4] 이 발라드에서는 요정이 한 젊은 여성을 자신의 연인으로 삼기 위해 납치하겠다고 위협하며 불가능한 과제를 요구한다("너는 나를 위해 자르거나 꿰매지 않고 속옷을 만들어야 한다, 그가 말했다"). 이에 여성은 요정이 먼저 수행해야 할 과제 목록으로 응답한다("나는 저 바닷가에 좋은 에이커의 땅을 가지고 있다").

18세기 말까지 수십 개의 버전이 존재했다. 여러 오래된 버전은 스카버러 페어 외에도 위팅엄 페어, 케이프 앤, "버윅과 린 사이" 등 다른 장소를 언급한다. 많은 버전은 지명을 언급하지 않고 종종 "연인의 과제", "아버지가 나에게 땅을 주셨네" 등 일반적인 제목을 사용했다.

전통적인 영국 행사 "스카버러 페어"에 대한 언급과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 "백리향"이라는 후렴구는 19세기 버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비슷한 줄거리를 가진 발라드 ''수수께끼를 현명하게 설명함'' (차일드 멜러드 #1)에서 차용되었을 수 있다.

2. 2. 다양한 변형

"스카버러 페어"의 가사는 1670년경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스코틀랜드의 전통 발라드인 "엘핀 나이트"(The Elfin Knight)[5](차일드 발라드 #2)와 유사점을 보인다.[4] 이 발라드에서 한 요정은 한 여성을 연인으로 삼기 위해 불가능한 과제("나를 위해 바느질 없이 속옷을 만들라")를 요구하고, 여성은 요정이 먼저 수행해야 할 과제("바닷가에 좋은 에이커의 땅을 달라") 목록으로 응수한다.

18세기 말에 이르러서는 "스카버러 페어"의 수십 가지 버전이 존재했다. 여러 오래된 버전에서는 스카버러 페어 외에도 위팅엄 페어(Whittingham Fair), 케이프 앤(Cape Ann), "버윅(Berwick)과 린(Lynn) 사이" 등 다른 장소를 언급하기도 한다. 또한, 많은 버전에서는 특정 지명을 언급하지 않고 "연인의 과제(The Lover's Tasks)", "아버지가 나에게 땅을 주셨네(My Father Gave Me an Acre of Land)"와 같은 일반적인 제목을 사용했다.

전통적인 영국 축제인 스카버러 페어에 대한 언급과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 백리향(parsley, sage, rosemary, and thyme)"이라는 후렴구는 19세기 버전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비슷한 줄거리를 가진 다른 발라드인 ''리들스 와이즐리 익스파운디드''(Riddles Wisely Expounded, 차일드 발라드 #1)에서 가져왔을 가능성이 있다.

"엘핀 나이트"의 가장 오래된 버전(약 1650년)에는 "내 옷을 치워라, 내 옷을 치워라, 바람이 내 옷을 날려버리지 못하게 하라(My plaid awa, my plaid awa, and ore the hill and far awa)"라는 후렴구가 있었다. 이후 버전들에서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후렴구가 나타난다.

  • "시간이 지나면 술 취하지 않고 진지함이 즐거워진다(Sober and grave grows merry in time)."
  • "모든 장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즐거워진다(Every rose grows merry with time)."
  • "시간이 지나도 더 아름다워지는 장미는 없다(There's neer a rose grows fairer with time)."
  • "모든 숲이 즐거운 antienne|앙티엔fra(후렴구)으로 울려 퍼진다(Every grove rings with cheerful antine)."


이러한 후렴구들은 보통 "한때 그녀는 나의 진실한 사랑이었다(Once she was a true love of mine)" 또는 이와 유사한 구절과 짝을 이루었다. 현재 잘 알려진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 앤 타임" 후렴구는 "시간이 지나면 즐거워진다(merry in time)"가 "로즈마리 앤 타임(rosemary and thyme)"으로 변형된 것을 바탕으로, 원래의 후렴구를 대체한 운율 후렴구일 수 있다.

2. 3. 후렴구의 유래

전통적인 영국 행사 "스카버러 페어"에 대한 언급과 함께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 백리향"이라는 후렴구가 등장하는 것은 19세기 버전부터이다. 이 후렴구는 비슷한 줄거리를 가진 발라드 ''수수께끼를 현명하게 설명함'' (차일드 멜러드 #1)에서 가져왔을 가능성이 있다.

"스카버러 페어"의 가사는 프랜시스 제임스 차일드가 차일드 멜러드 #2로 수집한 스코틀랜드 발라드 "엘핀 나이트"[5]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보인다.[4] "엘핀 나이트"의 가장 오래된 버전(1650년경)에는 "내 옷을 치워라, 내 옷을 치워라, 바람이 내 옷을 날려버리지 못하게 하라"라는 후렴구가 들어 있다. 이후 버전들에서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후렴구가 나타난다.

  • "시간이 지나면 술 취하지 않고 진지함이 즐거워진다."
  • "모든 장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즐거워진다."
  • "시간이 지나도 더 아름다워지는 장미는 없다."
  • "모든 숲이 즐거운 antienne|앙티엔fra (후렴구)으로 울려 퍼진다."


이러한 후렴구들은 일반적으로 "한때 그녀는 나의 진실한 사랑이었다" 또는 그와 비슷한 구절과 함께 사용된다.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 앤 타임" 후렴구는 "시간이 지나면 즐거워진다"라는 구절이 "로즈마리 앤 타임"으로 변형된 것을 바탕으로, 원래 후렴구를 대체하는 운율을 맞춘 후렴구일 수 있다.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 그리고 타임"이라는 후렴구는 조셉 리트슨의 ''Gammer Gurton's Garland'' (1783 또는 1784)에 실린 "The cambrick shirt" [45]에서도 이미 찾아볼 수 있지만,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버전의 후렴구가 존재한다.

  • 달콤하고 향기로운 풍미가 자라네, 로즈마리와 타임[48]
  • 샤프란, 세이지, 루, 몰약, 그리고 타임[49]
  • 침착하고 진지함이 때가 되면 즐거움으로 자라네[50]
  • 모든 장미가 때가 되면 즐거움으로 솟아나네[51]
  • 모든 장미가 때가 되면 즐거움으로 자라게 하라[52]


이 후렴구들은 보통 "And then (s)he’ll be a true love of mine" 또는 이와 유사한 구절과 짝을 이룬다.

3. 가사

"스카버러 페어"의 가사는 주로 남성과 여성이 번갈아 부르는 대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은 헤어진 연인에게 스카버러 시장에 가는 사람을 통해 안부를 전하며, 다시 연인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 서로에게 실현 불가능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남성은 여성에게 솔기 없는 캠브릭 셔츠를 만들거나 마른 우물에서 빨래하라는 등의 요구를 하고, 여성은 남성에게 바닷가와 모래사장 사이의 땅을 찾거나 양의 뿔로 밭을 갈라는 등의 요구를 한다. 이러한 불가능한 과제들은 두 사람 사이의 관계 회복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동시에, 사랑의 진실성을 시험하는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5][6]

각 절의 끝에는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와 백리향(Parsley, sage, rosemary and thyme)"이라는 후렴구가 반복되는데, 이 허브들은 각각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어 노래의 깊이를 더한다. 가사에는 여러 버전이 존재하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른 형태로 전해져 왔다.

3. 1. 원문 가사와 번역

1891년 프랭크 키드슨이 출판한 가사는[5]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오, 어디로 가시나요?" "스카버러 시장으로 가네,"

향긋한 세이지, 로즈마리, 그리고 백리향;

"거기 사는 아가씨에게 안부 전해주오,

그녀는 한때 나의 진실한 연인이었네.

"그리고 그녀에게 캠브릭 셔츠를 만들어 달라고 전해주오,

향긋한 세이지, 로즈마리, 그리고 백리향,

솔기나 바느질 없이,

그러면 그녀는 나의 진실한 연인이 될 것이오.

"그리고 그녀에게 저기 마른 우물에서 빨라고 전해주오,

향긋한 세이지, 로즈마리, 그리고 백리향,

물이 솟아나지 않고, 비 한 방울도 떨어지지 않는 곳,

그러면 그녀는 나의 진실한 연인이 될 것이오."[6]

세실 샤프가 편곡한 스카보로 페어(1916년).


가사에는 많은 버전이 존재한다. 다음은 남성과 여성의 듀엣을 위한 가사의 예시이다.

가사번역
BOTH

Are you going to Scarborough Fair?
Parsley, sage, rosemary and thyme,
Remember me to one who lives there,
For she once was a true love of mine.

MAN

Tell her to make me a cambric shirt,
Parsley, sage, rosemary and thyme,
Without no seam nor fine needlework,
And then shell be a true love of mine.

Tell her to wash it in yonder dry well,
Parsley, sage, rosemary and thyme,
Which never sprung water nor rain ever fell,
And then she
ll be a true love of mine.

Tell her to dry it on yonder thorn,
Parsley, sage, rosemary and thyme,
Which never bore blossom since Adam was born,
And then shell be a true love of mine.

Ask her to do me this courtesy,
Parsley, sage, rosemary and thyme,
And ask for a like favour from me,
And then she
ll be a true love of mine.

BOTH

Have you been to Scarborough Fair?
Parsley, sage, rosemary and thyme,
Remember me from one who lives there,
For he once was a true love of mine.

WOMAN

Ask him to find me an acre of land,
Parsley, sage, rosemary and thyme,
Between the salt water and the sea strand,
For then hell be a true love of mine.

Ask him to plough it with a sheep
s horn,
Parsley, sage, rosemary and thyme,
And sow it all over with one peppercorn,
For then hell be a true love of mine.

Ask him to reap it with a sickle of leather,
Parsley, sage, rosemary and thyme,
And gather it up with a rope made of heather,
For then he
ll be a true love of mine.

When he has done and finished his work,
Parsley, sage, rosemary and thyme,
Ask him to come for his cambric shirt,
For then he be a true love of mine.

BOTH''

If you say that you can
t, then I shall reply,
Parsley, sage, rosemary and thyme,
Oh, Let me know that at least you will try,
Or you'll never be a true love of mine.
양방

스카버러 시장에 가는 거니?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와 백리향,
그곳에 사는 어떤 사람에게 안부를 전해 주게,
그녀는 예전의 연인이었으니까.



캠브릭 셔츠를 만들라고 전해 주게,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와 백리향,
바늘땀도 세세한 바느질 자국도 없이,
그렇게 해 준다면 그녀는 나의 연인.

저 마른 우물에서 그것을 빨라고 전해 주게,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와 백리향,
그곳은 물은커녕 비도 내리지 않지,
그렇게 해 준다면 그녀는 나의 연인.

그곳의 가시나무에서 그것을 말리라고 전해 주게,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와 백리향,
그것에는 아담이 태어난 후로 꽃이 핀 적이 없지,
그렇게 해 준다면 그녀는 나의 연인.

이런 친절을 해 주는 것처럼 부탁해 주게,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와 백리향,
그리고 나에게 똑같이 부탁하는 것처럼,
그렇게 해 준다면 그녀는 나의 연인.

양방

스카버러 시장에 가봤니?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와 백리향,
그곳에 사는 어떤 사람에게 안부를 전해 주게,
그는 옛날의 연인이었으니까.



1에이커의 토지를 발견하도록 전해 주게,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와 백리향,
소금물과 바닷모래 사이의 것을,
그렇게 해 준다면 그는 나의 연인.

양의 뿔로 그곳을 경작하라고 전해 주게,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와 백리향,
그러고 나서 후추 열매를 뿌리라고,
그렇게 해 준다면 그는 나의 연인.

가죽으로 된 으로 그것을 베라고 전해 주게,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와 백리향,
그러고 나서 히스로 된 로프로 엮으라고,
그렇게 해 준다면 그는 나의 연인.

그가 그것을 다 해냈다면,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와 백리향,
캠브릭 셔츠를 받으러 오라고 전해 주게,
그렇게 해 준다면 그는 나의 연인.

양방

불가능하다고 한다면, 나는 이렇게 대답하겠네,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와 백리향,
아아, 적어도 해 보라고 알려 주게,
할 수 없다면 당신은 결코 연인이 아니야.


3. 2. 후렴구의 상징적 의미

"Parsley, sage, rosemary and thyme"이라는 후렴구는 현대인에게는 그 의미가 명확하게 와닿지 않을 수 있지만, 실제로는 깊은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각 허브는 특정한 덕목이나 소망을 나타낸다.

  • 파슬리: 예로부터 소화를 돕고 음식의 쓴맛을 없애는 데 사용되었다고 전해진다. 중세 의사들은 이를 영적인 정화와 관련지어 해석하기도 했다. 노래 속에서는 연인 사이의 부정적인 감정이나 오해를 없애는 '평온함'을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세이지: 강한 생명력과 내구력의 상징으로 수천 년 동안 여겨져 왔다. 이는 관계의 어려움을 견뎌내는 '힘'과 인내를 의미한다.
  • 로즈마리: '정절', '사랑', '추억'을 상징한다. 오늘날에도 영국을 비롯한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결혼식 때 신부의 머리에 로즈마리 가지를 꽂는 풍습이 남아있을 정도로 사랑 및 기억과 관련된 의미가 강하다.
  • 백리향(타임): '용기'의 상징이다. 노래가 유래된 시기의 기사들은 전투에 임할 때 용기를 얻기 위해 방패에 백리향 문양을 새기기도 했다.


노래의 화자는 이 네 가지 허브를 나열하며, 헤어진 연인이 불가능해 보이는 과제들을 해결하고 돌아오기를 바라는 마음을 표현한다. 즉, 연인이 두 사람 사이의 거리를 극복할 '온화함'(파슬리), 오랜 시간과 시련을 견뎌낼 '강함'(세이지), 변치 않는 '정절'(로즈마리), 그리고 불가능에 맞서는 '용기'(백리향)를 모두 갖추기를 바라는 것이다. 화자는 연인이 이러한 덕목들을 증명할 때 비로소 진정한 사랑으로 다시 함께할 수 있다고 믿는 것으로 해석된다.

3. 3. 불가능한 과제들

이 노래의 가사에는 남성과 여성이 서로에게 연인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 불가능한 과제들을 제시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는 서로에게 다시 결합하기 어려운 장벽이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남성이 여성에게 제시하는 과제'''

남성은 여성에게 다음과 같은 불가능한 일들을 해내라고 요구한다.

  • 솔기 없는 캠브릭 셔츠 만들기: 바느질 자국 없이 옷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 마른 우물에서 빨래하기: 물이 전혀 없는, 비조차 내리지 않는 마른 우물에서 빨래를 할 수는 없다.
  • 꽃 피지 않는 가시나무에서 말리기: 아담이 태어난 이래로 한 번도 꽃이 핀 적 없는 가시나무에 빨래를 너는 것 역시 불가능한 요구이다.


'''여성이 남성에게 제시하는 과제'''

여성 역시 남성에게 다음과 같은 불가능한 과제들을 제시하며 응수한다.

  • 바닷물과 해변 사이의 땅(1에이커) 찾기: 끊임없이 변하는 바닷물과 바닷모래 사이에 고정된 땅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
  • 양의 뿔로 경작하고 후추 한 알로 씨 뿌리기: 연약한 양의 뿔로 땅을 갈고, 단 하나의 후추 열매로 넓은 땅(1에이커)에 씨를 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 가죽 으로 수확하고 히스 밧줄로 묶기: 부드러운 가죽으로 만든 낫으로 곡식을 벨 수 없으며, 쉽게 부서지는 히스로 만든 밧줄로 수확물을 묶는 것도 불가능하다.


이처럼 서로에게 불가능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은 두 사람 사이의 관계 회복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함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지막 구절에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도라도 해보라는 여지를 남기기도 한다.

4. 곡조

"스카버러 페어"는 다양한 곡조로 전해져 왔으며, 여러 형태로 녹음되었다. 최초의 상업적 녹음은 1955년 파리에서 활동하던 미국인 듀오 고든 히스와 리 페이언트가 엘렉트라 레코드에서 발매한 앨범 ''Encores from the Abbaye''에 수록된 것이다.[12] A. L. 로이드와 이완 매콜 역시 프랭크 키드슨이 채보한 초기 멜로디를 사용하여 1956년 앨범 ''The English and Scottish Popular Ballads vol IV''에 이 곡을 포함시켰다.[13]

현재 가장 널리 알려진 곡조와 유사한 형태의 초기 녹음은 1956년 오드리 코파드(Audrey Coppard)가 부른 버전으로, 앨범 ''English Folk Songs''에 실렸다.[14] 이 곡조는 이완 매콜이 채보하여 페기 시거와 함께 1957년 발표한 버전[15][54]을 바탕으로 하며, 이는 이후 마틴 카시가 1965년 자신의 데뷔 앨범에서 편곡하여 부르는 데 영향을 주었다.[21] 마틴 카시의 편곡은 폴 사이먼에게 전해졌고, 사이먼 & 가펑클이 이를 바탕으로 "칸티클(Canticle)" 부분을 덧붙여 1966년 발표한 "스카버러 페어/칸티클"은[22][34] 1968년 영화 ''졸업''의 사운드트랙에 포함되면서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버전이 되었다.[33]

이 외에도 여러 아티스트들이 "스카버러 페어"를 녹음했다. 마리안느 페이스풀은 1966년 앨범 ''노스 컨트리 메이드''에,[24] 세르지우 멘데스와 브라질 66은 1968년 재즈 풍으로 편곡하여 미국 차트 16위를 기록했다. 비키 레안드로스는 1969년 여러 언어로 녹음하여 발표했다. 현대에는 비디오 게임 ''시드 마이어의 문명 VI''에서 잉글랜드 문명의 테마곡으로 사용되기도 했다.[40][41]

4. 1. 다양한 멜로디

프랭크 키드슨의 ''Traditional Tunes'' (1891)[53]에는 두 가지 종류의 '스카버러 페어' 악보가 실려 있다. 이 멜로디들은 모두 현재 널리 알려진 것과는 전혀 다른 쾌활하고 유머러스한 특징을 가진다.

오늘날 사이먼 앤 가펑클의 연주 등으로 유명한 '스카버러 페어'의 멜로디는 이완 맥콜과 페기 시거가 1957년에 발표한 ''Matching Songs of the British Isles and America'' 앨범에 수록된 것에서 유래한다.[54] 맥콜은 1947년에 "요크셔의 미들턴 인 티즈데일(Middleton-in-Teesdale)의 전직 연광부 마크 앤더슨"에게서 이 멜로디를 배웠다고 밝혔다. 그러나 가사는 키드슨 판의 것을 약간의 변경만 가한 채 거의 그대로 가져왔다.[47]

4. 2. 마틴 카시와 사이먼 앤 가펑클의 곡조

현재 널리 알려진 "스카버러 페어"의 곡조는 1947년, 잉글랜드 더럼주 미들턴 인 티스데일 출신의 은퇴한 납 광부 마크 앤더슨(Mark Anderson, 1874–1953)이 민요 수집가 이완 매콜(Ewan MacColl)에게 불러준 것에서 유래한다.[17][18][19] 매콜은 이 곡을 채보하여 1957년 페기 시거(Peggy Seeger)와 함께 발표한 앨범 ''Matching Songs of the British Isles and America''에 실었으며,[15][54] 1960년에는 두 사람이 함께 쓴 노래집 ''The Singing Island''에도 수록했다.[18] 이는 프랭크 키드슨(Frank Kidson)이 1891년에 채보한 버전과는 전혀 다른 곡조이다.[53]

1965년, 포크 가수 마틴 카시(Martin Carthy)는 매콜과 시거의 노래집에 실린 곡조를 바탕으로 편곡하여 자신의 데뷔 앨범 ''Martin Carthy''에 "스카버러 페어"를 녹음했다.[21][33] 같은 해 런던에서 활동하던 폴 사이먼(Paul Simon)은 마틴 카시로부터 이 편곡을 직접 배웠다.[31][32]

사이먼 & 가펑클(Simon & Garfunkel)은 마틴 카시의 편곡을 기반으로, 폴 사이먼이 1963년에 쓴 반전 노래 "The Side of a Hill"의 가사를 재작업한 "칸티클(Canticle)" 부분을 대위법 형식으로 덧붙여 "스카버러 페어/칸티클(Scarborough Fair/Canticle)"을 만들었다.[22][34] 전통 가사 부분은 카시의 곡조를 따랐고, "칸티클" 부분은 주로 아트 가펑클(Art Garfunkel)이 새로운 멜로디를 작곡했다.[33][35] 이 곡은 1966년 발표된 앨범 ''파슬리, 세이지, 로즈메리 앤드 타임''의 첫 트랙으로 실렸으며,[22] 1968년 영화 ''졸업''의 사운드트랙에 포함되어 큰 인기를 얻은 후 싱글로도 발매되었다.[33]

그러나 저작권 표기에 편곡의 원천인 마틴 카시나 전통 민요(Traditional)라는 출처를 명시하지 않고 폴 사이먼과 아트 가펑클만을 작곡가로 올려 논란이 되었다. 마틴 카시는 이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시했으며,[33] 사이먼 앤 가펑클 측은 카시의 출판사와 "상당한" 금액의 금전적 합의를 진행했지만, 정작 카시 본인은 이 사실을 알지 못했고 어떠한 보상도 받지 못했다고 알려졌다.[23] 이 문제는 오랫동안 두 음악가 사이에 불편한 관계로 남았으나, 2000년 10월 폴 사이먼이 런던 해머스미스 아폴로에서 열린 자신의 콘서트에 마틴 카시를 초대하여 함께 "스카버러 페어/칸티클"을 부르면서 오랜 갈등을 해소하는 모습을 보였다.[33][36]

한편, 마틴 카시의 편곡은 밥 딜런(Bob Dylan)에게도 영향을 주어, 딜런은 이 곡의 멜로디와 가사 일부를 차용하여 자신의 노래 "북쪽 나라에서 온 소녀(Girl from the North Country)"(1963)를 만들기도 했다.[37]

5. 사이먼 & 가펑클 버전 (Scarborough Fair/Canticle)

포크 듀오 사이먼 & 가펑클이 1966년 발표한 "스카버러 페어/칸티클(Scarborough Fair/Canticle)"은 이 곡을 세계적으로 알린 가장 유명한 버전이다. 이 버전은 영국 포크 가수 마틴 카시에게 배운 전통 멜로디 편곡에,[31][32][21] 폴 사이먼의 초기 반전 노래 "The Side of a Hill"의 가사를 재작업한 "칸티클(Canticle)" 부분을 대위법으로 결합한 형태이다.[22][34][56] 칸티클 부분의 멜로디는 주로 아트 가펑클이 작곡했다.[33][35][57][58]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이 활발했던 시기에 발표되어 반전(反戰)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 곡은 사이먼 & 가펑클의 세 번째 앨범 《파슬리, 세이지, 로즈메리 앤 타임》(1966)의 첫 번째 트랙으로 수록되었으며,[55] 1967년 영화 《졸업》의 사운드트랙에 포함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33] 이후 1968년 2월 싱글로 발매되어 빌보드 핫 100 차트 11위를 기록했다.[59] 편곡 과정과 저작권 문제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었으나, 이는 추후 해결되었다.[33][23][36]

5. 1. 편곡 및 발매

1965년 영국 런던 방문 중 폴 사이먼은 포크 가수 마틴 카시로부터 이 노래를 배웠다.[31][32] 카시는 이완 맥콜과 페기 시거의 노래집에서 이 곡을 알게 되었고, 자신의 1965년 데뷔 앨범 ''Martin Carthy''에 편곡하여 수록한 바 있었다.[33]

사이먼 & 가펑클은 카시에게 배운 이 전통 멜로디에, 사이먼이 1963년에 쓴 초기 반전 노래 "The Side of a Hill"의 가사를 재작업한 "칸티클(Canticle)"을 대위법 형식으로 결합시켰다.[34][56] 전통 가사 부분은 카시가 사용했던 편곡을 따랐으며, 사이먼의 반전 메시지를 담은 칸티클 부분의 새로운 멜로디는 주로 아트 가펑클이 작곡했다.[33][35][57][58] 이렇게 편곡된 곡은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이 고조되던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며 반전의 의미를 더했다.

"스카버러 페어/칸티클"은 사이먼 & 가펑클1966년 앨범 ''파슬리, 세이지, 로즈메리 앤드 타임''의 첫 번째 곡으로 실렸다.[55] 이후 1967년 영화 ''졸업''의 사운드트랙에 삽입되어 큰 인기를 얻었으며,[33] 1968년 2월에는 싱글로 발매되어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1위를 기록하는 등 세계적인 히트를 기록했다.[59]

그러나 편곡 저작권 표기에 폴 사이먼아트 가펑클의 이름만 올라가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마틴 카시는 자신이 제공한 편곡과 전통 음악의 출처가 명시되지 않은 것에 대해 강한 불만을 제기했다.[33] 이로 인한 둘 사이의 갈등은 오랫동안 이어졌으나, 2000년 10월 런던 해머스미스 아폴로에서 열린 사이먼의 콘서트 무대에 카시가 함께 올라 이 노래를 부르면서 해소되었다.[33][36]

5. 2. 저작권 문제

사이먼 & 가펑클은 1965년 런던에서 마틴 카시로부터 이 곡의 편곡을 배웠다.[31][32] 카시는 이완 매콜과 페기 시거의 노래집에서 곡을 가져와 자신의 1965년 데뷔 앨범 Martin Carthy에 수록했었다.[33] 사이먼 & 가펑클은 이 편곡을 바탕으로 폴 사이먼의 1963년 반전 노래 "The Side of a Hill"의 가사를 재작업한 "칸티클(Canticle)" 부분을 덧붙여 "스카버러 페어/칸티클"을 만들었다.[34] 이 곡은 1966년 앨범 ''파슬리, 세이지, 로즈메리 앤드 타임''의 첫 트랙으로 실렸고, 1968년 영화 ''졸업''의 사운드트랙에 포함된 후 싱글로도 발매되었다.[33]

하지만 곡의 저작권 표기에 편곡자로 마틴 카시를 명시하지 않고 폴 사이먼과 아트 가펑클만을 작가로 올린 것이 문제가 되었다. 카시는 자신을 편곡자로 인정하지 않은 것에 대해 불쾌감을 표시하며, 최소한 곡의 출처가 '전통 민요'임을 명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3] 사이먼 & 가펑클 측은 나중에 카시의 출판사와 "상당한" 금액으로 금전적 합의를 보았으나, 정작 카시 본인은 이 사실을 알지 못했고 합의금을 받지도 못했다고 알려졌다.[23] 이 갈등은 오랫동안 이어졌으나, 2000년 10월 폴 사이먼런던 해머스미스 아폴로에서 열린 자신의 콘서트에 카시를 초대하여 함께 "스카버러 페어"를 듀엣으로 부르면서 해소되었다.[33][36]

한편, 폴 사이먼이 카시에게서 곡을 배우기 전인 1963년, 밥 딜런 역시 마틴 카시의 편곡 버전에서 멜로디와 일부 가사를 차용하여 자신의 노래 "북쪽 나라에서 온 소녀(Girl from the North Country)"를 만들었다.[37] 이 곡은 딜런의 앨범 ''프리휠린 밥 딜런''(1963) 등에 수록되었다.

5. 3.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사이먼 앤 가펑클의 버전 "스카버러 페어/칸티클(Scarborough Fair/Canticle)"은 이 곡의 대중적 인지도 확산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버전은 1966년 발매된 앨범 ''파슬리, 세이지, 로즈메리 앤 타임''의 첫 번째 트랙으로 수록되었으며,[22] 폴 사이먼이 마틴 카시로부터 배운 전통 멜로디에[31][32] 사이먼의 1963년 반전 노래 "The Side of a Hill"의 가사를 재작업한 "칸티클" 부분을 대위법으로 결합한 형태이다.[34][56] 칸티클 부분의 새로운 멜로디는 주로 아트 가펑클이 작곡했다.[33][35][57][58] 이 곡은 특히 1967년 영화 졸업사운드트랙에 사용되면서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고,[33] 1968년 싱글로 발매되어 빌보드 핫 100에서 11위를 기록했다.[59] 사이먼 앤 가펑클은 편곡 과정에서 마틴 카시를 크레딧에 명시하지 않아 갈등이 있었으나,[33] 훗날 카시의 출판사와 금전적 합의를 했고,[23] 2000년에는 사이먼이 카시를 초청해 함께 이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33][36]

사이먼 앤 가펑클 버전 이전에도 밥 딜런은 마틴 카시의 편곡에서 멜로디와 가사 일부를 차용하여 자신의 노래 "북쪽 나라에서 온 소녀"를 만들었다.[37]

"스카버러 페어"는 이후 수많은 아티스트에 의해 커버되었다.

  • 마리안느 페이스풀은 1966년 앨범 ''노스 컨트리 메이드''에 이 곡을 녹음했다.[24]
  • 세르지우 멘데스와 브라질 66이 1968년 재즈와 삼바 요소를 가미하여 편곡한 버전은 미국 차트 16위를 기록했다.
  • 비키 레안드로스는 1969년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Chèvrefeuille que tu es loin프랑스어), 그리스어(Νά Θυμάσαι Πώς Μ' αγαπάςel) 등 다양한 언어로 녹음했다.
  • 미국의 포크 펑크 밴드 코델리아스 대드(Cordelia's Dad)는 1989년 데뷔 앨범에 수록했다.[25]
  • 더 스톤 로지스(The Stone Roses)는 1989년 데뷔 앨범의 "엘리자베스 마이 디어"(Elizabeth My Dear)에서 이 곡의 멜로디를 차용했다.
  •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퀸스라이크(Queensrÿche)는 이 곡을 커버하여 2003년 리마스터 앨범 ''엠파이어''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했다.[26]
  • 켈틱 우먼은 2007년 앨범 ''A New Journey''에 이 곡을 포함시켰다.[27]
  • 영국의 데스-둠 메탈 밴드 마이 다잉 브라이드는 2009년 EP ''Bring Me Victory''에 가사를 추가하여 수록했다.
  • 심포닉 메탈 밴드 리브스 아이즈는 2009년 앨범 ''뇨르드''에 이 곡을 녹음했다.
  • 녹스 아르카나는 2012년 앨범 ''윈터스 매제스티''에서 독자적인 가사를 붙여 유령 이야기 버전으로 만들었다.[28][29]
  • 댄 아비단은 2020년 슈퍼 기타 브로스와 협력하여 사이먼 앤 가펑클 버전의 칸티클 대위법을 포함한 커버를 발표했다.[30]


소설과 게임에서도 이 곡이 등장한다. 에릭 가르시아의 소설 《안녕 사랑스런 갈고리》(원제 : Anonymous Rex)에서는 진화한 공룡 등장인물이 이 노래를 마약과 관련된 노래로 언급한다. 비디오 게임 ''시드 마이어의 문명 VI''에서는 잉글랜드 문명의 테마곡으로 사용되었으며, 게임 진행 단계에 따라 다양한 편곡 버전이 등장한다.[40][41][42][43]

6. 한국 대중문화에서의 수용

사이먼 앤 가펑클이 부른 버전은 1967년 미국 영화졸업』의 삽입곡으로 사용되면서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59] 한국에서도 이 영화가 소개되면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6. 1. 번안곡 및 리메이크

사이먼 & 가펑클은 이 곡을 자신들의 3번째 앨범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 앤드 타임》에 '스카버러 페어/영창'(Scarborough Fair/Canticleeng)이라는 제목으로 수록했다. 여기서 '영창' 부분은 폴 사이먼이 작사, 작곡한 다른 곡 '사이드 오브 어 힐'(The Side of a Hilleng)의 가사를 가져와 편곡한 것으로 보인다. 원곡의 선율 위에 '영창' 부분을 대위법적으로 결합하고 반전(反戰) 메시지를 담아, 당시 베트남 반전운동이 활발했던 시대적 분위기를 반영했다.

6. 2. 문화적 영향

이 곡은 3번째 앨범 《파슬리 세이지 로즈마리 앤드 타임》에 〈스카버러 페어/영창〉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었다. 영창 부분의 가사는 폴 사이먼이 작사, 작곡한 The Side of a Hill|사이드 오브 어 힐eng의 가사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영창〉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곡에 반전의 의미를 더했으며, 이는 베트남 반전운동이 활발했던 시대적 배경과 관련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Elfin Knight / Scarborough Fair / Whittingham Fair https://mainlynorfol[...] 2020-05-07
[2] 웹사이트 Search: Scarborough Fair RN12 https://www.vwml.org[...]
[3] 서적 Traditional tunes https://hdl.handle.n[...] Chas. Taphouse & Son 1891
[4] 서적 The English and Scottish Popular Ballads, Part 9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and company / The Riverside Press
[5] 서적 Traditional Tunes : a collection of ballad airs, chiefly obtained in Yorkshire and the south of Scotland; together with their appropriate words from broadsides and from oral tradition https://babel.hathit[...] Chas. Taphouse & Son
[6] 서적 Traditional Tunes https://archive.org/[...] Chas. Taphouse & Son 1891
[7] 서적 Strange Survivals Methuen & Co.
[8] 웹사이트 The Cambric Shirt (Roud Folksong Index S230643) https://www.vwml.org[...] 2020-08-29
[9] 웹사이트 Rosemary and Thyme (child No. 2) (Roud Folksong Index S407682) https://www.vwml.org[...] 2020-08-29
[10] 웹사이트 Every Rose Grows Merry in Time (Roud Folksong Index S204527) https://www.vwml.org[...] 2020-08-29
[11] 웹사이트 Rosemary Lane (Roud Folksong Index S189118) https://www.vwml.org[...] 2020-08-29
[12] 웹사이트 Encores from the Abbaye https://www.allmusic[...] 2022-10-06
[13] 웹사이트 Ewan MacColl's Discography http://ewan-maccoll.[...] 2022-10-09
[14] 웹사이트 Scarborough Fair https://folkways.si.[...] 2020-08-29
[15] 웹사이트 Matching Songs of the British Isles and America : Ewan MacColl at theBalladeers https://web.archive.[...] 2020-10-31
[16] 웹사이트 The Long Harvest traditional English and Scottish ballads sung by Peggy Seeger and Ewan MacColl http://www.peggyseeg[...] 2020-10-31
[17] 웹사이트 Famous song has roots in Dale folk https://www.thenorth[...] 2011-12-03
[18] 웹사이트 Scarborough Fair (Roud Folksong Index S160453) https://www.vwml.org[...] 2020-08-29
[19] 웹사이트 The Formative Dylan: Transmission and Stylistic Influences, 1961–1963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1
[20] 웹사이트 Mark Anderson https://archive.cult[...] 2022-07-12
[21] 웹사이트 Sold on Song – Song Library – Scarborough Fair http://www.bbc.co.uk[...] 2003
[22] 웹사이트 Song and Lyrics, Scarborough Fair/Canticle http://www.paulsimon[...] Sony Music Entertainment 2016-07-10
[23] 웹사이트 The story behind Simon & Garfunkel's song 'Scarborough Fair' https://faroutmagazi[...] 2022-03-01
[24] 웹사이트 Marianne Faithfull – North Country Maid https://www.discogs.[...] 1966-11-26
[25] 웹사이트 Cordelia's Dad, by Cordelia's Dad https://cordeliasdad[...] 2024-07-14
[26] 웹사이트 Scarborough Fair — the ancient ballad that sparked a modern-day grudge https://subs.ft.com/[...] 2020-08-09
[27] 웹사이트 Celtic Woman Story https://www.celticwo[...]
[28] 웹사이트 Scarborough Fair by Nox Arcana with original lyrics https://www.youtube.[...] 2012-11-29
[29] 웹사이트 Winter's Majesty by Nox Arcana https://www.discogs.[...] 2012-12-12
[30] 웹사이트 Scarborough Fair by Dan Avidan & Super Guitar Bros https://m.youtube.co[...] 2020-04-10
[31] 웹사이트 Sold on Song - Song Library - Scarborough Fair http://www.bbc.co.uk[...] BBC 2017-11-23
[32] 웹사이트 Simon & Garfunkel - Scarborough Fair (Chords) https://tabs.ultimat[...]
[33] 웹사이트 Scarborough Fair http://www.bbc.co.uk[...] BBC 2003
[34] 웹사이트 Song and Lyrics, Scarborough Fair/Canticle http://www.paulsimon[...] Sony Music Entertainment 2016-07-10
[35] 서적 The Words and Music of Paul Sim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5-06-19
[36] 웹사이트 Paul Simon Setlist at Hammersmith Apollo, London https://www.setlist.[...]
[37] 웹사이트 "...She Once Was A True Love of Mine" - Some Notes About Bob Dylan's "Girl From The North Country" http://www.justanoth[...] 2017-11-23
[38] 웹사이트 RPM Top 100 - April 27, 1968 http://www.collectio[...]
[39] 서적 Joel Whitburn's Top Pop Singles, 14th Edition: 1955–2012 Record Research
[40] Youtube England Theme - Industrial (Civilization 6 OST) Scarborough Fair https://www.youtube.[...] 2022-08-04
[41] 웹사이트 Civilization VI to feature an orchestral soundtrack led by Knorr and Tin http://www.vgmonline[...] 2022-08-04
[42] 뉴스 Civ 6's music evolves alongside your cities, and it's one of its best features https://www.pcgamer.[...] 2022-08-04
[43] Youtube CIVILIZATION VI Official Game Soundtrack https://www.youtube.[...] 2022-08-04
[44] 서적 The English and Scottish popular ballads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and Co.
[45] 서적 Gammer Gurton's garland: or, the nursery Parnassus. https://hdl.handle.n[...] Printed for R. Triphook by Harding and Wright, London
[46] 뉴스 Leeds Mercury Leeds Mercury 1883-08-25
[47] 웹사이트 "...Tell Her To Make Me A Cambric Shirt": From The "Elfin Knight" to "Scarborough Fair" http://www.justanoth[...]
[48] 문서 The humours of love Madden Ballads 2
[49] 간행물 The Scots magazine and Edinburgh literary miscellany https://babel.hathit[...]
[50] 문서 Lord John https://archive.org/[...]
[51] 간행물 METRICAL RIDDLE https://archive.org/[...] Notes & Queries
[52] 간행물 AMERICAN VERSIONS OF THE BALLAD OF THE ELFIN KNIGHT https://archive.org/[...]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53] 웹사이트 Traditional Tunes https://imslp.org/wi[...]
[54] 웹사이트 the Balladeers, Ewan MacColl & Peggy Seeger - Matching Songs of the British Isles and America https://www.theballa[...]
[55] 문서 原題の「canticle」は「頌歌(しょうか)」を意味し(『最新明解英和辞典』 三省堂 1967年33版)、「詠唱」の和訳は、正確には原義と異なる。頌歌とは、徳や手柄を賛美する歌(三省堂国語辞典 1967年64版)、または聖句に節を付けたもの(『最新明解英和辞典』 三省堂 1967年33版)を言う。
[56] 웹사이트 Song and Lyrics, Scarborough Fair/Canticle http://www.paulsimon[...] Sony Music Entertainment 2016-07-10
[57] 웹사이트 Scarborough Fair http://www.bbc.co.uk[...] BBC 2012-04-16
[58] 서적 The Words and Music of Paul Sim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5-06-19
[59] 웹사이트 Simon & Garfunkel https://www.billboar[...] 2023-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