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전 운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전 운동은 전쟁과 폭력에 반대하며 평화를 추구하는 사회 운동이다. 평화주의, 반군국주의, 반제국주의 등의 사상적 배경을 가지며, 1900년대 이후 여러 차례의 세계 대전과 분쟁을 겪으며 발전해 왔다. 베트남 전쟁, 유고슬라비아 전쟁, 이라크 전쟁 등 특정 전쟁에 대한 반대 운동뿐만 아니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같이 현재 진행 중인 전쟁에 대한 반대 시위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임마누엘 칸트, 라이너스 폴링, 지그문트 프로이트, 버트런드 러셀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인들이 반전 운동에 참여했으며, 문학, 영화, 미술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을 통해 전쟁의 참상을 고발하고 평화를 기원하는 메시지를 전달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화 운동 -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는 평화정신 확산, 평화 행위 능력 신장, 생명중심 평화문화 창조를 목표로 여성의 관점에서 통일 방안을 모색하고 평화 교육, 사회 행동, 대외 협력, 홍보 활동을 통해 평화 운동을 전개하며, 아시아 군국주의 부활을 경계하고 방위비 삭감 및 여성복지비 증대를 위한 활동을 펼치는 단체이다. - 평화 운동 - 러셀-아인슈타인 선언
러셀-아인슈타인 선언은 1955년 핵무기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인류 생존을 위한 협력을 촉구하기 위해 발표되었으며, 11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포함한 과학자들이 서명했다. - 반전 운동 - 평화 기호
평화 기호는 고대부터 사용된 올리브 가지, 비둘기 외에도 1958년 핵무기 폐기 운동에서 처음 사용된 기호, 즉 핵무기 폐기를 뜻하는 수기 신호 'N'과 'D'의 조합 등을 포함하며, 전쟁 반대 및 평화 운동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된다. - 반전 운동 - 평화주의
평화주의는 군대와 전쟁의 폐지 및 폭력 사용의 거부를 핵심으로 하며, 사회 정의, 인권, 민주주의를 추구하는 평화로운 사회 건설을 목표로 한다. - 사회 및 사회과학에 관한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사회 및 사회과학에 관한 - 평화 기호
평화 기호는 고대부터 사용된 올리브 가지, 비둘기 외에도 1958년 핵무기 폐기 운동에서 처음 사용된 기호, 즉 핵무기 폐기를 뜻하는 수기 신호 'N'과 'D'의 조합 등을 포함하며, 전쟁 반대 및 평화 운동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된다.
반전 운동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사회 운동 |
목표 | 전쟁과 기타 무력 충돌에 반대 |
관련 주제 | 평화주의 비폭력 반군국주의 반제국주의 병역거부 군축 반핵 운동 평화 운동 |
역사 | |
초기 사례 |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파네스 희곡 리시스트라타 간디의 비폭력 저항 운동 제1차 세계 대전 반전 운동 제2차 세계 대전 반전 운동 베트남 전쟁 반전 운동 |
현대 반전 운동 | 이라크 전쟁 반전 운동 아프가니스탄 전쟁 반전 운동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반전 운동 |
주요 활동 | |
시위 | 거리 시위, 행진, 집회 |
교육 | 반전 교육 및 캠페인 |
정치 활동 | 로비 활동, 정치 참여 |
시민 불복종 | 병역 거부, 세금 거부 |
예술 및 문화 | 반전 메시지를 담은 예술 작품, 음악, 문학 |
주요 조직 | |
국제 조직 | 국제앰네스티 평화 봉사단 전쟁저항자 인터내셔널 |
국가별 조직 | 각 국가의 다양한 반전 단체들 |
주요 인물 | |
반전 운동가 | 버트런드 러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조앤 바에즈 무함마드 알리 제인 폰다 신디 시핸 |
비판 및 논쟁 | |
비판 | 애국심 부족 비판 국가 안보 무시 비판 비현실적인 이상주의 비판 |
논쟁 | 전쟁의 정당성 폭력의 사용 평화적인 해결책 가능성 |
2. 사상적 배경
반전 운동은 전쟁 수단 자체에 반대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전쟁의 원인이 되는 문제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의견을 제시하지 않고 평화적인 해결을 요구한다. 반전 운동의 방법으로는 병영에서의 탈영, 데모 활동(집회·행진), 전단 배포, 전쟁 당사국의 불매 운동, 군수 산업 종사자들의 파업, 당국 관계자의 내부 고발 등이 있다.
보편적 인권과 민주주의 이념에 따라 인권 단체가 반전 운동에 참여하거나, 기본적 인권의 관점에서 반전 운동을 하는 단체도 많다. 특히 유럽에서는 유럽 국가들과의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희박한 문제에 대한 운동도 활발하다.
반전 운동과 관련된 표현 방법에는 단식 투쟁, 양심적 병역 거부, 다이인, 반전가, 구호 등이 있다.
국가, 특히 민주주의 국가는 여론에 관심을 기울일 수밖에 없고, 전쟁을 싫어하는 분위기(厭戰, 염전)는 전쟁 수행에 방해가 된다. 따라서 전시 중인 국가에서는 적국이나 제3국이 해당 국가의 반전 운동을 이용한다고 간주하여( 레닌의 패전 혁명론 및 패전 혁명 전략 참조), 현재에도 어떤 형태로든 언론 통제가 시행되는 경우가 많다. 더 나아가 정부 당국이 반전 운동을 “심리전에서 적국에 대한 이적 행위(간접 침략)”로 간주하고 감시 대상으로 삼는 경우도 있다.
반전 운동 외에도 전쟁 회피나 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사상이나 수단이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평화를 원하면 전쟁에 대비하라
- 손자병법
- 세력 균형 - 위협 균형
- 억제력
- 안보#국제 안보 체제의 이론
- * 집단 방위
- * 집단 안보
- * 상호 확증 파괴
- * 핵억제
2. 1. 평화주의
종교적인 사랑이나 자비의 입장, 또는 인문주의의 입장에서 전쟁과 폭력에 반대하고 세계에 평화를 가져오려는 입장이다. 평화주의자들은 폭력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는 전쟁에 양심적 병역거부, 반전운동, 대체복무제 등의 방법으로 반대하며, 무저항, 불복종운동 실천 등의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한다.[66]평화란 보통 인간 집단 간에 전쟁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로, 전쟁의 반대 개념이다. 전쟁의 목적, 원인, 방법 등은 역사적으로 변화해 왔고, 전쟁을 보는 견해도 시대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평화에는 전쟁의 제한에서 폐지에 이르기까지, 갖가지 발전 단계를 구별할 수 있다. 평화주의는 단지 전쟁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소극적 상황을 의미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보다 적극적인 태도가 담겨 있다고 보아야 한다. 전쟁은 국가의 무장(武裝)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평화주의는 비전쟁, 비무장주의를 뜻한다고 보아도 무방하다.[66]
2. 2. 반군국주의
반군국주의는 군국주의에 의해 일어난 전쟁을 반대하거나 반전주의적인 사상에 입각해 진행하는 사회 운동을 말한다. 평화주의는 국가 간의 분쟁을 폭력이나 전쟁을 수단으로 해결하기보다는, 평화적인 해결 방법을 주장하는 사상이다.[67] 양심적 병역 거부 등 군사 행동 참가를 거부하는 행위도 포함될 수 있다. 반면 반군국주의는 모든 전쟁을 거부하지는 않으며, 군국주의가 가진 특성인 "전쟁에 대한 대비나 막강한 군사력을 목표로 하는 것"을 거부한다.[68] 반군국주의자들은 징병제를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악제라고 여겨 반대하고, 강제 징병하지 않고 자원자들로만 군대를 유지하는 병역 제도인 모병제를 개인의 자유를 존중하는 올바른 병역 제도라고 생각하여 찬성한다.2. 3. 반제국주의
반제국주의(反帝國主義)는 제국주의와 제국주의를 불러일으키는 모든 이념에 반대하는 정치사상이다. 이는 약소국을 대상으로 한 영토 확장 행위, 정복 전쟁을 반대하는 입장으로, 반전주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69] 반제국주의는 군사적 상황뿐만 아니라, 강대국에 의한 약소국 경제 착취를 반대하며 약소국의 국가 해방을 주장한다. 제국주의는 군사, 경제, 문화,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반제국주의자들은 이 중 한 가지 문제점만으로도 여러 주장을 펼칠 수 있다.반제국주의자들은 제국주의가 자본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즉,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 국내 자본을 외국으로 확장시키려는 자본가들의 탐욕 때문에 제국주의적 야욕이 시작된다고 믿는다. 실제로 식민지를 경영했던 스페인, 영국, 일본, 미국은 자본주의 확장을 꾀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70] 반제국주의는 이러한 자본주의 확장 과정에서 일어나는 제국주의가 약소국 주민을 착취하고 인간의 존엄성을 무시하는 것에 반대한다.[71]
대표적인 예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국제반전대회는 제국주의에 반대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대회는 사상 초유의 국제적 규모로 27개국에서 2196명의 대표가 참가했으며, 공산주의자 830명, 사회주의자 291명, 그 외 1041명이 참석했다. 선언문에서는 자본주의 체제를 전쟁의 원인으로 규정하고, 소련 방위를 위한 피착취자들의 단결과 각국 부르주아에 맞선 노동자들의 행동 전개를 촉구했다. 이러한 반제국주의적 성격의 국제반전대회는 반전 운동 발전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3. 역사
전쟁을 피하고 평화를 바라는 마음은 인간의 생명 존중 본능에서 비롯된 것이기에, 전쟁이 시작된 처음부터 존재했다고 할 수 있다. 반전 사상 역시 헤브라이 예언자, 고대 그리스 철학자, 근대 휴머니스트들의 사상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반전사상이 대중운동으로 뚜렷한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에 걸쳐 세계가 제국주의 단계로 들어서면서부터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사회주의 운동이 대중적 반전 운동의 중심이었지만,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제국주의에 억압받던 식민지 민족들의 반제국주의·민족해방운동과 자유주의 세력이 반전 운동을 이끌었다.
이러한 상황은 제국주의에 억압받던 식민지 민족들의 해방 투쟁을 발전시켰고, 1927년 국제반제동맹 결성을 통해 국제적인 규모의 제국주의 반대·민족 독립 지지 운동으로 이어졌다.
1937년 7월, 일본은 루거우차오 사건을 시작으로 중국 침략을 본격화했고, 유럽에서는 파시즘이 세력을 키우며 아돌프 히틀러가 침략을 위한 군비 확장에 나서면서 전 세계적으로 전쟁 위기가 고조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32년 8월, 암스테르담에서 H. 바르뷔스와 R. 롤랑의 제안으로 제국주의 전쟁에 반대하는 국제반전대회가 열렸다. 이 대회에는 각국에서 2,000여 명이 참가했으며, 이는 사상 처음으로 열린 국제적인 규모의 반전 대회였다. 참가자들은 정당, 사상, 신념의 차이를 넘어 반전주의와 평화 애호라는 공통된 목표 아래 모였다. 이 대회를 계기로 정치, 인도주의, 종교 등 다양한 분야의 반전·평화 운동이 반전주의와 반파시즘이라는 긴급한 과제에 맞서 빠르게 결속되었다.
이러한 반전 운동의 발전은 파시즘을 타도하고 제2차 세계 대전을 종식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이 운동의 경험과 성과는 전후 새로운 국제적 환경에서 평화 운동으로 이어져 발전했다.[65]
3. 1. 1900년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에 걸쳐 세계가 제국주의 단계로 들어서면서 반전사상이 대중운동으로서 명확한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사회주의운동이 대중적 반전운동의 주체였으며,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식민지 피압박민족의 반제국주의·민족해방운동과 자유주의 세력에 의하여 전개되어 갔다.[65]1927년 국제반제동맹(國際反帝同盟)이 결성되어 국제적 규모의 제국주의 반대·민족독립 지지 운동이 전개되었다.[65]
1932년 8월 암스테르담에서 H.바르뷔스, R.롤랑의 제창으로 제국주의 전쟁에 반대하는 국제반전대회(國際反戰大會)가 개최되어 각국에서 2,000여 명이 참가하였다. 이는 사상 초유의 국제적 규모의 반전대회로서, 정당·사상·신조의 차를 초월하여 반전주의자·평화애호자가 결집하였다. 이 대회를 계기로 정치적·인도주의적·종교적인 갖가지 반전·평화 운동이 반전주의·반파시즘이라는 당면 과제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급속히 결속되어 나갔다.[65]

1914년 영국 솔즈베리 평원 근처의 Tidworth Camp에서 공립학교 장교 훈련단 연례 캠프가 열렸다. Lord Kitchener 영국군 사령관은 생도들을 방문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전쟁의 긴급함 때문에 방문할 수 없었다. Horace Smith-Dorrien 장군이 대신 파견되어 "전쟁은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피해야 하고, 전쟁은 아무것도 해결하지 못할 것이며, 유럽 전체와 그 외의 다른 것들이 파멸로 전락할 것이다. 그리고 생명의 손실이 너무 커서 전체 인구가 감소할 것이다."라고 연설하여 생도들을 놀라게 했다.[72]
제1차 세계 대전의 기계화와 참혹함으로 인해 전쟁을 반대하는 의견이 많아졌다. 1917년 스파이법(Espionage Act of 1917)과 1918년 반역법(Sedition Act of 1918)은 미국 당국이 반전 견해를 가진 사람들을 탄압하고 신문을 폐간하는 데 사용되었다. 1918년 6월 16일, Eugene V. Debs는 반전 연설로 체포되어 10년형을 선고받았으나, Warren G. Harding 대통령에 의해 1921년 감형되었다.[65]
귀족과 기사, 용병, 노예 병사들이 전쟁을 수행했던 근세 이전의 서유럽에서는 현대와 같은 강한 반전 의식이 없었고, 지배 계급은 전쟁을 마치 스포츠처럼 여기기도 했다. 그러나 19세기 시민 병력을 동원하는 국가의 시대가 되면서 전쟁은 승패와 관계없이 국민을 쇠약하게 만드는 악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총력전 양상을 띠면서 유럽 각국에 전례 없는 피해를 안겨준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유럽에서는 깊은 전쟁 혐오 분위기 속에서 평화주의가 대두했다. 영국에서는 수상들이 독일 제국에 대한 유화 정책을 실시하기도 했다. 유럽에서는 세계 대전 종식을 "전쟁의 끝(end of war)"이라고 부르며, 평화주의에 기반하여 더 이상 전쟁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 또는 희망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는 20년 후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깨졌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주요국을 중심으로 한 체제를 통해 전쟁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구축한다는 이상 아래 국제연합이 설립되었고, 그 이념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미국 내에서는 미국 시민들의 반대가 발단이 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로 베트남 반전 운동, 아프가니스탄 전쟁 및 이라크 전쟁 등이 있다. 2003년 3월 20일 미국이 이라크 전쟁을 개전하기 전, 세계 각국에서는 이라크에 대한 무력 사용에 대한 반대 운동이 전개되었다.

2000년대 후반부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하에서 러시아의 군사력이 부활하면서, 러시아 연방군의 체첸 분쟁[61], 조지아 침공[62],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반대 운동도 일어나고 있다.
3. 1. 1.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의 기계화와 참혹함으로 인해 반전 여론이 확산되었다. 1917년 스파이법(Espionage Act of 1917)과 1918년 반역법(Sedition Act of 1918)은 미국 당국이 반전 견해를 가진 사람들을 탄압하고 신문을 폐간하는 데 사용되었다.[65] 유진 V. 댑스(Eugene V. Debs)는 1918년 반전 연설로 체포되어 10년형을 선고받았으나, 워런 G. 하딩(Warren G. Harding) 대통령에 의해 1921년 감형되었다. 이러한 분위기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그림으로 1916년 보먼 로빈슨의 이 있다.3. 1. 2. 세계 대전 사이의 반전 운동
1930년대 서구에서는 반전 운동이 구체화되었으며,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1]- 전쟁으로 이익을 얻는 것으로 여겨지는 기업 이익에 대한 반대
- 젊은이들의 희생을 대가로 더 나이 든 사람들의 안락을 얻는 현상황에 대한 반대
- 징집된 사람들은 가난한 가정 출신이고 특권층의 징집 및 군 복무 회피자들을 대신하여 전쟁을 치르게 된다는 개념
- 분쟁에서 죽을 사람들이 전쟁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데 의사결정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반대
1933년, 옥스퍼드 연합회(Oxford Union)는 옥스퍼드 서약(The King and Country debate)을 통해 "어떤 상황에서도 왕과 조국을 위해 싸우지 않을 것이다"라고 결의했다.[1]
스메들리 버틀러 장군을 포함한 많은 참전 용사들은 민간 생활로 돌아온 후 전쟁과 전쟁 이윤 추구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다.[1]
이러한 경향은 서부 전선 이상 없다,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조니는 총을 얻었다와 같은 소설에 묘사되어 있다.[1]
3. 1.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 대한 반대는 전쟁 초기, 특히 유화 정책과 고립주의가 외교적 선택으로 여겨졌던 시기에 가장 강력했다. 스페인 내전 참전 용사를 포함한 공산주의 조직[3]은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 체결 이후 전쟁에 반대했지만, 독일이 바르바로사 작전으로 소련을 침공하자 전쟁 지지로 돌아섰다.
전쟁은 한때 반전 운동을 사회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했지만, 대부분의 열렬한 평화주의자들은 전쟁과 그 결과에 대해 계속 반대했다. 냉전이 전후 재편과 함께 시작되면서 반대 여론은 다시 확산되었다. 현대전의 참혹함과 기계화된 사회의 본질은 캐치-22, 슬래터하우스-파이브, 철의 북과 같은 작품에서 반전 관점으로 표현되었다. 냉전이 끔찍한 대가를 치르며 젊은 세대에게 끝없는 갈등으로 이어질 것처럼 보이면서 이러한 감정은 더욱 강해졌다.
3. 1. 4.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에 대한 조직적인 반대는 1964년 미국 여러 대학 캠퍼스에서 소규모로 느리게 시작되었으며, 전쟁이 더욱 치명적으로 변함에 따라 빠르게 확산되었다.[75] 1967년 반전 운동가들의 연합체인 베트남 전쟁 종식을 위한 전국 동원 위원회가 결성되어 1960년대 후반부터 1972년까지 여러 차례의 대규모 반전 시위를 조직했다. 반문화 운동의 노래, 단체, 연극 및 기타 문학 작품들은 비순응, 평화 및 반체제주의 정신을 고무했다. 이러한 반전 정서는 전례 없는 학생 운동 시대에, 그리고 미국 민권 운동 직후에 발전했으며, 인구 통계적으로 중요한 베이비붐 세대에 의해 그 수가 강화되었다. 이 운동은 빠르게 모든 계층의 다양한 미국인들을 포함하게 되었다.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은 전쟁 자체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으로 여겨진다.[75] 미래의 국무장관이자 상원의원인 존 케리를 비롯한 많은 베트남 참전 용사들과 부상당한 참전 용사 론 코빅 등이 미국으로 돌아와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며 목소리를 냈다.응오 바 탄 여사는 베트남 평화 운동가로, 그녀의 베트남 여성 생존권 운동을 여성평화자유국제연맹(WILPF)과 여성 평화를 위한 파업의 국제 운동가들과 연대했다. 그녀의 투옥과 전쟁에 대한 출판물은 전쟁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국제적인 반대를 촉진했다.[4][5] 그녀의 체포와 재판 부재는 벨라 아브주그와 WILPF 회원들이 미국 의회에 편지를 쓰고 리처드 닉슨 대통령에게 남베트남 관리들에게 석방을 요청하도록 촉구하게 만들었다.[4][5] 이는 언론에 널리 보도되었다.[6][7][8] 전쟁과 징집에 반대하는 운동은 호주에서도 일어났다.[9]
가장 규모가 컸던 시위는 1969년 10월 15일을 '베트남 반전의 날'로 정하여, 워싱턴을 중심으로 미국 각지에서 일어난 대규모 베트남반전통일행동이다. 이 반전운동은 그 해 11월, 12월에도 계속되었었으며, 1971년 6월에도 일어났다. 또 베트남전선으로부터의 탈주병을 숨겨주거나 국경을 초월하여 보호하려는 움직임도 있었다. 이와 같은 반전운동을 지탱해 준 논리와 신념으로는 3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법의 구속에서 벗어난 대외정책을 수행하는 것보다도 국제법규를 준수한 정책을 펴는 쪽이 국가이익이 된다는 사고방식이고, 둘째는 미국의 정책이 잘못되어 있고, 국제법에 위배된다면 그것을 지적하는 것이 시민으로서의 의무이며, 비록 정부일지라도 불법행동을 취할 때는 그것에 반대하는 것이 애국하는 일이라는 신념이다. 셋째는, 시급히 전쟁 종결의 방도를 찾아내야 하는데, 정부 스스로의 정책수정을 기대할 수 없을 때는 국민의 여론을 환기시켜야 한다는 판단이다. 베트남반전운동은 미국만이 아니고, 세계 여러 나라에서 전개되었으며, 국제적인 연대에 의하여 강화되었다.[75]
3. 1. 5. 유고슬라비아 전쟁

슬로보단 밀로셰비치(Slobodan Milošević) 집권 이후 민족주의 부상과 정치적 긴장 고조, 그리고 유고슬라비아 전쟁 발발과 함께 세르비아에는 수많은 반전 운동이 생겨났다.[10][11][12][13] 베오그라드 반전 시위는 주로 브코바르 전투, 두브로브니크 포위 공격, 사라예보 포위 공격에 대한 반대 때문에 열렸으며,[10][12] 시위대는 선전포고에 대한 국민투표와 징병 중단을 요구했다.[14][15][16]
5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시위에 참여했고, 사라예보(Sarajevo) 주민들과 연대하여 "검은 리본 행진(The Black Ribbon March)"이라는 이름으로 열린 가장 대규모 시위에는 15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참여했다.[17][11]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에서 탈영한 사람은 5만 명에서 20만 명 사이로 추산되며, 전쟁에 참여하기를 거부하고 세르비아를 떠난 사람은 10만 명에서 15만 명 사이로 추산된다.[14][12] 랭스 샹파뉴-아르덴 대학교(University of Reims Champagne-Ardenne)의 수석 강사이자 전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레노 드 라 브로스(Renaud De la Brosse) 교수는, 대안 뉴스에 접근할 수 없었던 점을 고려할 때 세르비아인들 사이에서 밀로셰비치의 선전 선동에 대한 저항이 얼마나 컸는지 놀랍다고 한다.[18]
세르비아의 반전 사상과 운동을 주도했던 가장 유명한 단체와 비정부기구(NGO)는 '반전 행동 센터(Center for Antiwar Action)', 검은 옷을 입은 여성들(Women in Black), 인도주의 법률 센터(Humanitarian Law Center), 베오그라드 서클(Belgrade Circle)이었다.[12][10] 림투티투키(Rimtutituki)는 에카테리나 벨리카(Ekatarina Velika), 전기 오르가즘(Električni Orgazam), 파르티브레이커스(Partibrejkers) 멤버들이 참여한 록 수퍼그룹으로, 베오그라드에서 동원령 반대 서명 운동 중 결성되었다.[19]
코소보 전쟁 당시 NATO 유고슬라비아 폭격은 개입의 정당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20][21] 뉴욕시에서는 약 2,000명의 세르비아계 미국인과 반전 활동가들이 NATO 공습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고, 시드니에서는 7,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시위를 벌였다.[22] 가장 대규모 시위는 그리스에서 열렸으며, 이탈리아 도시들, 런던, 모스크바, 토론토, 베를린, 슈투트가르트, 잘츠부르크, 스코페에서도 시위가 열렸다.[23][24][22]
3. 2. 2000년대 ~ 현재
2000년대 이후 반전 운동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특히, 9·11 테러 이후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주도한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이라크 전쟁은 전 세계적인 반전 운동을 촉발시켰다.이라크 전쟁 직전인 2003년 2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대 규모의 국제 반전 시위가 벌어졌다. 영국, 미국, 이탈리아, 스페인, 오스트레일리아, 이집트 등 전 세계 60여 개국 600여 개 도시에서 약 2,000만 명이 거리로 나왔고,[84] 서울에서도 약 5,000명이 시위에 참여했다.[84] 이러한 대규모 반전 운동은 1999년 시애틀 항쟁 이후 대안 세계화(반신자유주의) 운동과 반전 운동이 연결되면서 가능해졌다.[84]
2000년대 이후 주요 반전 운동으로는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이란과의 전쟁 반대 운동, 돈바스 전쟁, 2021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이 있다.
3. 2. 1. 아프가니스탄 전쟁
9·11 테러에 대한 대응으로 시작된 아프가니스탄 전쟁은 초기에는 미국 대중들의 지지를 받아 반대 여론이 거의 없었다. 대부분의 반대 목소리는 평화주의 단체들과 좌파 정치적 의제를 추진하는 단체들로부터 나왔다.[83]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대한 반대가 확산되었는데, 이는 전쟁 장기화에 대한 피로감과 이라크 전쟁과의 연관성 때문이었다.[83]
3. 2. 2. 이라크 전쟁
2003년 미국과 그 동맹국들의 이라크 침공은 새로운 반전 운동의 지지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침공 직전,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전 세계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였으며, 이라크 점령 기간 동안 시위와 다른 형태의 반전 운동이 계속되었다.[26] 미국 내에서 이라크 점령 지속에 대한 주된 반대는 풀뿌리 운동에서 비롯되었다. 전쟁 반대, 전쟁 수행 방식, 그리고 전쟁 후유증으로 인해 미국의 여론은 분열되었고, 2004년 봄 처음으로 대다수 여론이 전쟁에 반대하는 쪽으로 돌아섰으며, 그 이후로도 그 기조는 유지되고 있다.[26]
미국의 컨트리 음악 밴드 딕시 치크스가 전쟁에 반대하자 많은 라디오 방송국이 이들의 음반을 틀지 않았지만, 2003년 여름 이라크 전쟁에 대한 미국 언론 보도를 비판하는 노래를 발표하며 반전 입장을 지지했던 컨트리 음악의 전설 멀 해거드도 반전 운동에 힘을 보탰다. 반전 단체들은 2008년 9월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에서 열린 민주당 전당대회와 2008년 공화당 전당대회 시위에서 모두 시위를 벌였다.
당시 전 세계의 이라크 전쟁에 대한 반전 여론은 엄청났다. 2003년 2월 15일 영국, 미국, 이탈리아, 스페인, 오스트레일리아, 이집트 등 전 세계 6대륙 60여 나라 600여 도시에서 약 2000만 명이 거리로 나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최대 규모의 국제 반전 시위를 벌였다. 남극 국제과학기지에서 일하는 과학자도 영하 30도 추위를 무릅쓰고 실외 집회를 했다. 서울에서도 약 5000명이 거리로 나왔다. 그 전인 2002년 영국 런던에서 40만 명이,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100만 명이 반전 시위를 벌였다. 이런 대규모 운동은 1999년 시애틀 항쟁 이후 만개한 대안 세계화(국제 반신자유주의) 운동이 반전 운동과 연결됐기에 가능했다.[84]
이런 운동들 덕에, 미국은 국제적으로 상당히 고립된 채 전쟁을 시작해야 했다.
3. 2. 3. 이란과의 전쟁 반대 운동
2005년 초부터 시모어 허쉬, 스콧 리터, 조셉 시린치오네, 호르헤 허쉬와 같은 언론인, 활동가, 학자들은 이란의 핵무기 프로그램 보유 가능성에 대한 미국의 우려가 향후 미국 정부의 이란에 대한 군사적 조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을 제기하기 시작했다.[85] 이러한 보도와 이란 및 일부 서방 정부 간의 긴장이 동시에 고조되면서, 미국과 영국에서는 '이란 제재 및 군사 개입 반대 캠페인'을 비롯한 풀뿌리 조직이 결성되었다.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전 이라크 유엔 무기 사찰단장 스콧 리터, 시린 에바디, 마이리드 코리건-마기어, 베티 윌리엄스 등 노벨 평화상 수상자, 해럴드 핀터와 조디 윌리엄스, 핵군축캠페인,[85] 코드 핑크, 118개국의 비동맹 운동, 아랍 연맹 등 여러 개인, 풀뿌리 조직 및 국제 정부 조직이 공개적으로 이란 공격에 대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3. 2. 4. 돈바스 전쟁

모스크바에서 돈바스 전쟁, 즉 우크라이나 동부에서의 군사적 개입에 반대하는 반전/푸틴 시위가 열렸다.[86]
3. 2. 5. 2021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2021년 5월, 2021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이 발발하자, 전 세계적으로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시위가 일어났다.[87] 미국에서는 최소 7개의 주요 도시에서 수천 명이 모여 팔레스타인과의 연대를 표명했다.[87] 2021년 분쟁은 5월 6일부터 5월 21일 휴전이 체결될 때까지 계속되었다.[88] 다음 날, 영국 하이드 파크에는 약 18만 명의 시위대가 모여 영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친팔레스타인 시위를 벌였다. 반전 운동가들과 노동조합원들은 영국 정부에 이스라엘에 대한 투자 중단과 제재를 요구했다.[89] 시위대는 '팔레스타인 자유', '전쟁 중단' 등의 구호를 외치며 행진했다.[89] 휴전 이후에도 시위는 계속되었으며, 6월 4일에는 미국 오클랜드에서 시위대가 이스라엘 화물선의 오클랜드 항구 입항을 막으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90]3. 2. 6.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2년부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반전 운동이 다시 시작되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후인 2022년 2월 24일부터는 시위가 더욱 격화되었다.[91]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러시아 군사 작전에 대한 '가짜 뉴스'를 퍼뜨리면 최대 15년의 징역형을 선고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92] 결국, 2022년 12월 현재 러시아 야당 정치인과 언론인을 포함한 4,000명 이상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러시아의 '가짜 뉴스' 법에 따라 기소되었다.[93]

4. 한국의 반전 운동
해방 이후 좌우익 대립과 이념 갈등 속에서도 민족의 자주독립과 평화를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6.25 전쟁 발발 이후, 전쟁의 참혹함을 경험하면서 반전 평화 운동은 더욱 절실한 과제가 되었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한국의 권위주의 정권 하에서 민주화 운동과 함께 반전 평화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특히, 베트남 전쟁 파병 반대 운동은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67년 미국의 베트남 반전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61]
민주화 이후 한국에서는 다양한 시민사회단체들이 반전 평화 운동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핵 문제, 한반도 평화 정착, 미군 기지 문제, 해외 파병 반대 등이 주요 의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4. 1. 일제 강점기
일청전쟁 직후, 일본에서는 최초의 근대 전쟁 이후 반전 여론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러일전쟁 당시 "비전론(非戦論)"은 조직적인 반전 운동의 시초였다. 그러나 당시 일본 내에서는 주전론이 압도적이었고, 비전론을 주장했던 『만조보(萬朝報)』도 시류에 편승하여 주전론으로 입장을 바꾸었다. 그럼에도 이 시기에 반전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하나의 세력으로 등장했다.쇼와 시대에 들어서면서 일본 사회는 전체주의화가 심화되었고, 야마모토 선지(山本宣治) 암살, 고바야시 다키지(小林多喜二) 학살 등 백색 테러가 만연하여 조직적인 반전 운동은 거의 불가능했다. 1931년 만주사변 발발과 함께 노농당과 사회민중당 좌파 계열 인사들은 전국노농대중당에 모여 사카이 토시히코(堺利彦)를 위원장으로 하는 대출병반대투쟁위원회를 설립하여 전쟁에 저항했다.
1937년 일중전쟁이 격화되면서 이들은 당국의 압력으로 전향, 해외 도피, 정치범으로 감옥 수감, 침묵 강요 등의 탄압을 받았다. 사회대중당은 1940년 코노에 후미마로(近衛文麿)의 신체제운동에 합류하며 해산했다.[63] 사이토 타카오(斎藤隆夫) 등 보수 계열 일부만이 공개적으로 전쟁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었고, 카타야마 테츠(片山哲) 등도 소극적으로 의사를 표명할 수밖에 없었다.
1922년 결성된 일본공산당(日本共産党)은 1932년 코민테른의 지시로 작성된 「32년 테제」에서 만주사변을 "제국 국가 간의 전쟁"으로 규정하고 반대했지만, 불법이었던 당은 이미 많은 간부가 체포되었고, 사회파시즘론에 입각했기 때문에 일본 국내 반전 운동에 대한 영향력은 미미했다. 중국공산당 근거지였던 연안(延安)에서는 노사카 산조(野坂参三)가 일본인민해방연맹을 조직하여 일본군 포로들에게 반전 운동과 공산주의 사상 교육을 실시했다.
1941년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의 패색이 짙어지자, 요시다 시게루(吉田茂)를 중심으로 강화를 추진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졌고, 1945년 코노에 후미마로(近衛文麿)는 쇼와 천황에게 공산주의 혁명 방지를 이유로 전쟁 종결을 요구하는 코노에 상주문을 제출했다. 대일본제국 육군과 헌병대는 이를 "요한센 그룹"이라 칭하며 반전 그룹으로 간주하고 탄압했지만, 결국 일본은 포츠담 선언을 수락하고 항복했다.
4. 2. 해방 이후 ~ 6.25 전쟁
해방 이후 좌우익 대립과 이념 갈등 속에서도 민족의 자주독립과 평화를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6.25 전쟁 발발 이후, 전쟁의 참혹함을 경험하면서 반전 평화 운동은 더욱 절실한 과제가 되었다.4. 3. 1960년대 ~ 1980년대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한국의 권위주의 정권 하에서 민주화 운동과 함께 반전 평화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특히, 베트남 전쟁 파병 반대 운동은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67년 미국의 베트남 반전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61]4. 4. 1990년대 이후 ~ 현재
민주화 이후 한국에서는 다양한 시민사회단체들이 반전 평화 운동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핵 문제, 한반도 평화 정착, 미군 기지 문제, 해외 파병 반대 등이 주요 의제로 다루어지고 있다.5. 사회과학자들의 반전 운동 연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인들은 전쟁의 불가피성과 평화의 필요성에 대한 철학적, 지적 논의를 진행해왔다. 특히, 과학자, 사회과학자들은 자신의 전문 분야를 넘어 반전 운동에 참여하거나 주도하며, 전쟁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평화를 위한 노력을 촉구해왔다.
5. 1. 전쟁을 피할 수 있는 철학적 가능성
임마누엘 칸트는 1795년 ''영구평화론''(''Zumewigen Frieden'')에서 보편적인 민주주의와 국제 협력을 통해 영구적인 평화를 보장할 수 있다는 생각을 제시했다.[94] 칸트에 따르면 전쟁은 악이며, 영구 평화는 인류가 도달해야 할 의무였다. 전쟁은 인격의 품위를 파괴하고 자유를 손상시키기 때문이다. 칸트는 영구 평화가 유한한 인간에게 영원한 과제임을 인정하면서도, 이 저서에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조건을 제안했다.[45][46][47][48]
5. 2. 반전 과학자 및 지식인

라이너스 폴링은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저명한 화학자였으나, 1940년대부터 전쟁과 핵무기 반대 운동에 적극 참여했다. 맨하탄 프로젝트의 화학 부문 책임자 제의를 거절한 그는, 원자폭탄 투하 이후 반핵 운동에 앞장섰다. 이로 인해 반국가적 인물로 분류되어 미연방수사국(FBI)의 감시를 받기도 했다. 1946년부터 아인슈타인 등이 주도하는 원자과학자 비상위원회의 회원으로 활동했고, 1955년에는 51명의 노벨상 수상자와 함께 분쟁 해결을 위한 전쟁 종식을 요구했다. 1957년부터는 대기 중 핵실험 금지 서명 운동을 시작하여 49개국 11,000여 명의 과학자 서명을 받아 유엔 사무총장에게 전달했다. 저서 "더 이상의 전쟁은 없어야 한다(No More War)"를 통해 과학의 평화적 이용을 역설했다.[95] 이러한 공로로 196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오스트리아의 심리학자이자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인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폭력, 평화, 인간성에 관한 서신을 주고받았다. 아인슈타인은 국제연맹의 의뢰로 프로이트에게 '인간을 전쟁의 멍에로부터 해방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편지를 보냈고, 프로이트는 심리학적 관점에서 전쟁 문제 해결 방법을 제시했다.[96][97]
버트런드 러셀은 분석철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이자 저명한 반전 운동가였다. 반제국주의를 옹호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평화주의 활동으로 투옥되기도 했다.[98] 이후 아돌프 히틀러에 대항하고, 스탈린주의 전체주의를 비판했으며, 베트남 전쟁에 미국의 개입을 반대하는 등 핵 군축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1950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99]
알버트 아인슈타인, 버트런드 러셀 등 8명의 과학자와 지식인들은 1955년 7월 9일 러셀-아인슈타인 선언문에 서명했다.[100] 이 선언은 핵무기 없는 세계와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호소했으며, 퍼그워시 회의 조직의 계기가 되었다.[101]
1955년 7월 15일, 52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서명한 마이나우 선언은 핵무기 반대와 '핵 억지력' 개념의 허상을 지적했다.[102]
1974/1976년 두브로브니크-필라델피아 성명은 라이너스 폴링 등 6명의 학자가 서명했으며, 군비 축소에 대한 인본주의적 접근을 다루었다.[104]
6. 반전 문학 및 예술
수많은 작가, 화가 등 예술가들은 전쟁의 참혹함을 직접 및 간접 경험하며 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들을 창조했다. 이러한 작품들은 전쟁이 인류 문명과 인간성을 파괴하는 부정적인 면을 필연적으로 발생시킨다는 점을 보여주며,[105] 전쟁의 참상을 고발하고 참다운 인간성을 부각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로버트 사우디의 1796년 작품 블렌하임 이후는 초기 근대 반전 문학의 한 예이다. 제1차 세계 대전은 윌프리드 오언, 시그프리드 사순과 같은 전쟁 경험의 영향을 받은 시인과 작가들을 배출했다.
파블로 피카소의 1937년 그림 ''게르니카''는 스페인 내전 중 게르니카 폭격으로 인한 생명의 손실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추상적으로 표현했다. 커트 보네거트는 1969년 소설 ''도살장 다섯''에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드레스덴 폭격을 묘사하며 공상과학적 주제를 사용했다.
20세기 후반에는 "파멸의 전야", "그리고 군악대는 왈츠를 연주했다", "한 명의 틴 솔저"와 같은 반전 음악과 ''M*A*S*H'', ''다리''와 같은 영화를 포함한 다른 예술 형식에서도 강력한 반전 성향이 나타났다. 이라크 전쟁 또한 마이클 무어의 ''화씨 9/11''과 닐 영의 ''전쟁과 더불어 살기''와 같은 반전 작품을 만들어냈다.
6. 1. 문학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서부 전선 이상 없다》,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무기여 잘 있거라》 등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참상을 그린 대표적인 반전 문학 작품이다.[106]제1차 세계 대전에서 소재를 구한 대표작으로는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서부 전선 이상 없다》가 있다. 이 작품은 여러 매체로 각색되어 가장 자주 인용되는 반전 작품이 되었다. 이 외에도 한스 카로사의 《루마니아 일기》(독일), 바르뷔스의 《포화(砲火)》, 도르줄레스의 《나무 십자가》, 쥘 로맹의 《선의의 사람들》(프랑스),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무기여 잘 있거라》, 도스 패소스의 《3인의 병사》(미국), 하셰크의 《제1차 세계대전 중 선량한 병사 슈베이크의 모험》(체코슬로바키아) 등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을 통해서도 N.메일러의 《나자와 사자》, J.허시의 《히로시마》, I.쇼의 《젊은 사자들》, J.존스의 《지상에서 영원으로》(미국), 시몬 드 보부아르의 《타인(他人)의 피》, 베르코르의 《밤의 무기》(프랑스), 플리비어의 《스탈린그라드》, H.H.키르스트의 《08/15》(독일), 코르바도프의 《항복 없는 백성》, 파제예프의 《젊은 친위대》(소련) 등 수많은 작품이 등장하였다.
6. 2. 영화
전쟁에 반대하는 메시지를 담은 영화를 반전 영화라고 한다. 반전 영화는 전쟁으로 인한 참상, 모순, 비극을 다루는 경우가 많다. 플래툰, 지옥의 묵시록, 태극기 휘날리며 등은 전쟁의 비극성과 반전 메시지를 담은 영화들이다.[105]제목 | 개봉 연도 |
---|---|
갈리폴리 | 1981 |
그날 이후 | 1983 |
노 맨스 랜드 | 2001 |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 1964 |
디어 헌터 | 1978 |
맨발의 겐 | 1976 |
모노노케 히메 | 1997 |
렌디션 (영화) | 2007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 1984 |
바시르와 왈츠를 | 2008 |
볼링 포 콜롬바인 | 2002 |
블러드 다이아몬드 | 2006 |
쉰들러 리스트 | 1994 |
야곱의 사다리 | 1990 |
웰컴 투 동막골 | 2005 |
지옥의 묵시록 | 1979 |
지옥의 영웅들 | 1980 |
태극기 휘날리며 | 2004 |
플래툰 | 1987 |
화씨 9/11 | 2004 |
6. 3. 미술
고야의 '1808년 5월 3일'은 1808년 마드리드를 점령한 나폴레옹 군대에 저항한 스페인 시민들의 봉기와 그 다음 날 이어진 프랑스 군의 처형을 묘사한 작품이다. 고야는 이 그림을 통해 인간이 인간에게 가하는 폭력을 고발하고, 자유에 대한 열망과 이를 억압하는 비정한 힘을 대비시켰다. 그림 속 처형 장면은 칠흑 같은 어둠과 대비되는 희생자들의 공포에 질린 표정을 통해 전쟁의 참혹함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반면, 프랑스 군인들은 기계적이고 비인간적인 모습으로 묘사되어 피해자들과 대조를 이룬다.[107]
파블로 피카소의 ''게르니카''(1937)는 스페인 내전 중 바스크 지방의 작은 마을 게르니카에서 일어난 민간인 학살 사건을 추상주의적 기법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나치의 폭격으로 인한 참상을 직접적으로 묘사하기보다는, 정형화되지 않은 인물과 대상, 흑백 톤의 색채를 사용하여 전쟁의 광포성과 비극성을 상징적으로 드러냈다. 불타는 집, 아이의 시체를 안고 절규하는 여인, 부러진 칼을 쥔 병사 등 전쟁의 참혹한 모습들이 뒤엉켜 있는 장면은 보는 이에게 강렬한 충격을 준다.[108][109]

현대 미술에서도 반전의 메시지는 이어지고 있다. 전병삼 작가는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촉구하는 대형 설치미술 프로젝트 '레드림(REDREAM)'을 공개했다. 이 작품은 러시아 침공으로 희생된 우크라이나 민간인 사망자 수와 같은 5,401개의 붉은 정사각형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붉은 양귀비 꽃 사진과 '나의 마음이 항상 당신과 함께 한다(MY HEART IS ALWAYS WITH YOU)'라는 문구가 인쇄된 종이를 접어 만든 이 작품은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평화를 염원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110]

참조
[1]
서적
The Book of Peace
https://archive.org/[...]
American Peace Society
1845
[2]
회고록
Merely For the Record: The Memoirs of Donald Christopher Smith 1894–1980
[3]
간행물
Volunteer for Liberty
http://www.alba-valb[...]
Abraham Lincoln Brigade
1941-02-01
[4]
서적
Women's Antiwar Diplomacy during the Vietnam War Er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7
[5]
논문
The Vietnam Women's Movement for the Right to Live: A Non-Communist Opposition Movement to the American War in Vietnam
https://www.tandfonl[...]
Taylor & Francis
2023-10-21
[6]
뉴스
Woman Activist Wages Ceaseless Political War with Thieu
https://www.newspape[...]
2023-10-22
[7]
뉴스
Frail from Hunger Strike, Saigon Critic Leaves Jail
https://www.newspape[...]
2023-10-22
[8]
뉴스
Sick Woman Charged
https://trove.nla.go[...]
2023-10-24
[9]
웹사이트
Draftmen Go Free: A History of the Anti-Conscription Movement in Australia
https://commonslibra[...]
2022-10-10
[10]
서적
Burn This House: The Making and Unmaking of Yugoslavia
https://archive.org/[...]
Duke University Press
[11]
논문
'It was like fighting a war with our own people': anti-war activism in Serbia during the 1990s
[12]
웹사이트
Antiratne i mirovne ideje u istoriji Srbije i antiratni pokreti do 2000. godine
http://www.republika[...]
[13]
웹사이트
Sećanje na antiratni pokret u Jugoslaviji početkom 1990-ih
https://sr.globalvoi[...]
[14]
웹사이트
Spomenik neznanom dezerteru
https://www.vreme.co[...]
[15]
서적
[16]
서적
Protest, Power, and Change: An Encyclopedia of Nonviolent Action from ACT-UP to Women's Suffra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7
[17]
서적
[18]
웹사이트
Comment: Milosevic's Propaganda War
https://iwpr.net/glo[...]
[19]
웹사이트
Manje pucaj, više tucaj
https://www.6yka.com[...]
[20]
서적
International Organisations and Peace Enforcement: The Politics of International Legitim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뉴스
Rights Group Says NATO Bombing in Yugoslavia Violated Law
https://query.nytime[...]
2000-06-08
[22]
웹사이트
Anti-NATO protests in Australia, Austria, Russia
http://edition.cnn.c[...]
CNN
[23]
웹사이트
World: Europe Greeks protest at Nato strikes
http://news.bbc.co.u[...]
BBC News
[24]
웹사이트
Greece: Antiwar protests intensify
https://www.wsws.org[...]
1999-05-03
[25]
웹사이트
CNN Poll: Support for Afghanistan war at all time low
https://web.archive.[...]
[26]
웹사이트
Iraq
http://www.pollingre[...]
[27]
잡지
Annals of National Security: The Coming Wars
http://www.newyorker[...]
2005-01-24
[28]
잡지
The Iran plans
http://www.newyorker[...]
2006-04-08
[29]
웹사이트
Sleepwalking To Disaster In Iran
http://www.zmag.org/[...]
zmag.org
2005-04-01
[30]
잡지
Fool Me Twice
https://foreignpolic[...]
2006-03-27
[31]
웹사이트
The Real Reason for Nuking Iran: Why a nuclear attack is on the neocon agenda
http://www.antiwar.c[...]
antiwar.com
2005-11-01
[32]
뉴스
IAEA urges Iran compromise to avert conflict
https://www.reuters.[...]
Reuters
2007-06-14
[33]
웹사이트
For a Middle East free of all Weapons of Mass Destruction
http://www.campaigni[...]
Campaign Against Sanctions and Military Intervention in Iran
2007-08-06
[34]
뉴스
Kouchner, French foreign minister, draws antiwar protesters in Washington
https://www.nytimes.[...]
2007-09-21
[35]
뉴스
Thousands march in Moscow
https://www.dw.com/e[...]
2014-09-21
[36]
웹사이트
People across the US join pro-Palestinian protests
https://www.cnn.com/[...]
CNN
2021-05-18
[37]
웹사이트
Israel-Gaza: How the ceasefire fared on its first day
https://www.bbc.com/[...]
BBC News
2021-06-13
[38]
뉴스
Thousands gather in London for Palestine solidarity march
https://www.theguard[...]
2021-05-22
[39]
뉴스
Pro-Palestinian protesters at Port of Oakland attempt to block unloading of Israeli cargo ship
https://www.sfchroni[...]
2021-06-04
[40]
웹사이트
Over 1700 Russians arrested during anti-war protests, human rights organization says
https://www.axios.co[...]
2022-02-24
[41]
뉴스
Even Russia's Kremlin-backed media is going off message and beginning to question Putin's war on Ukraine
https://fortune.com/[...]
2022-03-11
[42]
뉴스
In Russia, critiquing the Ukraine war could land you in prison
https://www.csmonito[...]
2022-12-05
[43]
웹사이트
Mapping protests in solidarity with Palestine against Israel's assault
https://www.aljazeer[...]
2023-10-16
[44]
웹사이트
Israel-Hamas war: Protesters take to streets around the world to show support for Palestinians
https://news.sky.com[...]
[45]
웹사이트
Immanuel Kant, "Perpetual Peace"
http://www.mtholyoke[...]
Mtholyoke.edu
[46]
웹사이트
Perpetual Peace
http://www.earlymode[...]
2010-2015
[47]
웹사이트
Immanuel Kant: Zum ewigen Frieden, 12.02.2004 (Friedensratschlag)
http://www.uni-kasse[...]
Uni-kassel.de
[48]
서적
Introduction to Ethics: An Open Educational Resource, collected and edited by Noah Levin
N.G.E Far Press
[49]
웹사이트
The Nobel Peace Prize 1962
https://www.nobelpri[...]
[50]
웹사이트
Narrative - 41. Another Petition - Linus Pauling and the International Peace Movement
https://scarc.librar[...]
[51]
논문
From Imperialism to Free Trade: Couturat, Halevy and Russell's First Crusa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52]
서적
Political Ideals
Routledge
[53]
웹사이트
Atomic Weapon and the Prevention of War
https://books.google[...]
1946-10-01
[54]
서적
C.L.R. James: Memories and Commentaries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55]
웹사이트
The Bertrand Russell Gallery
http://russell.mcmas[...]
Russell.mcmaster.ca
2011-06-06
[56]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50 — Bertrand Russell
https://www.nobelpri[...]
[57]
웹사이트
British Nobel Prize Winners (1950)
https://www.youtube.[...]
YouTube
2014-04-13
[58]
웹사이트
Russell/Einstein
http://scarc.library[...]
Oregon State University Libraries Special Collections
2007-11-29
[59]
서적
The new physics : the route into the atomic age : in memory of Albert Einstein, Max von Laue, Otto Hahn, Lise Meitner
Inter Nationes
1979
[60]
웹사이트
The Dubrovnik-Philadelphia Statement /1974–1976/ (short version)
http://www.intlh.com[...]
[61]
블로그
「楽しく反戦!」
https://chechen.hate[...]
チェチェン総合情報annex
[62]
뉴스
ロシア軍艦入港に抗議 舞鶴4団体
http://www.kyoto-min[...]
京都民報
2008-09-30
[63]
웹사이트
http://kotobank.jp/.[...]
[64]
서적
이라크 전쟁과 반전 평화운동
한국학술정보
2008-12-03
[65]
웹인용
반전운동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2023-06-06
[66]
웹인용
평화주의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2023-06-10
[67]
웹인용
pacifism
https://www.thefreed[...]
The Free Dictionary
[68]
웹인용
militarism
https://www.thefreed[...]
The Free Dictionary
[69]
서적
“Imperialism”: An historiographical revision
University of Oxford
2021-12-21
[70]
서적
Words for Scholars: The Semantics of “Imperialism”
Journal of the Historical Society
2008-08-06
[71]
서적
Globalism, Hegemonism and British Power: J. A. Hobson and Alfred Zimmern Reconsidered
History
2004-07
[72]
서적
Merely For the Record: The Memoirs of Donald Christopher Smith 1894–1980
Bermuda
[73]
간행물
Volunteer for Liberty
http://www.alba-valb[...]
Abraham Lincoln Brigade
1941-02
[74]
웹인용
Draftmen Go Free: A History of the Anti-Conscription Movement in Australia
https://commonslibra[...]
2023-06-13
[75]
웹인용
베트남반전운동
https://terms.naver.[...]
네이버
2023-06-14
[76]
서적
Burn This House: The Making and Unmaking of Yugoslavia
https://archive.org/[...]
Duke University Press
2000
[77]
웹인용
Antiratne i mirovne ideje u istoriji Srbije i antiratni pokreti do 2000. godine
http://www.republika[...]
2023-06-03
[78]
웹인용
Sećanje na antiratni pokret u Jugoslaviji početkom 1990-ih
https://sr.globalvoi[...]
2023-06-13
[79]
웹인용
Manje pucaj, više tucaj
https://www.6yka.com[...]
2023-06-13
[80]
웹인용
World: Europe Greeks protest at Nato strikes
http://news.bbc.co.u[...]
2023-06-13
[81]
웹인용
Greece: Antiwar protests intensify
https://www.wsws.org[...]
2023-06-13
[82]
웹인용
Anti-NATO protests in Australia, Austria, Russia
http://edition.cnn.c[...]
2023-06-13
[83]
웹인용
CNN Poll: Support for Afghanistan war at all time low
http://politicaltick[...]
cnn.com
2023-06-13
[84]
뉴스
미국의 이라크 전쟁과 당시의 반전 운동을 돌아보며
https://wspaper.org/[...]
노동자 연대
2023-06-14
[85]
웹인용
For a Middle East free of all Weapons of Mass Destruction
http://www.campaigni[...]
Campaign Against Sanctions and Military Intervention in Iran
2023-06-14
[86]
뉴스
Thousands march in Moscow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2023-06-14
[87]
웹인용
People across the US join pro-Palestinian protests
https://www.cnn.com/[...]
CNN
2023-06-14
[88]
웹인용
Israel-Gaza: How the ceasefire fared on its first day
https://www.bbc.com/[...]
BBC News
2023-06-14
[89]
뉴스
Thousands gather in London for Palestine solidarity march
The Guardian
2023-06-14
[90]
뉴스
Pro-Palestinian protesters at Port of Oakland attempt to block unloading of Israeli cargo ship
https://www.sfchroni[...]
San Francisco Chronicle
2023-06-14
[91]
웹인용
Over 1700 Russians arrested during anti-war protests, human rights organization says
https://www.axios.co[...]
2023-06-14
[92]
뉴스
Even Russia's Kremlin-backed media is going off message and beginning to question Putin's war on Ukraine
https://fortune.com/[...]
Fortune
2022-03-11
[93]
뉴스
In Russia, critiquing the Ukraine war could land you in prison
https://www.csmonito[...]
CSMonitor.com
2023-06-14
[94]
서적
영구 평화론
범우사
2015-11-30
[95]
서적
화학산책
대한화학회
2012-05-08
[96]
서적
아인슈타인 VS 프로이트: 우리는 왜 전쟁을 할까?
새터
2021-06-25
[97]
웹인용
20세기를 대표하는 두 천재의 만남!
https://product.kyob[...]
2023-06-10
[98]
서적
From Imperialism to Free Trade: Couturat, Halevy and Russell's First Crusade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99]
웹인용
Bertrand Russell: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50
https://www.nobelpri[...]
The Nobel Foundation 1950
2023-06-09
[100]
웹인용
Russell/Einstein
http://scarc.library[...]
Oregon State University Libraries Special Collections.
2023-06-10
[101]
서적
세계를 바꾼 연설과 선언
서해문집
2006-01-15
[102]
서적
The new physics : the route into the atomic age : in memory of Albert Einstein, Max von Laue, Otto Hahn, Lise Meitner.
Bonn-Bad Godesberg: Inter Nationes.
1979
[103]
뉴스
1955년 마이나우 선언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23-06-10
[104]
웹인용
The Dubrovnik-Philadelphia Statement /1974–1976/ (short version)
http://www.intlh.com[...]
International League of Humanists
2023-06-10
[105]
서적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01-30
[106]
웹인용
전쟁문학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2023-06-09
[107]
웹인용
1808년 5월 3일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2023-06-10
[108]
서적
미술대사전(용어편)
1998
[109]
웹인용
게르니카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2023-06-10
[110]
뉴스
전병삼 작가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촉구 대형 설치미술 공개
https://blog.naver.c[...]
미술여행 신문
2022-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