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로스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로스섬은 에게해에 위치한 그리스의 섬으로, 청동기 시대부터 정착이 시작되어 5,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고대에는 시라로 알려졌으며, 철학자 페레퀴데스의 고향이기도 하다. 중세 시대에는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았으며, 19세기에는 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 그리스 왕국에 편입되어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다. 현재는 남부 에게해 지역의 지방 자치 단체이며, 에르무폴리와 아노 시로스를 주요 도시로 한다. 섬에는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가 공존하며, 스포츠 시설과 시로스섬 국립공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로스섬 - 에르무폴리
    에르무폴리는 그리스 키클라데스 제도에 위치한 도시로,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난민들에 의해 건설되어 주요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시로스-에르무폴리 시를 구성하는 에르무폴리 지구로 행정 구역이 지정되어 있다.
  • 키클라데스 제도 - 이오스섬
    이오스섬은 그리스 키클라데스 제도에 속하며, 제비꽃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고, 해상 교통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젊은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여행지이다.
  • 키클라데스 제도 - 델로스섬
    델로스섬은 그리스 신화 속 아폴론과 아르테미스의 탄생지로, 고대 그리스 시대 주요 숭배 중심지이자 헬레니즘 시대 국제 무역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유적이 남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시로스섬
개요
에르무폴리와 아노 시로스
에르무폴리와 아노 시로스
시로스 위치
남에게해 내 시로스의 위치
위치37°26′N 24°55′E
유형현/지방 자치 단체
행정 구역
국가그리스
행정 구역남에게해 주
중심지에르무폴리
지리
면적101.9 km²
인구
전체21,124명 (2021년)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일반 정보
지역 번호228x0
우편 번호841 xx
차량 번호판EM
웹사이트시로스-에르무폴리스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시로스섬의 정착 역사는 최소 5,000년 전, 청동기 시대키클라데스 문명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 이때 카스트리의 언덕 꼭대기 정착지가 시작되었다. 고고학자들은 초기 키클라데스 III기(ECIII) 문화를 카스트리 문화라고 칭하며, 이는 소아시아의 리만테페와 연결된 아나톨리아 무역 네트워크와 연관되어 있었다.

기원전 2800-2300년으로 추정되는 카스트리는 둥근 보루가 있는 석벽으로 보호받는 그리스 최초의 정착지 중 하나였다. 칼란드리 아니의 묘지도 카스트리와 관련이 있다. 요새 안에서는 집들이 벽을 공유하고 서로 밀착되어 있었으며, 최대 300명까지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유적지는 1898년 크리스토스 춘타스에 의해 처음 발견되고 발굴되었다. 카스트리에서는 이 지역에서 가장 초기의 금속 세공품과 물레의 초기 사용례를 발견할 수 있다.

시로스의 페레퀴데스 흉상


역사적으로 이 섬은 시라(시라/Σύραgrc)[1]로 알려졌으며, 그 후 시로스 또는 시로스(Σῦρος)로 불렸다. 후대에는 페니키아인이 거주했던 것으로 보인다. 호메로스의 서사시 『오디세이아』에서는 돼지치기 에우마이오스의 고향으로 묘사되었으며, 그가 이 섬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하고 있다.[2] 이 섬은 또한 피타고라스의 스승인 철학자 페레퀴데스(시로스의 페레퀴데스)의 고향이었다. 시로스에는 시로스 (현재의 에르무폴리)와 갈리사스가 위치한 서부 해안의 또 다른 도시 (갈레소스) 등 두 개의 주요 도시가 있었다.

고대 시대나 초기 기독교 시대에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했다. 심지어 가장 작은 섬에도 주교가 있었던 시대에, 시로스는 교구도 아니었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시로스의 수도가 현재의 에르무폴리 지역에 있었다.

고대 시대 말, 야만족의 습격과 해적 행위로 시로스섬은 쇠퇴했다.[3] 중세 시대 동안 시칠리아인, 아랍인, 튀르크족, 베네치아인 등 다양한 세력에게 파괴되었다.[3]

비잔틴 제국 시대에 시로스섬은 에게 해 테마의 일부였다.[3] 1204년 제4차 십자군으로 비잔틴 제국이 무너진 후, 마르코 I 사누도가 이끄는 베네치아인들이 섬을 정복했다.[3] 이후 시로스섬은 에게 해 공국(낙소스 공국)의 일부로서 1566년까지 베네치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1540년 이후에는 오스만 술탄에게 공물을 바쳤다.[3] 이 시기에 아노 시로스가 건설되었다. 라틴 시대 동안 주민 대다수는 로마 가톨릭 신자였으나, 그리스어를 계속 사용했다. 에게 해 공국의 প্রায় 350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시로스섬에는 독특한 봉건 제도가 존재했다.

16세기까지 오스만 제국 함대는 에게 해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다.[4] 1522년 사략선 선장 바르바롯사가 섬을 점령했고, 오스만 통치 기간 동안 "시레"로 알려졌다.[4]

오스만 제국과의 현지 당국의 협상을 통해 키클라데스 제도는 세금 감면 및 종교의 자유와 같은 실질적인 특권을 얻었다.[4] 이와 동시에, 프랑스와 교황청이 오스만 당국과 맺은 협정에 따라, 섬의 가톨릭 신자들은 프랑스와 로마의 보호를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해 시로스는 때때로 "교황의 섬"이라고 불렸다.

시로스 로마 가톨릭 교구는 낙소스의 보좌 주교였다. 섬은 대부분 가톨릭이 되었다.[8] 16세기에 섬이 투르크인에게 점령된 이후, 그리스인들은 시로스에 정교회 교구 주교를 설립했는데, 요셉[5]은 가장 초기에 알려졌으며, 1594년에 사망한 시메온[6]과 1596년에 사망한 이그나티우스[7]가 있다.

17세기 후반 이후, 에게 해의 경제 회복기가 시작되어 18세기에서 19세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절정에 달했다.[4] 섬의 특별 체제는 지방 자치 정부의 발전을 허용했다. 19세기 초부터 해적질의 감소는 동지중해의 해상 항로가 점차 해방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성 게오르기오스 대성당 (로마 가톨릭)


아노 시로스의 성 요한 가톨릭 교회 (1640)


가톨릭 성 게오르기오스 대성당

2. 1. 선사 시대 및 고대

시로스섬의 정착 역사는 최소 5,000년 전, 청동기 시대키클라데스 문명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 이때 카스트리의 언덕 꼭대기 정착지가 시작되었다. 고고학자들은 초기 키클라데스 III기(ECIII) 문화를 카스트리 문화라고 칭하며, 이는 소아시아의 리만테페와 연결된 아나톨리아 무역 네트워크와 연관되어 있었다.

기원전 2800-2300년으로 추정되는 카스트리는 둥근 보루가 있는 석벽으로 보호받는 그리스 최초의 정착지 중 하나였다. 칼란드리 아니의 묘지도 카스트리와 관련이 있다. 요새 안에서는 집들이 벽을 공유하고 서로 밀착되어 있었으며, 최대 300명까지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유적지는 1898년 크리스토스 춘타스에 의해 처음 발견되고 발굴되었다. 카스트리에서는 이 지역에서 가장 초기의 금속 세공품과 물레의 초기 사용례를 발견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이 섬은 시라(시라/Σύραgrc)[1]로 알려졌으며, 그 후 시로스 또는 시로스(Σῦρος)로 불렸다. 후대에는 페니키아인이 거주했던 것으로 보인다. 호메로스의 서사시 『오디세이아』에서는 돼지치기 에우마이오스의 고향으로 묘사되었으며, 그가 이 섬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하고 있다.[2] 이 섬은 또한 피타고라스의 스승인 철학자 페레퀴데스(시로스의 페레퀴데스)의 고향이었다. 시로스에는 시로스 (현재의 에르무폴리)와 갈리사스가 위치한 서부 해안의 또 다른 도시 (갈레소스) 등 두 개의 주요 도시가 있었다.

고대 시대나 초기 기독교 시대에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했다. 심지어 가장 작은 섬에도 주교가 있었던 시대에, 시로스는 교구도 아니었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시로스의 수도가 현재의 에르무폴리 지역에 있었다.

2. 2. 중세 시대

고대 시대 말, 야만족의 습격과 해적 행위로 시로스섬은 쇠퇴했다.[3] 중세 시대 동안 시칠리아인, 아랍인, 튀르크족, 베네치아인 등 다양한 세력에게 파괴되었다.[3]

비잔틴 제국 시대에 시로스섬은 에게 해 테마의 일부였다.[3] 1204년 제4차 십자군으로 비잔틴 제국이 무너진 후, 마르코 I 사누도가 이끄는 베네치아인들이 섬을 정복했다.[3] 이후 시로스섬은 에게 해 공국(낙소스 공국)의 일부로서 1566년까지 베네치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1540년 이후에는 오스만 술탄에게 공물을 바쳤다.[3] 이 시기에 아노 시로스가 건설되었다. 라틴 시대 동안 주민 대다수는 로마 가톨릭 신자였으나, 그리스어를 계속 사용했다. 에게 해 공국의 প্রায় 350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시로스섬에는 독특한 봉건 제도가 존재했다.

2. 3. 오스만 제국 시대

16세기까지 오스만 제국 함대는 에게 해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다.[4] 1522년 사략선 선장 바르바롯사가 섬을 점령했고, 오스만 통치 기간 동안 "시레"로 알려졌다.[4]

오스만 제국과의 현지 당국의 협상을 통해 키클라데스 제도는 세금 감면 및 종교의 자유와 같은 실질적인 특권을 얻었다.[4] 이와 동시에, 프랑스와 교황청이 오스만 당국과 맺은 협정에 따라, 섬의 가톨릭 신자들은 프랑스와 로마의 보호를 받게 되었고, 이로 인해 시로스는 때때로 "교황의 섬"이라고 불렸다.

시로스 로마 가톨릭 교구는 낙소스의 보좌 주교였다. 섬은 대부분 가톨릭이 되었다.[8] 16세기에 섬이 투르크인에게 점령된 이후, 그리스인들은 시로스에 정교회 교구 주교를 설립했는데, 요셉[5]은 가장 초기에 알려졌으며, 1594년에 사망한 시메온[6]과 1596년에 사망한 이그나티우스[7]가 있다.

17세기 후반 이후, 에게 해의 경제 회복기가 시작되어 18세기에서 19세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절정에 달했다.[4] 섬의 특별 체제는 지방 자치 정부의 발전을 허용했다. 19세기 초부터 해적질의 감소는 동지중해의 해상 항로가 점차 해방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2. 4. 근대

2. 4. 1. 그리스 독립 전쟁

1821년 그리스 혁명 초기, 시로스섬은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이러한 중립적인 입장과 더불어, 섬의 특수한 사회적, 종교적, 제도적 조건은 시로스섬이 혁명 기간 동안 안전한 피난처가 되도록 만들었다. 그 결과, 소아시아, 키오스, 스페체스, 프사라, 아이발리, 스미르나, 키도니아, 카소스 및 기타 지역에서 온 많은 그리스 난민들이 시로스섬으로 유입되었다.

1836년의 시로스섬

2. 4. 2. 19세기

그리스 독립 전쟁이 끝나자 시로스섬은 신생 그리스 왕국에 편입되어 평화와 안정을 되찾았다.[13] 섬은 에게해의 교차로이자 서유럽 및 지중해 세계와 동방을 잇는 국제 무역의 중심지로 알려지게 되었다.[12] 1822년에 최초의 건물이 건설되기 시작했고,[12] 1824년에는 최초의 정교회 교회인 변용교회와 가장 큰 그리스 요양원이 건설되었다.[12]

1831년 시로스섬은 새로운 그리스 헌법 제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초대 대통령인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조반니 카포 디스트리아) 아래에서 에르무폴리의 인구는 13,805명에 달했다.

1830년부터 직물, 비단, 조선, 가죽, 철강 산업이 발전했고, 동시에 강력한 은행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에르무폴리의 발전은 1860년까지 이어져 시로스섬은 그리스에서 가장 중요한 상업 항구가 되었다. 1856년에는 그리스 증기선 회사가 설립되었다.

그러나 항해는 증기선으로 대체되었고, 섬의 지리적 위치의 중요성은 감소했으며, 피레아스 항구가 그리스에서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고, 파트라와의 경쟁으로 인해 시로스섬의 상업적 중요성도 감소하면서 쇠퇴기가 시작되었다.

2. 4. 3. 20세기

19세기 말부터 수십 년간 시로스섬의 경제는 섬유 산업("Foustanos-Karellas-Velissaropoulos & Co")의 발달로 일시적인 회복을 이루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은 그리스의 모든 경제 중심지와 마찬가지로 시로스의 경제 발전도 위축시켰다. 제2차 세계대전중에 섬주민들은 수천명의 사망자를 낸 파괴적인 기근을 겪었다. 1980년대부터 일반적인 경제 회복과 그리스의 생활 수준 향상과 더불어, 관광을 중심으로 한 개선 요소들이 나타났다. 동시에 네오리온 조선소의 재개와 더불어 여러 활동들이 시로스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3. 주요 도시

3. 1. 에르무폴리

에르무폴리(Ερμούποληel)는 신고전주의 건축 건물, 오래된 저택, 흰색 가옥이 항구로 이어지는 자연적인 원형 극장 부지에 위치해 있다. 1820년대 그리스 독립 전쟁 동안 건설되었다.

에르무폴리 항구


시청은 마을 중심부인 미아울리스 광장에 있으며, 카페, 휴식 공간, 야자수가 주변에 있다. 헤르메스의 도시"라고 불리는 시로스에는 메타모르포시스, 코이미시스, 성 데메트리오스, 삼위일체, 아나스타시스, 에반젤리스트리아, 성 니콜라스 등 수많은 교회가 있다. 바포리아 지역은 전통적으로 선장들이 살던 곳으로, 좁은 거리를 따라 수많은 신고전주의 건축 저택이 있다.

에른스트 치러가 설계한 에르무폴리 시청과 미아울리스 광장의 안드레아스 미아울리스 동상(게오르기오스 보나노스 작)

3. 2. 아노 시로스

아노 시로스


아노 시로스는 시로스섬의 두 번째 도시이며, 13세기 초 베네치아 공화국에 의해 에르무폴리 북서쪽, 산 조르지오 언덕에 건설되었다. 아노 시로스는 중세 시대의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다. 좁은 골목과 색색의 문이 있는 집들 사이에는 수많은 계단이 도시 꼭대기로 이어진다. 중세 시대의 아노 시로스 정착지는 자동차로 접근할 수 없으며, 도시는 주로 대리석 계단으로 연결되어 있다.[20] 항구에서 도시의 주요 입구까지의 거리는 약 1000미터이다. 로마 가톨릭 교회의 성 조지 대성당이 아노 시로스를 지배한다. 대성당은 13세기에 건설되었다. 대성당에서는 인근 섬인 티노스, 델로스, 미코노스, 파로스, 안드로스, 낙소스의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

해변에서 바라본 에르무폴리

4. 행정

시로스는 남부 에게해 지역의 독립된 지방 자치 단체이다.[14] 이 지방 자치 단체의 유일한 지방 자치 단체는 시로스-에르무폴리이다.[14] 2011년 칼리크라티스 정부 개혁의 일환으로, 시로스 지방 자치 단체는 이전 키클라데스 현의 일부에서 생성되었다.[14] 같은 개혁으로 시로스-에르무폴리 자치 단체는 에르무폴리, 아노 시로스, 포세이도니아의 3개의 이전 자치 단체에서 생성되었다.[14][26]

이 자치 단체는 무인도 기아로스와 여러 다른 작은 섬들을 포함한다. 자치 단체의 총 면적은 101.90km2이다.[15] 과거에는 키클라데스 현 아래에 시로스 섬과 미코노스 섬으로 이루어진 시로스 군이 있었지만, 2006년에 폐지되었다.[27]

갈리사스 해변

5. 종교

시로스섬에는 동방 정교회 교회가 여럿 있다. 섬에서 가장 중요한 정교회 교회는 ''변용 교회(Metamorphosis)''이며, ''테오토코스의 키미시스(Kimisis tis Theotokou)'' 교회는 화가 엘 그레코의 걸작을 소장하고 있어 주목할 만하다.[17][28] 섬에는 로마 가톨릭 교회 건물도 많고, 가톨릭 마을도 일부 존재하여 그리스에서 가톨릭 교회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곳 중 하나이다.[17][28]

시로스섬은 가톨릭 신자와 정교회 신자가 부활절 축일을 함께 기념하는 몇 안 되는 곳 중 하나이며, 시로스 섬의 경우 동방 정교회 날짜를 따른다.[18][29] 시로스 및 밀로스 로마 가톨릭 교구에는 신자 9,000명, 세속 사제 21명, 정규 사제 8명, 본당 7개, 상주 사제가 있는 교회 7개, 사제가 없는 교회 3개, 성당 57개가 있다. 카푸친 수도회와 예수회는 각각 한 곳의 시설을 가지고 있으며, 자선 수녀회는 2개의 수녀원(하나는 병원)을 운영하고 있고, 성 요셉 수녀회는 기숙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그리스 비잔틴 가톨릭 교회 교회도 하나 있다.

6. 문화

6. 1. 스포츠

시로스섬에는 여러 스포츠 클럽과 시설이 있다. 피니카스 시로스 V.C.는 배구 클럽이며, 아리스 시로스는 농구와 배구 팀을 운영한다. 헬라스 시로스는 축구 클럽이고, 아틀레틱 클럽 시로스는 농구와 축구 팀을 모두 운영한다. 섬에서는 윈드서핑과 수상 스포츠도 즐길 수 있는데, 시로스 윈드서핑 학교와 코미토 수상 스포츠 시설이 대표적이다.

6. 2. 공항

시로스섬에는 시로스섬 국립공항이 있다.

7. 유명 인물

엠마누엘 로이디스

  • 에우마이오스, 오디세이아의 등장인물
  • 시로스의 페레키데스(기원전 600–550년경), 철학자
  • 요안니스 안드레아스 카르가스, 시로스의 가톨릭 주교이자 순교자
  • 미하일 멜라스(1833–1897), 그리스 정치인, 상인, 파블로스 멜라스의 아버지
  • 디미트리오스 비켈라스(1835–1908), 작가이자 초대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
  • 엠마누엘 로이디스(1836–1904), 작가, 저널리스트
  • 스타마타 레비티 (1866–?), 올림픽에 참가하여 마라톤을 달린 최초의 여성
  • 안토니오 그레고리오 부치노 (부치노스) A.A. (1891–1968), 그리스 코르푸, 자킨토스, 케팔로니아의 대주교
  • 안나 칼루타 (el) (1918–2010), 배우
  • 마르코스 밤바카리스 (1905–1972), 음악가
  • 리타 부미-파파 (1906–1984), 시인, 번역가
  • 아나르기르고스 프린테지스, 그라티아노폴리스의 명목 주교, 그리스 비잔틴 가톨릭 교회의 사도 엑자르크
  • 올가 브루마스 (1949–), 시인, 번역가
  • 스텔리오스 마이나스 (1957–), 배우
  • 게오르기오스 프린테지스 (1985–), 프로 농구 선수
  • 게오르기오스 수리스 (1853년 - 1919년) - 풍자 시인

참조

[1] 문서 Suda
[2] 서적 Delphi Complete Works of Samuel Butler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Delphi Classics 2015-04-14
[3] 문서 Latins in the Levant
[4] 웹사이트 "ege adalarÃ"±" arama sonuçları ile ilgili bilgiler https://www.turkcebi[...]
[5] 문서 Le Quien, op. cit., II, 233
[6] 문서 Histoire de Syros
[7] 문서 "Acta patriarchatus constantinopolitani"
[8] 문서 Ricaut, "Histoire de l'estat présent de l"Eglise grecque", 361; [[Hilaire de Barenton]], "La France Catholique en Orient", 171-173
[9] 문서 Oriens christianus
[10] 문서 Hierarchia catholica medii aevi
[11] 문서 Pétridès in "Revue de l'Orient chrétien", V, 407-422
[12] 문서 Edward Lear diaries, 1858-1888. MS Eng 797.3 (7), page seq. 57. Houghton Library, Harvard University, Cambridge, Mass.
[13] 문서 See, e.g., [[James Theodore Bent|Theodore Bent]], ‘The Capital of the Cyclades’. Macmillan’s Magazine, Vol. 50, 1884 (May/Oct), pp. 426-435.
[14]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Greece)
[15]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16] 웹사이트 Detailed census results 1991 http://dlib.statisti[...]
[17] 뉴스 Syros Churches: Information about the churches of Syros Greece, Cyclades http://www.greeka.co[...] Greeka.com 2007-11-20
[18] 웹사이트 Easter: A date with God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11-04-23
[19] 문서 Detailed census results 2011 http://www.statistic[...]
[20] 서적 世界の美しい階段 エクスナレッジ
[21] 문서 Ege Adaları http://www.turkcebil[...]
[22] 문서 Le Quien, op. cit., II, 233
[23] 문서 Histoire de Syros
[24] 문서 "Acta patriarchatus constantinopolitani"
[25] 문서 Ricaut, "Histoire de l'estat présent de l"Eglise grecque", 361; Hilaire de Barenton, "La France Catholique en Orient", 171-173
[26] PDF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kedke.gr/[...]
[27] PDF Detailed census results 1991 http://dlib.statisti[...]
[28] 뉴스 Syros Churches: Information about the churches of Syros Greece, Cyclades http://www.greeka.co[...] Greeka.com 2007-11-20
[29] 웹사이트 Easter: A date with God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11-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