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불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라의 불교는 고구려나 백제와 달리 민간 승려에 의해 전래되었으며,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공인되었다. 삼국 시대 신라 불교는 호국불교의 경향이 강했고, 통일신라 시대에는 원효, 의상 등 고승들의 활약으로 융성기를 맞았으나, 선덕왕 이후 침체기를 겪다가 선종의 전래로 변화를 맞았다.
신라 불교는 고구려나 백제와 달리 공식적인 외교를 통하지 않고 민간 승려에 의해 전래되었다는 특징을 가진다.
삼국 시대 신라 불교는 호국불교(護國佛敎) 경향이 강했다. 진흥왕(眞興王) 이후 신라는 불교 정신에 입각하여 국민을 단합시켰다.
2. 신라 불교의 전래
2. 1. 초기 전래 설화
신라 불교의 전래에 대한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민승(民僧)이 들어와 공식 외교를 통하지 않고 포교를 한 것이 고구려와 백제 불교와의 차이점이다.
신라 전래 기록으로는, 제13대 미추왕 2년(263)에 고구려의 승려 아도가 와서 불교를 전했다는 설, 19대 눌지왕(재위 417∼458) 때 고구려의 승려 묵호자가 모례(毛禮)의 집에 머물러 불교를 선양했다는 설, 21대 소지왕(재위 479∼500) 때 승려 아도가 시자(侍者) 3인과 같이 모례(毛禮)의 집에 있다가 아도는 먼저 가고 시자들은 포교했다는 설 등이 있으나 어느 것이 맞는지 알 수 없다.
2. 2. 불교 공인
이차돈의 순교로 불교가 공인되었다.[2] 공인 이후 신라는 불교 신봉에 삼국 중 가장 열성적이었고, 불교를 국가 운영 원리로 채택하여 강력한 중앙집권적 지배 체제를 구축하였다.[2]
3. 삼국 시대 신라 불교
3. 1. 호국불교 사상
삼국 시대의 신라 불교는 호국불교 경향이 강했다. 진흥왕 이후 신라는 불교 정신에 입각하여 국민을 단합시켰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는 팔관재회, 백고강좌, 황룡사 9층탑 건립, 사천왕사 건립 등이 있다. 특히 세속오계는 불교 정신을 통해 민족을 단합하고 국가를 수호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고 있다.[2]
3. 2. 세속오계
삼국 시대 신라 불교는 호국불교(護國佛敎)의 경향이 강했으며, 진흥왕(眞興王) 이후 신라는 불교 정신을 바탕으로 국민을 단합시켰다. 세속오계(世俗五戒)는 이러한 불교 정신을 바탕으로 민족을 단합하고 국가를 수호하기 위한 뜻을 담고 있다.[1]
4. 통일신라 시대 신라 불교
통일 이후 신라 불교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 문무왕(재위 661∼681)에서 혜공왕(재위 765∼780) 때까지는 불교문화가 융성했던 전성기였다.
- 선덕왕(재위 780∼785)에서 헌덕왕 때까지는 불교가 국가와 사회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 침체기였다.
- 흥덕왕 원년(826)에서 신라 멸망(935)까지는 선종이 전래된 선법 전래기였다.
4. 1. 전성기 (문무왕 ~ 혜공왕)
문무왕에서 혜공왕 때까지는 신라 불교문화가 융성했던 시기였다. 이 시기에는 원효, 의상, 원측 등 많은 고승들이 배출되었다.원측(613~696)은 왕손 출신으로 15세 때 당나라에 유학하여 고승들에게 유식론을 배우고 산스크리트어 등 6개 국어에 능통했다. 당 태종에게서 도첩을 받고 유가론, 유식론을 강의했다.
원효(617~686)는 45세 때(661년, 문무왕 원년) 의상과 함께 당나라에 가던 도중 불교의 참된 진리를 깨닫고 돌아와 저술과 교화에 힘쓰다가 신문왕 6년(686)에 입적하였다.
의상(625~702)은 문무왕 원년(661)에 당나라에 유학하여 지엄에게 화엄학을 배우고, 문무왕 11년(671)에 귀국하여 부석사를 건립, 화엄교학의 중심 도량으로 삼았다.
이 밖에도 성덕왕 때의 혜초, 경덕왕 때의 대현, 진표, 고구려 출신 승려 보덕, 혜량 등의 고승들이 있었다.
4. 2. 침체기 (선덕왕 ~ 헌덕왕)
선덕왕(재위 780∼785)부터 헌덕왕 때까지는 불교가 국가 사회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 시기이다.[1]4. 3. 선법 전래기 (흥덕왕 ~ 신라 멸망)
흥덕왕 원년(826)에서 신라 멸망기(935)까지 선종이라는 새로운 불교 사상이 전래되어 신라 불교에 변화를 가져왔다.참조
[1]
논문
신라 관음신앙 연구 : 관음성현의 구조와 기능을 중심으로
https://s-space.snu.[...]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2]
웹인용
한국문화사 39권 삶의 공간과 흔적, 우리의 건축 문화 3 정신세계의 통합공간 불교건축 01. 정신세계의 혁명 왕실의 호국사찰 경영
http://contents.hist[...]
국사편찬위원회
2024-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