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론 자치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론 자치령은 1948년 2월 4일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국가이다. 독립 당시 영국과의 군사 조약을 통해 영국 공군과 해군 기지가 유지되었고, 돈 세나나야케가 초대 수상이 되었다. 1950년 콜롬보 계획의 초기 회원국이 되었으며, 1957년 영국 기지가 철수하면서 비동맹 국가가 되었다. 1960년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가 세계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되었고, 1972년 스리랑카로 국호를 변경하고 공화국으로 전환했다. 실론의 경제는 농업에 기반을 두었으며 차, 고무, 코코넛을 주요 수출품으로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리랑카 - 실론티
실론티는 스리랑카에서 생산되는 차를 지칭하는 브랜드이며, 재배 고도에 따라 분류되고 스리랑카 차 위원회의 품질 인증을 거쳐 사자 로고를 부착한다. - 스리랑카 - 스리랑카의 대통령
스리랑카의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이며 군 통수권자로서, 1978년 헌법 개정을 통해 권한이 강화된 대통령 중심제 하에서 5년 임기로 국민 투표를 통해 선출된다. - 스리랑카의 옛 나라 - 영국령 실론
영국령 실론은 1796년부터 1948년까지 영국이 스리랑카를 지배한 시기로, 플랜테이션 경제 발전과 분할 통치 정책, 근대적 인프라 구축과 제한적 민주주의 도입, 독립 운동 과정에서의 갈등, 그리고 긍정적·부정적 유산을 남긴 시기이다. - 스리랑카의 옛 나라 - 루후누라타
루후누라타는 마하나가 왕자에 의해 기원전 200년경 건국되어 촐라 왕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으나 라자라타 왕국에 저항한 고대 스리랑카 왕국이자, 독특한 풍미와 짙은 홍색 수색을 가진 루후나 홍차로도 유명하다. - 대영 제국 - 남아프리카 연방
남아프리카 연방은 보어 전쟁 이후 네덜란드계와 영국계의 화합을 위해 건국되었으며, 영국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는 자치령이었으나 1934년 주권 국가가 되었고, 행정 수도 프리토리아, 입법 수도 케이프타운, 사법 수도 블룸폰테인으로 구성되었으며, 1961년 국민투표를 통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 - 대영 제국 - 로디지아
로디지아는 1965년 백인 소수 정권이 일방적 독립 선언 후 1979년까지 사용한 남부 로디지아의 공식 명칭이었으나, 랭커스터 하우스 협정으로 종식되고 1980년 짐바브웨 공화국으로 독립하였다.
실론 자치령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국명 | 세일론 |
공식 명칭 | 영어: Dominion of Ceylon |
공용어 | 싱할라어 타밀어 스리랑카 영어 |
수도 | 콜롬보 |
좌표 | 6°56′04″N 79°50′34″E |
가장 큰 도시 | 수도 |
종교 | 불교 (공식) 힌두교 기독교 이슬람 |
통화 | 세일론 루피 |
국가 | 스리랑카 마타 (1951–1972) |
이전 국가 | 하느님, 국왕을 지켜주소서 (1948–1951) |
국가 코드 | +94 |
정치 | |
정부 형태 | 단일 의회 입헌 군주제 |
군주 | 군주 |
국왕 | 조지 6세 (1948–1952) |
국왕 | 엘리자베스 2세 (1952–1972) |
총독 | 헨리 몽크-메이슨 무어 경 (1948–1949) 소울버리 경 (1949–1954) 올리버 어니스트 구네틸레케 경 (1954–1962) 윌리엄 고팔라와 (1962–1972) |
총리 | D. S. 세나나야케 (1948–1952) 더들리 세나나야케 (1952–1953) 존 코텔라왈라 경 (1953–1956) S. W. R. D. 반다라나이케 (1956–1959) 더들리 세나나야케 (1960년 3월–1960년 7월)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 (1960년 7월–1965년) 더들리 세나나야케 (1965–1970)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 (1970–1972) |
의회 | 세일론 의회 |
상원 | 상원 |
하원 | 하원 |
역사 | |
시작 | 독립 (1948년 2월 4일) |
종말 | 공화국 (1972년 5월 22일) |
이전 국가 | 영국령 실론 |
다음 국가 | 스리랑카 |
인구 | |
1956년 | 8,104,000명 |
면적 | |
면적 | 65,610 제곱킬로미터 |
기타 | |
대표 명칭 | 세일론인 |
![]() | |
![]() | |
![]() |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 제국의 국력이 쇠퇴하면서 영국령 인도 제국에서 독립 요구가 거세졌다. 그러나 민족 및 종교 간 갈등, 특히 이슬람교도와 힌두교도 간의 대립으로 인해 통일 국가 수립은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인도와 파키스탄이 분리 독립하게 되었다.[1]
1947년 8월 15일, 힌두교도가 다수인 지역은 인도 연방으로, 이슬람교도가 다수인 지역은 파키스탄으로 각각 독립하였다. 불교도가 다수인 실론은 버마와 함께 영국령으로 남아 있다가, 이듬해인 1948년 2월 4일 영연방 왕국의 일원으로 독립하였다.[1]
1960년에는 시리마보 밴다라나이케가 세계 최초의 여성 총리로 취임하였다.[28] 1971년에는 스리랑카 인민해방전선이 무장봉기를 시도하는 등 혼란스러운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10]
1972년 5월 22일, 실론은 공화제로 전환하면서 국명을 '''스리랑카'''로 변경하였다.[10]
2. 1. 독립 운동과 영국의 통치
제2차 세계 대전의 결과, 영국 제국의 국력은 쇠퇴하였고, 영국령 인도 제국의 독립 요구가 높아졌다. 그러나 서로 다른 민족과 종교의 장벽은 통일 국가로서의 독립을 어렵게 만들었다. 특히 이슬람교도와 힌두교도의 대립은 심각하여 인도와 파키스탄의 분리 형태로 문제가 현실화되었다.[1]1947년 8월 15일, 힌두교도 다수 지역이 인도 연방을 표방하며, 영국 국왕을 국가 원수로 하는 영연방 왕국으로 독립하였다. 같은 날 이슬람교도 다수 지역은 파키스탄으로 분리 독립하였다. 섬나라이며 불교도 다수 지역인 실론은 버마와 함께 영국령으로 남았으나, 이듬해 1948년 2월 4일에 영연방 왕국의 한 국가로 독립하였다.[1]
2. 2. 독립과 성장 (1948년 ~ 1970년)
1948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실론 자치령의 초대 총리는 돈 세나나야케였다. 같은 해 실론이 유엔 가입을 신청했을 때, 소련은 실론이 명목상으로만 독립했고 영국이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보아 거부권을 행사했다.[25] 1949년에는 스리랑카 타밀족 지도자들의 동의를 얻어 인도 타밀족 농장 노동자들의 투표권이 박탈되었다.[26][27]1952년 돈 세나나야케 총리가 뇌졸중으로 사망하자, 그의 아들 더들리 세나나야케가 총리직을 계승했다. 그러나 1953년 좌익 정당들의 총파업(하르탈) 이후 더들리 세나나야케는 사임하고, 그의 삼촌 존 코텔라왈라 경이 총리가 되었다. 코텔라왈라는 국어 문제를 다시 제기하여 논란을 일으켰다.[7]
1954년 4월 10일부터 21일까지 엘리자베스 2세 실론 여왕이 실론을 방문했다.[8]
1957년 영국 군사 기지가 철수하면서 실론은 공식적으로 비동맹 노선을 걷게 되었다. 필립 구나와르데나의 주도로 소작농 보호법이 통과되어 소작농들의 권리가 강화되었다.[9]
실론은 1950년 콜롬보 계획의 초기 회원국 중 하나였으며, 현재도 회원국으로 남아있다.
2. 3. 개혁과 혼란 (1970년 ~ 1972년)
1960년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가 세계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되었다.[28] 그녀의 정부는 타밀족과의 더 이상의 대립은 피했지만, 미국 정부의 반공 정책으로 미국의 원조가 끊기고 경제 위기가 심화되었다. 반다라나이케는 석유 회사들을 국유화했는데, 이는 캔자스 석유 생산 협회의 도움으로 깨진 석유 카르텔에 의한 불매운동으로 이어졌다.1962년, 스리랑카 자유당(SLFP)의 급진적인 정책에 따라 많은 서구 기업 자산이 국유화되었다. 이는 압류된 자산에 대한 보상을 놓고 미국과 영국과 분쟁을 일으켰다.[28][10] 이러한 정책들은 SLFP 권력의 일시적인 감소로 이어졌고 UNP는 의회에서 의석을 얻었다. 그러나 1970년까지 SLFP는 다시 한번 지배적인 세력이 되었다.
1971년에는 스리랑카 인민해방전선에 의한 무장봉기 미수가 발생하는 등 혼란이 발생하였다.[10]
1972년 5월 22일 공화제로 이행하여 국호를 '''스리랑카'''로 고치고, 윌리엄 고팔라와(William Gopallawa)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였다.[10]
3. 정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립 요구가 거세지면서, 영국령 실론은 1948년 2월 4일 개정된 헌법과 함께 독립했다. 1947년 실론 독립법에 따라 독립이 이루어졌으며, 영국과의 군사 조약으로 영국 공군과 해군 기지는 그대로 유지되었고, 영국 장교들이 실론 군대의 고위직을 계속 차지했다. 돈 세나나야케가 실론의 초대 총리가 되었다.[25]
1948년 실론이 유엔 가입을 신청했을 때 소련은 거부권을 행사했다. 이는 실론이 명목상으로만 독립적이고, 백인 엘리트들이 정부를 장악하여 영국이 여전히 통제권을 행사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25] 1950년 실론은 콜롬보 계획의 초기 회원국 중 하나가 되었으며, 스리랑카는 현재까지 회원국으로 남아있다.
3. 1. 헌법과 정부 형태
실론 헌법은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 의회를 가진 의원내각제를 만들었으며, 국민이 선출한 하원이 간접적으로 상원 의원을 지명했다.[11]3. 2. 주요 정당과 정치 세력
돈 세나나야케가 이끌던 UNP은 1948년 실론의 첫 수상이 되면서 집권여당이 되었다.[25] UNP 정부는 스리랑카 타밀족 지도자들의 동의를 얻어 인도 타밀족 농장 노동자들의 자격을 박탈했다.[26][27]1960년 7월 선거에서는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가 세계 최초의 여성 정부 수반이 되었다. 그녀의 정부는 타밀족과의 더 이상의 대립을 피하려 했지만, 미국의 반공 정책으로 인해 미국의 원조가 끊기면서 경제 위기가 심화되었다. 비불교 우익 군대와 경찰들이 UNP을 다시 정권을 잡으려는 쿠데타를 시도한 후, 반다라나이케는 석유 회사들을 국유화했고, 이는 캔자스 석유 생산 협회의 도움으로 깨진 석유 카르텔에 의한 불매운동으로 이어졌다.
1962년, SLFP의 급진적인 정책에 따라 많은 서구 기업 자산이 국유화되었고, 이는 압류된 자산에 대한 보상을 놓고 미국과 영국과 분쟁을 일으켰다. 그러한 정책들은 SLFP 권력의 일시적인 감소로 이어졌고 UNP는 의회에서 의석을 얻었다. 그러나 1970년까지 SLFP는 다시 한번 지배적인 세력이 되었다.[28]
3. 3. 타밀족 문제와 정치적 갈등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립에 대한 대중의 압력이 증가했다. 영국령 실론은 1948년 2월 4일 개정된 헌법과 함께 독립했다. 1947년 천일론 독립법에 따라 독립이 허가되었다. 영국과의 군사 조약으로 영국 공군과 해군 기지는 그대로 유지되었고, 영국 장교들이 시론 군대의 상층부를 계속 채웠다. 돈 세나나야케는 실론의 첫 수상이 되었다. 1948년 실론이 유엔 가입을 신청했을 때 소련은 거부권을 행사했는데, 이는 실론이 명목상으로만 독립적이며, 백인 엘리트들이 정부를 장악하여 영국이 여전히 통제권을 행사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25] 1949년, 스리랑카 타밀족 지도자들의 동의하에 UNP 정부는 인도 타밀족 농장 노동자들의 자격을 박탈했다.[26][27] 1950년, 실론은 콜롬보 계획의 초기 회원국이 되었고, 스리랑카는 현재까지 회원국으로 남아있다.4. 경제
실론은 농업 중심 경제 구조를 가졌으며, 차, 고무, 코코넛이 주요 수출품이었다. 이 상품들은 해외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고, 1965년 실론은 세계 최대 차 수출국이 되었다. 그러나 차와 고무 가격 하락, 인구 증가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1970년대 초, 정부는 사회주의 정책의 일환으로 민간 자산 국유화를 추진했다. 1972년과 1975년 토지 개혁법을 통해 많은 토지가 국유화되었고, 이는 차 재배지의 상당 부분을 국영 부문으로 편입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정부는 토지 소유주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했다.
실론의 공식 통화는 인도 루피에서 분리된 실론 루피였다. 1950년 실론 중앙은행 설립으로 통화에 대한 국가 통제력이 강화되었고, 다양한 지폐와 주화가 발행되었다. 실론 루피는 초기에는 인도 루피에, 이후에는 미국 달러에 고정되었다.
4. 1. 농업과 수출
실론(스리랑카)의 경제는 주로 농업에 기반을 두었으며, 주요 수출품은 차, 고무, 코코넛이었다. 이들은 해외 시장에서 잘 팔렸으며, 수출 가치의 90%를 차지했다.[11] 1965년 실론은 연간 20만 톤의 차를 국제적으로 수출하며 세계 최대 차 수출국이 되었다.[12] 초기에는 수출이 잘 되었지만, 차와 고무 가격 하락으로 수입이 감소했고, 급증하는 인구는 이윤을 더욱 감소시켰다.4. 2. 국유화와 토지 개혁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 정부는 타밀족과의 더 이상의 대립을 피하려 했으나, 미국의 반공 정책으로 인해 미국의 원조가 중단되고 경제 위기가 심화되었다. 1962년에는 스리랑카 자유당(SLFP)의 급진적인 정책으로 인해 많은 서구 기업 자산이 국유화되었고, 이는 압류된 자산에 대한 보상 문제로 미국 및 영국과의 분쟁을 야기했다. 이러한 정책은 스리랑카 자유당의 권력을 일시적으로 약화시켰지만, 1970년까지 스리랑카 자유당은 다시 주도적인 세력이 되었다.[28][10]1970년대 초, 실론 정부는 사회주의 정책의 일환으로 많은 민간 소유 자산을 국유화했다.[13] 1972년 토지 개혁법은 사유지 소유 한도를 20헥타르로 제한하고, 토지 없는 노동자들을 위해 초과 토지를 재분배하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10헥타르 미만의 토지를 소유한 공공 회사의 토지는 제외되어, 상당량의 토지가 법 적용을 받지 않았다. 1972년부터 1974년까지 토지 개혁 위원회는 약 22만 8천 헥타르의 토지를 인수했는데, 그중 3분의 1은 산림이었고 나머지는 대부분 차, 고무, 코코넛 재배지였다. 벼농사를 짓는 논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정부가 취득한 토지 대부분은 상업협동농장개발위원회(Up-Country Co-operative Estates Development Board)와 같은 정부 기관이나 협동 조직에 넘겨졌다.[14]
1975년 토지 개혁(개정)법은 영국계 기업을 포함한 주식회사가 소유한 농장들을 국가 통제하에 두었다. 이 법에 따라 395개 농장을 포함한 16만 9천 헥타르가 넘는 토지가 인수되었으며, 이 토지의 대부분은 차와 고무 재배지였다. 결과적으로 차 재배지의 약 3분의 2, 고무 재배지의 32%, 코코넛 재배지의 10%가 국영 부문으로 편입되었다. 정부는 1972년과 1975년 법에 따라 인수된 토지 소유주들에게 일부 보상금을 지불했다. 1988년 초 국영 농장은 자나타 농장 개발 위원회(Janatha Estates Development Board) 또는 스리랑카 국영 농장 공사(Sri Lanka State Plantation Corporation)에서 관리했다.[14]
4. 3. 통화
실론의 공식 통화는 실론 루피였다. 실론 루피는 1929년 인도 루피에서 분리되면서 인도 루피에서 진화했다.[15] 1872년 인도 통화 시스템의 일부로 설립된 통화위원회는 1950년 실론 중앙은행으로 대체되어 국가가 통화에 대한 더 큰 통제권을 확보하게 되었다. 1951년 실론 중앙은행은 지폐 발행을 인수하여 1루피와 10루피 지폐를 발행했다. 이어 1952년에는 2, 5, 50, 100루피 지폐가 발행되었다. 1루피 지폐는 1963년에 주화로 대체되었다. 1963년에는 국왕의 초상화를 생략한 새로운 주화가 도입되었다. 발행된 주화는 알루미늄 1센트와 2센트, 니켈 황동 5센트와 10센트, 구리 니켈 25센트와 50센트, 그리고 1루피였다. 1963년 이후 발행된 주화의 앞면에는 국장이 새겨져 있다. 1966년까지 실론 루피는 인도 루피에 1:1의 가치로 고정되었다. 1966년 실론 루피는 미국 달러에 1달러당 4.76루피로 고정되었다.[16]5. 군사
실론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다.[17] 독립 후 영국과 1947년 영국-실론 방위 협정(Anglo-Ceylonese Defence Agreement of 1947)을 체결했고, 1949년 실론 육군(Ceylon Army)이 창설되었다.[18]
육군은 주로 내부 안보 유지에 힘썼다. 불법 이민자 유입을 막기 위한 몬티 작전(Operation Monty)을 수행했고,[19] 1953년 하르탈(Hartal 1953), 1956년 갈 오야 계곡 폭동, 1958년 스리랑카 폭동(Sri Lankan riots of 1958) 등에서 경찰을 지원했다.
JVP가 일으킨 1971년 봉기 당시, 왕립 실론 공군(Royal Ceylon Air Force)은 처음으로 전투에 참여했다. 초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지만, 미국과 소련으로부터 항공기를 지원받아 상황을 진정시켰다.[20][21] 군사 자금 부족으로 제4 헬리콥터 비행대대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상업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했다.[22]
5. 1. 육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실론 방위군(Ceylon Defence Force)이 해산되기 시작했다. 독립 후 실론은 영국과 1947년 영국-실론 방위 협정(Anglo-Ceylonese Defence Agreement of 1947)을 체결했다.[17] 1949년 4월 11일 의회에서 육군법(제17호)이 통과되었고, 1949년 10월 10일 특별 관보(제10028호)에 공식적으로 명시되면서 정규군과 자원군으로 구성된 실론 육군(Ceylon Army)이 창설되었다. 자원군은 해산된 실론 방위군의 후신이었다.[17][18]주요 외부 위협이 없었기 때문에 육군의 성장은 더뎠고, 1950년대 중반부터 육군의 주요 임무는 내부 안보로 전환되었다. 1952년 로열 실론 해군(Royal Ceylon Navy)의 해안 순찰과 경찰 작전을 지원하는 몬티 작전(Operation Monty)이 시작되었는데, 이는 불법적인 남인도 이민자 유입에 대응하기 위한 작전이었다. 이 작전은 1963년 불법 이민 대책 특별전투부대(Task Force Anti-Illicit Immigration, TaFII)로 확대되어 1981년까지 계속되었다. 1953년 1953년 하르탈(Hartal 1953), 1956년 갈 오야 계곡 폭동, 1958년 1958년 스리랑카 폭동(Sri Lankan riots of 1958) 당시 육군은 비상 규정 하에 경찰의 치안 유지를 지원했다.[19]
5. 2. 공군
왕립 실론 공군은 1971년 4월 5일 마르크스주의 JVP가 섬 전체 쿠데타를 일으켰을 때 처음으로 전투에 참여했다. 실론 군대는 즉각적이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없었다. 전국에 있는 경찰서와 에칼라에 있는 RCyAF 기지는 초기 공격에서 타격을 입었다. 이후 공군은 미국과 소련으로부터 추가 항공기를 확보했다.[20][21]1971년 봉기 이후 군사 지출 자금 부족으로 제4 헬리콥터 비행대대는 헬리투어스라는 이름으로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상업용 수송 서비스를 시작했다.[22]
참조
[1]
서적
Colonialism and Development: Britain and its Tropical Colonies, 1850–196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06-01
[2]
문서
The Sri Lanka Independence Act 1947
[3]
웹사이트
International treaties
https://docs.google.[...]
2017-03-21
[4]
서적
Ceylon
https://archive.org/[...]
[5]
서적
Communal Politics under the Donoughmore constitution
Tsiisara Prakasakyo
1982
[6]
웹사이트
Welcome to UTHR, Sri Lanka
http://www.uthr.org/[...]
2010-02-16
[7]
웹사이트
Sri Lanka – United National Party "Majority" Rule, 1948–56
http://countrystudie[...]
Countrystudies.us
2012-08-17
[8]
웹사이트
Commonwealth visits since 1952
http://www.royal.gov[...]
Official website of the British monarchy
2015-11-29
[9]
서적
Economic policy in Sri Lanka: Issues and Debates
SAGE
[10]
웹사이트
Dominion of Ceylon definition of Dominion of Ceylon in the Free Online Encyclopedia
http://encyclopedia2[...]
Encyclopedia2.thefreedictionary.com
2012-08-17
[11]
웹사이트
Sri Lanka : Independent Ceylon (1948–71)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s://www.britanni[...]
Britannica.com
1948-02-04
[12]
웹사이트
History of Ceylon Tea
http://www.eswaran.c[...]
2010-03-27
[13]
웹사이트
Features
http://www.priu.gov.[...]
Priu.gov.lk
2012-08-17
[14]
웹사이트
Sri Lanka – Land Tenure
http://www.country-d[...]
Country-data.com
2012-08-17
[15]
웹사이트
Ceylon (Coins)
http://www.bearscoin[...]
2010-02-07
[16]
뉴스
No Ceylon Devaluation
https://www.nytimes.[...]
1966-06-08
[17]
웹사이트
Establishment, Sri Lanka Army
http://army.lk/org.p[...]
2006-02-04
[18]
웹사이트
Sergei de Silva-Ranasinghe looks back at the early days of the Sri Lanka Army
http://www.sundaytim[...]
2010-03-30
[19]
웹사이트
An evolving army and its role through time
http://www.sundaytim[...]
Plus
2010-03-30
[20]
웹사이트
The Night of April 5th
http://www.airforce.[...]
2009-02-09
[21]
웹사이트
Air Attack
http://www.airforce.[...]
2009-02-08
[22]
웹사이트
Helitours
http://www.airforce.[...]
2008-01-18
[23]
문서
The Sri Lanka Independence Act 1947
[24]
웹사이트
International treaties
https://docs.google.[...]
2017-03-21
[25]
서적
Ceylon
https://archive.org/[...]
[26]
서적
Communal Politics under the Donoughmore constitution
Tsiisara Prakasakyo
1982
[27]
웹인용
Welcome to UTHR, Sri Lanka
http://www.uthr.org/[...]
2010-02-16
[28]
웹인용
Dominion of Ceylon definition of Dominion of Ceylon in the Free Online Encyclopedia
http://encyclopedia2[...]
Encyclopedia2.thefreedictionary.com
2012-08-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