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십국춘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국춘추》는 오대 십국 시대의 역사를 기록한 총 116권의 사서이다. 오(吳), 남당(南唐), 전촉(前蜀), 후촉(後蜀), 남한(南漢), 초(楚), 오월(吳越), 민(閩), 형남(荊南), 북한(北漢) 등 십국의 역사와 함께, 연표, 계보, 지리, 번진, 백관 등을 정리한 표 6권, 습유 1권, 비고 1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십국춘추》는 기존의 정사에서 부족했던 십국 관련 정보를 보완하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지만, 야사 등 다양한 출처를 활용하여 기록의 객관성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역사책 - 에린 왕국 편년사
    《에린 왕국 편년사》는 17세기 초 아일랜드의 혼란 속에서 게일 문화 보존을 위해 "네 명의 수도사"가 편찬한 역사 연대기로, 기원전 2952년부터 서기 1616년까지의 아일랜드 역사를 게일 귀족의 관점에서 기록한 중요한 사료이다.
  • 명수 10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은 1967년 반공주의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5개국이 설립한 국제기구로, 냉전 종식 후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가 가입하여 현재 10개국 체제를 유지하며 경제 통합 및 동아시아 지역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나, 역내외 안보 및 인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명수 10 - 십상시
    십상시는 후한 영제 시기에 권력을 장악하고 부패를 저지르며 백성을 수탈하다가 하진을 살해하고 난을 일으켰으나 원소에게 몰락하여 후한 왕조 멸망을 가속화시킨 환관 12명을 지칭한다.
  • 중국의 역사책 - 자치통감
    사마광이 편찬한 《자치통감》은 기원전 403년부터 959년까지 1362년간의 중국 역사를 연대순으로 기록한 294권의 방대한 편년체 역사서로, 통치자들의 흥망성쇠를 통해 정치적 교훈을 제시하고 다양한 시각과 사마광의 역사관을 담아 송대 이후 역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역사책 - 춘추좌씨전
    《춘추좌씨전》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춘추 시대의 사건들을 노나라의 관점에서 서술하며, 문학적 가치 또한 높이 평가받는다.
십국춘추 - [서적]에 관한 문서
개요
제목(한자)十國春秋
제목(병음)Shí Guó Chūnqiū
저자오런첸(吳任臣)
국가청나라
언어한문
주제십국의 역사
출판 시기17세기

2. 구성

십국춘추는 총 116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기, 세가, 열전, 표, 습유, 비고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 오 (吳)

십국춘추는 총 14권으로, 세가(본기) 3권, 열전 11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가(본기)는 태조 세가, 열조 세가, 고조 세가, 예제 본기로 구성되어 있다. 열전에는 원습(袁襲), 고욱(高勗), 대우규(戴友規), 이신복(李神福), 장훈(張訓), 도아(陶雅), 유위(劉威), 대몽(臺濛), 이우(李遇), 이간(李簡) 등이 포함된다. 또한 서온전도 열전에 포함되어 있다.

### 남당 (南唐)

총 2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기(本紀) 3권, 열전(列傳) 17권이다. 세부 구성은 다음과 같다.

남당
제목시기(음력)비고
권15열조 본기(烈祖本紀)
권16원종 본기(元宗本紀)
권17후주 본기(後主本紀)
권18열조 후비(烈祖 后妃)/원종 후비(元宗 后妃)
(열조)<순비 왕씨(順妃 王氏), 원경황후 송씨(元敬皇后 宋氏), 부인 종씨(夫人 種氏)>/(원종)<광목황후 종씨(光穆皇后 鍾氏), 오국태부인 능씨(吳國太夫人 凌氏)>
후주 후비(後主 后妃)
소혜황후 주씨(昭惠國后 周氏), 계국후 주씨(繼國后 周氏), 보의 황씨(保儀 黃氏), 궁인 류주(宮人 流珠),교씨(喬氏)<추수(秋水), 요랑(窅娘)>
권19열조(烈祖) 황자
초정왕 경천(楚定王 景遷), 진문성왕 경수(晉文成王 景遂), 제소효왕 경달(齊昭孝王 景達),강소순왕 경적(江昭順王 景逷)<자 이계조(李季操)>
열조(烈祖) 종자(從子)
진릉공 경매(晉陵公 景邁), 상요공 경손(上饒公 景遜), 계양공 경막(桂陽公 景邈), 평양공 경일(平陽公 景逸)
원종(元宗) 황자
문헌태자 홍기(文獻太子 弘冀), 경왕 홍무(慶王 弘茂), 남초국공 종선(南楚國公 從善)<자 이중상(李仲翔), 이중유(李仲猷)>, 강국공 종일(江國公 從鎰),
악국공 종겸(鄂國公 從謙)<자 이중언(李仲偃)>, 소평군공 종도(邵平郡公 從度), 문양군공 종신(文陽郡公 從信)
후주(後主) 황자
청원군공 중우(淸源郡公 仲寓)<자 이정언(李正言)>, 기회헌왕 중선(岐懷獻王 仲宣)
열조(烈祖) 종자(從子)>
이중원(李仲遠), 이중흥(李仲興), 이중위(李仲偉), 이중강(李仲康), 이중?(李仲?)
열조(烈祖) 황녀/원종(元宗) 황녀
열조제녀(烈祖諸女), 태녕공주(太寧公主), 이방의(李芳儀)
권20서지증(徐知證), 서지악(徐知諤), 서유(徐游), 송제구(宋齊丘)
권21주종(周宗), 이건훈(李建勳), 서개(徐玠), 마인유(馬仁裕)<자 마문의(馬文義)>, 조언능(刁彦能)<자 조간(刁衎)>, 유간언(游簡言), 두업(杜業), 손한위(孫漢威), 장거영(張居咏), 장연한(張延翰)
권22왕숭문(王崇文), 왕언주(王彦儔), 하경주(何敬洙), 시극굉(柴克宏), 변호(邊鎬), 왕건봉(王建封), 유숭준(劉崇俊), 유언정(劉彦貞), 주광업(朱匡業)
권23엄속(嚴續), 상몽석(常夢錫), 장정익(蔣廷翊), 요경(姚景), 진기(陳起), 가숭(賈崇), 공승용(公乘鎔), 왕중련(王仲連)
권24이금전(李金全), 노문진(盧文進), 맹견(孟堅), 장회(張誨)<(자 장덕성(張德誠)>, 임인조(林仁肇), 황보 휘(皇甫 暉)<자 황보 계훈(皇甫 繼勳)>, 이평(李平), 주원(朱元)
권25장역(張易), 소엄(蕭儼), 장의방(張義方), 강문위(江文蔚), 이이업(李貽業), 구양 광(歐陽 廣), 교광순(喬匡舜), 장필(張泌), 왕환(汪煥)
권26진각(陳覺), 이징고(李徵古), 위잠(魏岑), 풍연사(馮延巳), 풍연로(馮延魯), 사문휘(査文徽)<자 사원방(査元方)>, 종모(鍾謨), 이덕명(李德明)
권27반우(潘佑), 요거소(廖居素), 조인택(趙仁澤), 단처상(段處常), 손성(孫晟), 유인첨(劉仁瞻), 장언경(張彦卿), 이연추(李延鄒),
주홍조(周弘祚), 진교(陳喬), 종천(鍾蒨), 괘언(咼彦), 요징(廖澄), 장웅(張雄), 호칙(胡則), 신도영견(申屠令堅)<유무충(劉茂忠)>)
권28한희제(韓熙載), 서현(徐鉉), 서개(徐鍇), 고월(高越)<조카 고원(高遠)>, 은숭의(殷崇義), 괴오(蒯鼇), 곽소경(郭昭慶), 노영(盧郢), 장료(章僚)
권29노숭범(魯崇範), 모병(毛炳), 소졸(邵拙), 황재(黃載), 주존(朱存), 주필(朱弼), 심빈(沈彬), 사허백(史虛白), 진도(陳陶), 진황(陳貺),
정원소(鄭元素), 요응(廖凝), 홍문용(洪文用), 하부(何溥), 사청(謝淸), 이원청(李元淸), 노광(盧珖), 허광대(許光大), 진포(陳褒),
안후(顔詡), 허규(許規)<자 허적(許逖)>, 구양 침(歐陽 郴), 종리군(鍾離君), 오원(吳媛), 섭씨(聶氏), 공씨 2녀(龔氏 二女)
권30곽정위(郭廷謂), 주영윤(朱令贇), 진대아(陳大雅), (노강盧絳), 오중거(吳仲擧), 육소부(陸昭符), 반신수(潘愼脩), 장필(張泌),
공신의(龔愼儀), 주유간(周惟簡), 장계(張洎), 정언화(鄭彦華)<자 정문실(鄭文實)>, 유징(劉澄), 이덕유(李德柔), 유승훈(劉承勳)
권31손방(孫魴), 주빈(周彬), 호원구(胡元龜), 오교(伍喬), 강인걸(康仁傑), 여최(余璀), 유동(劉洞)<하망송(夏望松)>, 서아(舒雅), 진원량(陳元亮), 장유빈(張惟彬), 구욱(丘旭), 나영(羅潁),
오숙(吳淑), 진팽년(陳彭年), 위우(魏羽), 홍경원(洪慶元), 응용(應用)<왕문병(王文秉)>, 주징(朱澄)<고태충(高太沖)>, 도수구(陶守丘), 고굉중(顧閎中), 매행사(梅行思), 조중원(曹仲元),
주문구(周文矩), 고덕겸(顧德謙), 여소경(厲昭慶), 동원(董源), 서희(徐熙), 해처중(解處中)<한간(韓幹)>, 동우(董羽), 위현(衛賢)<왕제한(王齊翰), 채윤행(蔡潤竹), 몽송(夢松)>)
권32배장사(裴長史), 서유문(徐幼文), 점몽승(占夢僧), 오정소(吳廷紹), 이연규(李延珪), 어주(御廚),
양화비(楊花飛)<양명고(楊明高)>, 이가명(李家明), 왕감화(王感化), 이관(李冠), 팽이용(彭利用)
권33승 휴복(僧休復), 승 무은(僧無殷), 승 연덕(僧緣德), 목평화상(木平和尙), 승 응지(僧應之), 승 문익(僧文益), 승 심(僧深), 승 혜랑(僧慧朗), 승 지명(僧智明),
행인선사(行因禪師), 승 청품(僧淸稟), 승 행언(僧行言), 승 지균(僧智筠), 승 문수(僧文遂), 승 광일(僧匡逸), 승 수납(僧守訥), 승 현적(僧玄寂), 소장노(小長老)
권34왕서하(王栖霞), 진윤승(陳允升), 사수충(史守沖), 담초(譚峭), 반의(潘扆), 진서(陳曙), 허견(許堅), 섭소원(聶紹元), 경선생(耿先生), 양보종(楊保宗)



### 전촉 (前蜀)

총 1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조 본기(本紀) 상, 하 2권과 후주 본기 1권, 총 3권의 본기(本紀)와 열전(列傳)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 후촉 (後蜀)

총 1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기 2권, 열전 8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colspan="2"|제목시기(음력)비고
권48후촉1고조 본기(高祖本紀)
권49후촉2후주 본기(後主本紀)



colspan="2"|목록비고
권50후촉3<후비(后妃)>
권51후촉4조계량(趙季良), 조정은(趙廷隱), 이인한(李仁罕), 장업(張業), 이조(李肇), 후홍실(侯弘實), 장공탁(張公鐸), 방복성(龐福誠),
권52후촉5왕처회(王處回), 무소예(毋昭裔), 이호(李昊), 서광부(徐光溥), 범인여(范仁恕), 구양 회(歐陽 迴)
권53후촉6구양 빈(歐陽 彬), 이여실(李如實), 하찬(何瓚), 가악(賈鄂), 범우칭(范禹偁), 무수소(毋守素), 유고(劉暠), 다악(多岳), 유보예(劉保乂), 이광원(李匡遠), 위하(韋嘏), 왕귀(王歸),
권54후촉7행인손(幸寅遜), 장구령(章九齡), 이기(李起), 진급지(陳及之), 전순(田淳), 장원(張元), 범문통(范文通), 정숭아(程崇雅), 손흠(孫欽), 왕환(王環), 조숭포(趙崇浦), 고언주(高彦儔)
권55후촉8조숭도(趙崇韜), 한보정(韓保貞), 이정규(李廷珪), 이심징(伊審徵), 용경소(龍景昭), 조자(趙玼), 고풍(高諷),
권56후촉9위곡(韋穀), 구양 형(歐陽 炯), 고형(顧夐), 영호교(令狐嶠), 향찬(向瓚), 구중정(句中正), 손봉길(孫逢吉), 녹건의(鹿虔扆), 염선(閻選), 조문공(趙文拱), 왕중부(王中孚), 문곡(文谷),
권57후촉10주중명(周仲明), 호온(胡韞), 우도(虞洮), 양천도(楊千度), 양수진(梁守珍), 안사겸(安思謙), 왕소원(王昭遠), 조언도(趙彦韜), 승 효미(僧 曉微), 승 가붕(僧 可朋), 승 인현(僧 仁顯),



### 남한 (南漢)

십국춘추》는 총 9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가(본기) 3권과 열전 6권으로 나뉜다.

제목시기(음력)비고
권58남한1열종 세가(烈宗世家)
고조 본기(高祖本紀)
권59남한2상제 본기(殤帝本紀)
중종 본기(中宗本紀)
권60남한3후주 본기(後主本紀)
권61남한4대조 후비(代祖 后妃)/고조 후비(高祖 后妃)
(대조)<무황후 위씨(武皇后 韋氏), 부인 단씨(夫人 段氏)>/(고조)<황후 마씨(皇后 馬氏), 태비 조씨(太妃 趙氏)>
중종 후비(中宗 后妃)/후주 후비(後主 后妃)
(중종)<여비 이씨(麗妃 李氏), 이섬비(李蟾妃)>/(후주)<귀비 이씨(貴妃 李氏), 미인 이씨(美人 李氏)소형/素馨중국어>, 파사녀(波斯女), 노경선(盧瓊仙)>
고조 황자(高祖 皇子)
옹왕 요추(雍王 耀樞), 강왕 구도(康王 龜圖), 월왕 홍창(越王 弘昌), 제왕 홍필(齊王 弘弼), 소왕 홍아(韶王 弘雅), 진왕 홍택(鎭王 弘澤), 만왕 홍조(萬王 弘操),
순왕 홍고(循王 弘杲), 사왕 홍휘(恩王 弘暐), 고왕 홍막(高王 弘邈), 동왕 홍간(同王 弘簡), 익왕 홍건(益王 弘建), 변왕 홍제(辨王 弘濟), 귀왕 홍도(貴王 弘道),
의왕 홍조(宜王 弘照), 통왕 홍정(通王 弘政), 정왕 홍익(定王 弘益)
중종 황자(中宗 皇子)
계왕 선흥(桂王 琁興), 형왕 경흥(荊王 慶興), 정왕 보흥(楨王 保興), 매왕 숭흥(梅王 崇興)
후주 황자(後主 皇子)
유수절(劉守節), 유수정(劉守正)<유극창(劉克昌), 유국창(劉國昌)>, 유수소(劉守素), 유수통(劉守通)
열종 황녀(烈宗 皇女)
증성공주(增城公主)
권62남한5조광예(趙光裔), 양동잠(楊洞濳), 이은형(李殷衡), 예서(倪曙), 하택(何澤), 유준(劉濬), 진용졸(陳用拙), 왕정보(王定保), 주걸(周傑), 조손(趙損), 황손(黃損)
권63남한6소장(蘇章), 양극정(梁克貞)<이수용(李守鄘)>, 정보(程寶), 손덕위(孫德威), 왕굉(王宏), 양숭(梁嵩), 왕후(王詡), 장영(張瀛), 하전(何瑱),
유당(劉瑭), 하사(何詞), 이서(李紓), 정고(鄭翱), 후융(侯融), 소익(蕭益), 왕린(王翷), 소규(蕭規), 손혜(孫惠), 등소영(滕紹英), 만경흔(萬景忻)
권64남한7진악(陳偓), 노응(盧膺), 등신(鄧伸), 이여(李璵), 오회은(吳懷恩), 오순(吳恂), 사관(謝貫), 간문회(簡文會), 종윤장(鍾允章), 유박고(劉博古), 증방(曾芳), 사걸(謝傑)
권65남한8기언윤(暨彦贇), 육광도(陸光圖), 소정현(邵廷琄), 반숭철(潘崇徹), 오언유(伍彦柔), 노지(盧枝), 이승악(李承渥), 곽숭악(郭崇岳)<식정효(植廷曉)>, 종유장(鍾有章),
설용비(薛用丕), 왕규(王珪), 황덕소(黃德昭), 소각(蕭㴶), 탁유후(卓惟休), 주무원(周茂元), 풍원(馮元), 이정공(李廷珙), 주위(周渭), 당승유(唐承裕), 낙숭찬(駱崇璨),
호만경(胡萬頃), 임초재(林楚材), 진지녀(陳志女), 막전(莫筌), 담씨 2녀(譚氏二女), 뇌씨(牢氏)
권66남한9임연우(林延遇), 공등추(龔澄樞), 허언진(許彦眞), 진연수(陳延壽), 이탁(李托), 설숭예(薛崇譽), 여연업(余延業), 조순절(趙純節), 장우현(張遇賢),
진도상(陳道庠), 광남승(廣南僧), 승 여민(僧 如敏), 승 문언(僧 文偃), 승 자상(僧 子祥), 황보송(黃步松), 황려(黃勵), 감전(甘佃), 막공(莫公)



### 초 (楚)

총 10권으로, 세가 3권, 열전 7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colspan="2"|제목시기(음력)비고
권67초1무목왕 세가(武穆王世家)
권68초2형양왕 세가(衡陽王世家)
문소왕 세가(文昭王世家)
권69초3폐왕 세가(廢王世家)
공효왕 세가(恭孝王世家)
마희숭(馬希崇)



colspan="2"|목록비고
권70초4유언(劉言), 왕규(王逵), 주행봉(周行逢)<자 주보권(子保權)>
권71초5<무목왕 후비(武穆王 后妃)/형양왕 후비(衡陽王 后妃)>
(무목왕)<덕비 원씨(德妃 袁氏), 부인 진씨(夫人 陳氏), 부인 화씨(夫人 華氏)>/(형양왕)<부인 양씨(夫人 楊氏)>
<문소왕 후비(文昭王 后妃)/폐왕 후비(廢王 后妃)/공효왕 후비(恭孝王 后妃)>(문소왕)<순현부인 팽씨(順賢夫人 彭氏)>/(폐왕)<부인(夫人)>/(공효왕)<부인 원씨(夫人 苑氏)>
<무목왕 형제(武穆王 兄弟)>
마종(馬賨), 마존(馬存)
<무목왕 왕자(武穆王 王子)>
마희진(馬希振)<자 광혜(子 馬光惠)>, 마희왕(馬希旺), 마희고(馬希杲), 마희첨(馬希瞻), 마희능(馬希能), 마희관(馬希貫), 마희은(馬希隱), 마희준(馬希濬), 마희지(馬希知), 마희랑(馬希朗)
<문소왕 왕자(文昭王 王子)/폐왕 왕자(廢王 王子)/공효왕 왕자(恭孝王 王子)>
(공효왕)<마광찬(馬光贊)>
,
권72초6장길(張佶), 장훈(蔣勛), 요언장(姚彦章), 허덕훈(許德勳), 이경(李瓊), 진언휘(秦彦暉), 왕환(王環), 고욱(高郁), 이당(李唐),
양정진(楊定眞), 원전(袁詮), 여사주(呂師周), 원매(苑玫), 이탁(李鐸), 하치옹(何致雍), 황손(黃損), 반기(潘起)
권73초7팽간(彭玕), 당세민(唐世旻), 유창로(劉昌魯), 방거소(龐巨昭), 탁발 항(拓跋 恆), 서중아(徐仲雅), 유경(劉勍), 장소적(張少敵),
요광도(廖匡圖)<제 요광제(廖匡齊)>,정사근(丁思覲), 대언(戴偃), 하중거(何仲擧), 유소우(劉昭禹), 석문덕(石文德), 임숭희(林崇禧), 노순미(路洵美)
권74초8이홍고(李弘皐), 이홍절(李弘節), 등의문(鄧懿文), 왕윤(王贇), 맹변(孟駢), 구홍련(歐弘練), 오홍(吳弘), 양척(楊滌), 팽사고(彭師暠), 요언(廖偃), 유언도(劉彦瑫), 허가경(許可瓊)
권75초9이령(李令), 후원량(侯元亮), 왕동(王仝), 소악(邵岳), 주보광(朱葆光), 도영(陶英), 황비궁(黃匪躬), 맹빈우(孟賓于), 옹굉(翁宏), 요융(廖融), 왕원(王元),
오빈(伍彬), 주준도(朱遵度), 유창사(劉昌嗣), 하경산(何景山), 강례(江澧), 등순미(鄧洵美), 이관상(李觀象), 조연(曹衍)<소모(蕭某), 졸장(卒長)>
권76초10부언통(符彦通), 하경진(何敬眞), 손랑(孫朗), 장방(張倣), 장문표(張文表), 승 거둔(僧 居遁), 승 홍도(僧 洪道),
보자장로(報慈長老), 승 허중(僧 虛中), 지총선사(至聰禪師), 팽유겸(彭幼謙), 이용창(伊用昌)



### 오월 (吳越)

총 1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가(世家) 6권, 열전(列傳) 7권으로 나뉜다.

{| class="wikitable"

|-

! 권

! 제목

! 시기(음력)

! 비고

|-

| 권77

| 오월1

|

| 무숙왕 세가(武肅王世家) 上

|-

| 권78

| 오월2

|

| 무숙왕 세가(武肅王世家) 下

|-

| 권79

| 오월3

|

| 문목왕 세가(文穆王世家)

|-

| 권80

| 오월4

|

| 충헌왕 세가(忠獻王世家)
충손왕

2. 1. 각 국별 구성



### 오 (吳)

십국춘추는 총 14권으로, 세가(본기) 3권, 열전 11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가(본기)는 태조 세가, 열조 세가, 고조 세가, 예제 본기로 구성되어 있다. 열전에는 원습(袁襲), 고욱(高勗), 대우규(戴友規), 이신복(李神福), 장훈(張訓), 도아(陶雅), 유위(劉威), 대몽(臺濛), 이우(李遇), 이간(李簡) 등이 포함된다. 또한 서온전도 열전에 포함되어 있다.

### 남당 (南唐)

총 2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기(本紀) 3권, 열전(列傳) 17권이다. 세부 구성은 다음과 같다.

남당
제목시기(음력)비고
권15열조 본기(烈祖本紀)
권16원종 본기(元宗本紀)
권17후주 본기(後主本紀)
권18열조 후비(烈祖 后妃)/원종 후비(元宗 后妃)
(열조)<순비 왕씨(順妃 王氏), 원경황후 송씨(元敬皇后 宋氏), 부인 종씨(夫人 種氏)>/(원종)<광목황후 종씨(光穆皇后 鍾氏), 오국태부인 능씨(吳國太夫人 凌氏)>
후주 후비(後主 后妃)
소혜황후 주씨(昭惠國后 周氏), 계국후 주씨(繼國后 周氏), 보의 황씨(保儀 黃氏), 궁인 류주(宮人 流珠),교씨(喬氏)<추수(秋水), 요랑(窅娘)>
권19열조(烈祖) 황자
초정왕 경천(楚定王 景遷), 진문성왕 경수(晉文成王 景遂), 제소효왕 경달(齊昭孝王 景達),강소순왕 경적(江昭順王 景逷)<자 이계조(李季操)>
열조(烈祖) 종자(從子)
진릉공 경매(晉陵公 景邁), 상요공 경손(上饒公 景遜), 계양공 경막(桂陽公 景邈), 평양공 경일(平陽公 景逸)
원종(元宗) 황자
문헌태자 홍기(文獻太子 弘冀), 경왕 홍무(慶王 弘茂), 남초국공 종선(南楚國公 從善)<자 이중상(李仲翔), 이중유(李仲猷)>, 강국공 종일(江國公 從鎰),
악국공 종겸(鄂國公 從謙)<자 이중언(李仲偃)>, 소평군공 종도(邵平郡公 從度), 문양군공 종신(文陽郡公 從信)
후주(後主) 황자
청원군공 중우(淸源郡公 仲寓)<자 이정언(李正言)>, 기회헌왕 중선(岐懷獻王 仲宣)
열조(烈祖) 종자(從子)>
이중원(李仲遠), 이중흥(李仲興), 이중위(李仲偉), 이중강(李仲康), 이중?(李仲?)
열조(烈祖) 황녀/원종(元宗) 황녀
열조제녀(烈祖諸女), 태녕공주(太寧公主), 이방의(李芳儀)
권20서지증(徐知證), 서지악(徐知諤), 서유(徐游), 송제구(宋齊丘)
권21주종(周宗), 이건훈(李建勳), 서개(徐玠), 마인유(馬仁裕)<자 마문의(馬文義)>, 조언능(刁彦能)<자 조간(刁衎)>, 유간언(游簡言), 두업(杜業), 손한위(孫漢威), 장거영(張居咏), 장연한(張延翰)
권22왕숭문(王崇文), 왕언주(王彦儔), 하경주(何敬洙), 시극굉(柴克宏), 변호(邊鎬), 왕건봉(王建封), 유숭준(劉崇俊), 유언정(劉彦貞), 주광업(朱匡業)
권23엄속(嚴續), 상몽석(常夢錫), 장정익(蔣廷翊), 요경(姚景), 진기(陳起), 가숭(賈崇), 공승용(公乘鎔), 왕중련(王仲連)
권24이금전(李金全), 노문진(盧文進), 맹견(孟堅), 장회(張誨)<(자 장덕성(張德誠)>, 임인조(林仁肇), 황보 휘(皇甫 暉)<자 황보 계훈(皇甫 繼勳)>, 이평(李平), 주원(朱元)
권25장역(張易), 소엄(蕭儼), 장의방(張義方), 강문위(江文蔚), 이이업(李貽業), 구양 광(歐陽 廣), 교광순(喬匡舜), 장필(張泌), 왕환(汪煥)
권26진각(陳覺), 이징고(李徵古), 위잠(魏岑), 풍연사(馮延巳), 풍연로(馮延魯), 사문휘(査文徽)<자 사원방(査元方)>, 종모(鍾謨), 이덕명(李德明)
권27반우(潘佑), 요거소(廖居素), 조인택(趙仁澤), 단처상(段處常), 손성(孫晟), 유인첨(劉仁瞻), 장언경(張彦卿), 이연추(李延鄒),
주홍조(周弘祚), 진교(陳喬), 종천(鍾蒨), 괘언(咼彦), 요징(廖澄), 장웅(張雄), 호칙(胡則), 신도영견(申屠令堅)<유무충(劉茂忠)>)
권28한희제(韓熙載), 서현(徐鉉), 서개(徐鍇), 고월(高越)<조카 고원(高遠)>, 은숭의(殷崇義), 괴오(蒯鼇), 곽소경(郭昭慶), 노영(盧郢), 장료(章僚)
권29노숭범(魯崇範), 모병(毛炳), 소졸(邵拙), 황재(黃載), 주존(朱存), 주필(朱弼), 심빈(沈彬), 사허백(史虛白), 진도(陳陶), 진황(陳貺),
정원소(鄭元素), 요응(廖凝), 홍문용(洪文用), 하부(何溥), 사청(謝淸), 이원청(李元淸), 노광(盧珖), 허광대(許光大), 진포(陳褒),
안후(顔詡), 허규(許規)<자 허적(許逖)>, 구양 침(歐陽 郴), 종리군(鍾離君), 오원(吳媛), 섭씨(聶氏), 공씨 2녀(龔氏 二女)
권30곽정위(郭廷謂), 주영윤(朱令贇), 진대아(陳大雅), (노강盧絳), 오중거(吳仲擧), 육소부(陸昭符), 반신수(潘愼脩), 장필(張泌),
공신의(龔愼儀), 주유간(周惟簡), 장계(張洎), 정언화(鄭彦華)<자 정문실(鄭文實)>, 유징(劉澄), 이덕유(李德柔), 유승훈(劉承勳)
권31손방(孫魴), 주빈(周彬), 호원구(胡元龜), 오교(伍喬), 강인걸(康仁傑), 여최(余璀), 유동(劉洞)<하망송(夏望松)>, 서아(舒雅), 진원량(陳元亮), 장유빈(張惟彬), 구욱(丘旭), 나영(羅潁),
오숙(吳淑), 진팽년(陳彭年), 위우(魏羽), 홍경원(洪慶元), 응용(應用)<왕문병(王文秉)>, 주징(朱澄)<고태충(高太沖)>, 도수구(陶守丘), 고굉중(顧閎中), 매행사(梅行思), 조중원(曹仲元),
주문구(周文矩), 고덕겸(顧德謙), 여소경(厲昭慶), 동원(董源), 서희(徐熙), 해처중(解處中)<한간(韓幹)>, 동우(董羽), 위현(衛賢)<왕제한(王齊翰), 채윤행(蔡潤竹), 몽송(夢松)>)
권32배장사(裴長史), 서유문(徐幼文), 점몽승(占夢僧), 오정소(吳廷紹), 이연규(李延珪), 어주(御廚),
양화비(楊花飛)<양명고(楊明高)>, 이가명(李家明), 왕감화(王感化), 이관(李冠), 팽이용(彭利用)
권33승 휴복(僧休復), 승 무은(僧無殷), 승 연덕(僧緣德), 목평화상(木平和尙), 승 응지(僧應之), 승 문익(僧文益), 승 심(僧深), 승 혜랑(僧慧朗), 승 지명(僧智明),
행인선사(行因禪師), 승 청품(僧淸稟), 승 행언(僧行言), 승 지균(僧智筠), 승 문수(僧文遂), 승 광일(僧匡逸), 승 수납(僧守訥), 승 현적(僧玄寂), 소장노(小長老)
권34왕서하(王栖霞), 진윤승(陳允升), 사수충(史守沖), 담초(譚峭), 반의(潘扆), 진서(陳曙), 허견(許堅), 섭소원(聶紹元), 경선생(耿先生), 양보종(楊保宗)



### 전촉 (前蜀)

총 1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조 본기(本紀) 상, 하 2권과 후주 본기 1권, 총 3권의 본기(本紀)와 열전(列傳)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 후촉 (後蜀)

총 1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기 2권, 열전 8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colspan="2"|제목시기(음력)비고
권48후촉1고조 본기(高祖本紀)
권49후촉2후주 본기(後主本紀)



colspan="2"|목록비고
권50후촉3<후비(后妃)>
권51후촉4조계량(趙季良), 조정은(趙廷隱), 이인한(李仁罕), 장업(張業), 이조(李肇), 후홍실(侯弘實), 장공탁(張公鐸), 방복성(龐福誠),
권52후촉5왕처회(王處回), 무소예(毋昭裔), 이호(李昊), 서광부(徐光溥), 범인여(范仁恕), 구양 회(歐陽 迴)
권53후촉6구양 빈(歐陽 彬), 이여실(李如實), 하찬(何瓚), 가악(賈鄂), 범우칭(范禹偁), 무수소(毋守素), 유고(劉暠), 다악(多岳), 유보예(劉保乂), 이광원(李匡遠), 위하(韋嘏), 왕귀(王歸),
권54후촉7행인손(幸寅遜), 장구령(章九齡), 이기(李起), 진급지(陳及之), 전순(田淳), 장원(張元), 범문통(范文通), 정숭아(程崇雅), 손흠(孫欽), 왕환(王環), 조숭포(趙崇浦), 고언주(高彦儔)
권55후촉8조숭도(趙崇韜), 한보정(韓保貞), 이정규(李廷珪), 이심징(伊審徵), 용경소(龍景昭), 조자(趙玼), 고풍(高諷),
권56후촉9위곡(韋穀), 구양 형(歐陽 炯), 고형(顧夐), 영호교(令狐嶠), 향찬(向瓚), 구중정(句中正), 손봉길(孫逢吉), 녹건의(鹿虔扆), 염선(閻選), 조문공(趙文拱), 왕중부(王中孚), 문곡(文谷),
권57후촉10주중명(周仲明), 호온(胡韞), 우도(虞洮), 양천도(楊千度), 양수진(梁守珍), 안사겸(安思謙), 왕소원(王昭遠), 조언도(趙彦韜), 승 효미(僧 曉微), 승 가붕(僧 可朋), 승 인현(僧 仁顯),



### 남한 (南漢)

십국춘추》는 총 9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가(본기) 3권과 열전 6권으로 나뉜다.

제목시기(음력)비고
권58남한1열종 세가(烈宗世家)
고조 본기(高祖本紀)
권59남한2상제 본기(殤帝本紀)
중종 본기(中宗本紀)
권60남한3후주 본기(後主本紀)
권61남한4대조 후비(代祖 后妃)/고조 후비(高祖 后妃)
(대조)<무황후 위씨(武皇后 韋氏), 부인 단씨(夫人 段氏)>/(고조)<황후 마씨(皇后 馬氏), 태비 조씨(太妃 趙氏)>
중종 후비(中宗 后妃)/후주 후비(後主 后妃)
(중종)<여비 이씨(麗妃 李氏), 이섬비(李蟾妃)>/(후주)<귀비 이씨(貴妃 李氏), 미인 이씨(美人 李氏)소형/素馨중국어>, 파사녀(波斯女), 노경선(盧瓊仙)>
고조 황자(高祖 皇子)
옹왕 요추(雍王 耀樞), 강왕 구도(康王 龜圖), 월왕 홍창(越王 弘昌), 제왕 홍필(齊王 弘弼), 소왕 홍아(韶王 弘雅), 진왕 홍택(鎭王 弘澤), 만왕 홍조(萬王 弘操),
순왕 홍고(循王 弘杲), 사왕 홍휘(恩王 弘暐), 고왕 홍막(高王 弘邈), 동왕 홍간(同王 弘簡), 익왕 홍건(益王 弘建), 변왕 홍제(辨王 弘濟), 귀왕 홍도(貴王 弘道),
의왕 홍조(宜王 弘照), 통왕 홍정(通王 弘政), 정왕 홍익(定王 弘益)
중종 황자(中宗 皇子)
계왕 선흥(桂王 琁興), 형왕 경흥(荊王 慶興), 정왕 보흥(楨王 保興), 매왕 숭흥(梅王 崇興)
후주 황자(後主 皇子)
유수절(劉守節), 유수정(劉守正)<유극창(劉克昌), 유국창(劉國昌)>, 유수소(劉守素), 유수통(劉守通)
열종 황녀(烈宗 皇女)
증성공주(增城公主)
권62남한5조광예(趙光裔), 양동잠(楊洞濳), 이은형(李殷衡), 예서(倪曙), 하택(何澤), 유준(劉濬), 진용졸(陳用拙), 왕정보(王定保), 주걸(周傑), 조손(趙損), 황손(黃損)
권63남한6소장(蘇章), 양극정(梁克貞)<이수용(李守鄘)>, 정보(程寶), 손덕위(孫德威), 왕굉(王宏), 양숭(梁嵩), 왕후(王詡), 장영(張瀛), 하전(何瑱),
유당(劉瑭), 하사(何詞), 이서(李紓), 정고(鄭翱), 후융(侯融), 소익(蕭益), 왕린(王翷), 소규(蕭規), 손혜(孫惠), 등소영(滕紹英), 만경흔(萬景忻)
권64남한7진악(陳偓), 노응(盧膺), 등신(鄧伸), 이여(李璵), 오회은(吳懷恩), 오순(吳恂), 사관(謝貫), 간문회(簡文會), 종윤장(鍾允章), 유박고(劉博古), 증방(曾芳), 사걸(謝傑)
권65남한8기언윤(暨彦贇), 육광도(陸光圖), 소정현(邵廷琄), 반숭철(潘崇徹), 오언유(伍彦柔), 노지(盧枝), 이승악(李承渥), 곽숭악(郭崇岳)<식정효(植廷曉)>, 종유장(鍾有章),
설용비(薛用丕), 왕규(王珪), 황덕소(黃德昭), 소각(蕭㴶), 탁유후(卓惟休), 주무원(周茂元), 풍원(馮元), 이정공(李廷珙), 주위(周渭), 당승유(唐承裕), 낙숭찬(駱崇璨),
호만경(胡萬頃), 임초재(林楚材), 진지녀(陳志女), 막전(莫筌), 담씨 2녀(譚氏二女), 뇌씨(牢氏)
권66남한9임연우(林延遇), 공등추(龔澄樞), 허언진(許彦眞), 진연수(陳延壽), 이탁(李托), 설숭예(薛崇譽), 여연업(余延業), 조순절(趙純節), 장우현(張遇賢),
진도상(陳道庠), 광남승(廣南僧), 승 여민(僧 如敏), 승 문언(僧 文偃), 승 자상(僧 子祥), 황보송(黃步松), 황려(黃勵), 감전(甘佃), 막공(莫公)



### 초 (楚)

총 10권으로, 세가 3권, 열전 7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colspan="2"|제목시기(음력)비고
권67초1무목왕 세가(武穆王世家)
권68초2형양왕 세가(衡陽王世家)
문소왕 세가(文昭王世家)
권69초3폐왕 세가(廢王世家)
공효왕 세가(恭孝王世家)
마희숭(馬希崇)



colspan="2"|목록비고
권70초4유언(劉言), 왕규(王逵), 주행봉(周行逢)<자 주보권(子保權)>
권71초5<무목왕 후비(武穆王 后妃)/형양왕 후비(衡陽王 后妃)>
권72초6장길(張佶), 장훈(蔣勛), 요언장(姚彦章), 허덕훈(許德勳), 이경(李瓊), 진언휘(秦彦暉), 왕환(王環), 고욱(高郁), 이당(李唐),
양정진(楊定眞), 원전(袁詮), 여사주(呂師周), 원매(苑玫), 이탁(李鐸), 하치옹(何致雍), 황손(黃損), 반기(潘起)
권73초7팽간(彭玕), 당세민(唐世旻), 유창로(劉昌魯), 방거소(龐巨昭), 탁발 항(拓跋 恆), 서중아(徐仲雅), 유경(劉勍), 장소적(張少敵),
요광도(廖匡圖)<제 요광제(廖匡齊)>,정사근(丁思覲), 대언(戴偃), 하중거(何仲擧), 유소우(劉昭禹), 석문덕(石文德), 임숭희(林崇禧), 노순미(路洵美)
권74초8이홍고(李弘皐), 이홍절(李弘節), 등의문(鄧懿文), 왕윤(王贇), 맹변(孟駢), 구홍련(歐弘練), 오홍(吳弘), 양척(楊滌), 팽사고(彭師暠), 요언(廖偃), 유언도(劉彦瑫), 허가경(許可瓊)
권75초9이령(李令), 후원량(侯元亮), 왕동(王仝), 소악(邵岳), 주보광(朱葆光), 도영(陶英), 황비궁(黃匪躬), 맹빈우(孟賓于), 옹굉(翁宏), 요융(廖融), 왕원(王元),
오빈(伍彬), 주준도(朱遵度), 유창사(劉昌嗣), 하경산(何景山), 강례(江澧), 등순미(鄧洵美), 이관상(李觀象), 조연(曹衍)<소모(蕭某), 졸장(卒長)>
권76초10부언통(符彦通), 하경진(何敬眞), 손랑(孫朗), 장방(張倣), 장문표(張文表), 승 거둔(僧 居遁), 승 홍도(僧 洪道),
보자장로(報慈長老), 승 허중(僧 虛中), 지총선사(至聰禪師), 팽유겸(彭幼謙), 이용창(伊用昌)



### 오월 (吳越)

총 1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가(世家) 6권, 열전(列傳) 7권으로 나뉜다.

{| class="wikitable"

|-

! 권

! 제목

! 시기(음력)

! 비고

|-

| 권77

| 오월1

|

| 무숙왕 세가(武肅王世家) 上

|-

| 권78

| 오월2

|

| 무숙왕 세가(武肅王世家) 下

|-

| 권79

| 오월3

|

| 문목왕 세가(文穆王世家)

|-

| 권80

| 오월4

|

| 충헌왕 세가(忠獻王世家)
충손왕 세가(忠遜王世家)

|-

| 권81

| 오월5

|

| 충의왕 세가(忠懿王

2. 1. 1. 오 (吳)

십국춘추는 총 14권으로, 세가(본기) 3권, 열전 11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가(본기)는 태조 세가, 열조 세가, 고조 세가, 예제 본기로 구성되어 있다. 열전에는 원습(袁襲), 고욱(高勗), 대우규(戴友規), 이신복(李神福), 장훈(張訓), 도아(陶雅), 유위(劉威), 대몽(臺濛), 이우(李遇), 이간(李簡) 등이 포함된다. 또한 서온전도 열전에 포함되어 있다.

2. 1. 2. 남당 (南唐)

총 2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기(本紀) 3권, 열전(列傳) 17권이다. 세부 구성은 다음과 같다.

남당
제목시기(음력)비고
권15열조 본기(烈祖本紀)
권16원종 본기(元宗本紀)
권17후주 본기(後主本紀)
권18열조 후비(烈祖 后妃)/원종 후비(元宗 后妃)
(열조)<순비 왕씨(順妃 王氏), 원경황후 송씨(元敬皇后 宋氏), 부인 종씨(夫人 種氏)>/(원종)<광목황후 종씨(光穆皇后 鍾氏), 오국태부인 능씨(吳國太夫人 凌氏)>
후주 후비(後主 后妃)
소혜황후 주씨(昭惠國后 周氏), 계국후 주씨(繼國后 周氏), 보의 황씨(保儀 黃氏), 궁인 류주(宮人 流珠),교씨(喬氏)<추수(秋水), 요랑(窅娘)>
권19열조(烈祖) 황자
초정왕 경천(楚定王 景遷), 진문성왕 경수(晉文成王 景遂), 제소효왕 경달(齊昭孝王 景達),강소순왕 경적(江昭順王 景逷)<자 이계조(李季操)>
열조(烈祖) 종자(從子)
진릉공 경매(晉陵公 景邁), 상요공 경손(上饒公 景遜), 계양공 경막(桂陽公 景邈), 평양공 경일(平陽公 景逸)
원종(元宗) 황자
문헌태자 홍기(文獻太子 弘冀), 경왕 홍무(慶王 弘茂), 남초국공 종선(南楚國公 從善)<자 이중상(李仲翔), 이중유(李仲猷)>, 강국공 종일(江國公 從鎰),
악국공 종겸(鄂國公 從謙)<자 이중언(李仲偃)>, 소평군공 종도(邵平郡公 從度), 문양군공 종신(文陽郡公 從信)
후주(後主) 황자
청원군공 중우(淸源郡公 仲寓)<자 이정언(李正言)>, 기회헌왕 중선(岐懷獻王 仲宣)
열조(烈祖) 종자(從子)>
이중원(李仲遠), 이중흥(李仲興), 이중위(李仲偉), 이중강(李仲康), 이중?(李仲?)
열조(烈祖) 황녀/원종(元宗) 황녀
열조제녀(烈祖諸女), 태녕공주(太寧公主), 이방의(李芳儀)
권20서지증(徐知證), 서지악(徐知諤), 서유(徐游), 송제구(宋齊丘)
권21주종(周宗), 이건훈(李建勳), 서개(徐玠), 마인유(馬仁裕)<자 마문의(馬文義)>, 조언능(刁彦能)<자 조간(刁衎)>, 유간언(游簡言), 두업(杜業), 손한위(孫漢威), 장거영(張居咏), 장연한(張延翰)
권22왕숭문(王崇文), 왕언주(王彦儔), 하경주(何敬洙), 시극굉(柴克宏), 변호(邊鎬), 왕건봉(王建封), 유숭준(劉崇俊), 유언정(劉彦貞), 주광업(朱匡業)
권23엄속(嚴續), 상몽석(常夢錫), 장정익(蔣廷翊), 요경(姚景), 진기(陳起), 가숭(賈崇), 공승용(公乘鎔), 왕중련(王仲連)
권24이금전(李金全), 노문진(盧文進), 맹견(孟堅), 장회(張誨)<(자 장덕성(張德誠)>, 임인조(林仁肇), 황보 휘(皇甫 暉)<자 황보 계훈(皇甫 繼勳)>, 이평(李平), 주원(朱元)
권25장역(張易), 소엄(蕭儼), 장의방(張義方), 강문위(江文蔚), 이이업(李貽業), 구양 광(歐陽 廣), 교광순(喬匡舜), 장필(張泌), 왕환(汪煥)
권26진각(陳覺), 이징고(李徵古), 위잠(魏岑), 풍연사(馮延巳), 풍연로(馮延魯), 사문휘(査文徽)<자 사원방(査元方)>, 종모(鍾謨), 이덕명(李德明)
권27반우(潘佑), 요거소(廖居素), 조인택(趙仁澤), 단처상(段處常), 손성(孫晟), 유인첨(劉仁瞻), 장언경(張彦卿), 이연추(李延鄒),
주홍조(周弘祚), 진교(陳喬), 종천(鍾蒨), 괘언(咼彦), 요징(廖澄), 장웅(張雄), 호칙(胡則), 신도영견(申屠令堅)<유무충(劉茂忠)>)
권28한희제(韓熙載), 서현(徐鉉), 서개(徐鍇), 고월(高越)<조카 고원(高遠)>, 은숭의(殷崇義), 괴오(蒯鼇), 곽소경(郭昭慶), 노영(盧郢), 장료(章僚)
권29노숭범(魯崇範), 모병(毛炳), 소졸(邵拙), 황재(黃載), 주존(朱存), 주필(朱弼), 심빈(沈彬), 사허백(史虛白), 진도(陳陶), 진황(陳貺),
정원소(鄭元素), 요응(廖凝), 홍문용(洪文用), 하부(何溥), 사청(謝淸), 이원청(李元淸), 노광(盧珖), 허광대(許光大), 진포(陳褒),
안후(顔詡), 허규(許規)<자 허적(許逖)>, 구양 침(歐陽 郴), 종리군(鍾離君), 오원(吳媛), 섭씨(聶氏), 공씨 2녀(龔氏 二女)
권30곽정위(郭廷謂), 주영윤(朱令贇), 진대아(陳大雅), (노강盧絳), 오중거(吳仲擧), 육소부(陸昭符), 반신수(潘愼脩), 장필(張泌),
공신의(龔愼儀), 주유간(周惟簡), 장계(張洎), 정언화(鄭彦華)<자 정문실(鄭文實)>, 유징(劉澄), 이덕유(李德柔), 유승훈(劉承勳)
권31손방(孫魴), 주빈(周彬), 호원구(胡元龜), 오교(伍喬), 강인걸(康仁傑), 여최(余璀), 유동(劉洞)<하망송(夏望松)>, 서아(舒雅), 진원량(陳元亮), 장유빈(張惟彬), 구욱(丘旭), 나영(羅潁),
오숙(吳淑), 진팽년(陳彭年), 위우(魏羽), 홍경원(洪慶元), 응용(應用)<왕문병(王文秉)>, 주징(朱澄)<고태충(高太沖)>, 도수구(陶守丘), 고굉중(顧閎中), 매행사(梅行思), 조중원(曹仲元),
주문구(周文矩), 고덕겸(顧德謙), 여소경(厲昭慶), 동원(董源), 서희(徐熙), 해처중(解處中)<한간(韓幹)>, 동우(董羽), 위현(衛賢)<왕제한(王齊翰), 채윤행(蔡潤竹), 몽송(夢松)>)
권32배장사(裴長史), 서유문(徐幼文), 점몽승(占夢僧), 오정소(吳廷紹), 이연규(李延珪), 어주(御廚),
양화비(楊花飛)<양명고(楊明高)>, 이가명(李家明), 왕감화(王感化), 이관(李冠), 팽이용(彭利用)
권33승 휴복(僧休復), 승 무은(僧無殷), 승 연덕(僧緣德), 목평화상(木平和尙), 승 응지(僧應之), 승 문익(僧文益), 승 심(僧深), 승 혜랑(僧慧朗), 승 지명(僧智明),
행인선사(行因禪師), 승 청품(僧淸稟), 승 행언(僧行言), 승 지균(僧智筠), 승 문수(僧文遂), 승 광일(僧匡逸), 승 수납(僧守訥), 승 현적(僧玄寂), 소장노(小長老)
권34왕서하(王栖霞), 진윤승(陳允升), 사수충(史守沖), 담초(譚峭), 반의(潘扆), 진서(陳曙), 허견(許堅), 섭소원(聶紹元), 경선생(耿先生), 양보종(楊保宗)


2. 1. 3. 전촉 (前蜀)

총 1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조 본기(本紀) 상, 하 2권과 후주 본기 1권, 총 3권의 본기(本紀)와 열전(列傳) 1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2. 1. 4. 후촉 (後蜀)

총 1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기 2권, 열전 8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목시기(음력)비고
권48후촉1고조 본기(高祖本紀)
권49후촉2후주 본기(後主本紀)



###목록비고
권50후촉3<후비(后妃)>
권51후촉4조계량(趙季良), 조정은(趙廷隱), 이인한(李仁罕), 장업(張業), 이조(李肇), 후홍실(侯弘實), 장공탁(張公鐸), 방복성(龐福誠),
권52후촉5왕처회(王處回), 무소예(毋昭裔), 이호(李昊), 서광부(徐光溥), 범인여(范仁恕), 구양 회(歐陽 迴)
권53후촉6구양 빈(歐陽 彬), 이여실(李如實), 하찬(何瓚), 가악(賈鄂), 범우칭(范禹偁), 무수소(毋守素), 유고(劉暠), 다악(多岳), 유보예(劉保乂), 이광원(李匡遠), 위하(韋嘏), 왕귀(王歸),
권54후촉7행인손(幸寅遜), 장구령(章九齡), 이기(李起), 진급지(陳及之), 전순(田淳), 장원(張元), 범문통(范文通), 정숭아(程崇雅), 손흠(孫欽), 왕환(王環), 조숭포(趙崇浦), 고언주(高彦儔)
권55후촉8조숭도(趙崇韜), 한보정(韓保貞), 이정규(李廷珪), 이심징(伊審徵), 용경소(龍景昭), 조자(趙玼), 고풍(高諷),
권56후촉9위곡(韋穀), 구양 형(歐陽 炯), 고형(顧夐), 영호교(令狐嶠), 향찬(向瓚), 구중정(句中正), 손봉길(孫逢吉), 녹건의(鹿虔扆), 염선(閻選), 조문공(趙文拱), 왕중부(王中孚), 문곡(文谷),
권57후촉10주중명(周仲明), 호온(胡韞), 우도(虞洮), 양천도(楊千度), 양수진(梁守珍), 안사겸(安思謙), 왕소원(王昭遠), 조언도(趙彦韜), 승 효미(僧 曉微), 승 가붕(僧 可朋), 승 인현(僧 仁顯),


2. 1. 5. 남한 (南漢)

십국춘추》는 총 9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가(본기) 3권과 열전 6권으로 나뉜다.

제목시기(음력)비고
권58남한1열종 세가(烈宗世家)
고조 본기(高祖本紀)
권59남한2상제 본기(殤帝本紀)
중종 본기(中宗本紀)
권60남한3후주 본기(後主本紀)
권61남한4대조 후비(代祖 后妃)/고조 후비(高祖 后妃)
(대조)<무황후 위씨(武皇后 韋氏), 부인 단씨(夫人 段氏)>/(고조)<황후 마씨(皇后 馬氏), 태비 조씨(太妃 趙氏)>
중종 후비(中宗 后妃)/후주 후비(後主 后妃)
(중종)<여비 이씨(麗妃 李氏), 이섬비(李蟾妃)>/(후주)<귀비 이씨(貴妃 李氏), 미인 이씨(美人 李氏)소형/素馨중국어>, 파사녀(波斯女), 노경선(盧瓊仙)>
고조 황자(高祖 皇子)
옹왕 요추(雍王 耀樞), 강왕 구도(康王 龜圖), 월왕 홍창(越王 弘昌), 제왕 홍필(齊王 弘弼), 소왕 홍아(韶王 弘雅), 진왕 홍택(鎭王 弘澤), 만왕 홍조(萬王 弘操),
순왕 홍고(循王 弘杲), 사왕 홍휘(恩王 弘暐), 고왕 홍막(高王 弘邈), 동왕 홍간(同王 弘簡), 익왕 홍건(益王 弘建), 변왕 홍제(辨王 弘濟), 귀왕 홍도(貴王 弘道),
의왕 홍조(宜王 弘照), 통왕 홍정(通王 弘政), 정왕 홍익(定王 弘益)
중종 황자(中宗 皇子)
계왕 선흥(桂王 琁興), 형왕 경흥(荊王 慶興), 정왕 보흥(楨王 保興), 매왕 숭흥(梅王 崇興)
후주 황자(後主 皇子)
유수절(劉守節), 유수정(劉守正)<유극창(劉克昌), 유국창(劉國昌)>, 유수소(劉守素), 유수통(劉守通)
열종 황녀(烈宗 皇女)
증성공주(增城公主)
권62남한5조광예(趙光裔), 양동잠(楊洞濳), 이은형(李殷衡), 예서(倪曙), 하택(何澤), 유준(劉濬), 진용졸(陳用拙), 왕정보(王定保), 주걸(周傑), 조손(趙損), 황손(黃損)
권63남한6소장(蘇章), 양극정(梁克貞)<이수용(李守鄘)>, 정보(程寶), 손덕위(孫德威), 왕굉(王宏), 양숭(梁嵩), 왕후(王詡), 장영(張瀛), 하전(何瑱),
유당(劉瑭), 하사(何詞), 이서(李紓), 정고(鄭翱), 후융(侯融), 소익(蕭益), 왕린(王翷), 소규(蕭規), 손혜(孫惠), 등소영(滕紹英), 만경흔(萬景忻)
권64남한7진악(陳偓), 노응(盧膺), 등신(鄧伸), 이여(李璵), 오회은(吳懷恩), 오순(吳恂), 사관(謝貫), 간문회(簡文會), 종윤장(鍾允章), 유박고(劉博古), 증방(曾芳), 사걸(謝傑)
권65남한8기언윤(暨彦贇), 육광도(陸光圖), 소정현(邵廷琄), 반숭철(潘崇徹), 오언유(伍彦柔), 노지(盧枝), 이승악(李承渥), 곽숭악(郭崇岳)<식정효(植廷曉)>, 종유장(鍾有章),
설용비(薛用丕), 왕규(王珪), 황덕소(黃德昭), 소각(蕭㴶), 탁유후(卓惟休), 주무원(周茂元), 풍원(馮元), 이정공(李廷珙), 주위(周渭), 당승유(唐承裕), 낙숭찬(駱崇璨),
호만경(胡萬頃), 임초재(林楚材), 진지녀(陳志女), 막전(莫筌), 담씨 2녀(譚氏二女), 뇌씨(牢氏)
권66남한9임연우(林延遇), 공등추(龔澄樞), 허언진(許彦眞), 진연수(陳延壽), 이탁(李托), 설숭예(薛崇譽), 여연업(余延業), 조순절(趙純節), 장우현(張遇賢),
진도상(陳道庠), 광남승(廣南僧), 승 여민(僧 如敏), 승 문언(僧 文偃), 승 자상(僧 子祥), 황보송(黃步松), 황려(黃勵), 감전(甘佃), 막공(莫公)


2. 1. 6. 초 (楚)



###제목시기(음력)비고
권67초1무목왕 세가(武穆王世家)
권68초2형양왕 세가(衡陽王世家)
문소왕 세가(文昭王世家)
권69초3폐왕 세가(廢王世家)
공효왕 세가(恭孝王世家)
마희숭(馬希崇)



###목록비고
권70초4유언(劉言), 왕규(王逵), 주행봉(周行逢)<자 주보권(子保權)>
권71초5<무목왕 후비(武穆王 后妃)/형양왕 후비(衡陽王 后妃)>
(무목왕)<덕비 원씨(德妃 袁氏), 부인 진씨(夫人 陳氏), 부인 화씨(夫人 華氏)>/(형양왕)<부인 양씨(夫人 楊氏)>
<문소왕 후비(文昭王 后妃)/폐왕 후비(廢王 后妃)/공효왕 후비(恭孝王 后妃)>(문소왕)<순현부인 팽씨(順賢夫人 彭氏)>/(폐왕)<부인(夫人)>/(공효왕)<부인 원씨(夫人 苑氏)>
<무목왕 형제(武穆王 兄弟)>
마종(馬賨), 마존(馬存)
<무목왕 왕자(武穆王 王子)>
마희진(馬希振)<자 광혜(子 馬光惠)>, 마희왕(馬希旺), 마희고(馬希杲), 마희첨(馬希瞻), 마희능(馬希能), 마희관(馬希貫), 마희은(馬希隱), 마희준(馬希濬), 마희지(馬希知), 마희랑(馬希朗)
<문소왕 왕자(文昭王 王子)/폐왕 왕자(廢王 王子)/공효왕 왕자(恭孝王 王子)>
(공효왕)<마광찬(馬光贊)>
,
권72초6장길(張佶), 장훈(蔣勛), 요언장(姚彦章), 허덕훈(許德勳), 이경(李瓊), 진언휘(秦彦暉), 왕환(王環), 고욱(高郁), 이당(李唐),
양정진(楊定眞), 원전(袁詮), 여사주(呂師周), 원매(苑玫), 이탁(李鐸), 하치옹(何致雍), 황손(黃損), 반기(潘起)
권73초7팽간(彭玕), 당세민(唐世旻), 유창로(劉昌魯), 방거소(龐巨昭), 탁발 항(拓跋 恆), 서중아(徐仲雅), 유경(劉勍), 장소적(張少敵),
요광도(廖匡圖)<제 요광제(廖匡齊)>,정사근(丁思覲), 대언(戴偃), 하중거(何仲擧), 유소우(劉昭禹), 석문덕(石文德), 임숭희(林崇禧), 노순미(路洵美)
권74초8이홍고(李弘皐), 이홍절(李弘節), 등의문(鄧懿文), 왕윤(王贇), 맹변(孟駢), 구홍련(歐弘練), 오홍(吳弘), 양척(楊滌), 팽사고(彭師暠), 요언(廖偃), 유언도(劉彦瑫), 허가경(許可瓊)
권75초9이령(李令), 후원량(侯元亮), 왕동(王仝), 소악(邵岳), 주보광(朱葆光), 도영(陶英), 황비궁(黃匪躬), 맹빈우(孟賓于), 옹굉(翁宏), 요융(廖融), 왕원(王元),
오빈(伍彬), 주준도(朱遵度), 유창사(劉昌嗣), 하경산(何景山), 강례(江澧), 등순미(鄧洵美), 이관상(李觀象), 조연(曹衍)<소모(蕭某), 졸장(卒長)>
권76초10부언통(符彦通), 하경진(何敬眞), 손랑(孫朗), 장방(張倣), 장문표(張文表), 승 거둔(僧 居遁), 승 홍도(僧 洪道),
보자장로(報慈長老), 승 허중(僧 虛中), 지총선사(至聰禪師), 팽유겸(彭幼謙), 이용창(伊用昌)



총 10권으로, 세가 3권, 열전 7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2. 1. 7. 오월 (吳越)

총 1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가(世家) 6권, 열전(列傳) 7권으로 나뉜다.

제목시기(음력)비고
권77오월1무숙왕 세가(武肅王世家) 上
권78오월2무숙왕 세가(武肅王世家) 下
권79오월3문목왕 세가(文穆王世家)
권80오월4충헌왕 세가(忠獻王世家)
충손왕 세가(忠遜王世家)
권81오월5충의왕 세가(忠懿王世家) 上
권82오월6충의왕 세가(忠懿王世家) 下
권83오월7영현왕 후비(英顯王 后妃)/무숙왕 후비(武肅王 后妃)
(영현왕)<조국태현태부인 수구씨(趙國太玄太夫人 水丘氏)>/(무숙왕)<장목부인 오씨(莊穆夫人 吳氏), 소의부인 진씨(昭懿夫人 陳氏)>
문목왕 후비(文穆王 后妃)
<공목부인 마씨(恭穆夫人 馬氏), 공의부인 오씨(恭懿夫人 吳氏), 인혜부인 허씨(仁惠夫人 許氏)>
충헌왕 후비(忠獻王 后妃)/충의왕 후비(忠懿王 后妃)
(충헌왕)<부인 두씨(夫人杜氏), 원비 앙씨(元妃 仰氏)>/(충의왕)<왕비 손씨(王妃 孫氏)<유씨(兪氏), 황씨(黃氏)>>
무숙왕(武肅王) 형제(兄弟)/종제(從弟)
(형제)<전표(錢鏢), 전탁(錢鐸), 초국공 화(楚國公 鏵)>/(종제)<전일(錢鎰), 전구(錢銶)>
무숙왕(武肅王) 왕자(王子)
영국공 원기(寧國公 元璣), 운국공 전영(雲國公 傳瑛), 금화군왕 원의(金華郡王 元懿), 광릉군왕 원료(廣陵郡王 元璙)<자 전문봉(錢文奉), 전문병(錢文炳)>,
여요후 전구(餘姚侯 傳(王+瞿))<자 전인준(錢仁俊)>, 대팽후 전구(大彭侯 傳球), 부남후 원술(扶南侯 元㺷), 회음후 원향(淮陰侯 元珦),
신안후 전숙(新安侯 傳璛), 삽국공 전경(霅國公 傳璟), 오흥후 원림(吳興侯 元琳), 영명왕 원괴(寧明王 元璝), 전원필(錢元弼)
문목왕(文穆王) 왕자(王子)
효헌세자 홍준(孝獻世子 弘僔), 경산후 홍선(瓊山侯 弘僎), 전홍현(錢弘儇), 오흥군왕 홍담(吳興郡王 弘偡),
전홍억(錢弘億), 팽성후 홍의(錢彭城侯 弘儀), 전홍악(錢弘偓), 전홍앙(錢弘仰), 전엄(錢儼)
충헌왕(忠獻王) 왕자(王子)/충손왕(忠遜王) 왕자(王子)
(충헌왕)<부수후 욱(富水侯 昱), 서평후 욱(西平侯 郁)>/(충손왕)<전곤(錢昆), 전역(錢易)>
충의왕(忠懿王) 왕자(王子)
세자 유준(世子 惟濬), 팽성군왕 유치(彭城郡王 惟治), 영국공 유연(英國公 惟演), 전유제(錢惟濟)
권84오월8나은(羅隱), 고전무(顧全武), 두릉(杜稜), 성급(成及), 마작(馬綽), 완결(阮結), 두건휘(杜建徽), 포군복(鮑君福), 조규(曹圭), 도괴지(屠瓌智)
권85오월9고언(高彦)<자 고위(高渭)>, 주행선(朱行先), 황성(黃晟), 사마 복(司馬 福), 손염(孫琰), 오경충(吳敬忠), 등언휴(滕言休), 오공약(吳公約), 장노봉(章魯封), 요경(饒景),
설거정(薛居正), 사악(謝鶚), 종광범(鍾匡範), 진장관(陳長官), 동군(童頵), 종정한(鍾廷翰), 양암(楊巖), 허준(許俊), 손척(孫陟), 문인응(聞人凝), 장원(張瑗),
유보(劉甫), 장훈(蔣勛), 왕경(王畊), 심하(沈夏), 심행사(沈行思)
권86오월10심숭(沈崧), 피광업(皮光業), 조중달(曹仲達), 임정(林鼎), 앙인전(仰仁詮), 육인장(陸仁章), 장덕안(章德安), 곽사종(郭師從), 당인공(唐仁恭), 수구소권(水丘昭券), 설온(薛溫)
권87오월11원덕소(元德昭), 오정(吳程), 배견(裴堅), 심호자(沈虎子), 포수양(鮑脩讓), 조고(曹杲), 심도문(沈韜文), 육초(陸超), 두숙첨(杜叔詹), 유언침(劉彦琛), 유공백(兪公帛), 성예(盛豫),
임극이(林克已), 사마 구(司馬 球), 손현충(孫顯忠), 황이간(黃彝簡), 심승례(沈承禮), 손승우(孫承祐), 최인기(崔仁冀), 여만경(余萬頃), 강경방(江景防), 육종의(陸宗扆)
권88오월12오인벽(吳仁璧), 방호(方昊), 손태(孫邰), 석연한(石延翰), 송영(宋榮), 엄영(嚴永), 범찬시(范贊時), 모승(毛勝), 엽간(葉簡), 이함(李咸), 주경환(朱景環), 고규(顧規), 목의(目醫),
유호(喻皓), 서관(徐綰), 진순(陳詢), 진장(陳璋), 고례(高澧), 호진사(胡進思)
권89오월13승 문희(僧 文喜), 승 무작(僧 無作), 승 소(僧 昭), 승 유장(僧 幼璋), 승 자신(僧 自新), 승 전촌(僧 全付), 승 도부(僧 道怤), 승 영조(僧靈照),
승 도소(僧 道韶), 승 행수(僧 行修), 승 의적(僧 義寂), 승 연수(僧延壽), 승 찬녕(僧 贊寧), 승 의안(僧儀晏), 승 미홍(僧 彌洪), 승 청용(僧 淸聳),
승 계영(僧 契盈), 승 도잠(僧 道濳), 승 희변(僧 希辨), 승 지봉(僧 志逢), 승 원제(僧 願齊), 석암(釋岩), 승 덕륜(僧 德倫), 승 휘정(僧 彙征), 승 낭(錢 朗),
여구방원(閭丘方遠)<학의도인(鶴衣道人)>, 한필(韓必)<오송(吳淞)>, 장계진(張契眞), 기제물(暨齊物), 주소외(朱霄外)


2. 1. 8. 민 (閩)

총 1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가(본기) 3권, 열전 7권으로 나뉜다. 세부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목내용
권90민1사공 세가(司空世家), 태조 세가(太祖世家)
권91민2사왕 세가(嗣王世家), 혜종 본기(惠宗本紀), 강종 본기(康宗本紀)
권92민3경종 본기(景宗本紀), 천덕제 본기(天德帝本紀)
권93민4류종효(留從效), 진홍진(陳洪進) 외
권94민5사공(司空) 후비(后妃), 태조(太祖) 후비(后妃), 사왕(嗣王) 후비(后妃) 외
권95민6한악(韓偓), 최도융(崔道融), 양기풍(楊沂豊) 외
권96민7황풍(黃諷), 임성추(林省鄒), 엽교화(葉翹) 외
권97민8왕인궤(王仁繢), 양정식(楊廷式), 옹고(翁郜) 외
권98민9진현(陳峴), 설문걸(薛文傑), 진섬(陳剡) 외
권99민10승 지광(僧 智廣), 승 문거(僧 文炬), 승 의존(僧 義存) 외


2. 1. 9. 형남 (荊南)

형남(荊南)은 총 4권으로, 세가 2권, 열전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목시기(음력)비고
권100형남1무신왕 세가(武信王世家)
권101형남2문헌왕 세가(文獻王世家)
정의왕 세가(貞懿王世家)
시중 보욱 세가(侍中 保勗 世家)
시중 계충 세가(侍中 繼沖 世家)



###목록비고
권102형남3<후비(后妃)>
무신왕부인 장씨(武信王夫人 張氏)
<무신왕(武信王) 왕자>
고종후(高從詡), 고종선(高從詵), 고종양(高從讓), 고종겸(高從謙)
<무신왕(武信王) 종자>
고종사(高從嗣), 고종의(高從義)
<문헌왕(文獻王) 왕자>
고보훈(高保勳), 고보정(高保正), 고보신(高保紳), 고보인(高保寅), 고보서(高保緖), 고보절(高保節), 고보훈(高保訓), 고보형(高保衡), 고보응(高保膺)
<정의왕(貞懿王) 왕자/무신왕(武信王) 왕녀>
고계충(高繼充), 무신왕 5녀(武信王五女)
<기타 열전>
왕보의(王保義), 사공 훈(司空 薰), 예가복(倪可福), 포당(鮑唐), 양진(梁震), 손광헌
권103형남4이재인(李載仁), 예종진(倪從進), 왕정범(王貞範), 왕혜범(王惠範), 왕연범(王延範), 강장(康張), 위린(魏璘), 왕소제(王昭濟), 왕숭범(王崇範),
이경위(李景威), 왕연사(梁延嗣), 온극수(溫克修), 왕처사(王處士), 승 제기(僧 齊已), 승 문료(僧 文了), 형남승(荊南僧), 형남선녀(荊南仙女)


2. 1. 10. 북한 (北漢)

총 5권으로, 본기 2권, 열전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목비고
권104세조 본기(世祖本紀)
권105예종 본기(睿宗本紀), 소주 본기(少主本紀), 영무제 본기(英武帝本紀)



목록비고
권106<후비(后妃)>
권107이양(李驤), 정공(鄭珙), 조화(趙華), 이광미(李光美), 이존괴(李存瓌), 장원휘(張元徽), 백종휘(白從暉), 왕득중(王得中), 단상(段常), 위융(衛融), 노찬(盧贊), 울진(蔚進), 학귀초(郝貴超), 장숭훈(張崇訓), 고중희(高仲曦), 장소민(張昭敏), 마봉(馬峯), 노준(盧俊)
권108곽충서(郭忠恕), 조홍(趙弘), 이운(李惲), 양몽신(楊夢申), 왕보형(王保衡), 왕경절(王景絶), 곽무위(郭無爲), 후패영(侯霸榮), 범초(范超), 이균(李筠)


2. 2. 표 (表)

wikitext

colspan="2"|제목비고
권109표1십국기원표(十國紀元表)
권110표2십국세계표(十國世系表)
권111표3십국지리표(十國地理表) 上
권112표4십국지리표(十國地理表) 下
권113표5십국번진표(十國藩鎭表)
권114표6십국백관표(十國百官表)



십국춘추》에는 십국의 연표, 계보, 지리, 번진, 백관 등을 정리한 표가 6권 포함되어 있다.

2. 2. 1. 십국기원표(十國紀元表)

wikitable

십국 기원표(十國紀元表)
나라연호
(연호 14권 분량)
남당(연호 20권 분량)
전촉(연호 13권 분량)
후촉(연호 10권 분량)
남한(연호 9권 분량)
(연호 10권 분량)
오월(연호 13권 분량)
(연호 10권 분량)
형남(연호 4권 분량)
북한(연호 5권 분량)


2. 2. 2. 십국세계표(十國世系表)

wikitable

십국 군주 가계도
국가권수
14권
남당20권
전촉13권
후촉10권
남한9권
10권
오월13권
10권
형남4권
북한5권
십국 기원표1권
십국 세계표1권
십국 지리표2권
십국 번진표1권
십국 백관표1권


2. 2. 3. 십국지리표(十國地理表)

십국 지리표는 상, 하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2. 2. 4. 십국번진표(十國藩鎭表)

wikitable

번진명설치 국가
14
남당20
전촉13
후촉10
남한9
10
오월13
10
형남4
북한5
기타
십국 기원표1
십국 세계표1
십국 지리표2
십국 번진표1
십국 백관표1


2. 2. 5. 십국백관표(十國百官表)

오 14권, 남당 20권, 전촉 13권, 후촉 10권, 남한 9권, 초 10권, 오월 13권, 10권, 형남 4권, 북한 5권, 십국 기원표 1권, 십국 세계표 1권, 십국 지리표 2권, 십국 번진표 1권, 십국 백관표 1권으로 구성되어있다.

2. 3. 기타

습유(拾遺) 1권과 비고(備考) 1권이 부록으로 첨부되어 있다.

3. 평가

《십국춘추》는 십국의 역사를 다룬 사서로, 설거정의 《구오대사(舊五代史)》나 구양수의 《신오대사(新五代史)》에서 간략하게 다루어졌거나 누락된 내용을 보완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정사(正史)에서 다루지 않은 십국의 역사를 잡사(雜史), 야사, 소설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상세하게 기록함으로써, 십국 시대의 사회, 문화, 인물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야사 등의 기록을 무비판적으로 수록한 부분도 있어 사료로서의 가치를 평가할 때 비판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홍량길은 『북강시화』나 『월만당독서기』에서 《십국춘추》를 높게 평가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