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월은 당나라 말기 항주 출신 전유가 건국한 십국 시대의 왕국이다. 전유는 황소의 난 때 세력을 키워 887년 항주 자사가 되었고, 907년 후량에 복속하여 오월왕이 되었다. 오월은 농지 개발, 해상 무역, 문화 진흥을 통해 번영을 누렸으며, 고려, 일본 등과 교류했다. 978년 마지막 왕 전숙이 송나라에 항복하면서 멸망했다. 오월은 불교를 장려하고, 독자적인 지역 문화를 형성했으며, 운하와 제방 건설을 통해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푸젠성의 역사 - 민 (십국)
민은 오대 십국 시대에 복건 지역에서 왕심지 형제가 세력을 확장하여 건국한 국가로, 내분과 폭정으로 인해 945년 남당에 멸망했다. - 푸젠성의 역사 - 강남도 (당)
강남도는 당나라 시대 중국 남부의 광대한 지역을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733년 강남동도와 강남서도로 분할되었으며, 당나라 말기에는 절도사와 관찰사들이 등장하여 후대 봉건 체제에 영향을 미쳤다. - 저장성의 역사 - 저장성 (중화민국)
저장성은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이 1955년 대천도 철수까지 현재의 저장성 대부분을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국공 내전 패배 후 타이완으로 철수하여 도서 지역을 관할하다 폐지되었으며, 청나라 절강성의 행정 구역을 계승하여 도제와 행정독찰제도를 시행했다. - 저장성의 역사 - 동진
동진은 317년 사마예가 건국하여 약 100년간 이어진 남조 왕조로, 내란과 외침, 강남 호족과의 갈등 속에서 흥망성쇠를 거듭하며 강남 지역의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유유에 의해 멸망했다.
오월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국명 | 오월 (吳越) |
속국 | 후량, 후당, 후진, 요나라, 후한, 후주, 북송 |
존속 기간 | 907년 ~ 978년 |
수도 | 전당 (주요 궁정; 수도), 월주 (동부 궁정) |
공용어 | 중국어, 오어 |
통화 | 엽전, 고대 중국 화폐 |
현재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역사 | |
이전 국가 | 진해군 절도사 (886년) |
건국 | 당나라 멸망 (907년) |
멸망 | 북송에 귀순 (978년) |
완전한 멸망 | 988년 |
주요 사건 | 당나라 멸망, 북송에 귀순 |
지리 | |
위치 | 중국 오대십국 시대 |
정치 | |
정치 체제 | 군주제 |
역대 군주 | 전류 (907년 ~ 932년) 전원관 (932년 ~ 941년) 전홍좌 (941년 ~ 947년) 전홍종 (947년) 전홍숙 (947년 ~ 978년) |
군주 칭호 | 왕 |
언어별 국명 | |
중국어 병음 | Wúyuè |
상하이어 | ŋu²³³.ɦyøʔ²³ |
일본어 | 呉越 |
한국어 | 오월 |
2. 역사
항주 출신인 시조 전유(錢鏐)는 젊은 시절 소금 밀매에 관여했던 인물이었다. 당나라 말기 황소의 난이 발발하자, 이 지역에서 동창(董昌)이 현지의 토호들을 중심으로 병사들을 모아 항주8도(杭州八都)라고 부르는 군단을 만들자 전류도 여기에 참가해 공적을 세워 887년 고향의 항주자사가 되었다. 그 후 항주8도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남쪽의 민(閩)과 항쟁하면서 소주(蘇州), 상주(常州)를 확보하고 896년에 진해(鎭海), 진동(鎭東) 양군절도사(兩軍節度使)가 되어 저장성을 지배했다.
907년 주전충이 후량을 세우자, 그에게 복종하여 오월왕이 되었고, 후량을 후당이 멸망시키자 이번엔 후당에게 복종하면서 북쪽의 오와 남쪽의 민에 대항했다.
내정면에서는 농지개발 및 수도 항주의 확대와 보수를 실시하고, 해상무역을 통해 고려와 일본과도 교류했다. 또한 이것으로 얻어진 막대한 이익을 가지고, 승려와 문인의 보호에도 힘썼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민중에게 조류·어류·알 등 생필품에 소비세를 거두었다.
전류가 932년에 죽자, 5남인 전원관(錢元瓘)이 뒤를 계승했다. 전원관은 내정에 힘써 조세를 감면하는 시책을 펼쳐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그 시기 북쪽의 오나라를 찬탈한 남당이 들어서 오월을 공격하자 이를 막아냈다. 그러나 941년 항주에서 일어난 큰 화재에 부상을 입어 사망했다.
그 후 전원관의 6남 전홍좌(錢弘佐)가 뒤를 이었다. 946년 남쪽의 민은 내분이 발생해 혼란에 빠지고, 이를 틈타 남당군이 공격해 오자, 민은 오월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오월은 오히려 민을 공격하여 복건의 북쪽의 요충인 복주(福州)을 점령했다.
다음해 전홍좌가 죽고, 동생 전홍종(錢弘倧)이 뒤를 이었다. 전홍종은 군인들을 장악하는 데 실패하여 948년 반란이 일어나 전홍종은 퇴위 당하고 동생 전홍숙(錢弘俶)이 제위를 얻었다. 전홍종은 유폐에 앞서 시를 짓거나 술에 취해 지내다가 971년 사망했다.
전홍숙의 시대에는 최강의 적이었던 남당이 후주의 공격을 받아 영토를 빼앗기면서 약체화되었기에 오월은 평온했다. 오월에서도 후주의 공격을 틈타 남당에 대한 침공을 감행했으나, 이것은 실패로 끝났다. 960년 송나라가 탄생하고, 975년 송나라가 남당을 공격하자, 오월은 이에 참가해 남당에 대한 원정에 나섰다. 송나라의 대군앞에 남당이 멸망하자 송나라와 직접 국경이 맞닿게 된 오월은 아무것도 할 수가 없어, 978년 전홍숙은 송나라에 나라를 바치며 스스로 오월국의 종말을 고했다. 전홍숙은 송나라로부터 회해국왕(淮海國王)에 봉해져, 카이펑으로 이주하여 988년까지 안락하게 보내다가 사망했다.
2. 1. 건국
항주 출신인 시조 전유(錢鏐)는 젊은 시절 소금 밀매에 관여했던 인물이었다. 당나라 말기 황소의 난이 발발하자, 이 지역에서 동창(董昌)이 현지의 토호들을 중심으로 병사들을 모아 항주8도(杭州八都)라고 부르는 군단을 만들자 전류도 여기에 참가해 공적을 세워 887년 고향의 항주자사가 되었다. 그 후 항주8도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남쪽의 민(閩)과 항쟁하면서 소주(蘇州), 상주(常州)를 확보하고 896년에 진해(鎭海), 진동(鎭東) 양군절도사(兩軍節度使)가 되어 저장성을 지배했다.907년 주전충이 후량을 세우자, 그에게 복종하여 오월왕이 되었고, 후량을 후당이 멸망시키자 이번엔 후당에게 복종하면서 북쪽의 오와 남쪽의 민에 대항했다.
내정면에서는 농지개발 및 수도 항주의 확대와 보수를 실시하고, 해상무역을 통해 고려와 일본과도 교류했다. 또한 이것으로 얻어진 막대한 이익을 가지고, 승려와 문인의 보호에도 힘썼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민중에게 조류·어류·알 등 생필품에 소비세를 거두었다.
전류가 932년에 죽자, 5남인 전원관(錢元瓘)이 뒤를 계승했다. 전원관은 내정에 힘써 조세를 감면하는 시책을 펼쳐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그 시기 북쪽의 오나라를 찬탈한 남당이 들어서 오월을 공격하자 이를 막아냈다. 그러나 941년 항주에서 일어난 큰 화재에 부상을 입어 사망했다.
그 후 전원관의 6남 전홍좌(錢弘佐)가 뒤를 이었다. 946년 남쪽의 민은 내분이 발생해 혼란에 빠지고, 이를 틈타 남당군이 공격해 오자, 민은 오월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오월은 오히려 민을 공격하여 복건의 북쪽의 요충인 복주(福州)을 점령했다.
다음해 전홍좌가 죽고, 동생 전홍종(錢弘倧)이 뒤를 이었다. 전홍종은 군인들을 장악하는 데 실패하여 948년 반란이 일어나 전홍종은 퇴위 당하고 동생 전홍숙(錢弘俶)이 제위를 얻었다. 전홍종은 유폐에 앞서 시를 짓거나 술에 취해 지내다가 971년 사망했다.
전홍숙의 시대에는 최강의 적이었던 남당이 후주의 공격을 받아 영토를 빼앗기면서 약체화되었기에 오월은 평온했다. 오월에서도 후주의 공격을 틈타 남당에 대한 침공을 감행했으나, 이것은 실패로 끝났다. 960년 송나라가 탄생하고, 975년 송나라가 남당을 공격하자, 오월은 이에 참가해 남당에 대한 원정에 나섰다. 송나라의 대군앞에 남당이 멸망하자 송나라와 직접 국경이 맞닿게 된 오월은 아무것도 할 수가 없어, 978년 전홍숙은 송나라에 나라를 바치며 스스로 오월국의 종말을 고했다. 전홍숙은 송나라로부터 회해국왕(淮海國王)에 봉해져, 카이펑으로 이주하여 988년까지 안락하게 보내다가 사망했다.
2. 2. 발전과 번영
전류는 당나라 말기 황소의 난이 발발하자, 동창이 만든 항주8도(杭州八都)에 참가해 공적을 세워 887년 항주자사가 되었다. 그 후 항주8도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민과 항쟁하면서 소주(蘇州), 상주(常州)를 확보하고 896년에 진해(鎭海), 진동(鎭東) 양군절도사(兩軍節度使)가 되어 저장성을 지배했다. 907년 주전충이 후량을 세우자 그에게 복종하여 오월왕이 되었고, 후량을 후당이 멸망시키자 이번엔 후당에게 복종하면서 북쪽의 오와 남쪽의 민에 대항했다.내정면에서는 농지개발 및 수도 항주의 확대와 보수를 실시하고, 해상무역을 통해 고려와 일본과도 교류했다. 또한 이것으로 얻어진 막대한 이익을 가지고, 문화인을 보호하였다. 한편 백성들에게는 닭, 물고기, 달걀 등의 생활용품에 소비세를 걷기도 하였다.
932년에 전류가 죽자, 그의 아들 전원관이 뒤를 계승하여 내정에 힘써 조세를 감면하는 시책을 펼쳐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그 시기 북쪽의 오나라를 찬탈한 남당이 들어서 오월을 공격하자 이를 막아냈다. 그러나 941년 항주에서 일어난 큰 화재에 부상을 입어 사망했다.
그 후 전원관의 아들 전홍좌가 뒤를 이었다. 946년 남쪽의 민은 내분이 발생해 혼란에 빠지고, 이를 틈타 남당군이 공격해 오자, 민은 오월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오월은 오히려 민을 공격하여 복건의 북쪽의 요충인 복주(福州)을 점령했다.
다음해 전홍좌가 죽고, 동생 전홍종이 뒤를 이었다. 전홍종은 군인들을 장악하는 데 실패하여 948년 반란이 일어나 전홍종은 퇴위 당하고 동생 전홍숙이 제위를 얻었다. 전홍종은 유폐에 앞서 시를 짓거나 술에 취해 지내다가 971년 사망했다.
전홍숙의 시대에는 최강의 적이었던 남당이 후주의 공격을 받아 약체화되었기에 오월은 평온했다. 오월에서도 후주의 공격을 틈타 남당에 대한 침공을 감행했으나, 이것은 실패로 끝났다. 960년 송나라가 탄생하고, 975년 송나라가 남당을 공격하자, 오월은 이에 참가해 남당에 대한 원정에 나섰다. 송나라의 대군앞에 남당이 멸망하자 송나라와 직접 국경이 맞닿게 된 오월은 아무것도 할 수가 없어, 978년 전홍숙은 송나라에 나라를 바치며 스스로 오월국의 종말을 고했다. 전홍숙은 송나라로부터 회해국왕(淮海國王)에 봉해져, 카이펑으로 이주하여 988년까지 안락하게 보내다가 사망했다.
2. 3. 외교 관계
오월은 907년 주전충이 세운 후량에 복종하여 오월왕이 되었고, 후량이 후당에 멸망한 후에는 후당에 복종하며 북쪽의 오와 남쪽의 민에 대항했다. 내정 면에서는 농지 개발과 수도 항주의 확대 및 보수를 실시하고, 해상 무역을 통해 고려와 일본과도 교류했다.932년 전류가 사망한 후, 전원관(錢元瓘), 전홍좌(錢弘佐), 전홍종(錢弘倧)을 거쳐 948년 전홍숙(錢弘俶)이 즉위했다. 전홍숙의 시대에는 후주의 공격으로 약화된 남당을 공격하기도 했으나 실패했다. 960년 송나라가 건국되고, 975년 송나라가 남당을 공격하자 오월은 이에 가담했다. 남당 멸망 후, 978년 전홍숙은 송나라에 나라를 바쳤다.
오월은 양자강(長江)・동중국해(東シナ海)・남중국해(南シナ海)의 접점이라는 지정학적 위치를 활용하여 중원 왕조와는 별개로 독자적인 해상 세력권 형성을 모색했다. 후백제(後百済) 등에 독자적인 책봉(冊封)을 실시하고, 발해(渤海国)・요(遼), 일본(日本), 민(閩), 남한(南漢)과도 교류했다.
935년, 오월은 일본과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2] 오월은 해상 위치를 이용하여 북쪽 중국, 거란, 한국의 후백제, 발해, 고려, 신라와 외교 접촉을 유지했다.[2] 불교는 일본과 고려와의 외교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2] 일본과 한국의 승려들이 오월로 왔고, 오월의 승려들도 일본과 한국으로 갔다.[2] 961년, 전추는 고려에 유실된 불경에 대해 문의했고, 광종은 승려 척관(諦觀)을 보내 천태종 불경 전집을 보냈다.[2]
2. 4. 멸망
전류는 항주 출신으로 젊을 적 소금 밀매에 관여했던 인물이었다. 당나라 말기 황소의 난이 발발하자, 동창이 현지의 토호들을 중심으로 병사들을 모아 항주8도(杭州八都)라고 부르는 군단을 만들었고, 전류도 여기에 참가해 공적을 세워 887년 고향의 항주자사가 되었다. 그 후 항주8도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남쪽의 민과 항쟁하면서 소주(蘇州), 상주(常州)를 확보하고 896년에 진해(鎭海), 진동(鎭東) 양군절도사(兩軍節度使)가 되어 저장성을 지배했다.907년 주전충이 후량을 세우자 그에게 복종하여 오월왕이 되었고, 후량을 후당이 멸망시키자 이번엔 후당에게 복종하면서 북쪽의 오와 남쪽의 민에 대항했다. 내정면에서는 농지개발 및 수도 항주의 확대와 보수를 실시하고, 해상무역을 통해 고려와 일본과도 교류했다. 또한 이것으로 얻어진 막대한 이익을 가지고, 문화인을 보호하였다. 한편 백성들에게는 닭, 물고기, 달걀 등의 생활용품에 소비세를 걷기도 하였다.
전류가 932년에 죽자, 5남인 전원관이 뒤를 계승했다. 전원관은 내정에 힘써 조세를 감면하는 시책을 펼쳐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그 시기 북쪽의 오나라를 찬탈한 남당이 들어서 오월을 공격하자 이를 막아냈다. 그러나 941년 항주에서 일어난 큰 화재에 부상을 입어 사망했다.
그 후 전원관의 6남 전홍좌가 뒤를 이었다. 946년 남쪽의 민은 내분이 발생해 혼란에 빠지고, 이를 틈타 남당군이 공격해 오자, 민은 오월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오월은 오히려 민을 공격하여 복건의 북쪽의 요충인 복주(福州)을 점령했다.
다음해 전홍좌가 죽고, 동생 전홍종이 뒤를 이었다. 전홍종은 군인들을 장악하는 데 실패하여 948년 반란이 일어나 전홍종은 퇴위 당하고 동생 전홍숙이 제위를 얻었다. 전홍종은 유폐에 앞서 시를 짓거나 술에 취해 지내다가 971년 사망했다.
전홍숙의 시대에는 최강의 적이었던 남당이 후주의 공격을 받아 영토를 빼앗기면서 약체화되었기에 오월은 평온했다. 오월에서도 후주의 공격을 틈타 남당에 대한 침공을 감행했으나, 이것은 실패로 끝났다. 960년 송나라가 탄생하고, 975년 송나라가 남당을 공격하자, 오월은 이에 참가해 남당에 대한 원정에 나섰다. 송나라의 대군앞에 남당이 멸망하자 송나라와 직접 국경이 맞닿게 된 오월은 아무것도 할 수가 없어, 978년 전홍숙은 송나라에 나라를 바치며 스스로 오월국의 종말을 고했다. 전홍숙은 송나라로부터 회해국왕(淮海國王)에 봉해져, 카이펑으로 이주하여 988년까지 안락하게 보내다가 사망했다.
3. 역대 군주
오월의 군주(907년~978년)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시호(廟號) | 묘호(諡號) | 이름 | 재위 기간 | 연호 및 기간 | ||||||||
---|---|---|---|---|---|---|---|---|---|---|---|---|
중국어 | 병음 | 상하이 방언 | 중국어 | 병음 | 상하이 방언 | 중국어 | 병음 | 상하이 방언 | style="background:#efefef;" | | style="background:#efefef;" | | ||
태조 | 太祖 | Tài Zǔ | Tha Tsu | 무숙왕 | 武肅王 | Wǔ Sù Wáng | Vu Soh Waon | 전류(錢鏐) | Qián Liú | Zi Leu | 907년–932년 | 천우(天祐): 907년 |
세종 | 世宗 | Shì Zōng | Sy Tson | 문목왕 | 文穆王 | Wén Mù Wáng | Ven Moh Waon | 전원관(錢元瓘) (錢傳瓘) | Qián Yuánguàn (Qián Chuánguàn) | Zi Nyoe Cioe (Zi Zoe Cioe) | 932년–941년 | 장흥(長興): 932년–933년 |
성종 | 成宗 | Chéng Zōng | Zen Tson | 충헌왕 | 忠獻王 | Zhōng Xiàn Wáng | Tson Shie Waon | 전좌(錢佐) (錢弘佐) | Qián Zuǒ (Qián Hóng Zuǒ) | Zi Tsu (Zi Ghon Tsu) | 941년–947년 | 천복(天福): 941년–944년 |
없음 | N/A | N/A | 충순왕 | 忠遜王 | Zhōng Xùn Wáng | Tson Sen Waon | 전종(錢倧) (錢弘倧) | Qián Zōng (Qián Hóng Zōng) | Zi Tson (Zi Ghon Tson) | 947년 | 천복(天福): 947년 | |
없음 | N/A | N/A | 충의왕 | 忠懿王 | Zhōng Yì Wáng | Tson I Waon | 전숙(錢俶) (錢弘俶) | Qián Chù (Qián Hóng Chù) | Zi Tsoh (Zi Ghon Tsoh) | 947년–978년 | 건우(乾祐): 948년–950년 | |
전숙(錢俶)은 978년에 송나라에 항복하고, 회해왕, 한남왕, 한양왕, 서왕, 그리고 마지막으로 등왕으로 추존되며 명목상으로 계속 통치하다가 988년 사망하였다. 사후에 진왕으로 추봉되었다.
오월 군주 가계도는 다음과 같다.
4. 행정 구역
오월(吳越) 왕국은 현재의 절강성(浙江省), 상하이(上海), 장쑤성(江蘇省) 남부 지역을 포함했으며, 수도는 항저우(杭州, Xifu)였다.[1] 945년 민(閩) 왕국 멸망 후에는 복건성(福建省) 북부 일부 지역도 병합했다. 오월의 영토는 고대 월(越)의 영토와는 일치했지만, 고대 오(吳)의 영토와는 일치하지 않아 이웃한 오(吳, 남오) 왕국과 긴장 관계를 야기했다.[1]
초기 오월은 남쪽으로 민(閩) 왕국, 서쪽과 북쪽으로 남당(南唐) 왕국과 국경을 접했다. 943년부터 945년까지 민(閩) 왕국에서 인(殷)이 반란을 일으켜 잠시 세 번째 국경을 갖게 되었으나, 인(殷)과 민(閩)이 모두 남당(南唐)에 흡수되면서 오월은 동중국해를 제외하고 완전히 포위되었다.[1]
인구는 약 550,700호였으며, 많은 사람들이 상업 중심지와 주요 항구 도시에 거주했다.[1] 오월은 처음에는 12개의 주(州)였지만, 나중에는 13개의 주와 86개의 현(縣)으로 구성되었다. 민(閩)이 남당(南唐)에 포위당하자 오월에 충성을 맹세하면서 복주(福州)가 오월의 13번째 주로 편입되었다.[1]
주(州) | 州 | 현(縣) | 縣 |
---|---|---|---|
항저우 (서부 수도) (주요 수도 또는 서부 수도) | 杭州 | ||
첸탕 | 錢塘 | ||
첸장 | 錢江 | ||
옌관 | 鹽官 | ||
위항 | 餘杭 | ||
푸춘 | 富春 | ||
퉁루 | 桐廬 | ||
위첸 | 於潛 | ||
신덩 | 新登 | ||
항산 | 橫山 | ||
우캉 | 武康 | ||
월주 (동부 수도; 현대 소흥) | 越州 | ||
회계 | 會稽 | ||
산인 | 山陰 | ||
주지 | 諸暨 | ||
위야오 | 餘姚 | ||
샤오산 | 蕭山 | ||
상위 | 上虞 | ||
신창 | 新昌 | ||
첨 | 瞻縣 | ||
후저우 | 湖州 | ||
우청 | 烏程 | ||
더칭 | 德清 | ||
안지 | 安吉 | ||
창싱 | 長興 | ||
원저우 | 溫州 | ||
용자 | 永嘉 | ||
루이안 | 瑞安 | ||
핑양 | 平陽 | ||
웨칭 | 樂清 | ||
타이저우 | 台州 | ||
린하이 | 臨海 | ||
황옌 | 黃岩 | ||
타이싱 | 台興 | ||
용안 | 永安 | ||
닝하이 | 寧海 | ||
명주 (현대 닝보 및 저우산) | 明州 | ||
인 현 | 鄞縣 | ||
펑화 | 奉化 | ||
츠시 | 慈溪 | ||
시앙산 | 象山 | ||
왕하이 | 望海 | ||
옹산 | 翁山 | ||
추저우 (대략 현대 리수이시) | 處州 | ||
리수이 | 麗水 | ||
롱촨 | 龍泉 | ||
수이창 | 遂昌 | ||
진윈 | 縉雲 | ||
칭티안 | 青田 | ||
백룡 | 白龍 | ||
취저우 | 衢州 | ||
서안 (수도가 아님) | 西安 | ||
장산 | 江山 | ||
롱유 | 龍游 | ||
창산 | 常山 | ||
우저우 (대략 현대 진화시) | 婺州 | ||
진화 | 金華 | ||
둥양 | 東陽 | ||
이우 | 義烏 | ||
란시 | 蘭溪 | ||
용캉 | 永康 | ||
우위 | 武義 | ||
푸장 | 浦江 | ||
무저우 (대략 현대 저장성 북서부) | 睦州 | ||
젠더 | 建德 | ||
쇼우창 | 壽昌 | ||
수이안 | 遂安 | ||
펀수이 | 分水 | ||
칭시 | 青溪 | ||
슈저우 (대략 현대 상하이 및 그 주변 지역, 저장성 가흥 주 포함) | 秀州 | ||
가흥 | 嘉興 | ||
하이옌 | 海鹽 | ||
화팅 | 華亭 | ||
숭더 | 崇德 | ||
소주 | 蘇州 | ||
오 현 | 吳縣 | ||
진저우 | 晉洲 | ||
쿤산 | 崑山 | ||
창슈 | 常熟 | ||
우장 | 吳江 | ||
복주 (민 멸망 후 획득) | 福州 | ||
민 현 | 閩縣 | ||
후관 | 侯官 | ||
창러 | 長樂 | ||
련장 | 連江 | ||
창시 | 長溪 | ||
푸칭 | 福清 | ||
구티안 | 古田 | ||
용타이 | 永泰 | ||
민칭 | 閩清 | ||
용전 | 永貞 | ||
닝더 | 寧德 | ||
안궈 이진 군주 (이전에는 이진 군주라 불림) | 安國衣錦軍 (衣錦軍) | 린안 | 臨安 |
오월은 양흥미에게 창저우(常州)와 런저우(潤州)를 할양했다.
5. 문화
역대 오월왕은 불교를 신앙으로 삼았고, 전숙은 불탑 8만 4천개를 만들고 경전을 봉해 영내에 배치했다. 이 중 일부는 일본으로 전래되어 보갑인탑의 모델이 되었다. 또한 이곳에서 나오는 도자기의 요원(窯元; 도자기를 굽는 곳)인 월주요(越州窯)를 후원해 번영하였다.
오월국(吳越國)은 수 세기 동안 중국의 오월 지역의 문화적, 경제적 지배력을 공고히 했을 뿐만 아니라 중국 다른 지역과는 구별되는 지속적인 지역 문화 전통을 만들었다. 왕국의 지도자들은 불교의 유명한 후원자였으며, 건축, 사찰 장식 및 불교와 관련된 종교 조각품을 후원했다. 이 기간 동안 발전하기 시작한 문화적 독창성은 오늘날까지도 지속되어 오월 지역에서는 오어(가장 유명한 변종은 상하이 방언임)라는 중국어 그룹을 사용하고, 독특한 요리와 기타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추(錢俶)의 통치 기간 동안 건설된 보추탑(寶俶塔)은 오월 왕들의 후원 아래 건설된 많은 사찰과 탑 중 하나였다.
6. 유산
오월국은 수 세기 동안 중국의 오월 지역의 문화적, 경제적 지배력을 공고히 했을 뿐만 아니라 중국 다른 지역과는 구별되는 지속적인 지역 문화 전통을 만들었다. 왕국의 지도자들은 불교의 유명한 후원자였으며, 건축, 사찰 장식 및 불교와 관련된 종교 조각품을 후원했다. 이 기간 동안 발전하기 시작한 문화적 독창성은 오늘날까지도 지속되어 오월 지역에서는 오어(가장 유명한 변종은 상하이 방언임)라는 중국어 그룹을 사용하고, 독특한 요리와 기타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3] 보추탑(寶俶塔)은 오월 왕들의 후원 아래 건설된 많은 사찰과 탑 중 하나였다.
오월국의 물리적인 유산은 수많은 세기에 걸쳐 이 지역을 중국에서 가장 농업 생산성이 높은 지역으로 만들었던 운하와 제방 시스템의 건설이었다. 그 결과, 전료를 위한 사당들이 이 지역 전역에 세워졌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사당들을 찾아볼 수 있다.[3]
전 유는 광범위한 수리 공학 계획으로 바다를 "길들였다"는 이유로 종종 "용왕" 또는 "해룡왕"으로 알려졌다. 오월(吳越)의 왕들은 정통 역사에서 계속해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그들은 수리 공학 사업으로 지역의 경제적 번영을 보장하고, 결국 송나라에 항복하여 통일된 중국을 보장하고 전쟁으로 인한 지역의 황폐화를 막았기 때문에 대중적으로 존경받았다.[3]
초기 송나라 시대에, 전씨 왕족은 『백가성(百家姓)』에 반영된 바와 같이 지배적인 조(趙) 황실 다음으로 대우받았다. 그 후, 오월 지역 전역에 전씨 왕들을 기리고, 때로는 날씨와 농업을 관장하는 신으로 숭배하는 많은 사당이 세워졌다. "전왕 사당" 또는 "전왕 사찰"로 알려진 이러한 사당들 중 상당수가 오늘날까지 남아 있으며, 가장 많이 방문하는 곳은 항저우의 서호 근처에 있는 곳이다.[3]
전 유는 전설에 따르면 많은 아내와 첩들 사이에서 100명이 넘는 아들을 두었다고 한다. 그의 자손들은 왕국의 여러 곳에 배치되었다. 전씨 가문은 여전히 그 지역 전역에 널리 퍼져 있다. 여러 가지(支)가 현지 지역에서 "명문가"(望族)로 여겨진다.[3]
참조
[1]
논문
[2]
논문
[3]
영화
P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