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대 가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쌍대 가군은 환 R 위의 왼쪽 가군 M에 대해 정의되는 R-오른쪽 가군 M∨R이며, M에서 R로의 왼쪽 선형 변환들로 구성된다. 체의 경우, 쌍대 가군은 벡터 공간의 쌍대 공간으로, 유한 차원 벡터 공간에서는 원래 공간과 차원이 같고 동형이지만, 무한 차원 벡터 공간에서는 차원이 더 작다. 쌍대 가군의 개념은 가군층으로 일반화될 수 있으며, 이중 쌍대 가군은 M의 쌍대 가군의 쌍대 가군 M^{**}를 의미하며, 자연 사상을 통해 원래 가군 M과 연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쌍대성이론 - 파동-입자 이중성
파동-입자 이중성은 모든 물질이 파동과 입자의 성질을 동시에 갖는 양자역학적 현상으로, 빛의 본성에 대한 오랜 논쟁 끝에 아인슈타인의 광전효과와 드 브로이의 물질파 이론, 이중 슬릿 실험 등을 통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양자역학 해석의 핵심 주제이다. - 쌍대성이론 - 드 모르간의 법칙
드 모르간의 법칙은 명제 논리, 술어 논리, 집합론, 부울 대수 등에서 결합 또는 분리의 부정을 각 요소의 부정의 분리 또는 결합으로 표현하는 논리적 원리이다. - 가군론 - 자유 가군
자유 가군은 곱셈 항등원을 갖는 환 위의 가군으로, 기저를 가지며 기저 원소의 선형 결합으로 가군의 모든 원소를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다. - 가군론 - 쌍가군
쌍가군은 두 환 R과 S에 대해 정의되는 대수적 구조로, 아벨 군 M에 R의 왼쪽 가군 구조와 S의 오른쪽 가군 구조가 호환되도록 결합되며, 텐서곱, 준동형 사상 등 다양한 성질을 갖는다. - 선형대수학 - 벡터 공간
벡터 공간은 체 위의 가군으로 정의되는 대수적 구조로, 벡터 덧셈과 스칼라 곱셈 연산을 가지며 특정 공리들을 만족하고, 기저, 차원, 선형 사상 등의 개념을 통해 수학과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선형대수학 - 선형 결합
선형 결합은 벡터 공간에서 벡터들의 스칼라 곱의 합으로 표현되는 식으로, 벡터 집합의 선형 독립성 판단 및 부분 공간 생성과 관련되며, 계수 제약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결합을 정의할 수 있고, 위상 벡터 공간이나 가군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 쌍대 가군 |
|---|
2. 정의
환 위의 왼쪽 가군 의 '''쌍대 가군'''(雙對加群, dual module영어) 은 에서 로 가는 모든 -왼쪽 선형 변환들의 집합으로 정의되며, 다음과 같은 자연스러운 -오른쪽 가군 구조를 가진다.
:
여기서 은 에서 로 가는 모든 -왼쪽 선형 변환(즉, 을 만족하는 함수 )의 집합을 나타낸다.
쌍대 가군 의 원소는 왼쪽 -선형 변환 들이며, 이 집합 위에는 다음과 같이 덧셈과 오른쪽 스칼라 곱 연산이 정의되어 -오른쪽 가군을 이룬다.
- 덧셈: 두 선형 변환 와 임의의 에 대하여, 합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 스칼라 곱: 선형 변환 와 스칼라 , 그리고 임의의 에 대하여, 스칼라 곱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마찬가지 방식으로, -오른쪽 가군의 쌍대 가군은 -왼쪽 가군이다.
만약 가 가환환이면 왼쪽 가군과 오른쪽 가군을 구별할 필요가 없다.
2. 1. 체의 경우
''R'' = ''K''가 체라고 하자. 그렇다면, 그 위의 가군 ''V''는 벡터 공간이 된다. 벡터 공간의 쌍대 가군은 '''(대수적) 쌍대 공간'''((algebraic) dual space영어)이라고 불리며, 보통 ''V''*로 표기한다.체 ''K'' 위의 벡터 공간 ''V''의 부분 벡터 공간 ''W'' ⊂ ''V''의 '''소멸자'''(annihilator영어) ''W''0는 다음과 같은, 쌍대 공간 ''V''*의 부분 공간이다.
:
2. 2. 가군층의 경우
쌍대 가군의 개념은 가군층에 대하여 일반화될 수 있다.국소환 달린 공간 위의 -가군층 에 대하여, 쌍대 가군층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여기서 는 에서 로 가는 -가군층 사상들의 층을 나타낸다.
또한, 다음과 같은 표준적인 -가군층 사상이 존재한다.
:
이 사상은 열린 집합 의 단면 를 다음과 같은 사상으로 보낸다.
:
이때 를 -가군층 의 '''쌍대 가군층'''(雙對加群層, sheaf of dual modules영어)이라고 한다.
3. 성질
임의의 환 에 대하여, 쌍대 가군을 취하는 연산은 에 대한 왼쪽 가군들의 범주 에서, 오른쪽 가군들의 범주 의 반대 범주로 가는 함자
:
를 정의한다.
특히, 쌍대 가군을 두 번 취하는 연산은 자기 함자
:
를 정의한다. ''R''-가군 ''M''의 쌍대 가군 ''M*''의 다시 쌍대 가군인
:
을 ''M''의 '''이중 쌍대 가군'''(double dual module영어)이라고 한다. 여기서 은 에서 로 가는 모든 ''R''-가군 준동형들의 집합을 나타낸다.
''M**''의 원소는 ''M*''에서 ''R''로 가는 가군 준동형이다. 각 에 대하여, 사상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이 은 가군 준동형이므로 의 원소가 된다 ().
이를 이용하여 ''M''에서 ''M''로 가는 사상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이 사상 는 가군 준동형이며, '''정규 사상'''(canonical map영어) 또는 '''자연 사상'''(natural map영어)이라고 불린다. 이 사상이 동형 사상인지 여부 등 구체적인 성질은 가군 ''M''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3. 1. 유한 차원 벡터 공간
체 위의 유한 차원 벡터 공간 가 주어졌을 때, 그 쌍대 공간 역시 유한 차원 벡터 공간이다. 중요한 점은 와 그 쌍대 공간 의 차원이 같다는 것이다.:
차원이 같으므로 두 공간은 서로 동형이다.
:
이 동형 관계를 구체적으로 보기 위해, 의 기저 를 생각해보자. 이 기저에 대응하는 의 기저 를 정의할 수 있는데, 이를 '''쌍대 기저'''(dual basis|쌍대 기저영어)라고 부른다. 쌍대 기저의 각 원소 는 의 기저 벡터 에 다음과 같이 작용하는 선형 범함수이다.
:
즉, 는 자신과 같은 첨자를 가진 기저 벡터 에 대해서는 1을, 다른 기저 벡터 ()에 대해서는 0을 값으로 가진다.
벡터 와 선형 범함수 는 각각의 기저와 쌍대 기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
여기서 는 벡터 의 에 대한 좌표이고, 는 선형 범함수 의 에 대한 좌표가 된다.
그러나 와 사이의 동형은 의 기저를 선택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지므로, 표준적(canonical|표준적영어)이지 않다. 즉, 특별히 선호되는 자연스러운 동형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 의 이중 쌍대 공간 는 와 표준적으로 동형**이다. 이 표준 동형은 기저의 선택과 무관하게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
여기서 는 의 원소 를 로 보내는 의 원소이다. 즉, 이다. 유한 차원 벡터 공간의 경우 이 사상 는 동형 사상이 된다.
:
범주론의 언어를 사용하면, 유한 차원 벡터 공간의 범주 에서 자기 자신으로 가는 함자 는 항등 함자 와 자연 동형이다.
또한, 의 부분 벡터 공간 가 주어졌을 때, 의 소멸자(annihilator|소멸자영어) 는 의 모든 벡터를 0으로 보내는 의 원소들로 이루어진 부분 공간이다 (). 이 소멸자의 차원은 다음과 같다.
:
3. 2. 무한 차원 벡터 공간
무한 차원의 벡터 공간 의 경우, 만약 의 차원이 가산 무한 () 이상이라면, 의 차원은 (기수로서) 항상 그 쌍대 공간 의 차원보다 엄격하게 작다. 즉, 이다.모든 벡터 공간 에 대해, 에서 그 이중 쌍대 공간 로 가는 표준적인 선형 사상 가 존재한다.
:
이 사상은 각 벡터 를 상의 계산 사상(evaluation map)으로 보내며, 이는 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이 사상 는 항상 단사 함수이다. 만약 가 유한 차원이라면 는 전사 함수이기도 하여 동형 사상이 되지만, 가 무한 차원일 경우에는 전사 함수가 아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만약 가 위상 벡터 공간이라면 대수적 쌍대 공간() 대신 연속 쌍대 공간(위상적 쌍대 공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연속 쌍대 공간은 에서 기저 체로 가는 모든 연속 선형 함수들의 공간이다.
4. 이중 쌍대 가군
''R''-가군 ''M''의 쌍대 ''R''-가군 ''M*''의 쌍대 가군인,
:
을 ''M''의 이중 쌍대 가군(double dual module)이라고 한다.
이것은 ''M*'' (즉, ''M''에서 ''R''로 가는 가군 준동형들의 모임)에서 ''R''로 가는 가군 준동형 전체가 이루는 ''R''-가군이다. 따라서 ''M**''의 원소는 ''M*''의 각 원소(가군 준동형 )에 ''R''의 원소를 대응시키는 사상이다.
각 원소 에 대해, 사상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이 사상 은 ''M*''에서 ''R''로 가는 가군 준동형이므로, 은 ''M**''의 원소이다.
이를 이용하여 사상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이 사상 는 가군 준동형이며, 그 직관적이고 범주론적으로 자연스러운 모습 때문에 ''R''-가군 ''M''에서 ''M''로의 정규 사상(canonical map) 또는 자연 사상**(natural map)이라고 불린다.
참조
[1]
서적
Algebra I
Springer
1974
[2]
서적
Algebra
Springer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