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덴 압둘라 오스만 다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덴 압둘라 오스만 다르(Aden Abdulle Osman Daar)는 1908년 소말리아에서 태어나 독학으로 여러 언어를 익혔다. 그는 소말리 청년당(SYL)에 가입하여 정치 경력을 시작했으며, 1960년 소말리아 독립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팽창주의 정책을 추진하고, 비동맹 운동과 아프리카 통일 기구 등 국제기구에서 활동했다. 1967년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한 후, 1990년 소말리아 내전 중 체포되어 투옥되었다가 석방되었다. 2007년 6월 8일 사망했으며, 모가디슈 국제공항이 그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말리아의 대통령 - 알리 마디 마하메드
알리 마디 마하메드는 소말리아의 정치인이자 기업가로,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소말리아 제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내전 시기 군벌들의 반발로 어려움을 겪었고 2000년 대선 패배 후 은퇴, 2021년 코로나19로 사망했다. - 소말리아의 대통령 - 시아드 바레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는 1969년 쿠데타로 소말리아 대통령이 되어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독재 체제 강화, 오가덴 전쟁 패배, 경제 정책 실패 등으로 1991년 내전으로 축출되어 망명 중 사망한 소말리아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 소말리아의 정치인 - 알리 마디 마하메드
알리 마디 마하메드는 소말리아의 정치인이자 기업가로,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소말리아 제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내전 시기 군벌들의 반발로 어려움을 겪었고 2000년 대선 패배 후 은퇴, 2021년 코로나19로 사망했다. - 소말리아의 정치인 - 누르 하산 후세인
누르 하산 후세인은 소말리아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소말리아 과도연방정부 총리, 경찰청장 겸 검찰총장, 소말리아 적신월사 사무총장 등을 역임하며 평화 유지 노력과 내각 개편을 시도했으나 대통령과의 갈등으로 해임되었고, 이후 대통령 선거 낙선 및 이탈리아 주재 소말리아 대사를 지내다 2020년 사망했다. - 1908년 출생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 1908년 출생 - 존 바딘
존 바딘은 트랜지스터와 초전도 현상에 대한 이론적 설명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두 번 수상한 미국의 물리학자로서, 트랜지스터 발명과 BCS 이론 발표를 통해 현대 전자공학과 물리학 발전에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
아덴 압둘라 오스만 다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Aadan Cabdulle Cismaan Dacar |
아랍어 표기 | آدم عبد الله عثمان دعر |
직위 | |
제1대 소말리아 대통령 | 재임 기간: 1960년 7월 1일 - 1967년 7월 6일 전임: 직위 신설 후임: 압디라시드 알리 셰르마르케 |
초대 국가 입법 의회 의장 | 재임 기간: 1956년 2월 29일 - 1960년 7월 1일 전임: 직위 신설 후임: 압둘카디르 무하메드 아덴(제1 부의장), 하기 바시르 이스마일(제2 부의장)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908년 12월 9일 |
출생지 | 이탈리아령 소말리아 벨레트웨인 (현재 소말리아) |
사망일 | 2007년 6월 8일 (98세) |
사망지 | 케냐 나이로비 |
배우자 | 알 수 없음 |
소속 정당 | 소말리 청년 동맹 |
2. 어린 시절
다르는 1908년 12월 9일 소말리아 남중부 히란 주의 발라드웨인(벨레드웨이네)에서 태어났다.[3] 그는 하위예족의 우데젠, 압딜레 아파라 씨족 출신이었다. 어린 나이에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되었으나, 독서를 좋아하여 여러 분야를 독학으로 공부했다. 그는 아랍어, 소말리아어, 이탈리아어, 영어를 구사했다.
아덴 압둘라 오스만 다르는 1944년 소말리 청년당(SYL)에 가입하면서 본격적인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당내에서 빠르게 입지를 다져 주요 직책을 역임했으며, 1958년에는 소말리 청년당의 대표로 선출되었다.[4]
3. 정치 경력
1960년 소말리아가 독립을 이루자, 그는 국가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1967년까지 나라를 이끌었다. 대통령으로서 그는 대소말리아주의에 기반한 국가 정책을 추진하고 비동맹 운동 등 국제 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했으며, 국내적으로는 민주주의 정착과 자유 시장 경제 발전을 도모했다.
1967년 대통령 선거에서 압디라시드 알리 샤르마르케에게 패배한 후, 다르는 선거 결과에 승복하고 평화적으로 정권을 이양했다. 이는 당시 아프리카 대륙에서 민주적 절차에 따른 정권 교체의 중요한 선례로 평가받는다.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이후에도 그는 소말리아 정치 상황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1969년 군사 쿠데타 이후 시아드 바레 정권이 들어서고 1990년 소말리아 내전이 발발하자, 그는 다른 정치인들과 함께 국가적 화해를 촉구하는 선언문 발표에 참여했다.[4][9] 이로 인해 그는 바레 정권에 의해 체포되어 약 1년간 투옥되기도 했다.[4]
3. 1. 소말리 청년당 (SYL)
다르는 1944년 소말리아의 독립을 위해 활동한 민족주의적 단체인 소말리 청년당(SYL)에 가입했다. 그는 당내에서 빠르게 성장하여 1946년에는 SYL의 벨레드웨이네 지부 지역 사무총장이 되었다. 10년 후인 1956년에는 국가 입법 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그로부터 2년 뒤인 1958년에는 소말리 청년당의 대표가 되어 당을 이끌었다.[4]
3. 2. 대통령 재임 (1960-1967)
1960년 소말리아가 독립하면서, 민족주의적 인물로 전국적인 명성을 얻은 다르는 소말리아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1960년 7월 1일부터 1967년 6월 10일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재임 기간 동안 다르는 '대소말리아주의'에 입각하여 과거 소말리아인들이 거주했던 영토를 통합하려는 팽창주의적 국가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이는 주변국과의 긴장을 유발하여 1964년 에티오피아-소말리아 국경 전쟁, 케냐와의 시프타 전쟁으로 이어졌다. 또한 지부티의 독립을 위한 코트데소말리 해방전선(FLCS)의 투쟁을 지원했으며, 에리트레아의 ELF와 에티오피아의 발레 반란에 대한 지원도 제공했다. 이러한 소말리아의 팽창주의적 움직임에 대응하여 케냐와 에티오피아는 1965년 상호 방위 조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국제 사회에서 다르는 모든 식민지 국가의 자유와 해방을 지지하는 입장을 견지했다. 그는 소말리아를 비동맹 운동,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 등 여러 국제기구에 가입시켰으며, 1966년에는 모가디슈에서 세계 무슬림 회의 제6차 대회를 개최했다.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투쟁과 6일 전쟁 당시의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며 인력 및 물자를 지원했다.
국내적으로 다르는 자유 시장 경제와 민주주의를 장려하여 당시 소말리아는 '아프리카의 스위스'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그는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해 제1차 5개년 계획(1963-1967)을 추진했다. 이 계획은 조하르 설탕 공장 생산 능력 확장, 육류·어류·유제품·섬유 산업 개발, 도로 건설 및 개선, 키스마요, 베르베라, 모가디슈 항만 건설, 관개 시설 확장, 국영 농장 설립, 교육 및 보건 서비스 개선 등 인프라 구축과 산업 발전에 중점을 두었다. 계획은 공공 지출 중심이었지만, 세금 감면, 유리한 조건의 대출 등 민간 기업 투자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도 포함했다.
1967년 대통령 선거에서 다르는 자신의 전 총리였던 압디라시드 알리 샤르마르케에게 패배했다. 그는 선거 결과를 받아들이고 1967년 6월 10일 평화롭게 권력을 이양했다. 이는 라이베리아를 제외하고 아프리카 역사상 민주적으로 선출된 후임자에게 평화적으로 정권을 넘겨준 최초의 사례로 기록되며, 아프리카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선례를 남겼다.
3. 3. 샤르마르케 대통령 암살과 바레의 쿠데타 (1969)
1967년 대통령 선거에서 아덴 압둘라 오스만 다르에게 승리하여 대통령직에 오른 압디라시드 알리 샤르마르케는 1969년 자신의 경호원 중 한 명에게 암살당했다. 샤르마르케 대통령의 장례식이 치러진 지 이틀 뒤, 소말리아군은 무혈 쿠데타를 일으켜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가 정권을 장악했다. 이 사건은 이후 바레의 군사 정권 수립으로 이어지게 된다.
3. 4. 소말리아 내전과 투옥 (1990-1991)
1990년 소말리아 내전이 발발하자, 아덴 압둘라 오스만 다르는 전 정보부 장관 이스마일 지말레 오소블레, 전 교육부 장관 하산 알리 미레 등 약 100명의 소말리아 정치인들과 함께 선언문(매니페스토)에 서명했다.[4][9] 이 선언문은 내전으로 인한 파괴, 살인, 피난민 발생 등 폭력 사태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정치적 화해를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이 선언문 서명은 당시 시아드 바레 군사 정권의 심기를 건드렸고, 다르는 즉시 체포되어 투옥되었다.[4] 그는 바레 정권이 붕괴된 이듬해인 1991년까지 약 1년간 수감 생활을 해야 했다.[4]
4. 말년
바레 정권이 쇠퇴하고 소말리아 전역이 무정부 상태에 빠진 1990년, 다르는 다른 정치가 100명과 함께 파괴, 살인, 내전으로 인한 피난민 발생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는 선언서에 서명했다. 이로 인해 다를 포함한 50명 이상이 바레 정권에 의해 체포되었으나 이후 석방되었다.
석방된 후, 다르는 만년의 대부분을 소말리아 남부 자날레에 있는 자신의 농장에서 보냈다.[10]
2007년 5월 22일, 그가 케냐 나이로비의 한 병원에서 사망했다는 잘못된 보도가 있었으나,[11] 당시 그는 위중한 상태였고 생명 유지 장치를 사용하고 있었다.[12] 약 2주 후인 2007년 6월 8일, 다르는 나이로비의 병원에서 9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1][12][13]
당시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 대통령이 이끌던 소말리아의 과도 연방 정부는 국가 추모식을 포함해 21일간의 애도 기간을 선포하고 다르의 장례를 국장으로 치를 것이라고 발표했다.[14] 또한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모가디슈 국제공항의 이름을 아덴 아데 국제공항으로 바꾸었다.[14]
참조
[1]
서적
Political Parties and National Integration in Tropical Af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1963
[2]
웹사이트
Somalia
http://www.worldstat[...]
2024-04-07
[3]
웹사이트
Rulers.org - Daar, Aden Abdullah Osman
http://www.rulers.or[...]
2010-12-23
[4]
뉴스
Aden Abdulle Osman - First President of Somalia
http://www.ephrem.or[...]
2007-06-11
[5]
서적
Address delivered by his excellency Adam Abdullah Osman to the Conference of African Heads of States and Governments
https://repository.u[...]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Africa
1963
[6]
서적
The State and Rural Transformation in Northern Somalia, 1884-1986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1989
[7]
뉴스
First president of Somalia dies
http://newsvote.bbc.[...]
2007-06-08
[8]
문서
Worldmark Encyclopedia of the Nations
Worldmark Press
1988
[9]
서적
Horn of Africa Bulletin, Volumes 3-4
https://books.google[...]
Life & Peace Institute
2016-11-10
[10]
웹사이트
Aden A. Osman, 99; first president of independent Somalia
http://www.latimes.c[...]
2007-06-27
[11]
뉴스
Somalia: First President Dies At the Age of 99
http://allafrica.com[...]
Shabelle Media Network (allAfrica.com)
2007-05-22
[12]
뉴스
Somalia: Former president in coma (correction)
http://somalinet.com[...]
SomaliNet
2007-05-22
[13]
뉴스
Somalia's first president dies at age 98
http://www.iht.com/a[...]
Associated Press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7-06-08
[14]
웹사이트
Body of First President Arrives in Mogadishu
http://allafrica.com[...]
2007-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