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아드 바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아드 바레는 1910년경 또는 1919년 소말리아에서 태어나 군 경력을 쌓았으며, 1969년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하여 독재 정치를 시작했다. 그는 과학적 사회주의와 이슬람 원칙을 결합한 이념을 추구하며, 대규모 공공 사업과 문맹 퇴치 운동을 펼쳤으나, 오가덴 전쟁 패배와 인권 탄압으로 국내 반발을 샀다. 1991년 내전으로 축출되어 망명했으며, 1995년 나이지리아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말리아의 무슬림 - 하산 셰흐 마하무드
    하산 셰흐 마하무드는 소말리아의 정치인으로, 소말리아 국립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인도 보팔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2012년부터 2017년까지, 2022년부터 현재까지 소말리아 대통령으로 재임하고 있다.
  • 소말리아의 무슬림 -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는 소말리아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서 1998년 푼트랜드 자치 정부를 수립하고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의 대통령을 지내며 소말리아 재건을 위해 노력했다.
시아드 바레
기본 정보
시아드 바레 소장의 공식 초상화
시아드 바레 소장의 공식 초상화
본명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출생1909년 10월 6일 (추정)
출생지에티오피아 오가덴 실라보
사망1995년 1월 2일 (75세 또는 86세 추정)
사망지나이지리아 라고스
안장지소말리아 게도 가르바하레이
국적소말리아
정치 경력
소속 정당최고 혁명 평의회 (1969–1976)
소말리아 사회주의 혁명당 (1976–1991)
소말리아 민족 전선 (1991–1992)
직책소말리아 대통령 (3대)
소말리아 사회주의 혁명당 총서기 (1대)
아프리카 통일 기구 의장 (12대)
최고 혁명 평의회 의장 (1대)
소말리아 국군 최고 사령관 (1대)
소말리아 국군 부사령관 (2대)
소말리아 국가군 사령관 (2대)
대통령 임기 시작1969년 10월 21일
대통령 임기 종료1991년 1월 26일
부통령자마 알리 코르셸
모하메드 아이난셰
알리 사마타르
후세인 아프라
이스마일 아보코르
아흐메드 모하무드 파라
총리모하메드 알리 사마타르
외무 장관 임기1976년 ~ 1977년, 1988년 ~ 1989년
전임 대통령압디라시드 셰르마르케
무크타르 모하메드 후세인 (대행)
후임 대통령알리 마디 무하마드
소말리아 사회주의 혁명당 총서기 임기 시작1976년 6월 26일
소말리아 사회주의 혁명당 총서기 임기 종료1991년 1월 26일
아프리카 통일 기구 의장 임기 시작1974년 6월 12일
아프리카 통일 기구 의장 임기 종료1975년 7월 28일
전임 아프리카 통일 기구 의장야쿠부 고원
후임 아프리카 통일 기구 의장이디 아민
최고 혁명 평의회 의장 임기 시작1969년 10월 21일
최고 혁명 평의회 의장 임기 종료1976년 7월 1일
소말리아 국군 최고 사령관 임기 시작1969년 10월 21일
소말리아 국군 최고 사령관 임기 종료1991년 1월 26일
소말리아 국가군 사령관 임기 시작1965년 4월 20일
소말리아 국가군 사령관 임기 종료1969년 11월 25일
전임 소말리아 국가군 사령관다우드 압둘레 히르시
후임 소말리아 국가군 사령관모하마드 알리 사마타르
소말리아 국가군 부사령관 임기 시작1960년 4월 12일
소말리아 국가군 부사령관 임기 종료1965년 4월 20일
후임 소말리아 국가군 부사령관모하메드 아이난셰 굴레드
군사 경력
소속이탈리아 왕국군 (1935–1945)
영국 (1945–1950)
이탈리아 (1950–1960)
소말리아 공화국 (1960–1969)
소말리아 민주 공화국 (1969–1991)
소말리아 민족 전선 (1991–1992)
복무 기간1935–1992
계급소장
참전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동아프리카 전역
소말리아 군사 쿠데타
1969년 소말리아 쿠데타
1978년 소말리아 쿠데타 미수 사건
에티오피아-소말리아 분쟁
1964년 국경 전쟁
오가덴 전쟁
1982년 국경 전쟁
소말리아 반란
소말리아 내전
학력
출신 학교모데나 육군사관학교
가족
배우자카디자 말림
달라야드 하지 하시
파두모 아우 무세
팔하도 구레
마리암 하산
자녀마슬라흐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28명 이상
친척압디라흐만 자마 바레 (사촌)
모하메드 사이드 헤르시 모건 (사위)
기타
종교이슬람교 수니파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시아드 바레의 정확한 출생 연도는 1909년부터 1921년까지 다양하게 추정되나, 일반적으로 1910년경 소말리아 게도 지역의 가르바하레에서 유목민의 아들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8][9][10] 그는 다로드 씨족에 속하는 마레한 아버지와 오가덴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7][6] 비공식적인 출생지는 에티오피아 오가덴 지역의 실라보이다.[6][7]

바레는 10살 때 아버지와 형제를 잃는 어려운 유년 시절을 보냈다.[11][12][13] 이러한 경험은 그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다고 알려져 있다.[14] 그는 어린 시절 '바레'라는 별명을 얻었는데, 이는 그의 외향적인 성격을 나타내는 것이었다.[15]

바레는 10세에 게도 지역의 루그(루크) 마을에서 초등학교를 다녔고,[10][7][6] 꾸란 학교에서 이슬람의 기초를 습득했다. 1941년에는 영국 군대 관할 하의 경찰에 입대하여 모가디슈에서 교육을 받았고,[17] 1940년대에 중등 교육을 마쳤다. 1950년, 영국이 행정을 이탈리아로 이관했을 때, 바레는 원주민으로서 가능한 최고 계급인 수석 경찰 감찰관에 도달했다.[18]

1952년, 바레는 후세인 쿨미에 아프라 등과 함께 이탈리아 육군 사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6] 1955년에는 경찰서장 직책을 받았다. 1958년에는 소령 계급에 도달했으며, 1960년 소말리아 독립 후 소말리아 육군의 부사령관이 되었다.[6][19][20][10] 1965년에는 육군 사령관에 취임했다.

3. 1969년 쿠데타와 정권 장악

1960년 소말리아는 독립 이후 민주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씨족주의와 부패 문제로 인해 정치적 혼란이 계속되었다.[22] 1969년 10월 15일, 압디라시드 알리 셰르마르케 대통령이 암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냉대받던 씨족 출신의 경비원이 범인이었으며, 그 배후에 시아드 바레가 있다는 설이 널리 퍼져 있다.

대통령 암살 이후, 혼란스러운 상황을 틈타 시아드 바레는 쿠데타를 일으켰다. 1969년 10월 21일, 군은 모가디슈를 장악했고, 11월 1일에는 시아드 바레를 의장으로 하는 최고 혁명 평의회(SRC)가 설립되었다. SRC는 헌법을 정지시키고 실권을 장악했으며, 과학적 사회주의 노선으로의 전환을 선언하고 국호를 "소말리아 민주 공화국"으로 변경했다. SRC는 씨족주의, 부패, 연고주의 척결을 내세워 국민들의 지지를 얻었다.

4. 통치 정책 및 이념

1969년 쿠데타로 집권한 시아드 바레는 소말리아를 사회주의 국가로 만들기 위해 여러 정책을 시행했다. 그는 과학적 사회주의쿠란의 가르침, 그리고 소말리아 민족주의를 결합한 독자적인 이념을 추구했다.[22]

바레는 칼 마르크스와 블라디미르 레닌의 초상화를 공공장소에 배치하며 개인 숭배를 조장했다.[22] 그의 통치 아래 대규모 공공 사업 프로그램이 시작되었고, 도시와 농촌 지역에서 문맹 퇴치 운동이 성공적으로 시행되어 문맹률이 크게 감소했다. 주요 산업과 토지는 국유화되었으며, 은행, 보험 회사, 석유 유통 농장 등이 국유화 대상에 포함되었다.[37]

바레 정권은 외교 정책에서 아랍 세계와의 전통적, 종교적 관계를 강조하여 1974년 아랍 연맹에 가입했다.[10] 같은 해, 바레는 아프리카 연합(AU)의 전신인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 의장직을 맡기도 했다.[23]

바레는 소말리아 혁명 사회주의 정당(SRSP)을 창설하여 일당제 정부를 수립했다. SRSP는 과학적 사회주의이슬람 국가 원칙을 결합한 이념을 표방했으며, 사회 발전, 평등, 정의를 강조하는 이슬람 원칙과 자기 충족, 공공 참여, 대중 통제, 생산 수단의 직접 소유를 강조하는 사회주의 원칙을 조화시키려 했다.[24]

바레는 대 소말리아(''Soomaaliweyn'') 개념을 옹호하며 지부티, 에티오피아오가덴, 케냐의 북동부 주 등 소말리족 거주 지역의 통합을 추구했다.[26][27][28] 1977년에는 오가덴 전쟁을 일으켜 이 지역을 통합하려 했으나, 소련쿠바의 지원을 받은 에티오피아에 패배했다.

오가덴 전쟁 이후, 바레는 소련과의 관계를 단절하고 미국 등 서방 국가로 외교 노선을 전환했다.[68][69][70] 1980년에는 미군에게 베르베라 항과 베르베라 공군기지 사용을 허가하고, 그 대가로 경제 및 군사 원조를 받았다.

5. 오가덴 전쟁과 국제 관계

1977년 바레 정부는 오가덴을 시작으로 소말리족 거주 지역을 대 소말리아에 통합하려 오가덴 전쟁을 일으켰다.[26][27][28] 소말리아군은 소련의 지원을 받는 에티오피아를 침공하여 초기에는 오가덴 지역 대부분을 점령하며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소련이 에티오피아를 지원하고 거의 모든 공산주의 국가가 소말리아에 반대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소련은 바레 정권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고 에티오피아에 대한 군사 지원을 늘렸으며, 약 15,000명의 쿠바 군을 투입했다. 결국 1978년 소말리아군은 오가덴에서 쫓겨났다.

홍해 입구에 위치한 소말리아의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소련미국 모두 소말리아를 중요하게 여겼다. 1970년대 후반 소련과 관계가 틀어지자 바레는 소련 고문들을 추방하고 소련과의 우호 조약을 파기했으며, 서방 세계로 돌아섰다.[29] 또한 동구권(중국, 루마니아 제외)과 모든 관계를 단절했다.[30] 미국은 1989년까지 바레 정부를 지원하며 매년 약 1억달러의 경제 및 군사 원조를 제공했다.[31] 1982년에는 로널드 레이건과 만나 미국과 소말리아의 새로운 관계를 발표했다.[32]

1977년 루프트한자 181편 납치 사건 당시, 서독 총리 헬무트 슈미트와의 협상을 통해 GSG 9 대테러 부대가 모가디슈에 진입하여 인질을 구출하는 것을 허용했다.[34]

오가덴 전쟁에서 소말리아는 패배했다. 바레는 이 전쟁에서 에티오피아를 지원한 소련쿠바의 군사 고문단을 추방하고 동구권과 단교했으며, 공산권에서는 중소 분쟁으로 소련과 적대 관계에 있던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련으로부터 거리를 두었던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정권의 루마니아와만 국교를 유지했다.[68] 또한, 아랍 연맹에 가입하여 이집트사우디아라비아 등 Safari Club|사파리 클럽영어이라고 불리는 친미반공 아랍・이슬람 국가들과 미국 및 옛 종주국인 이탈리아와 같은 서방 국가로부터 군사 원조를 받았다.[69][70]

1980년에는 미군에게 베르베라 항과 베르베라 공군기지 사용을 허가했고, 그 대가로 5300만달러의 경제 원조와 4000만달러의 군사 원조를 받았다.

6. 국내 통치와 인권 탄압

시아드 바레는 1969년 쿠데타로 집권한 후, 장기간 권력을 유지하며 반대파를 탄압하고 인권을 유린했다.[41] 특히 국가 보안법 제54호를 통해 국가 보안국(NSS)에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하여 반체제 인사를 억압했다.[44] 이 법은 NSS에게 재판 없이 무기한 구금, 영장 없는 체포 권한을 부여했으며, "국가 안보" 관련 범죄에 대해서는 사형을 의무화했다.[44]

바레 정권은 아이사크 학살로 불리는 북부 지역의 아이사크족 등 특정 씨족에 대한 조직적인 탄압을 자행했다.[45] 1988년부터 1989년까지 5만 명에서 6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42] 유엔 개발 계획(UNDP)은 바레의 21년 정권이 아프리카에서 최악의 인권 기록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다.[41]

국제 앰네스티는 NSS가 자행한 고문에는 처형, 구타, 전기 충격, 여성 수감자 강간, 가짜 처형 및 살해 위협 등이 포함되었다고 보고했다.[43]

1979년에는 종교적 신념을 이유로 체포된 10명의 셰이크를 처형하여 종교계의 반발을 샀다.[48] 많은 소말리아인들은 이 사건이 국가 실패의 결정적인 사건이라고 믿는다.[48]

오가덴 전쟁 이후, 바레는 권력 유지를 위해 혈족주의를 채택하고, 군대를 동원하여 국민을 억압하고 특정 씨족을 대상으로 대량 학살을 자행했다.[49] 특히 이사크 씨족을 지목하여 탄압했으며, 이는 소말리아 민족 운동 지지자들의 집단적 자긍심을 부추겼다.[49]

7. 반정부 운동과 몰락

오가덴 전쟁 실패 후, 바레 행정부는 1978년 쿠데타 시도에 연루된 혐의로 정부 및 군 관계자를 체포했다.[53][54] 쿠데타 모의 혐의자 대부분은 즉결 처형되었으나,[55] 일부 관료는 해외로 탈출, 무력으로 바레 정권을 몰아내기 위한 반체제 단체를 결성했다.[56]

오가덴 전쟁 패배 전후로 에티오피아령 내 다수의 소말리족 난민이 소말리아로 유입되어 국내 혼란이 일어났다. 패전으로 바레의 권위는 실추되었고, 1986년 교통사고로 건강이 악화되자 군에 의존하는 강압 통치를 펼쳤다. 국내에서는 바레 타도 움직임이 높아졌고, 냉대받아온 마제르틴족과 이삭족을 중심으로 에티오피아령 등에서 소말리아 구국 민주 전선(SSDF)과 소말리아 국민 운동(SNM) 등 반정부 조직이 결성되었다.

바레는 이러한 운동을 탄압했다. 1988년 하르게이사부라오를 소말리아군이 공격하는 등, 반정부 조직의 저항이 격렬해져 내전으로 치달았다. 내전과 역병으로 소말리아의 주요 외화 획득원인 가축 수출이 정체되고, 물품 부족으로 인플레이션이 진행되어 실패 국가가 되었다.[67] 경제 위기 등으로 소말리아 국내에서 바레 정권 타도가 외쳐졌다. 바레는 민주화를 약속했지만 실행하지 않고 권력 유지를 고집했다.

1989년 7월 수도 모가디슈에서 반정부 활동가 2,000명이 체포되었고, 인권 침해를 이유로 1990년 해외 원조가 중단되어 치명상이 되었다. 재원을 잃은 바레는 지방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하고 "모가디슈 시장"으로 조롱받으며 지방 세력의 수장으로 전락했다. 1990년 3월 모가디슈에 반정부 세력의 공격이 시작되었고, 5월 수도 전역에 계엄령이 발동되었다. 12월, 아이디드 장군이 이끄는 통일 소말리아 회의가 격렬한 전투 끝에 수도를 제압하고 바레를 추방했다. 바레는 수도 탈환을 시도했지만 실패, 케냐로 국외 도피 후 나이지리아로 망명했다.

8. 망명과 죽음

1991년 1월 26일, 시아드 바레는 사위인 모르간 장군과 함께 수도 모가디슈를 탈출하여 가족의 거점인 소말리아 남서부 부르두보에 잠시 머물렀다.[59] 그는 소말리아 중앙 은행의 준비금(금과 외화 2700만달러 상당)을 싣고 도주했다.[60][61][62][63]

바레는 권력 회복을 위해 두 차례 모가디슈 탈환을 시도했으나, 1991년 5월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 장군의 군대에 패배하여 망명길에 올랐다. 처음에는 케냐 나이로비로 갔지만, 현지 반대 단체들의 항의로 인해 2주 후 나이지리아로 이동했다.[64] 바레는 1995년 1월 2일 라고스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64] 그의 유해는 소말리아 남서부 게도주에 매장되었다.

바레의 몰락 이후, 소말리아는 내전과 경제난으로 인해 실패 국가가 되었다.[67] 1989년에는 반정부 활동가 2,000명이 체포되었고, 1990년에는 인권 침해를 이유로 해외 원조가 중단되면서 바레 정권은 지방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했다. 1990년 12월,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 장군이 이끄는 통일 소말리아 회의가 수도를 장악하면서 바레는 축출되었다.

바레의 실각 후에도 소말리아는 오랜 내전과 혼란을 겪었으며, 2012년에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정식 정부가 수립되었지만, 2017년 현재까지도 완전한 통일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바레가 적대시했던 이삭 씨족의 본거지인 북부 지역은 소말릴란드로, 북동부 씨족은 푼트란드로 독립 또는 자치를 선언하여 여전히 분리된 상태이다.

9.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986년 소말리아 대통령 선거소말리아의 대통령3대소말리혁명사회주의당99.97%4,887,592표1위


참조

[1] 서적 A Vet in Somalia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12-05-22
[2] 간행물 Ethiopian foreign policy and the Ogaden War: the shift from "containment" to "destabilization," 1977–1991. 2014
[3] 서적 Somalia: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1993
[4] 서적 Somalia: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1993
[5] 서적 Somalia: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1993
[6] 뉴스 Mohamed Siad Barre https://www.britanni[...] 2022-10-01
[7] 웹사이트 Mohamed Siad Barre (1910-1995) • https://www.blackpas[...] 2022-10-01
[8] 뉴스 Somalia's Overthrown Dictator, Mohammed Siad Barre, is Dead https://www.nytimes.[...] 1995-01-03
[9]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3-Volume Se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7-04
[10] 서적 The Cold War, 1945-1991: Leaders and other important figures in the Soviet Union, Eastern Europe, China, and the Third World https://archive.org/[...] Gale Research 1992
[11] 서적 Soomaaliya: Maxay Kala tirsaneysaa Maryooley? Horn Heritage 1995
[12] 문서 Welcome home to nothing : refugees repatriate to a forgotten Somaliland U.S. Committee for Refugees 2001
[13] 문서 The Middle East. Issues 195-206 IC Publications Limited 1991
[14] 서적 The History of Somalia ABC-CLIO 2013
[15] 문서 Mogadiscio's Unenlightened Pilgrim: Farah's “Links,” Dante's “Inferno,” and the Somali Civil War. 2020
[16] 웹사이트 'Daniel Compagnon. "RESSOURCES POLITIQUES, REGULATION AUTORITAIRE ET DOMINATION PERSONNELLE EN SOMALIE LE REGIME SIYYAD BARRE (1969-1991)", Volume 1; p.163' https://tel.archives[...] 2017-11-29
[17] 뉴스 Maj. General Siad Barre https://rpl.hds.harv[...] 2022-10-01
[18] 웹사이트 Siad Barre's Rule in Somalia: Force and Guile With AM-Somalia https://apnews.com/a[...] 2022-10-01
[19] 웹사이트 Carabinieri Police College in Italy - 1952 https://www.jaallesi[...] 2022-10-01
[20] 웹사이트 President Mohamed Siad Barré and Somali Officials speaking italian Part 1 https://www.youtube.[...] 2014-03-05
[21] 웹사이트 Khudbaddii Jaalle Siyaad - 1969 https://www.jaallesi[...] 2022-10-29
[22] 문서 Somalia: A Country Study Library of Congress 1992
[23] 문서 Africa South of the Sahara 2001 Taylor and Francis 2000
[24] 문서 The New Communist Third World: an essay in political economy Taylor & Francis 1982
[25] 서적 The Encyclopedia Americana: complete in thirty volumes. Skin to Sumac https://books.google[...] Grolier 1995
[26] 웹사이트 FDRE States: Basic Information - Somalia http://www.ethiopar.[...] 2006-03-12
[27] 문서 First report on succession of states in respect of treaties: International Law Commission twenty-sixth session 6 May – 26 July 1974 United Nations 1974
[28] 문서 Kenya: Taking Liberties Yale University Press 1991
[29] Youtube Synd 21 7 78 President Barre of Somalia Speech Against Russians at OAU Conference https://www.youtube.[...] 2015-07-24
[30] 서적 Political Conflict on the Horn of Africa Praeger 1981
[31] 서적 The Suicidal State in Somalia: The Rise and Fall of the Siad Barre Regime, 1969–199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16-04-01
[32] Youtube President Reagan Meeting with President Siad Barre of Somalia. Oval Office on March 11, 1982 https://www.youtube.[...] 2017-04-19
[33] 웹사이트 Somalia's Siad Barre saves Amin from Tanzanians https://www.monitor.[...] 2017-11-20
[34] 뉴스 Der Preis für die Befreiung der Mogadischu-Geiseln https://www.welt.de/[...] WeltN24 GmbH (Axel Springer SE) 2009-07-30
[35] 문서 National Geographic National Geographic Society 1981
[36] 간행물 "The Geology of Somalia: A Selected Bibliography of Somalian Geology, Geography and Earth Science." https://web.archive.[...] Engineer Research and Development Laboratories, Topographic Engineering Center 2007
[37] 서적 "Somalia: A Country Study" Library of Congress 2009-10-21
[38] 서적 Africa review World of Information 1987
[39] 서적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2008 CQ Press 2008
[40] 서적 "Scientists and human rights in Somalia: report of a delegation" National Academies 1988
[41] 간행물 Human Development Report 2001-Somalia New York 2001
[42] 서적 Somalia: A Government at War with its Own People New York 1990
[43] 서적 Torture in the Eighties Pitman Press 1984
[44] 서적 "Scientists and human rights in Somalia: report of a delegation" National Academy Press 1988
[45] 서적 Somalia: A Country Study Library of Congress 2009-10-21
[46] 서적 "Somalia: A Country Study" Library of Congress 2009-10-21
[47] 서적 Somalia: A Country Study Library of Congress 2009-10-21
[48] 웹사이트 Somalia: Information on religious mistreatment of Muslims https://www.refworld[...] "Canada: Immigration and Refugee Board of Canada" 2023-06-20
[49] 논문 Formation and Recognition of New States: Somaliland in Contrast to Eritrea https://www.jstor.or[...] 2020-09-12
[50] 웹사이트 "Somalia — Government" http://countrystudie[...] Library of Congress 2014-02-15
[51] 웹사이트 State-sponsored violence and conflict under Mahamed Siyad Barre: the emergence of path dependent patterns of violence https://web.archive.[...] "World Peace Foundation, The Fletcher School of Law and Diplomacy" 2014-10-07
[52] 뉴스 Analysis: Somalia's powerbrokers http://news.bbc.co.u[...] 2014-10-07
[53] 간행물 ARR: Arab report and record Economic Features, ltd. 1978
[54] 웹사이트 Brothers in Arms Part I https://web.archive.[...] WardheerNews 2012-02-28
[55] 간행물 New people "New People Media Centre: Comboni Missionaries" 2005
[56] 서적 Somalia: issues, history, and bibliography Nova Publishers 2002
[57] 뉴스 Insurgents Claiming Victory in Somalia https://www.nytimes.[...] 2017-10-28
[58] 간행물 The Middle East: Abstracts and index Library Information and Research Service 1999
[59] 서적 The Somali conflict : prospects for peace https://www.worldcat[...] Oxfam 1994
[60] 웹사이트 "Refworld {{!}} Somalia: Civil War, Intervention and Withdrawal 1990 - 1995" https://www.refworld[...] 2020-10-21
[61] 뉴스 Insurgents Claiming Victory in Somalia (Published 1991) https://www.nytimes.[...] 2020-10-21
[62] 뉴스 Insurgents Claiming Victory in Somalia (Published 1991) https://www.nytimes.[...] 2021-01-28
[63] 서적 Violations of the Rules Applicable in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s and Their Possible Causes: The Case of Somalia https://books.google[...] "BRILL" 2010-05-17
[64] 뉴스 Former Somalian President Mohamed Siad Barré Dies https://www.washingt[...]
[65] 논문 Korea Today
[66] 논문 Oдликовања http://www.pravno-in[...] 2024-02-29
[67] 문서 ソマリアにおけるシアド・バーレ体制とは何だったのか? http://www.ide.go.jp[...] アジア経済研究所 2006
[68] 서적 Political Conflict on the Horn of Africa Praeger 1981
[69] 웹사이트 Arms Transfers Database http://armstrade.sip[...] 2018-06-27
[70] 웹사이트 Somalia - FOREIGN MILITARY ASSISTANCE - Country Data http://www.country-d[...]
[71] 웹인용 Obituary: Siad Barre http://www.netnomad.[...] 2006-12-18
[72] 뉴스 Somalia's Overthrown Dictator, Mohammed Siad Barre, Is Dead http://www.nytimes.c[...] 뉴욕 타임즈 1995-01-03
[73] 간행물 The Horn of Africa: Somalis in Djibouti, Ethiopia and Kenya http://www.unhcr.org[...] UNHCR 1991-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