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랍 연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랍 연방은 1958년 이라크와 요르단이 결성한 짧은 기간 존속했던 연합 국가이다. 범아랍주의와 아랍 민족주의가 대두되던 시기에, 이집트와 시리아의 아랍 연합 공화국 결성에 위협을 느낀 하심 가문의 이라크와 요르단이 반공주의를 표방하며 연합했다. 외교와 국방을 통합했으나, 이라크에서 7·14 혁명이 일어나 파이살 2세가 사망하고 왕정이 무너지면서 약 반 년 만에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랍 연방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랍 연방의 국기
국기
로마자 표기Al-Ittihad Al-'Arabī Al-Hashimi
일반 명칭아랍 연방
정부 형태연방 입헌 이두 정치
수도바그다드
공용어아랍어 (메소포타미아 아랍어, 레반트 아랍어)
종교다수 이슬람 (수니파, 시아파), 소수 기독교 및 기타
역사
존속 기간1958년
시작일1958년 2월 14일
사건이라크 쿠데타
사건 날짜1958년 7월 14일
종료일1958년 8월 2일
이전 국가이라크 왕국
요르단
이후 국가이라크 공화국
요르단
정치
국왕 (이라크)파이살 2세
국왕 (요르단)후세인 1세
면적
면적 (km2)533,314
인구
인구 (1958년)8,068,000명
통화
통화이라크 디나르
현재 국가
현재 국가이라크
요르단
서안 지구
이스라엘 (분쟁 지역)

2. 배경

20세기 초 오스만 제국의 해체 이후 중동 지역에서는 범아랍주의아랍 민족주의가 대두되었다. 하심가는 스스로를 아랍 세계의 지도자로 여겼으나, 서방의 지원을 받는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라크 내 쿠르드족시아파는 범아랍주의에 대한 불신을 표명했다.[13] 이집트가말 압델 나세르는 아랍사회주의를 내세우며 하심가 및 사우디아라비아와 대립했다. 냉전 시기 중동 국가들은 복잡한 국제 관계 속에서 생존을 모색했는데, 이를 아랍 냉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 초, 요르단이라크는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이라크는 요르단에게서 얻을 수 있는 경제적, 전략적 이점이 거의 없었으며, 압둘라 1세아랍-이스라엘 분쟁 중재, 요르단 내 팔레스타인인 문제, 석유 등 천연 자원 부족, 압둘라 1세와 이라크 섭정 압둘 일라 간의 불안정한 관계 등 요르단의 문제도 컸다.[10] 1951년 압둘라 1세 암살 후, 요르단 왕위는 탈랄 1세를 거쳐 후세인 1세가 이었다.

1955년 이라크는 중앙 조약 기구에 가입하여 친서방 노선을 강화했지만, 이는 나세르의 비판을 받았다.

1958년 초, 아랍 연방에 관한 후세인 국왕과 파이살 국왕의 회담.


후세인 국왕과 그의 사촌 파이살 국왕.

3. 연방 결성

1958년 초, 가말 압델 나세르는 시리아와 이집트를 아랍 연합 공화국으로 통일하였고, 이는 여러 나라가 아랍 연합 공화국에 가입하는 첫 단계라고 선전하였다. 이는 시리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하심가에 직접적인 위협으로 작용하였다.[11][12] 누리 알-사이드는 나세르의 범아랍주의에 대항하고 이라크 내 아랍 민족주의를 잠재우기 위해 요르단 하심가에 접근하여 연합을 만드는 안을 논의하였다. 1958년 2월 14일 아랍 연방이 공식적으로 창설되었으며, 외교와 국방은 하나로 통일하였지만 이 외에는 각 국가가 관리하였다. 아랍 반란의 기를 연방의 국기로 사용하였다.[11][12] 알사이드는 이라크 총리직을 사퇴하고 아랍 연방의 수상이 되었다.[13]

4. 7·14 혁명

파이살 2세의 친척인 압둘 일라의 시체가 훼손되어 발코니에 걸려 있는 모습.


1958년 7월 14일, 요르단 암만에서 사람들이 이라크 내 왕정 폐지에 대한 뉴스를 보고 있는 모습.


아랍 연합 공화국과 아랍 연방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던 중, 1958년 여름 아랍 연합 공화국이 시리아 국경으로 군대를 이동시키자, 아랍 연방은 동원령을 내렸다.

이라크에서는 자유 장교단을 중심으로 왕정을 전복하려는 계획이 진행되었다. 이들은 나세르가 이집트 왕정을 무너뜨린 것에 영향을 받았지만, 나세르의 직접적인 지시를 받은 것은 아니었다. 1958년 7월, 압둘카림 카심이 이끄는 군대가 요르단-시리아 국경으로 이동하던 중 바그다드를 지나게 되었고, 카심은 이 기회를 틈타 군대를 바그다드로 돌려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를 7·14 혁명이라 부른다. 이 과정에서 파이살 2세, 압둘 일라, 누리 알사이드 등 왕족과 정부 요인들이 살해되었다.[13][4]

4. 1. 혁명의 배경

팔레스타인 전쟁에서 아랍 연합군이 패배하자, 군 장교들은 이를 아랍 군주제의 실패로 보았다. 1952년 이집트 왕국이 자유 장교단에 의해 공화정으로 바뀌었다. 수에즈 전쟁에서 이집트가 성공하자, 다른 아랍 국가 군대도 영향을 받아 군주제를 타도하려는 분위기가 퍼졌고, 이집트는 이를 부추기기 위해 선전에 힘썼다. 이라크 내에서는 1952년 나세르가 이집트 왕조를 폐위시킨 것을 보고 왕조 전복을 계획하는 집단이 생겨났다.[13]

4. 2. 혁명 이후

이라크 내 하심가 퇴위에 대해 요르단 내 하심가는 빠른 반응을 보였는데, 이는 이라크에 있던 후세인 1세의 친인척과 당시 이라크를 방문하던 요르단 총리 이브라임 하솀까지 같이 처형되었기 때문이었다.[14][5] 이라크에서 공화국이 선포된 직후 후세인 1세는 영국과 미국에 지원을 요청하여, 영국은 같은 해 11월 2일까지 요르단에 군사 4천 명을 파견했고, 미국은 레바논 베이루트에 군대를 주둔시켰다. 11월 2일 미국이 "영국의 지원을 대신해 연간 4000만달러~5000만달러를 지원"하기로 약속한 후 영국군은 철수하였다.[14][5]

5. 해체 이후

하심가를 폐위시켰던 쿠데타 정권은 1960년대 다시 전복되어 요인 다수가 처형되면서 양국 관계 개선의 계기가 마련되었다.[15][16] 1975년 요르단은 시리아와의 전통적인 경제 협력 관계를 중단하고 이라크로 눈을 돌렸으며, 이라크의 석유 자원, 시장, 전략적 깊이를 통해 어느 정도 경제를 발전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1990년대 요르단은 이라크의 최대 시장으로 성장하였으며, 이란-이라크 전쟁 이후의 재건에도 관여하였다.[6][7]

이라크-요르단 관계도 참조

6. 평가 및 대한민국과의 관계

아랍 연방은 짧은 기간 존속했지만, 중동 지역의 민족주의, 냉전, 그리고 국가 간의 복잡한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팔레스타인 전쟁에서 아랍 연합군이 패배하면서 군 장교들은 아랍 군주제의 문제점을 인식하게 되었다.[1] 1952년 이집트 왕국은 자유 장교단에 의해 공화정으로 바뀌었다.[1] 수에즈 전쟁에서 이집트가 성공하자 다른 아랍 국가 군대도 영향을 받아 군주제를 타도하려는 움직임이 퍼져나갔고, 이집트는 이러한 분위기를 부추기기 위해 선전에 힘썼다.[1]

1957년 하심 가문의 군주국인 요르단 왕국에서 쿠데타가 일어났지만, 가까스로 진압되었다.[1] 1958년 초, 이집트시리아범아랍주의를 바탕으로 아랍 연합 공화국을 결성하자, 위기감을 느낀 요르단 왕국은 같은 하심 가문의 군주국이자 아랍에서 반공산주의, 친유럽, 친미 성향의 맹주를 자처하던 이라크 왕국과 함께 아랍 연방을 결성하였다.[1] 연방 원수에는 이라크 왕 파이살 2세가 취임했다.[1]

그러나 7월 14일 혁명으로 이라크 왕국이 무너지면서 아랍 연방은 약 반년 만에 붕괴되었다.[1]

참조

[1] 학술지 Jordan and Iraq: Efforts at Intra-Hashimite Unity https://www.jstor.or[...] Taylor & Francis 1990
[2] 웹사이트 Al Moqatel - ثورة عام 1958، في العراق http://www.moqatel.c[...]
[3] 웹사이트 الاتحاد العربي الهاشمي بين العراق والاردن 14 شباط - فبراير 1958، جريدة الحقيقة في 26 نوفمبر 2016 https://alhakikanews[...] 2023-12-25
[4] 서적 A History of Iraq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Colonial Effects: The Making of National Identity in Jorda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6] 학술지 Economics and Shifting Alliances: Jordan's Relations with Syria and Iraq, 1975-81 https://www.jsto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7] 학술지 Between Iraq and a Hard Place: Jordanian-Iraqi Relations https://www.jstor.or[...] Middle East Research and Information Project 2000
[8] 서적 The Lebanese civil war Praeger 1980
[9] 서적 Politics and government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University Press of Florida 1991
[10] 학술지 Jordan and Iraq: Efforts at Intra-Hashimite Unity https://www.jstor.or[...] Taylor & Francis 1990
[11] 웹인용 Al Moqatel - ثورة عام 1958، في العراق http://www.moqatel.c[...]
[12] 웹인용 الاتحاد العربي الهاشمي بين العراق والاردن 14 شباط - فبراير 1958، جريدة الحقيقة في 26 نوفمبر 2016 https://alhakikanews[...] 2023-12-25
[13] 서적 A History of Iraq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서적 Colonial Effects: The Making of National Identity in Jorda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15] 학술지 Economics and Shifting Alliances: Jordan's Relations with Syria and Iraq, 1975-81 https://www.jsto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6] 학술지 Between Iraq and a Hard Place: Jordanian-Iraqi Relations https://www.jstor.or[...] Middle East Research and Information Project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