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 민족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랍 민족주의는 19세기 말 오스만 제국 쇠퇴와 서구 열강의 침략을 배경으로 태동하여, 아랍 민족의 단결과 독립을 추구하는 이념이다. 레반트 지역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조국'에 대한 충성심이 발전하며, 언어와 문화를 통해 아랍 정체성을 형성하려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영국 지원을 받아 아랍 반란이 일어났고, 이후 유럽 식민 지배에 대한 저항 운동으로 발전했다. 20세기 중반 가말 압델 나세르 시대에 절정을 이루었으나, 6일 전쟁 패배 이후 세력 약화와 함께 파벌 분열, 이념 갈등을 겪었다. 아랍 민족주의는 아랍어 사용, 이슬람 수용, 셈족 기원 등을 강조하며, 범아랍주의를 통해 아랍 국가들의 통합을 추구했다. 여성들은 민족주의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공적 영역에 진출하고, 아랍 민족주의는 여성의 지위 향상에도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랍 민족주의 - 미셸 아플라크
미셸 아플라크는 아랍 민족주의 사상가이자 바트당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아랍 민족의 단결, 자유, 사회주의를 핵심 가치로 하는 바트주의를 주창하며 아랍 바트당을 이끌었고, 말년에는 이라크 바트당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 아랍 민족주의 - 7월 14일 혁명
- 아랍 연맹 - 쿠웨이트
쿠웨이트는 서아시아의 입헌 군주국으로, 석유 매장량을 바탕으로 높은 경제 수준을 유지하며, 1990년 이라크의 침공 이후 다국적군의 도움으로 국토를 회복했고, 1979년 대한민국과 수교했다. - 아랍 연맹 - 알제리
알제리는 아프리카 북부 마그레브 지역에 위치한 국가로, 지중해 연안에 자리 잡고 있으며, 사하라 사막을 포함한 국토를 가지고 있으며,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를 거쳐 독립했으며, 현재는 대통령 중심 공화국 체제이나 군부의 영향력이 큰 국가이다.
아랍 민족주의 | |
---|---|
개요 | |
유형 | 정치 이념 |
정치적 위치 | 현상 유지 |
역사 | |
기원 | 19세기 후반 |
핵심 인물 | 가말 압델 나세르 미셸 아플라크 사담 후세인 무아마르 카다피 |
관련 이념 | 사회주의 범아랍주의 세속주의 |
특징 | |
목표 | 아랍 국가의 통일 아랍 민족의 단결 및 발전 외세의 영향력 배제 |
핵심 가치 | 아랍 민족주의 독립 진보 사회 정의 |
영향 | |
긍정적 영향 | 민족 의식 고취 독립 운동 촉진 사회 개혁 추진 |
부정적 영향 | 권위주의 정권 등장 종교 및 소수 민족 갈등 심화 지역 분쟁 및 전쟁 발생 |
2. 역사
1940년대 요르단의 압둘라 1세와 이라크의 누리 알사이드는 대(大) 시리아와 비옥한 초승달 연방 건설을 각각 꿈꿨지만, 주변 국가들의 의심과 아랍 연맹 결성, 압둘라 1세 암살, 7월 14일 혁명 등으로 실현되지 못했다.[95]
20세기 대부분 동안 시리아와 이집트는 아랍 연합 주도권을 놓고 경쟁했다.[96] 1958년 이집트와 시리아는 아랍 연합 공화국을 결성하여 일시적으로 연합했다.
이라크와 북예멘도 연합에 포함시키려 했으나, 이는 시리아의 약화를 초래했다. 같은 해 이라크에서 7월 14일 혁명이 일어나자 서방 세력은 아랍 민족주의 확산을 우려했다.
이집트의 패권에 대한 불만과 시리아 내 쿠데타로 아랍 연합 공화국은 1961년 붕괴되었으나, '아랍 연합 공화국' 명칭은 1971년까지 이집트에서 사용되었다.
1963년 시리아와 이라크에서 바트당이 집권하며 이집트와의 통합 회담이 열렸지만, 나세르 대통령의 지도 방식에 대한 불만으로 결렬되었다.[97] 다마스쿠스와 알레포에서 친나세르 시위와 쿠데타 시도가 있었으나 실패했고, 나세르는 연합 협정에서 탈퇴했다.[97]
1964년 이집트, 이라크, 북예멘은 '아랍 연합 공화국' 합병을 위한 통합 정치 지휘부를 결성했지만, 1966년과 1967년에 실패했다. 1971년과 1972년 무아마르 카다피는 아랍 공화국 연방 결성을 시도했고,[98] 1977년까지 유지되었다. 1974년 카다피와 하비브 부르기바의 아랍 이슬람 공화국 결성 시도는 마그레브 국가들의 통일 문제로 무산되었다.
1978년 이라크 아흐메드 하산 알 바크르 대통령과 시리아 하페즈 알 아사드 대통령은 캠프 데이비드 협정에 대응하기 위해 1979년 7월 양국 통합 협정을 맺으려 했다. 그러나 사담 후세인이 알 바크르를 강제 퇴임시키고,[100][101] 1979년 11월 시리아의 사담 후세인 전복 음모가 발견되면서 통일 회담은 중단되었다.[99]
2. 1. 오스만 제국 시기 (19세기 말 ~ 20세기 초)
19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서구 열강의 침략에 대한 반발로 아랍 민족주의가 태동했다. 레반트와 이집트를 중심으로 지식인들은 "조국"에 대한 충성심을 발전시켰는데, 이는 반드시 "아랍 조국"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17] 이들은 서유럽의 기술적 성공을 애국심의 발현으로 보았다.[17] 이 시기 서방 선교사들과 교육자들의 유입은 "아랍 정치 부흥"을 가져왔고, 제국 내에 비밀 결사들이 설립되었다.
지식인들은 아랍어로 신문을 창간하고, 아랍어 사전과 백과사전을 발간하며 통일된 언어를 사용하는 저널리즘을 확산시켰다. 이를 통해 오스만 제국의 권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었다.[18] 1860년대 마슈리크(레반트와 메소포타미아)에서 제작된 문학 작품은 오스만 투르크가 "이슬람을 배신"하고 조국을 기독교 서방에 넘겼다고 비난했다. 아랍 애국자들은 이슬람 정부가 진정한 이슬람을 부활시켜 헌법적인 대의 정부와 자유를 확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9]
시리아와 레바논의 일부 아랍인들 사이에서는 아랍주의와 지역적 애국심이 혼합되어 오스만주의보다 우위를 차지했다. 레바논 기독교 철학자 이브라힘 알 야지기는 1868년에 아랍인들에게 "잃어버린 고대 활력을 되찾고 투르크의 멍에를 벗어던지라"고 촉구했다. 1870년대 후반, 알 야지기를 포함한 비밀 결사가 베이루트에 오스만 제국에 대한 반란을 촉구하는 플래카드를 게시했다. 다마스쿠스에 기반을 둔 유력 인사들도 유사한 비밀 운동을 결성했지만, 이들은 독립적인 레바논을 요구하는 기독교 단체들과 오스만 제국 통치 하의 자치 대 시리아를 장려하는 무슬림 아랍 사회로 나뉘었다.[20]
1870년 초, 시리아 기독교 작가 프랜시스 마라쉬는 조국의 개념을 국가의 개념과 구별하고, 언어가 국가 정체성을 정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지적했다.[21] 20세기 초, 무슬림 아랍인 단체들은 아랍 민족주의적 "자아 인식"을 받아들였다.
이러한 아랍 애국심은 무함마드 압두와 자말 앗 딘 알 아프가니의 이슬람 근대주의와 부흥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이들은 이슬람 사회 개혁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며, 범무슬림 단결을 옹호했다.[11] 압두는 진정한 이슬람의 조상(아랍인)의 부활이 아랍 문화의 부활과 이슬람 세계에서 아랍의 지위 회복을 가져올 것이라고 믿었다. 압두의 추종자인 압드 알 라흐만 알 카와키비는 오스만 제국이 터키인과 아랍인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아랍인이 종교적, 문화적 지도력을 행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3]
2. 2. 제1차 세계 대전과 아랍 반란 (1914년 ~ 1918년)
1911년, 레반트 지역의 아랍 지식인과 정치인들은 파리에서 알 파타트("젊은 아랍 사회")라는 비밀 결사를 조직했다. 이들은 아랍 민족의 수준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초기에는 오스만 제국 내에서의 자치 확대를 요구했다.[24] 이들은 1913년 아랍 회의를 통해 개혁을 논의하고, 징집된 아랍인들이 비 아랍 지역에서 복무하지 않도록 요청했다. 그러나 오스만 당국의 탄압으로 지하로 들어가 완전한 독립과 통일을 추구하게 되었다.[25]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아랍 반란을 지원했다.[27] 오스만 제국이 패배한 후, 파이살 이븐 알-후세인이 이끄는 반군이 1918년 다마스쿠스에 입성했다. 파이살은 알 파타트에 합류하여 새로운 아랍 국가의 중추를 형성했다.[25] 다마스쿠스는 아랍 민족주의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지만, 예루살렘, 베이루트, 바그다드도 중요한 지지 기반이었다.[28]
그러나 영국과 프랑스는 비밀리에 사이크스-피코 협정을 맺어 아랍 지역을 분할 통치하기로 했다. 전쟁 후, 아랍 민족주의는 유럽 지배에 대한 중요한 저항 운동이 되었다.[30]
2. 3. 전간기와 식민 통치 시기 (1918년 ~ 1945년)
1920년 이라크 반란에서 볼 수 있듯이, 영국과 프랑스의 위임 통치에 대한 불만은 여러 차례 아랍인들의 반란으로 이어졌다.[31] 영국은 이라크의 도시 인구와 농촌 부족이 참여한 이 봉기를 1921년에 진압했지만, 이후 이라크 정책을 크게 바꾸었다.[32] 1925년에는 술탄 알아트라쉬의 지도 아래 시리아 남부의 드루즈족이 프랑스 통치에 반란을 일으켰고, 이는 시리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프랑스는 다마스쿠스를 폭격하여 수천 명의 사망자를 냈지만, 결국 시리아 독립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했다.[33] 이집트에서는 1919년에 대규모 반란이 일어났고, 3년간의 협상 끝에 1922년 영국은 이집트의 독립을 허용했지만, 군대는 여전히 이집트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34]이집트, 이라크, 사우디 아라비아, 북예멘의 상대적인 독립은 아랍 민족주의자들에게 식민 세력에 대항할 행동 계획을 제시하도록 했다. 1931년 예루살렘에서 열린 세계 이슬람 회의에서 아랍 대표들은 별도 회의를 열어 범아랍주의 협약을 선포했다. 이들은 아랍 국가가 불가분 전체를 형성하며, 모든 아랍 국가는 단일 통일 내에서 완전한 독립을 달성해야 하고, 식민주의에 저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5]
알제리에서는 1931년 설립된 알제리 무슬림 율라마 협회가 "이슬람은 우리의 종교, 알제리는 우리의 조국, 아랍어는 우리의 언어"라는 모토 아래,[35] 아랍-이슬람 민족 정체성을 강조하며 아랍어 교육을 제공했다.[36] 이 협회는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알제리 대중의 관심을 이끌어냈으며,[39] 1955년 알제리 전쟁에서 민족해방전선의 반란에 참여했다.[40][41]
1932년에는 아랍 독립당이 결성되어 팔레스타인에서 영국 위임 통치에 대한 저항을 강화하고 유대인 정착을 막기 위해 노력했다. 1933년 레바논에서는 민족행동 연맹(LNA)이 결성되어 아랍 국가 간의 관세 장벽 철폐와 공동 시장 및 산업 기반을 만들고자 했다.[42]
1936년 팔레스타인에서는 반시온주의 정서가 폭발하여 아랍 봉기가 일어났다. 아랍 고등 위원회(AHC)가 봉기를 조율하기 위해 설립되었고, 총파업과 유대인에 대한 보이콧이 시작되었다.[45]

이집트, 시리아, 알제리에서도 반식민 활동이 일어났으며, 이는 팔레스타인 봉기에 영향을 주었다.[44] 영국은 AHC를 해산하고 1937년 아민 알후세이니를 레바논으로 망명시켰다.[46] 1937년 9월 9일 시리아에서 열린 블루단 회의는 아랍 민족주의 감정의 성장과 아랍 정부 간의 연대 발전에 기여했다.[48]
1938년 이라크에서는 비밀 아랍 민족주의 사회인 아랍 민족주의당(ANP)이 결성되었다. 이라크 국왕 가지는 쿠웨이트 합병을 시도했고, 1939년 자동차 사고로 사망했다.[49] 1940년 라시드 알리 알가일라니는 이라크 총리가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며 독일과 대화를 시작했다. 1941년 이라크 군 장교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알가일라니를 총리로 임명했지만, 영국은 이라크를 재점령했다.[48]
아민 알후세이니는 점점 더 아돌프 히틀러와 가까워졌으며, 팔레스타인에서 "유대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치와 아랍의 정책을 조정하려 했다.[50] 그는 아랍인들에게 단결하여 "그들을 발견하는 곳에서 유대인을 죽이라"고 요청했다.[51][52][53]
이라크에서의 갈등은 아랍 세계 전역에 분노와 좌절감을 불러일으켰고, 영국은 아랍 민족주의 감정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을 인정했다.[56] 영국 외무부 장관 앤서니 에덴은 범아랍 관계에 대한 영국의 지지를 밝혔다.[56] 1942년 이집트에서는 아랍 연합 클럽이 창설되어 이집트와 아랍 세계 간의 더 강력한 관계를 요구했다.[55]
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와 아랍 연맹 결성 (1945년 ~ 1950년대)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아랍 국가들의 독립이 가속화되었다. 1943년 1월, 이라크의 누리 알사이드는 시리아, 트란스요르단, 팔레스타인, 레바논을 통합하고 팔레스타인 유대인에게는 제한적인 자치권을, 레바논 기독교인에게는 특별 권리를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비옥한 초승달 연합" 계획을 제안했다.[57] 이후 레반트 국가와 이라크는 국방, 외교 정책, 관세, 통화 및 소수 민족 보호 문제를 감독할 수 있는 "아랍 연맹"을 결성할 수 있었다. 이 제안은 하심 가문의 팽창주의 야망, 이집트와의 경쟁에서 아랍 지도력 지위를 확보하려는 이라크 정치 체제의 시도, 그리고 이라크 지도자들의 진정한 아랍 정체성 포용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57]나하스 파샤의 이집트 정부는 아랍 국가 간의 더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경쟁적인 계획을 시작했다. 이집트 내 영향력 있는 아랍 민족주의자들은 이집트의 아랍적 성격을 강조하려 노력했으며, 그중 가장 두드러진 인물인 압둘 라흐만 알 아잠은 "이집트는 그리스도 이전에 아랍 국가였다"라고 쓰기도 했다. 아랍주의에 대한 이집트의 적극적인 포용은 아랍인들 사이에 큰 호응을 얻었으며, 나하스 파샤의 계획은 알 사이드의 비옥한 초승달 계획보다 여러 아랍 정부로부터 더 많은 지지를 얻었다.[58] 이는 사우디 왕가와 다마스쿠스 정치 체제의 반감, 하심 가문의 경쟁적인 지도력 야망, 그리고 이집트의 계획이 미래의 독립을 양보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는 레바논 마론파 기독교 공동체의 믿음 등 여러 요인에 기인했다. 1944년 9월 25일부터 10월 8일까지 이라크, 시리아, 사우디 아라비아, 레바논, 트란스요르단, 예멘, 그리고 팔레스타인 아랍 공동체의 지도자들은 이집트 정부의 주최로 알렉산드리아에서 회의를 열었고, 그 결과 "알렉산드리아 의정서"로 알려진 합의가 이루어졌다.[59]
2. 5. 나세르 시대와 아랍 민족주의의 절정 (1950년대 ~ 1960년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집트의 지도자 가말 압델 나세르는 아랍 민족주의의 부상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95] 나세르는 수에즈 운하 지역에 대한 영국의 지배에 반대하고, 이집트가 냉전의 전장이 되는 것에 우려하여 아랍 연맹 내에서 아랍 국가 간의 협력을 추진했다. 그는 수에즈 운하를 국유화하여 서방 강대국의 지배에 직접 도전했다.[95]
나세르는 알제리 독립 전쟁에서 민족해방전선을 지원하며 아랍 민족주의와 혁명의 결합을 보여주었다.[60] 이는 1956년 수에즈 위기에서 프랑스가 이집트를 공격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61]
팔레스타인 문제와 시온주의에 대한 반대는 아랍 민족주의의 중요한 결집 지점이 되었다.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의 패배는 범아랍 민족주의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95]
범아랍주의는 초기에는 세속주의 운동이었다.[67] 그러나 대부분의 아랍인이 무슬림이라는 사실은 아랍 민족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기반으로 사용되었다. 바트당의 창립자 미셸 아플라크는 이슬람을 "아랍 천재성"의 증거로 여겼다.[95]
한편, 사우디아라비아의 파이살 국왕은 범이슬람주의를 통해 아랍 민족주의와 공산주의의 영향을 막으려 했다. 그는 나세르와 대립하며 무슬림 세계 연맹 설립을 추진했다.
2. 6. 6일 전쟁과 아랍 민족주의의 쇠퇴 (1967년 이후)
1967년 6일 전쟁에서 이스라엘에게 아랍 연합군이 패배하면서, 당시 아랍 민족주의 지도자였던 나세르는 이 사건을 "알-마라카 알-마시리야"(운명의 전투)라고 칭했다. 이 사건 이후 아랍 민족주의 운동은 "돌이킬 수 없는" 쇠퇴를 겪어 "정치적 주변화"로 이어졌다.[89]1960년대 중반부터 이 운동은 파벌 분열과 이념적 갈등으로 더욱 약화되었다. 이전의 나세르 지지 세력이었던 아랍 민족주의 운동은 나세르주의를 버리고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옹호했으며 곧 붕괴되었다. 1966년, 아랍 사회주의 바트당은 쿠데타로 인해 바그다드와 다마스쿠스에 기반을 둔 경쟁 파벌로 분열되었다.
역사가 아디드 다위샤는 이러한 인기의 감소가 부분적으로 1950년대와 1960년대 초 아랍 세계에서 민족주의 열정을 자극했던 많은 정치적 요인들이 제거되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90] 프레드 할리데이는 "경제, 사회, 국가 건설 역할뿐만 아니라 외교 정책에서도 민족주의, 사회주의와 혁명이라는 관련된 이념들이 아랍 세계의 많은 부분에서 거부되는 결과를 낳은 세속 국가의 실패"를 언급했다.[91]
쇠퇴의 다른 요인으로는 다음이 있다. 이라크 대통령의 "이라크 우선" 정책과 같은 지역적 애착, 쿠르드족과 같은 비 아랍 소수 집단이나 시아 아랍인들의 아랍 통합에 대한 의심, 이슬람 부흥 등이 있다. 특히 시아 아랍인들은 아랍 민족주의가 실제로는 수니파 헤게모니를 구축하려는 수니 이슬람 프로젝트라고 두려워했다. 이슬람주의 신봉자들은 일반적으로 민족주의를 이슬람에 부적절하다고 믿으며 민족주의에 매우 적대적이었다. 또한, 이 운동은 다원주의, 권력 분립, 정치적 표현의 자유 및 기타 민주주의 개념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여 약세에 빠진 이념을 "소생"시킬 수도 있었다.
그러나 할리데이는 새롭게 등장하는 이슬람주의 운동의 많은 아이디어와 목표가 이전의 세속 민족주의자들의 프로그램과 유사하며 심지어 그것에서 파생되었다고 지적한다. 그는 "이슬람주의 운동은 세속 민족주의 의제의 수혜자이자 계승자였다"고 말한다.[91]
21세기, 아랍의 봄 이후, 아랍 민족주의와 심지어 대부분의 지역 민족주의 운동에 대한 지지는 더욱 감소했다.[92] 다위샤는 "21세기의 관심사에 대한 세속 민족주의의 무관심이 아랍 시민들의 충성심뿐만 아니라 그들의 마음을 얻기 위한 국가와 정치적 이슬람 간의 점점 더 폭력적인 경쟁의 길을 열었다"고 말하며, 아랍 민족주의가 이 투쟁에서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93][94]
3. 이념과 특징
아랍 민족주의자들은 19~20세기 민족주의가 등장하기 전부터 아랍 민족이 역사적 실체로 존재했다고 믿는다. 아랍 민족은 아랍어를 소통의 언어로 점진적으로 확립하고 이슬람을 종교 및 문화로 받아들이면서 형성되었으며, 아랍어와 이슬람은 모두 민족의 기둥 역할을 했다.[10]
아랍 민족주의 운동에는 아랍 민족, 아랍 민족주의, 범아랍주의라는 세 가지 주요 사상이 있다.[11]
현대 아랍어에는 영어로 "민족주의"로 번역될 수 있는 ''qawmiyya'' (قومية|카우미야ar, "부족, 민족"을 의미하는 ''qawm''에서 파생)와 ''wataniyya'' (وطنية|와타니야ar, "고향, 모국"을 의미하는 ''watan''에서 파생)라는 두 단어가 있다. ''qawmiyya''는 아랍 민족에 대한 애착을, ''wataniyya''는 단일 아랍 국가에 대한 충성을 의미한다. 범아랍주의를 유일한 정당한 아랍 민족주의 형태로 보는 사람들은 ''wataniyya''를 "지역주의"로 폄하하기도 한다.[9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qawmiyya''는 점차 좌익 정치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고, 혁명적인 아랍 통일을 요구했다.[15] 가말 압델 나세르는 ''qawmiyya''를 대표하는 인물이었다.[16]
3. 1. 아랍 민족의 정의와 정체성
아랍 민족주의는 언어, 문화, 역사를 공유하는 아랍 민족의 존재를 강조한다. 아랍 민족주의자들은 19~20세기 민족주의가 등장하기 전부터 아랍 민족이 역사적으로 존재했다고 믿는다. 아랍 민족은 아랍어를 소통의 언어로 점진적으로 확립하고 이슬람을 종교 및 문화로 받아들이면서 형성되었으며, 아랍어와 이슬람은 민족의 기둥 역할을 했다.[10]작가 유세프 M. 슈에이리(Youssef M. Choueiri)에 따르면, 아랍 민족주의는 "아랍인들이 그들의 특정한 특징에 대한 의식과 민족과 모든 구성 요소의 공동 의지를 대표할 수 있는 현대 국가를 건설하려는 노력을 나타낸다."[10]
아랍 민족주의 운동에는 아랍 민족, 아랍 민족주의, 범아랍주의라는 세 가지 주요 사상이 있다. 1936-1939 팔레스타인 아랍 봉기는 아랍어를 사용하고, 아랍 세계에 거주하며, 같은 민족에 속한다고 느끼는 사람들의 집단인 아랍 민족을 주장하는 아랍 민족주의 바트당의 창설로 이어졌으며, 이러한 이념은 사티 알-후스리의 저작에서 유래되었다.[11] 아랍 민족주의는 아랍 민족에 독점적으로 속하는 특징과 자질의 "총합"인 반면, 범아랍주의는 별도의 아랍 국가들이 하나의 정치 체제하에 단일 국가를 형성하기 위해 통일되어야 한다고 규정하는 현대적 개념이다.[12]
개별 아랍 국가에 초점을 맞춘 지역 애국심은 1920년대부터 아랍 민족주의의 틀에 통합되었다. 이는 아라비아 반도를 셈족(고대 시대에 근동 전역으로 이주한 레반트의 가나안인과 아람인, 그리고 메소포타미아의 아시리아인과 바빌론인)의 고향으로 자리매김하거나[13] 이집트와 북아프리카, 아프리카의 뿔과 같은 다른 이슬람 이전 문화를 진화하는 아랍 정체성에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졌다.[14]
현대 아랍어는 실제로 영어로 "민족주의"로 번역될 수 있는 두 개의 뚜렷한 단어를 가지고 있다. 즉, ''qawmiyya'' (قومية|카우미야ar)는 단어 ''qawm''(의미: "부족, 민족")에서 파생되었고, ''wataniyya'' (وطنية|와타니야ar)는 단어 ''watan''(의미: "고향, 모국")에서 파생되었다. ''qawmiyya''라는 용어는 아랍 민족에 대한 애착을 의미하는 반면, ''wataniyya''는 단일 아랍 국가에 대한 충성을 의미한다. ''wataniyya''는 범아랍주의를 아랍 민족주의의 유일한 정당한 변형으로 간주하는 사람들에 의해 "지역주의"로 경멸되기도 한다.[95]
3. 2. 범아랍주의와 통합
범아랍주의는 모든 아랍 국가들의 통합을 추구하는 아랍 민족주의의 주요 이념이다.[12] 아랍 민족주의에는 아랍 민족, 아랍 민족주의, 범아랍주의라는 세 가지 주요 사상이 존재한다.[11] 범아랍주의는 별도의 아랍 국가들이 하나의 정치 체제하에 단일 국가를 형성하기 위해 통일되어야 한다는 현대적 개념이다.[12]현대 아랍어에는 "민족주의"로 번역될 수 있는 ''qawmiyya'' (قوميةar, "부족, 민족"을 의미하는 ''qawm''에서 파생)와 ''wataniyya'' (وطنيةar, "고향, 모국"을 의미하는 ''watan''에서 파생)라는 두 단어가 있다. ''qawmiyya''는 아랍 민족에 대한 애착을, ''wataniyya''는 단일 아랍 국가에 대한 충성을 의미한다. 범아랍주의를 유일한 정당한 아랍 민족주의 형태로 보는 사람들은 ''wataniyya''를 "지역주의"로 폄하하기도 한다.[9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qawmiyya''는 "점차 좌익 정치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고, ... 혁명적인 아랍 통일의 창조를 요구했다."[15]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는 ''qawmiyya''를 대표하는 인물로, 나세르주의를 통해 아랍 세계에 영향력을 확대했다. ''qawmiyya''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강력한 정치 세력이지만, 나세르의 죽음과 6일 전쟁에서의 패배는 이 이념에 대한 믿음을 약화시켰다.[16]
3. 3. 반식민주의와 반제국주의
아랍 민족주의는 19세기에서 20세기에 걸쳐 민족주의가 등장하기 이전부터 아랍 민족이 역사적으로 존재했다고 믿는다. 아랍 민족은 아랍어를 소통의 언어로 점진적으로 확립하고 이슬람을 종교 및 문화로 받아들이면서 형성되었다. 아랍어와 이슬람은 모두 민족의 기둥 역할을 했다.[10] 아랍 민족주의 운동에는 아랍 민족, 아랍 민족주의, 범아랍주의라는 세 가지 주요 사상이 있다. 1936-1939 팔레스타인 아랍 봉기는 아랍어를 사용하고, 아랍 세계에 거주하며, 같은 민족에 속한다고 느끼는 사람들의 집단인 아랍 민족을 주장하는 아랍 민족주의 바트당의 창설로 이어졌다.[11]개별 아랍 국가에 초점을 맞춘 지역 애국심은 1920년대부터 아랍 민족주의의 틀에 통합되었다. 이는 아라비아 반도를 셈족(고대 시대에 근동 전역으로 이주한 레반트의 가나안인과 아람인, 그리고 메소포타미아의 아시리아인과 바빌론인)의 고향으로 자리매김하거나,[13] 이집트와 북아프리카, 아프리카의 뿔과 같은 다른 이슬람 이전 문화를 진화하는 아랍 정체성에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졌다.[14]
현대 아랍어에는 "민족주의"로 번역될 수 있는 두 단어가 있다. ''qawmiyya''(قومية)는 "부족, 민족"을 의미하는 ''qawm''에서 파생되었고, ''wataniyya''(وطنية)는 "고향, 모국"을 의미하는 ''watan''에서 파생되었다. ''qawmiyya''는 아랍 민족에 대한 애착을, ''wataniyya''는 단일 아랍 국가에 대한 충성을 의미한다. ''wataniyya''는 범아랍주의를 유일하게 정당한 아랍 민족주의로 보는 사람들에 의해 "지역주의"로 경멸되기도 한다.[9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qawmiyya''는 "점차 좌익 정치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고, ... 혁명적인 아랍 통일의 창조를 요구했다."[15] 가말 압델 나세르는 ''qawmiyya''와 가장 동일시되는 인물로, 군사적, 정치적 힘을 사용하여 나세르주의를 아랍 세계 전역에 퍼뜨렸다. ''qawmiyya''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강력한 정치 세력으로 남아 있지만, 나세르의 죽음과 6일 전쟁에서의 아랍의 패배는 이 이상에 대한 믿음을 약화시켰다. 현재 아랍 정책 입안자들 사이에서 지배적인 이념은 ''wataniyya''로 바뀌었다.[16]
3. 4. 세속주의와 종교
초기 아랍 민족주의는 세속주의적인 성격을 띠었으나, 점차 이슬람과의 관계가 중요해졌다. 아랍 민족은 아랍어를 소통의 언어로 점진적으로 확립하고 이슬람을 이 지역의 종교 및 문화로 받아들이면서 형성되었다. 아랍어와 이슬람은 모두 민족의 기둥 역할을 했다.[10]3. 5. 아랍 사회주의
아랍 민족주의자들은 19~20세기 민족주의가 등장하기 전부터 아랍 민족이 역사적 실체로 존재했다고 믿는다. 이들은 아랍어가 소통 언어로 점차 확립되고 이슬람이 종교 및 문화로 받아들여지면서 아랍 민족이 형성되었다고 본다. 아랍어와 이슬람은 모두 민족의 기둥 역할을 했다.제2차 세계 대전 이후, ''qawmiyya''(아랍 민족에 대한 애착) 개념은 점차 좌익 정치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고, 혁명적인 아랍 통일을 요구했다.[15] 가말 압델 나세르는 ''qawmiyya''와 가장 동일시되는 인물로, 군사적, 정치적 힘을 사용하여 나세르주의를 아랍 세계 전역에 퍼뜨렸다.
4. 주요 인물
5. 여성과 아랍 민족주의
후다 샤라위는 1919년 영국에 맞선 혁명에 다른 여성들과 함께 참여했고, 이후 이집트 여성 연합을 창설했다.[71] 무함마드 압두, 자말 앗딘 알 아프가니, 카심 아민 등 이슬람 근대주의자들은 이슬람 개혁에서 여성의 역할에 대한 고찰로 여성 이념 논의의 선구자로 여겨진다.[72] 여성들도 아랍의 역사와 문화에 헌정된 저널에 교육 확충 등의 요구를 담은 기사를 게재하며 이 이념의 지적 기반에 기여했다.[73] 힌드 나우팔은 이집트에서 최초의 아랍 여성 잡지인 ''알-파타트''를 창간했으며, 이는 이후 여성 저널로 알려진 간행물들의 모태가 되었다.[74]
아랍 민족주의에서 여성의 참여는 이념적 도구로 사용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여성은 미래 세대를 낳는 생물학적 능력과 자녀 교육에 대한 기여로 인해 "국가의 담지자"로 여겨졌다.[75] "여성 공적 용기의 가정화"라는 용어는 여성의 참여가 위계 질서를 억제하기 위한 투쟁으로 축소되었음을 지적한다.[77]
여성은 가족 단위와 관련하여 아랍 민족주의 운동에 중요했다. 팔레스타인 여성들은 1921년 시온주의 이민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여하고, 알제리 독립 전쟁에서 간호사, 요리사, 폭탄 운반 등으로 활약했다.[79] 1957년 자밀라 부히레드는 카페 폭탄 테러 혐의로 재판을 받아 11명의 민간인 사망자를 냈다.[79] 근대주의 민족주의자들은 여성의 공적 공간 포함을 근대성 달성을 위한 조치로 보았고, 보수 민족주의자들은 이슬람 문화의 상징으로서 여성의 전통적 역할을 옹호했다.[79]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근대주의자들은 아랍 사회에서 여성의 지위를 후진성의 징후로 여겼다. 아랍 문화 부흥과 함께 제안된 이슬람 텍스트 재해석에는 여성 문제도 포함되었다.[80] "이상적인 아랍 여성"을 근대성과 연결하는 것은 여성을 "문화적 경계의 지표"로 만들었다.[81] 20세기 초 이집트에서는 진보의 상징으로 여성 베일 제거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고, 튀니지 여성들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베일 사용에 항의했다.
아랍 민족주의가 서구 문화에 도전하면서, 여성의 아랍 가치 준수는 유럽과 구별되기 위한 핵심 요소가 되었다.[83] 1930년대 프랑스의 베일 반대 캠페인에 대응하여 알제리 독립 전쟁 동안 베일 사용이 민족주의적 상징으로 재도입되었다.[82] 서구화 반대와 아랍 정체성 보호를 위한 가정 역할 강화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며, 이는 아랍 민족주의 담론이 여성성에 대한 보수적 개념을 반복하는 ''민족주의의 성별화'' 과정으로 불린다.[84]
민족주의 정권 하에서 여성의 정치적, 경제적 권리는 확장되었지만, 일부다처제, 이혼, 결혼 최저 연령 등 가정 내 제한에 대한 의문 제기는 부족했다.[87] 1956년 이집트 헌법은 여성에게 투표권, 교육 및 고용에 대한 권리를 부여했고, 나세르는 노동 계급과 농민에게 성별 관계없이 경제적 권리를 보장했다. 알제리 헌법도 시민 평등권을 인정했지만, 1984년까지 개인 신분 규정 변경은 없었고, 여성의 교육 및 직업에 대한 사회적 태도는 제한적이었다. 국가 페미니즘은 국가가 여성 의제를 차용하여 정치적 정당성을 얻고 여성 동원을 억제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나세르는 자율 조직 창설을 금지하고 여성 요구를 사회 복지 문제로 공식화하여 이집트 여성 운동의 후퇴를 초래했다.[88]
6. 아랍 민족주의 운동의 유산과 현대적 의의
1967년 6일 전쟁에서 이스라엘에게 아랍 연합군이 패배하면서, 나세르가 "운명의 전투"라고 칭했던 이 사건을 계기로 아랍 민족주의 운동은 "돌이킬 수 없는" 쇠퇴를 겪고 "정치적 주변화"로 이어졌다.[89]
1960년대 중반부터 이 운동은 파벌 분열과 이념적 갈등으로 더욱 약화되었다. 이전의 나세르 지지 세력이었던 아랍 민족주의 운동은 나세르주의를 버리고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옹호하다가 곧 붕괴되었다. 1966년에는 아랍 사회주의 바트당이 쿠데타로 인해 바그다드와 다마스쿠스에 기반을 둔 경쟁 파벌로 분열되었다.
역사학자 아디드 다위샤는 아랍 민족주의의 인기가 감소한 원인 중 하나로 1950년대와 1960년대 초 아랍 세계에서 민족주의 열정을 불러일으켰던 많은 정치적 요인들이 사라졌다는 점을 지적했다.[90] 프레드 할리데이는 "세속 국가의 실패, 즉 경제, 사회, 국가 건설 역할뿐만 아니라 외교 정책에서도 민족주의, 그리고 사회주의와 혁명이라는 관련된 이념들이 아랍 세계의 많은 부분에서 거부되는 결과를 낳았다"고 언급했다.[91]
아랍 민족주의 쇠퇴의 다른 요인으로는 다음이 있다.
- 이라크 대통령의 "이라크 우선" 정책과 같은 지역적 애착
- 아랍인이 아닌 쿠르드족과 같은 소수 집단이나 시아 아랍인들의 아랍 통합에 대한 의심
- 이슬람 부흥: 이슬람주의자들은 민족주의를 이슬람에 부적절하다고 믿으며 매우 적대적이었다.
- 다원주의, 권력 분립, 정치적 표현의 자유 및 기타 민주주의 개념에 대한 관심 부족
그러나 할리데이는 새롭게 등장하는 이슬람주의 운동의 많은 아이디어와 목표가 이전의 세속 민족주의자들의 프로그램과 유사하며 심지어 그것에서 파생되었다고 지적한다. 그는 "이슬람주의 운동은 세속 민족주의 의제의 수혜자이자 계승자였다"고 말한다.[91]
21세기에 들어 아랍의 봄 이후, 아랍 민족주의와 대부분의 지역 민족주의 운동에 대한 지지는 더욱 감소했다.[92] 다위샤는 "21세기의 관심사에 대한 세속 민족주의의 무관심이 아랍 시민들의 충성심뿐만 아니라 그들의 마음을 얻기 위한 국가와 정치적 이슬람 간의 점점 더 폭력적인 경쟁의 길을 열었다"고 지적하며, 아랍 민족주의가 이 투쟁에서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평가했다.[93][94]
참조
[1]
간행물
Requiem for Arab Nationalism
http://www.meforum.o[...]
2003-12-00
[2]
서적
The Arab-Israeli Conflict
Louise Fawcett
[3]
서적
Unknown
[4]
서적
Palestine and Arab Nationalism
https://www.freedoma[...]
Palestine Liberation Organization Research Center
[5]
학술지
Arab Nationalism: Mistaken Identity
https://www.jstor.or[...]
1993-00-00
[6]
학술지
Arab Nationalism: A Retrospective Evaluation
https://www.jstor.or[...]
1992-00-00
[7]
학술지
The Formation of Pan-Arab Ideology in the Interwar Years
https://www.jstor.or[...]
1988-00-00
[8]
웹사이트
ARAB NATIONALISM
https://www.encyclop[...]
[9]
학술지
Pan-Arab Nationalism: The Ideological Dream as Compelling Force
https://www.jstor.or[...]
1991-00-00
[10]
서적
Unknown
[11]
서적
Arab Nationalism A Critical Enquiry
Palgrave Macmillan
[12]
서적
Unknown
[13]
학술지
Muhibb ad-Din al-Khatib's Semitic Wave Theory and Pan-Arabism
2006-12-00
[14]
서적
Unknown
[15]
서적
Unknown
[16]
서적
Unknown
[17]
서적
Unknown
[18]
학술지
The Origins of Arab Nationalism
https://www.jstor.or[...]
2009-00-00
[19]
서적
Unknown
[20]
서적
Unknown
[21]
서적
The Arabic Language and National Identity: a Study in Ideology
https://archive.org/[...]
Edinburgh University Press
[22]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Middle East: rulers, rebels, and rogues
Stanfo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Unknown
[24]
서적
Major Issues in Islam :The Challenges Within and Without
Hamilton Books
2017-00-00
[25]
서적
Unknown
[26]
서적
Islamic Imperialism
[27]
서적
Islamic Imperialism
[28]
서적
Unknown
[29]
서적
Unknown
[30]
서적
Arab Nationalism: Mistaken Identity
[31]
서적
Unknown
[32]
서적
Unknown
[33]
서적
Unknown
[34]
서적
Unknown
[35]
뉴스
L'Association des Oulémas, défenseur de la personnalité nationale
https://www.aps.dz/a[...]
Algérie Presse Service
2021-04-17
[36]
서적
Arabic Sociolinguistics: Issues and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2-16
[37]
서적
Political Ascent: Contemporary Islamic Movements In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2-23
[38]
서적
Algeria: Nation, Culture and Transnationalism, 1988-2015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39]
서적
Palestine and Modern Arab Poetry
https://books.google[...]
Zed Books
1984
[40]
서적
Les Oulémas à l'indépendance de l'Algérie: dominants du champ religieux, dominés du champ politique (1962-1978)
http://books.openedi[...]
Éditions de la Sorbonne
2023-12-26
[41]
서적
Political partie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Greenwood Press
1994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The Israel-Arab reader: a documentary history of the Middle East conflict
2001
[51]
서적
Icon of Evil: Hitler's Mufti and the Rise of Radical Islam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1-03-18
[52]
뉴스
Israelis not welcome to derelict Jerusalem hotel
https://www.reuters.[...]
Reuters
2010-03-26
[53]
뉴스
History Shows That True Peace Is Not Possible With Arabs
http://nl.newsbank.c[...]
The Palm Beach Post
1994-05-09
[54]
서적
Nazi Propaganda for the Arab World
https://books.google[...]
2013-01-30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Nasser and His Genera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2-09-30
[61]
서적
To the Mountains: My Life in Jihad, from Algeria to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62]
서적
Out of Africa: Post-Structuralism's Colonial Roo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04-05
[63]
서적
Enhancing Regional Governance and Multilateral Cooperation in Maghreb
https://books.google[...]
Edizioni Nuova Cultura
2018-09-28
[64]
서적
Interpreting Islamic Political Part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09-28
[65]
서적
Multiculturalism and Democracy in North Africa: Aftermath of the Arab Spr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4-16
[66]
서적
Arafat's War
[67]
서적
Arab nationalism : between Islam and the nation-state
Macmillan
1997
[68]
서적
Milestones (Ma'alim 'ala Al-Tariq
https://www.kalamull[...]
2023-03-29
[69]
서적
The Society of Muslim Brothers
London
1969
[70]
서적
Islam in the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4-23
[71]
논문
Feminism –or the Eternal Masculine– in the Arab World
https://newleftrevie[...]
1987
[72]
논문
Women's Movements in the Middle East: Case Studies
https://eprints.soas[...]
2002
[73]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Middle East
[74]
블로그
Her Magazine, Her Voice: Foremothers of Women’s Journals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https://blogs.loc.go[...]
2017
[75]
논문
Rethinking Gender in Arab Nationalism: Women and the Politics of Modernity in the Making of Nation-States. Cases from Egypt, Tunisia, and Algeria
https://www.jstor.or[...]
2017
[76]
서적
Women and the Egyptian Revolution: Engagement and Activism during the 2011 Arab Uprising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77]
서적
Women and the Egyptian Revolution
[78]
서적
Rethinking Gender in Arab Nationalism
[79]
서적
Rethinking Gender in Arab Nationalism
[80]
서적
Rethinking Gender in Arab Nationalism
[81]
논문
Mujeres Y Revueltas En El Mundo Árabe: Historia Y Orientalismos
https://www.redalyc.[...]
2014
[82]
서적
Rethinking Gender in Arab Nationalism
[83]
서적
Mujeres y Revueltas en el Mundo Árabe
[84]
서적
Mujeres y Revueltas en el Mundo Árabe
[85]
서적
Feminism –or the Eternal Masculine– in the Arab World
[86]
서적
Women's Movements in the Middle East
[87]
서적
Rethinking Gender in Arab nationalism
[88]
서적
Women's Movements in the Middle East
[89]
서적
Arab nationalism in the twentieth century : from triumph to despair
http://archive.org/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3
[90]
웹사이트
Requiem for Arab Nationalism
http://www.meforum.o[...]
Middle East Forum
2011-07-23
[9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Nation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92]
잡지
What is the point of the Arab League?
https://www.economis[...]
2017-09-05
[93]
서적
Arab Nationalism in the Twentieth Century
[94]
서적
Arab Nationalism in the Twentieth Century
[95]
서적
[96]
서적
The Arab-Israeli Conflict
[97]
서적
Asad, the Struggle for the Middle Eas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9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웹사이트
Requiem for Arab Nationalism
http://www.meforum.o[...]
2003-12-00
[104]
서적
The Arab-Israeli Conflic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