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르헨티나 그랑프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헨티나 그랑프리는 1930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시작된 모터 레이싱 대회로, 1953년에는 남아메리카 최초의 포뮬러 원 경주를 개최했다. 1953년부터 1960년, 1972년부터 1981년, 1995년부터 1998년까지 다양한 서킷 레이아웃으로 오스카르 갈베스 서킷에서 개최되었으며, 후안 마누엘 팡헬리오가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윌리엄스 팀이 컨스트럭터 부문에서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을 기록했고, 포드 엔진이 9회 우승으로 엔진 부문에서 가장 많은 승리를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8년 폐지된 스포츠 행사 - 룩셈부르크 그랑프리
    룩셈부르크 그랑프리는 핀델 서킷에서 비(非)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 이벤트로, 이후 뉘르부르크링 GP-슈트레케에서 포뮬러 원 경주로 개최되었으나, 1999년부터 유럽 그랑프리로 대체되었다.
  • 195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FIBA 여자 농구 월드컵은 국제 농구 연맹이 주관하는 여자 농구 국가대항전으로, 1953년 시작되어 4년 주기로 개최되며, 미국이 최다 우승을 기록했고, 2026년 대회는 독일에서 열릴 예정이다.
  • 195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전일본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
    전일본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는 일본 대학 축구 최강팀을 가리는 토너먼트 대회로, 지방 대학 팀들에게 전국 레벨의 경기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1953년 시작되었으며, 대회 방식은 변화를 거쳐 2024년부터는 출전 학교 수 확대 및 경기 방식 변경으로 모든 출전 학교에게 최소 3경기 이상 참가 기회를 제공한다.
  • 포뮬러 원 그랑프리 - 중국 그랑프리
    중국 그랑프리는 중국에서 개최되는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 경주로, 2004년 첫 개최 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잠시 중단되었다가 2024년 재개되었으며 루이스 해밀턴이 최다 우승, 메르세데스가 컨스트럭터 부문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다.
  • 포뮬러 원 그랑프리 -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는 1928년에 시작된 자동차 경주 대회로, 1985년부터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의 일부가 되었으며, 여러 서킷을 거쳐 애들레이드와 멜버른에서 개최되며 F1 데뷔 무대이자 시즌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대회이다.
아르헨티나 그랑프리
아르헨티나 그랑프리
오스카르 얀 갈베스 서킷 No.6 레이아웃
오스카르 얀 갈베스 서킷 No.6 레이아웃 (1995-1998)
약칭아르헨티나 GP
위치부에노스아이레스 오스카르 알프레도 갈베스 서킷
정보
랩 수72
서킷 길이 (km)4.259
레이스 길이 (km)306.648
서킷 길이 (mi)2.646
레이스 길이 (mi)190.542
처음 개최1953
마지막 개최1998
총 개최 횟수21
드라이버 최다 우승후안 마누엘 판지오(4회)
컨스트럭터 최다 우승윌리엄스(4회)
현재 년도1998
1998년 아르헨티나 그랑프리 결과
우승자미하엘 슈마허
우승팀페라리
우승 시간1:48:36.175
2위미카 하키넨
2위 팀맥라렌-메르세데스
2위 시간+22.898
3위에디 어바인
3위 팀페라리
3위 시간+57.745
폴 포지션 드라이버데이비드 쿨타드
폴 포지션 팀맥라렌-메르세데스
폴 포지션 시간1:25.852
가장 빠른 랩 드라이버알렉산더 부르츠
가장 빠른 랩 팀베네통-플레이라이프
가장 빠른 랩1:28.179

2. 역사

1930년 부에노스아이레스 그랑프리라는 이름으로 스포츠카 경주가 처음 시작되어 1940년까지 코스타네라 서킷에서 개최되었다. 1941년에는 레티로 서킷으로 장소를 옮겼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6년간 경주가 중단되었다가, 1947년 후안 페론 대통령 집권 시기에 레티로에서 사우스 아메리카 "템포라다" 그랑프리 시리즈가 시작되면서 경주가 재개되었다.

1948년 그랑프리 시즌에는 팔레르모 서킷으로 경기가 옮겨졌고, 1951년에는 코스타네라 노르테 서킷에서 마지막 3번의 그랑프리 경기가 열렸다. 이후 1953년부터 1960년까지, 1972년부터 1981년까지, 그리고 1995년부터 1998년까지는 10월 17일 오토드로모에서 챔피언십 포뮬러 원 아르헨티나 그랑프리가 개최되었다.

1971년에는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비(非) 선수권 포뮬러 원 경기가 열려 크리스 에이먼이 우승했다.[16] 1982년 경기는 스폰서 문제로 연기되었고, 포클랜드 전쟁 발발로 인해 아르헨티나 조직자와의 계약이 종료되었다.[7][8][9]

1991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서킷은 사설 컨소시엄에 매입되어 현대화 작업이 시작되었고, 1995년에 아르헨티나 그랑프리가 부활했다. 1998년 레이스를 마지막으로 아르헨티나 그랑프리는 재정 문제로 중단되었다.

1999년에 경기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취소되었고, 2012년에는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키르치네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마르델플라타에서 그랑프리를 다시 개최하기 위한 협상이 마무리 단계라고 발표했으나[12], 버니 에클스톤 포뮬러 원 상업적 권리 소유자는 "진지한 사람들과 거래할 수 있을 때 아르헨티나에서 경주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14]

연도결승일라운드서킷우승자컨스트럭터결과
19531월 18일1부에노스 아이레스(No.2)알베르토 아스카리페라리상세 정보
19541월 17일1후안 마누엘 팡헬리오마세라티상세 정보
19551월 16일1후안 마누엘 팡헬리오메르세데스상세 정보
19561월 22일1루이지 무소
후안 마누엘 팡헬리오
페라리상세 정보
19571월 13일1후안 마누엘 팡헬리오마세라티상세 정보
19581월 19일1스털링 모스쿠퍼-클라이맥스
(롭 워커)
상세 정보
1959개최되지 않음
19602월 7일1부에노스 아이레스(No.2)브루스 맥라렌쿠퍼-클라이맥스상세 정보
1961
-
1970
개최되지 않음
19711월 24일비선수권부에노스 아이레스(No.9)크리스 에이먼[16]마트라상세 정보
19721월 23일1부에노스 아이레스(No.9)재키 스튜어트티렐-포드상세 정보
19731월 28일1에머슨 피티팔디로터스-포드상세 정보
19741월 13일1부에노스 아이레스(No.15)데니스 헐름맥라렌-포드상세 정보
19751월 12일1에머슨 피티팔디맥라렌-포드상세 정보
1976개최되지 않음
19771월 9일1부에노스 아이레스(No.15)조디 셰크터울프-포드상세 정보
19781월 15일1마리오 안드레티로터스-포드상세 정보
19791월 21일1자크 라피트리제-포드상세 정보
19801월 13일1앨런 존스윌리엄스-포드상세 정보
19814월 12일3넬슨 피케브라밤-포드상세 정보
1982
-
1994
개최되지 않음
19954월 9일2부에노스 아이레스(No.6)데이먼 힐윌리엄스-르노상세 정보
19964월 7일3데이먼 힐윌리엄스-르노상세 정보
19974월 13일3자크 빌뇌브윌리엄스-르노상세 정보
19984월 12일3미하엘 슈마허페라리상세 정보
출처:[17][18]


2. 1. 초기 (1930-1960)

부에노스아이레스 그랑프리는 1930년 코스타네라 서킷에서 스포츠카 경주로 처음 시작되어 1940년까지 개최되었고, 1941년에는 레티로 서킷으로 변경되었다. 6년간의 휴식 이후, 후안 페론이 집권하면서 1947년에 레티로에서 사우스 아메리카 "템포라다" 그랑프리 시리즈가 시작되면서 경주가 재개되었으며, 그 해에 포뮬러 리브레 규정 하에 두 번의 경기가 열렸다. 이탈리아의 루이지 빌로레시는 1947년 템포라다 모든 경주에서 우승했다. 이 경주는 브라질 및 유럽 드라이버와 후안 마누엘 팡히오 및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와 같이 유럽에서 활동하는 아르헨티나 드라이버들을 정기적으로 유치했다. 1948년 그랑프리 시즌에는 1950년까지 팔레르모 서킷으로 경기가 옮겨졌다. 1951년에는 코스타네라 노르테 서킷에서 마지막 3번의 그랑프리 경기가 열렸다.

1953년 경기에서 후안 마누엘 판지오는 36바퀴를 돌고 마세라티의 변속기 고장으로 리타이어했다. 알베르토 아스카리페라리 소속으로 우승했지만, 트랙 주변의 과도한 인파로 인해 9명이 사망하고 다수가 부상당하는 사고로 인해 가려졌다. 이 경기는 대대적으로 홍보되었으며 약 40만 명의 인파가 몰린 것으로 추정된다. 시설이 너무 붐벼서 사람들은 코너 가장자리에 서서 차가 코너를 돌 때 몇 인치도 안 되는 거리에 있었다.[2]

다음 해, 서킷은 반시계 방향으로 운영되었고, 판지오는 두 번째 시도 만에 고국 그랑프리에서 우승하며 시상대 꼭대기에 올랐다. 그는 이후 아르헨티나에서 다음 세 번의 그랑프리에서 우승했으며, 그 중 하나가 1955년 경기였다. 40°C의 기록적인 더위와 트랙 온도가 51°C에 달하는 가장 더운 레이스 중 하나였다. 메르세데스를 운전하는 판지오는 3시간 동안 다른 드라이버에게 차를 넘겨주지 않고 96바퀴를 완주한 유일한 드라이버였다. 그의 다리 중 하나는 배기열로 가열된 섀시 튜브에 심하게 화상을 입었고, 이 부상으로 3개월의 회복 기간이 필요했다.

1958년에는 스털링 모스가 판지오 경력의 마지막 두 경기에서 우승했다. 이는 또한 후방 또는 미드 엔진 차량의 첫 번째 포뮬러 원 챔피언십 우승이자 개인 팀의 첫 번째 우승이었다. 1960년에는 뉴질랜드 출신 브루스 맥라렌이 우승했다. 판지오의 은퇴와 동료 아르헨티나 드라이버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의 뒤이은 은퇴, 그리고 페론의 망명 (1955년) 이후 불안정한 정부가 결합되어, 아르헨티나 그랑프리는 1961년 F1 캘린더에서 10년 이상 사라졌다.

연도결승일라운드서킷우승자컨스트럭터결과
19531월 18일1부에노스 아이레스(No.2) 알베르토 아스카리페라리상세 정보
19541월 17일1 후안 마누엘 팡헬리오마세라티상세 정보
19551월 16일1 후안 마누엘 팡헬리오메르세데스상세 정보
19561월 22일1 루이지 무소
후안 마누엘 팡헬리오
페라리상세 정보
19571월 13일1 후안 마누엘 팡헬리오마세라티상세 정보
19581월 19일1 스털링 모스쿠퍼-클라이맥스
(롭 워커)
상세 정보
1959개최되지 않음
19602월 7일1부에노스 아이레스(No.2) 브루스 맥라렌쿠퍼-클라이맥스상세 정보
1961
-
1970
개최되지 않음


2. 2. 중기 (1971-1981)

1971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비(非) 선수권 포뮬러 원 경기가 열렸으며, 2번의 예선 레이스를 거쳐 크리스 에이먼이 우승했다.[3][4][5] 1972년에는 아르헨티나 그랑프리가 월드 챔피언십에 복귀했으며, 카를로스 로이테만이 홈 팬들의 기대를 받았다. 로이테만은 월드 챔피언십 데뷔전에서 폴 포지션을 차지하며 이 기록을 달성한 두 번째 드라이버가 되었다. 레이스에서는 월드 챔피언 재키 스튜어트가 우승을 차지했다. 1973년에는 에머슨 피티팔디가 마지막 레이스 구간에서 프랑스인 프랑수아 세베르를 제치고 우승했다.[6]

1974년에는 더 빠르고 긴 15번 서킷을 사용했는데, 여기에는 호수 주변을 도는 구간으로 이어지는 두 개의 매우 빠르고 약간 경사진 코너와 약 914.40m 길이의 직선 구간이 포함되었다. 이 직선 구간은 "쿠르본"이라고 불리는 180도 우회전 코너로 이어졌으며, 여기에서 약 1219.20m 길이의 직선 구간을 지나 구불구불한 경기장으로 돌아왔다. 1974년 레이스에서 로이테만은 거의 우승할 뻔했지만, 브라밤 정비공들이 연료를 충분히 넣지 않아 연료가 떨어졌고, 뉴질랜드인 데니 흄이 우승했다.[6] 1977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조디 셰크터가 매우 더운 날씨 속에서 발터 볼프 팀의 첫 번째 그랑프리에서 승리했고, 1978년에는 마리오 안드레티가 로터스에서 드라이브하며 그 시즌을 지배하기 시작했다. 1979년 레이스는 처음 두 개의 매우 빠른 에세스에서 대규모 사고로 시작되었다. 셰크터와 존 왓슨은 맥라렌에서 충돌하여 9대의 차가 탈락했고, 그중 6대가 즉시 탈락했다. 레이스는 재개되었고, 프랑스인 자크 라피트와 패트릭 데파일러의 리지에가 경주를 이끌었지만, 로이테만이 라피트를 압박했지만 따라잡지 못하고 2위를 기록했다.[6]

1980년에는 에머슨 피티팔디를 필두로 한 드라이버들이 트랙의 열악한 상태 때문에 레이스를 보이콧하려 했다. 새로운 표면은 더운 날씨와 당시 경주차의 극심한 흡입력 때문에 여러 곳에서 파손되었고, 아스팔트 균열로 자갈이 트랙 전체에 흩어졌다. 레이스는 진행되었고, 윌리엄스의 앨런 존스, 브라밤의 넬슨 피케, 질 빌뇌브, 라피트, 로이테만 모두 상위권을 놓고 경쟁했다. 존스는 옴부 구간에서 두 번 벗어났고 라피트, 빌뇌브, 피케에게 추월당했다. 존스는 4위로 나왔고, 빌뇌브와 피케를 추월했으며, 라피트는 엔진 문제로 기권하여 존스가 우승, 피케와 케케 로즈버그가 첫 포디움 피니시를 기록했다. 알랭 프로스트는 맥라렌에서 데뷔 F1 레이스에서 한 점을 얻었다.[6] 1981년 레이스는 더 시원한 4월에 열렸으며, 피케가 우승, 로이테만이 2위, 프로스트가 3위를 기록했다.

1982년 경기는 3월 초에 열릴 예정이었지만, 아르헨티나 그랑프리의 스폰서들이 철수했다.[7] 레이스는 연기되었고, 아르헨티나의 정치적 상황, 특히 포클랜드 전쟁으로 영국과 짧은 전쟁을 시작한 것이 문제가 되어 아르헨티나 조직자의 계약이 종료되었다.[8][9]

2. 3. 후기 (1995-1998)

1991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서킷은 사설 컨소시엄에 매입되어 이름이 변경되고 업그레이드가 시작되었다. 1994년 F1 시즌 캘린더에 자리를 확보했지만, 10월로 예정된 레이스는 현대화를 위해 중단되었다.[11] 전체적인 레이아웃은 변경되지 않았지만, 아일톤 세나의 이름을 딴 "S" 시케인이 추가되었다. 플랫아웃 호수 구간을 포함하지 않는 No. 6 아레나 서킷이 사용되었다. 이 좁고 구불구불한 서킷은 포뮬러 원 자동차에 적합하지 않았고, 코너가 너무 가깝게 붙어 있어서 이 변형 구간에서는 추월이 매우 어려웠다.

현대화된 아르헨티나 그랑프리는 1995년에 부활했고, 데이먼 힐이 우승을 차지했다. 힐은 1996년 (그의 챔피언십 시즌)과 1997년에 다시 우승했고, 자크 빌뇌브가 1997년 챔피언십 시즌에 레이스에서 우승했다.

이 행사의 주최 측은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했고, 1998년 레이스는 아르헨티나 그랑프리의 마지막 경주였으며, 미하엘 슈마허가 페라리에서 9번째 우승을 차지하며 체커 플래그를 흔들었다.

2. 4. F1 복귀 시도

1999년에 경기가 예정되어 있었으나, 시즌 전에 취소되어 1999년 챔피언십 개막 2라운드 사이에 5주의 공백이 생겼다.

2012년 2월,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데 키르치네르 아르헨티나 대통령은 2013년까지 그랑프리를 다시 개최하기 위한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이번에는 해변 휴양 도시인 마르델플라타에 건설될 시가지 서킷에서 개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2] 이는 2011년 12월에 사라테에서 건설 중인 새로운 서킷이 F1을 목표로 한다는 소문을 잠재웠다.[13] 계약은 2012년 5월에 체결될 예정이었으나, 실제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버니 에클스톤 포뮬러 원 상업적 권리 소유자는 "진지한 사람들과 거래할 수 있을 때 아르헨티나에서 경주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14]

3. 역대 우승자

후안 마누엘 팡헬리오es페라리상세 정보19571월 13일1후안 마누엘 팡헬리오es마세라티상세 정보19581월 19일1스털링 모스영어쿠퍼-클라이맥스
(롭 워커)상세 정보1959개최되지 않음19602월 7일1부에노스 아이레스(No.2)브루스 맥라렌영어쿠퍼-클라이맥스상세 정보1961
-
1970개최되지 않음19711월 24일비선수권부에노스 아이레스(No.9)크리스 에이먼영어[16]마트라상세 정보19721월 23일1부에노스 아이레스(No.9)재키 스튜어트영어티렐-포드상세 정보19731월 28일1로터스-포드상세 정보19741월 13일1부에노스 아이레스(No.15)데니스 헐름영어맥라렌-포드상세 정보19751월 12일1맥라렌-포드상세 정보1976개최되지 않음19771월 9일1부에노스 아이레스(No.15)조디 셰크터영어울프-포드상세 정보19781월 15일1마리오 안드레티영어로터스-포드상세 정보19791월 21일1자크 라피트프랑스어리제-포드상세 정보19801월 13일1앨런 존스영어윌리엄스-포드상세 정보19814월 12일3넬슨 피케pt브라밤-포드상세 정보1982
-
1994개최되지 않음19954월 9일2부에노스 아이레스(No.6)데이먼 힐영어윌리엄스-르노상세 정보19964월 7일3데이먼 힐영어윌리엄스-르노상세 정보19974월 13일3자크 빌뇌브프랑스어윌리엄스-르노상세 정보19984월 12일3미하엘 슈마허de페라리상세 정보[17][18]



2회 이상 우승한 드라이버, 컨스트럭터(팀), 엔진 제조사는 다음과 같다.
드라이버

횟수드라이버우승 연도
4후안 마누엘 판지오es1954, 1955, 1956, 1957
21973, 1975
데이먼 힐영어1995, 1996
출처:[19]


컨스트럭터

횟수컨스트럭터우승 연도
4 윌리엄스1980, 1995, 1996, 1997
3 페라리1953, 1956, 1998
2 마세라티1954, 1957
쿠퍼1958, 1960
맥라렌1974, 1975
로터스1973, 1978
[20]


엔진 제조사

횟수제조사우승 연도
9 포드 *1972, 1973, 1974, 1975, 1977, 1978, 1979, 1980, 1981
3 페라리1953, 1956, 1998
르노1995, 1996, 1997
2 마세라티1954, 1957
클라이맥스1958, 1960
[21]

3. 1. 드라이버

후안 마누엘 판지오es는 1953년 경기에서 36바퀴를 돌고 마세라티의 변속기 고장으로 리타이어했다.[2] 알베르토 아스카리페라리 소속으로 우승했지만, 트랙 주변의 과도한 인파로 인해 9명이 사망하고 다수가 부상당하는 사고로 인해 가려졌다.[2] 1954년, 판지오는 고국 그랑프리에서 우승하며 시상대 꼭대기에 올랐다.[2] 그는 이후 아르헨티나에서 다음 세 번의 그랑프리에서 우승했다.[2] 1955년 경기는 40°C의 기록적인 더위와 트랙 온도가 51°C에 달하는 가장 더운 레이스 중 하나였다.[2] 판지오는 3시간 동안 다른 드라이버에게 차를 넘겨주지 않고 96바퀴를 완주한 유일한 드라이버였다.[2] 그의 다리 중 하나는 배기열로 가열된 섀시 튜브에 심하게 화상을 입었고, 이 부상으로 3개월의 회복 기간이 필요했다.[2]

1958년에는 스털링 모스가 판지오 경력의 마지막 두 경기에서 우승했다.[2] 1960년에는 뉴질랜드 출신 브루스 맥라렌이 우승했다.[2] 판지오의 은퇴와 동료 아르헨티나 드라이버 호세 프로일란 곤잘레스의 은퇴, 그리고 페론의 망명 (1955년) 이후 불안정한 정부가 결합되어, 아르헨티나 그랑프리는 1961년 F1 캘린더에서 10년 이상 사라졌다.[2]

1971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비(非) 선수권 포뮬러 원 경기가 열렸으며, 2번의 예선 레이스를 거쳐 크리스 에이먼이 우승했다.[3][4][5] 1972년에는 아르헨티나 그랑프리가 월드 챔피언십에 복귀했으며, 카를로스 로이테만이 새로운 홈 팬들의 기대를 받았다.[3] 로이테만은 월드 챔피언십 데뷔전에서 폴 포지션을 차지하며, 이 기록을 달성한 두 번째 드라이버가 되었다.[3] 레이스에서는 월드 챔피언 재키 스튜어트가 우승을 차지했다.[3] 1973년에는 에머슨 피티팔디가 마지막 레이스 구간에서 프랑스인 프랑수아 세베르를 제치고 우승을 차지했다.[3]

1974년 레이스에서 홈 영웅 로이테만은 거의 우승을 차지할 뻔했지만, 브라밤 정비공들이 아르헨티나 선수 차에 충분한 연료를 넣지 않아 연료가 떨어졌고, 베테랑 뉴질랜드인 데니 흄이 우승을 차지했다.[6] 1977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조디 셰크터가 매우 더운 날씨 속에서 발터 볼프 팀의 첫 번째 그랑프리에서 놀라운 승리를 거두었고,[6] 1978년에는 마리오 안드레티가 로터스에서 드라이브하며 그 시즌을 지배하기 시작했다.[6] 1979년 레이스는 재개되었고, 프랑스인 자크 라피트와 패트릭 데파일러의 파란색 리지에가 경주를 이끌었지만, 노련한 로이테만이 이제 로터스에서 드라이브하며 신중하게 필드를 통과하여 라피트를 압박했지만, 날아다니는 프랑스인을 따라잡지 못했고, 로이테만은 2위를 기록했다.[6]

1980년, 윌리엄스에서 드라이브하는 호주인 앨런 존스가 우승을 차지하고 피케와 케케 로즈버그가 첫 번째 포디움 피니시를 기록했다.[6] 알랭 프로스트는 맥라렌에서 데뷔 F1 레이스에서 한 점을 얻었다.[6] 1981년 레이스는 더 시원한 4월 날씨에 열렸으며, 브라밤의 행진이었다.[6] 피케가 우승을 차지했고, 로이테만이 2위, 프로스트가 3위를 기록했다.[6]

1982년 라운드는 3월 초에 열릴 예정이었지만, 남아프리카 그랑프리 직전 드라이버 파업으로 인한 정치적 여파로 아르헨티나 그랑프리의 스폰서들이 레이스에서 철수했다.[7]

1995년 현대화된 아르헨티나 그랑프리가 부활했고, 데이먼 힐이 우승을 차지했다.[11] 힐은 1996년 (그의 챔피언십 시즌)과 1997년에 다시 우승했고,[11] 자크 빌뇌브가 챔피언십 시즌에서 레이스에서 우승했다.[11]

1998년 레이스는 아르헨티나 그랑프리의 마지막 경주였으며, 미하엘 슈마허가 페라리에서 9번째 우승을 차지하며 체커 플래그를 흔들었다.[11]

우승 횟수드라이버우승 연도
4후안 마누엘 판지오es1954, 1955, 1956, 1957
21973, 1975
데이먼 힐영어1995, 1996
출처:[15]


3. 2. 컨스트럭터

'''굵은 글씨'''는 현재 시즌 포뮬러 원 챔피언십에 참가하고 있는 컨스트럭터이다.

우승 횟수컨스트럭터우승 연도
4 윌리엄스1980, 1995, 1996, 1997
3 페라리1953, 1956, 1998
2 마세라티1954, 1957
쿠퍼1958, 1960
맥라렌1974, 1975
로터스1973, 1978
[15]



연도결승일라운드서킷우승자컨스트럭터결과
19531월 18일1부에노스 아이레스(No.2) 알베르토 아스카리페라리상세 정보
19541월 17일1 후안 마누엘 팡헬리오마세라티상세 정보
19551월 16일1 후안 마누엘 팡헬리오메르세데스상세 정보
19561월 22일1 루이지 무소
후안 마누엘 팡헬리오
페라리상세 정보
19571월 13일1 후안 마누엘 팡헬리오마세라티상세 정보
19581월 19일1 스털링 모스쿠퍼-클라이맥스
(롭 워커)
상세 정보
1959개최되지 않음
19602월 7일1부에노스 아이레스(No.2) 브루스 맥라렌쿠퍼-클라이맥스상세 정보
1961
-
1970
개최되지 않음
19711월 24일비선수권부에노스 아이레스(No.9) 크리스 에이먼[16]마트라상세 정보
19721월 23일1부에노스 아이레스(No.9) 재키 스튜어트티렐-포드상세 정보
19731월 28일1 에머슨 피티팔디로터스-포드상세 정보
19741월 13일1부에노스 아이레스(No.15) 데니스 헐름맥라렌-포드상세 정보
19751월 12일1 에머슨 피티팔디맥라렌-포드상세 정보
1976개최되지 않음
19771월 9일1부에노스 아이레스(No.15) 조디 셰크터울프-포드상세 정보
19781월 15일1 마리오 안드레티로터스-포드상세 정보
19791월 21일1 자크 라피트리제-포드상세 정보
19801월 13일1 앨런 존스윌리엄스-포드상세 정보
19814월 12일3 넬슨 피케브라밤-포드상세 정보
1982
-
1994
개최되지 않음
19954월 9일2부에노스 아이레스(No.6) 데이먼 힐윌리엄스-르노상세 정보
19964월 7일3 데이먼 힐윌리엄스-르노상세 정보
19974월 13일3 자크 빌뇌브윌리엄스-르노상세 정보
19984월 12일3 미하엘 슈마허페라리상세 정보
[17][18]



(2승 이상)

횟수컨스트럭터우승 연도
4 윌리엄스1980, 1995, 1996, 1997
3 페라리1953, 1956, 1998
2 마세라티1954, 1957
쿠퍼1958, 1960
맥라렌1974, 1975
로터스1973, 1978
[20]

3. 3. 엔진

Formula One영어에서 엔진은 경주차의 성능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아르헨티나 그랑프리 역사에서 다양한 엔진 제조사들이 경쟁하며 기술 발전을 이끌었다.

우승 횟수제조사우승 연도
9 포드 *1972, 1973, 1974, 1975, 1977, 1978, 1979, 1980, 1981
3 르노1995, 1996, 1997
페라리1953, 1956, 1998
2 마세라티1954, 1957
클라이맥스1958, 1960
[15]



횟수제조사우승 연도
9 포드 *1972, 1973, 1974, 1975, 1977, 1978, 1979, 1980, 1981
3 페라리1953, 1956, 1998
르노1995, 1996, 1997
2 마세라티1954, 1957
클라이맥스1958, 1960
[21]

4. 개최 서킷



아르헨티나 그랑프리는 오스카르 갈베스 서킷에서 개최되었으며, 코스 레이아웃은 여러 번 변경되었다.

1953년부터 1960년까지는 "No. 2" 레이아웃에서 개최되었으며, 1954년을 제외하고는 시계 방향으로 진행되었다.[1] 1971년부터 1973년까지는 "No. 9" 구성에서 개최되었는데, 이는 "No. 2" 구성과 거의 동일하지만 토보간 이후 구간이 짧아지고 호르키야 코너가 더 좁고 짧아졌다. 1974년부터 1981년까지는 "No. 15" 구성에서 진행되었는데, 이는 두 개의 매우 빠른 연속적인 오른쪽과 왼쪽 코너, 두 개의 긴 직선, 그리고 이전 "No. 9" 구성에서 인필드 섹션으로 들어가는 웅장하고 넓은 세 번째 코너(쿠르본 살로토)를 결합한 가장 길고 빠른 레이아웃이었다. 1995년부터 1998년까지는 S자형 로스 믹소스 시케인을 사용해 인필드 섹션만 활용하는 꼬불꼬불한 "No. 6" 구성에서 개최되었다.[1]

연도드라이버컨스트럭터개최 장소보고서
1953 알베르토 아스카리페라리부에노스아이레스 2번 코스보고서
1954 후안 마누엘 팡기오마세라티보고서
1955 후안 마누엘 팡기오메르세데스-벤츠보고서
1956 루이지 무소
후안 마누엘 팡기오
페라리보고서
1957 후안 마누엘 팡기오마세라티보고서
1958 스털링 모스쿠퍼-코벤트리 클라이맥스보고서
1959개최되지 않음
1960 브루스 맥라렌쿠퍼-코벤트리 클라이맥스부에노스아이레스 2번 코스보고서
1961

1970
개최되지 않음
1971 크리스 에이먼마트라부에노스아이레스 9번 코스보고서
1972 재키 스튜어트타렐-포드부에노스아이레스 9번 코스보고서
1973 에머슨 피티팔디로터스-포드보고서
1974 데니 헐름맥라렌-포드부에노스아이레스 15번 코스보고서
1975 에머슨 피티팔디맥라렌-포드보고서
1976개최되지 않음
1977 조디 쉑터볼프-포드부에노스아이레스 15번 코스보고서
1978 마리오 안드레티로터스-포드보고서
1979 자크 라피트리기에-포드보고서
1980 앨런 존스윌리엄스-포드보고서
1981 넬슨 피케브라밤-포드보고서
1982

1994
개최되지 않음
1995 데이먼 힐윌리엄스-르노부에노스아이레스 6번 코스보고서
1996 데이먼 힐윌리엄스-르노보고서
1997 자크 빌르너브윌리엄스-르노보고서
1998 미하엘 슈마허페라리보고서
Source:[15]


참조

[1] 웹사이트 1952 Argentina – Gran Premio Presidente Perón http://www.jmfangio.[...]
[2] 웹사이트 1953 VII Gran Premio de la Republica Argentina http://www.silhouet.[...] silhouet.com 2014-04-05
[3] 웹사이트 1971 Non Championship Formula One results http://www.silhouet.[...]
[4] 웹사이트 1971 Non Championship Formula One results http://www.silhouet.[...] silhouet.com 2015-06-27
[5] 웹사이트 1971 – VIII Gran Premio de la Republica Argentina http://www.statsf1.c[...] statsf1.com 2015-06-27
[6] 서적 Senna versus Prost 2009
[7] 뉴스 Argentine Grand Prix Removed From Agenda https://www.nytimes.[...] 2017-02-06
[8] 웹사이트 Circuits: Buenos Aires (Autodromo Oscar Galvez) http://www.grandprix[...] grandprix.com 2014-04-05
[9] 뉴스 Remembering the tragedy and mayhem of the 1982 F1 World Championship https://www.theguard[...] theguardian.com 2014-04-05
[10] 웹사이트 The F1 blog: Looking back: F1's Phantom Races http://www.talkingab[...] Talking about F1 2015-12-17
[11] 웹사이트 June 1994 Motorsport Information http://www.teamdan.c[...] 2017-02-06
[12] 웹사이트 F1: Korea To Be Replaced By Argentina In 2013? http://formula-one.s[...] 2012-04-09
[13] 웹사이트 Argentina busca el retorno de la Fórmula 1 http://f1actual.com/[...] 2012-04-09
[14] 웹사이트 2013 Argentine GP deal to be finalised in May https://web.archive.[...] 2012-04-09
[15] 웹사이트 Argentine GP https://www.chicanef[...] ChicaneF1 2021-09-14
[16] 웹사이트 VIII Gran Premio de la Republica Argentina https://www.statsf1.[...] STATS F1 2020-03-29
[17] 웹사이트 Grands Prix Argentina https://www.statsf1.[...] STATS F1 2020-03-29
[18] 웹사이트 Buenos Aires https://www.statsf1.[...] STATS F1 2020-03-29
[19] 웹사이트 Grands Prix Argentina https://www.statsf1.[...] STATS F1 2020-03-29
[20] 웹사이트 Grands Prix Argentina https://www.statsf1.[...] STATS F1 2020-03-29
[21] 웹사이트 Grands Prix Argentina https://www.statsf1.[...] STATS F1 2020-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