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북서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헨티나 북서부는 다양한 생물군계로 구성된 지역으로, 알티플라노, 안데스 고산 지대, 비옥한 계곡, 붉은 암석 협곡, 열대 정글, 생태 천이대 등이 나타난다. 이 지역은 고고학적 발견, 아열대 기후, 그리고 다양한 기온 및 강수량 분포를 보인다. 주요 산업으로는 농업, 광업, 관광 등이 있으며, 케추아족과 아이마라족 문화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주요 도시로는 살타, 산미겔 데 투쿠만, 산 살바도르 데 후후이 등이 있으며,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여행지이다. 교통은 항공, 도로, 철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에노스아이레스와 연결된다. 이 지역에는 국립 투쿠만 대학교, 국립 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대학교, 국립 후후이 대학교 등 여러 교육 기관이 있다.
아르헨티나 북서부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뚜렷한 지리적, 기후적 특징을 보인다. 동쪽의 융가스 정글 외에는 강 유역 근처만 비옥하며, 오랜 침식 작용으로 우마우아카 협곡과 같은 붉은 암석 협곡들이 형성되었다. 안데스 산맥 최고봉은 6000m에 달하며, 3500m 높이의 알티플라노 고원이 북쪽 볼리비아와 페루 남부까지 뻗어 있다.
2021년 2월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국립 과학 기술 연구 위원회의 고고학자들이 아르헨티나 북서부에서 고대 무덤들을 발견했다.[1][2]
2. 지리
2. 1. 주요 지형
아르헨티나 북서부는 매우 뚜렷한 생물군계(지리적, 기후적 지역)로 구성되며, 서쪽에서 동쪽으로 다음과 같다.
지역 동쪽 가장자리에 있는 융가스 정글 외에 비옥한 땅은 광범위하게 관개된 강 유역 근처뿐이다. 수천 년에 걸쳐 이러한 강의 침식 작용으로 우마우아카 협곡과 칼차키 계곡 같은 수많은 붉은 암석 협곡이 점차적으로 생성되었다.
이 계곡 서쪽의 안데스 산맥 봉우리는 6000m 이상 높이에 달하며, 광대한 3500m 고원인 알티플라노가 지형을 지배하며 북쪽으로 멀리 볼리비아와 페루 남부까지 이어진다.
2. 2. 생태 천이대
융가스와 차코 지역 사이의 생태 천이대는 아르헨티나 북서부의 지리적, 기후적 특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3. 역사
3. 1. 고고학적 발견
2021년 2월,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국립 과학 기술 연구 위원회의 고고학자들은 6,000년에서 1,3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12개의 무덤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또한 시신 옆에서 목걸이와 펜던트를 공개했다. 고고학자 레티시아 코르테스에 따르면, 개인 또는 집단 무덤, 그리고 시신의 자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매장 방법이 있었다. 일부는 어깨가 무릎에 닿는 쪼그리고 앉는 자세처럼 과굴곡된 상태였다.[1][2]
4. 기후
아르헨티나 북서부는 주로 건조하고 더우며 아열대 기후를 보인다.[3] 이 지역은 험준한 지형으로 인해 고도, 온도, 강수량 분포에 따라 기후가 다양하다.[4] 일반적으로 고지대는 춥고 건조하거나 반건조 기후가 나타나고, 동쪽 지역은 더 따뜻한 아열대 기후가 나타난다.[3]
이 지역의 기후 유형, 기온, 강수량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기후 유형
아르헨티나 북서부는 주로 건조하고 더운 아열대 기후를 보인다.[3] 이 지역은 험준한 지형으로 인해 고도, 온도, 강수량 분포에 따라 기후가 다양하다.[4] 일반적으로 고지대는 춥고 건조하거나 반건조 기후가 나타나고, 동쪽 지역은 더 따뜻한 아열대 기후가 나타난다.[3]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이 지역은 반건조(''BS''), 건조(''BW''), 건조한 계절이 없는 온대 기후와 건조한 계절이 있는 온대 기후(각각 ''Cf'' 및 ''CW'') 및 최고 고도에서는 고산 기후의 5가지 기후 유형을 보인다.대기 순환은 남대서양 및 남태평양 고기압,[6] 그리고 안데스 산맥 동쪽에 있는 계절성 저기압(차코 저기압)에 의해 통제된다.[7][8] 여름철에는 남대서양 고기압과 차코 저기압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저기압 시스템이 북동풍과 동풍을 불어와 습기를 운반한다. 대부분의 습기는 안데스 산맥이 태평양에서 오는 습기를 차단하기 때문에 동쪽에서 유입된다.[9] 한랭 전선이 북쪽으로 이동하여 여름철에 강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지역 남부에서 더 두드러진다.[1]
겨울철에는 열대 수렴대가 에콰도르로 북쪽으로 이동하고, 남태평양 및 남대서양 고기압이 북쪽으로 이동하며, 차코 저기압이 약화되어 강수가 억제된다.[6] 우세한 바람이 서쪽에서 불어오고, 안데스 산맥이 태평양에서 오는 대부분의 강우 구름을 차단하며, 강수에 불리한 대기 순환 패턴으로 인해 겨울철에 건기가 발생한다.[6]
안데스 산맥 동쪽 사면에서 불어오는 동풍은 북서부에 습기를 가져다준다. 이 지역은 볼리비아 융가스 지방의 정글처럼 풍부한 강수량으로 인한 아열대 기후를 보인다. 건조한 바람이 서쪽으로 계속 불어 푸나 고원과 불모의 안데스 초원 서쪽에 큰 온도 차이를 가져오며, 이는 이 지역 대부분의 특징이다. 북서부 대부분 지역에서는 남반구의 하계(12월~3월)에 폭우가 쏟아지며, 연간 강수량 약 700mm의 대부분이 내린다.[27]
4. 2. 기온
아르헨티나 북서부의 기온은 고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3]살타와 후후이 시를 포함하는 온대 계곡은 온화한 기후를 보인다. 여름에는 온화한 기온(1월 살타 평균 20°C, 후후이 평균 21°C)을 보이며, 겨울은 매우 건조하고 서늘하며 규칙적인 서리가 내린다(7월 살타 평균 10°C, 후후이 평균 10.5°C).[20] 이 도시들은 일교차가 상당히 크며, 특히 겨울에 두드러진다.
후후이 시 북쪽의 우마우아카 계곡은 일교차가 커서 온도 진폭이 16°C에서 20°C 사이이다. 낮 동안 햇빛이 강하게 쬐어 땅이 뜨거워지고 밤에는 햇빛이 줄어 땅이 식어 기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21] 우마우아카 계곡의 가장 더운 달 평균 기온은 고도가 높은 우마우아카의 15.1°C에서 고도가 낮은 볼칸의 18.5°C까지 다양하며,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은 7.1°C에서 8.1°C이다. 연평균 기온은 고도에 따라 12°C에서 14.1°C 범위이다.
살타 주의 칼차키 계곡은 라 리오하 주와 카타마르카 주의 계곡과 유사하게 온대 건조 기후를 보이며, 큰 온도 진폭, 긴 여름, 고도에 따라 다른 긴 무상 기간을 보인다.[22][23] 가장 더운 달 평균 기온은 고도가 높은 지역의 14.5°C에서 고도가 낮은 지역의 22.1°C까지 다양하며, 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은 4.8°C에서 9.6°C이다. 연평균 기온은 고도가 높은 라 포마의 10.2°C에서 고도가 낮은 산 카를로스의 16.9°C까지 다양하다. 우마우아카 계곡과 칼차키 계곡 모두 겨울은 춥고, 3월에서 9월 사이에 서리가 내릴 수 있다.[10]
라 리오하 주와 카타마르카 주 남부의 계곡과 산티아고델에스테로 주 남서부 지역은 건조한 차코 생태 지역의 일부이며,[24] 연중 온화한 기후를 보인다. 여름 기온은 매우 높으며, 가장 더운 달인 1월의 평균 기온은 26°C이다.[24] 기온은 평균 20~25일 동안 40°C를 초과할 수 있으며, 특히 카타마르카 중앙 계곡(Valle Central de Catamarca)과 라 리오하 수도 계곡에서 45°C를 초과할 수 있다.[24] 겨울은 온화하며, 평균 기온은 12°C이다.[24] 남쪽에서 오는 차가운 남극 기류는 심한 서리를 내릴 수 있으며, 이 한랭 전선 동안 기온은 -8°C에서 -14°C 사이로 떨어질 수 있다. 반대로 겨울철에 더 자주 발생하는 존다 풍은 기온을 최대 35°C까지 올리고 강한 돌풍을 일으켜 작물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더 서쪽의 볼리비아 인접 지역인 푸나 지역은 해발 고도가 높기 때문에 연평균 기온이 10°C 미만으로 훨씬 더 춥다. 푸나 지역은 연중 춥지만 햇볕이 잘 드는 특징을 보인다.[17] 일교차가 크고, 연중 습도가 낮고 햇빛이 강하기 때문에 온도 진폭이 40°C를 초과할 수 있다.[1] 연평균 최고 기온과 최저 기온은 각각 16°C과 -4°C이며, 밤 기온이 정기적으로 영하로 떨어질 수 있으므로 모든 달에 서리가 내릴 수 있다.[17] 절대 최고 기온은 최대 30°C까지 올라갈 수 있으며, 절대 최저 기온은 -20°C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1]
투쿠만 주 동부 지역은 연평균 기온이 18°C에서 20°C이다.[25] 여름은 덥고, 평균 기온은 24°C에서 26°C 사이이며, 겨울에는 평균 기온이 10°C에서 12°C 사이이다.[10] 차코 지역과 경계를 이루는 주의 가장 동쪽 지역은 가장 높고 낮은 기온을 보이며, 절대 최고 기온은 40°C를 초과할 수 있고, 산에서 내려오는 찬 공기가 축적되어 절대 최저 기온은 -7°C에 가까워질 수 있다.[26]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기후가 더 서늘하며, 여름 기온은 평균 20°C이고 겨울 기온은 평균 10°C이다. 해발 2500m의 고도에서 연평균 기온은 12°C에서 14°C 사이이다.[26] 산 사이에 위치한 계곡 내에서는 기온이 더 서늘하며, 타피 계곡의 연평균 기온은 13.1°C이다(여름 평균 17.1°C, 겨울 평균 9°C).
4. 3. 강수량
아르헨티나 북서부는 주로 건조하고 더운 아열대 기후를 보인다.[3] 이 지역은 지형이 험준하여 고도, 온도 및 강수량 분포에 따라 기후가 다양하다.[4] 일반적으로 고지대에서는 춥고 건조 또는 반건조 기후가 나타나고, 지역 동부에서는 더 따뜻한 아열대 기후가 나타난다.[3]강수량은 계절에 따라 크게 다르며, 대부분 여름철에 집중된다. 이 기간 동안 강수량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감소한다. 습한 공기가 산맥의 동쪽 사면에 도달하면 수직으로 상승하여 냉각되고, 단열적으로 냉각되어 구름이 형성되고 많은 양의 비가 내린다. 산맥의 동쪽 사면은 연간 1000mm에서 1500mm의 강수량을 받을 수 있지만, 일부 지역은 지형성 강수로 인해 연간 2500mm의 강수량을 받을 수 있다.
산맥이 북-남 방향으로 향하고, 서쪽으로 고도가 증가하며, 불연속적인 지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계곡은 지형성 강수를 통해 서쪽 지역에 비교적 높은 강수량을, 계곡의 동쪽 지역에 더 건조한 지역을 가질 수 있다.[6]
살타와 후후이 주와 같은 주요 도시가 포함된 온대 계곡에서는 평균 강수량이 500mm에서 1000mm이다.[10] 예를 들어, 레르마 계곡에서는 강수량이 살타의 695mm에서 11km 떨어진 산 로렌조의 1395mm까지 다양하다.[6]
이 지역의 남쪽 계곡은 안데스 산맥과 시에라스 팜페아나스 산맥의 동쪽 사면에 있는 산들이 북쪽의 산들보다 높기 때문에 (3000m에서 6900m) 북쪽 계곡보다 더 건조하며, 대서양과 태평양에서 오는 습한 바람을 막는 중요한 지형적 장벽을 형성한다.[6][12] 이러한 계곡은 종종 연간 200mm 미만의 강수량을 받는다. 예를 들어, 라리오하 주에서는 연평균 강수량이 동쪽 부분에서 300mm에서 안데스 산맥 기슭에서 100mm까지 다양하다.[13] 카타마르카 주에서는 연평균 강수량이 안데스 산맥 사이의 계곡 중간에서는 150mm에서 계곡을 형성하는 인근 산맥에서는 300mm 이상으로 다양하다.[14] 칼차키 계곡에서도 연평균 강수량이 몰리노스의 95mm에서 카파야테의 200mm까지 다양하다.
푼나 지역의 강수량은 연간 평균 200mm 미만인 반면, 잠재 증발산량은 연간 500mm에서 600mm으로, 높은 일사량, 강한 바람, 낮은 습도가 건조한 조건을 악화시킨다.[16][17] 푼나 지역의 남동쪽 부분은 매우 건조하며, 평균 50mm이다.[6]
엘니뇨 남방 진동은 아르헨티나 북서부의 강수량에 영향을 미친다.[19] 엘니뇨 해에는 서풍이 강화되는 반면, 동쪽의 습윤도는 감소하여 건조한 우기를 보인다. 반대로 라니냐 해에는 동쪽의 수분 수송이 강화되어 더 강렬한 우기를 보인다.
5. 경제
아르헨티나 북서부 지역의 경제는 비옥한 계곡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농업과 광업이 주를 이룬다.[1] 사탕수수, 담배, 감귤류 재배와 소, 염소 사육이 활발하다.[1] 카파야테 지역의 발례스 찰차퀴에스에서는 포도원이 발달해 있다.[1] 농업 외에는 팔팔라에 위치한 "알토스 오르노스 사플라" 제철소가 주요 산업 시설이다.[1] 광업 분야에서는 리튬, 납, 은, 아연, 소금 채굴과 탄화수소 추출이 이루어지고 있다.[1]
5. 1. 주요 산업
이 지역 인구와 경제 활동의 대부분은 비옥한 계곡에 집중되어 있다. 이 중 사탕수수, 담배, 감귤류 재배가 가장 중요한 산업이며, 소와 염소의 사육 또한 중요하다.[1] 주요 포도원은 카파야테 지역의 발례스 찰차퀴에스에서 발견된다.[1]대부분의 경제 활동은 "알토스 오르노스 삽라(Altos Hornos Zapla)" 강철 고로를 제외하고 농업과 관련되어 있다.[1]
광업에는 리튬, 납, 은, 아연 및 소금 채굴과 탄화수소 추출이 포함된다.[1]
6. 문화
케추아족과 아이마라족 문화의 강한 영향을 받아, 유럽적인 색채가 강한 부에노스아이레스와는 상당히 다르다. 이러한 영향은 이 지역 사람들의 음악, 의복, 관습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7. 관광
아르헨티나 북서부는 아르헨티나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 특히 유럽에서 온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7. 1. 주요 관광지
아르헨티나 북서부는 국내 및 국제 여행객 모두에게 인기 있는 여행지이며, 인근 아르헨티나인과 휴가를 즐기는 유럽인 모두를 끌어들인다. 가장 인기 있는 여행지로는 우마와카 협곡과 세로 데 로스 시에테 콜로레스, 카파야테와 발레스 칼차키에스, 타피 델 발레, 그리고 각 주의 주도인 산 미겔 데 투쿠만, 산 페르난도 델 발레 데 카타마르카, 살타, 산 살바도르 데 후후이 등이 있다.
이 지역의 국립공원으로는 바리투 국립공원, 칼리레과 국립공원, 엘 레이 국립공원, 로스 카르도네스 국립공원, 캄포 데 로스 알리소스 국립공원이 있다.
7. 2. 국립공원
이 지역의 국립공원으로는 바리투 국립공원, 칼리레과 국립공원, 엘 레이 국립공원, 로스 카르도네스 국립공원, 캄포 데 로스 알리소스 국립공원이 있다.8. 교통
아르헨티나 북서부는 항공, 도로, 철도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항공편은 여러 국제공항과 국내 공항을 통해 운항되며, 주요 국도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된다. 철도는 칠레와의 국제 노선이 있다.
8. 1. 항공
살타에 있는 마르틴 미겔 데 구에메스 국제공항, 산미겔데투쿠만의 테니엔테 제네랄 벤하민 마티엔소 국제공항, 산살바도르데후후이 근교에 있는 고베르나도르 오라시오 구스만 국제공항 등 북서부에는 세 개의 국제공항이 있다. 또한, 산페르난도델바예데카타마르카에는 코로넬 펠리페 바레라 공항이, 산티아고델에스테로에는 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공항이 있다. 어느 공항도 부에노스아이레스까지의 정기편을 운행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북서부 내 공항 간을 잇는 정기편, 볼리비아나 칠레로 향하는 정기편이 있는 경우도 있다.[1]8. 2. 도로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로사리오나 코르도바를 경유하여 북서부로 향하는 국도 9호선이 있다. 국도 9호선은 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주 서부를 북상하여 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옆을 지나 투쿠만 주로 들어간다. 북서부의 중심지인 산미겔 데 투쿠만을 통과하여 더 북상하여 살타 주로 들어간다. 살타 주 메탄에서는 동쪽으로 국도 16호선이 분기되며, 국도 16호선은 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주 북부를 통과하여 차코 주·레시스텐시아까지 이어진다. 국도 9호선은 살타 주 중앙부에서 국도 51호선이 분기하며, 국도 51호선은 주도 살타를 지나 칠레와의 국경을 넘어간다. 국도 51호선 분기 후 바로 후후이 주로 들어가 산살바도르 데 후후이를 지나 산악 지대를 통과하여 볼리비아와의 국경을 넘어간다.8. 3. 철도
칠레에서 국경을 넘어 아르헨티나로 오는 철도는 살타가 종착역이다.9. 교육
산미겔데투쿠만에는 1914년에 설립된 국립 투쿠만 대학교와 1948년에 설립된 국립 기술 대학교, 1965년에 설립된 성 토마스 아퀴나스 북부 대학교, 성 파울 T 대학교가 있다. 산티아고델에스테로에는 1960년에 설립된 사립 가톨릭 대학교와 1973년에 설립된 국립 산티아고 델 에스테로 대학교가 있다. 산살바도르데후후이에는 1973년에 설립된 국립 후후이 대학교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rehistoric Burials Excavated in Argentina – Archaeology Magazine
https://www.archaeol[...]
2021-03-02
[2]
웹사이트
Six thousand-year-old tombs found in northwest Argentina
https://www.cadenagr[...]
2021-03-02
[3]
웹사이트
Región del Noroeste
http://www.mininteri[...]
Ministerio del Interior y Transporte
2015-07-24
[4]
간행물
Periglacial phenomena in the high mountains of northwestern Argentina
http://erth.waikato.[...]
2015-07-26
[5]
웹사이트
Causas de Las Sequías de la Región del NOA (Argentina)
http://www.revistas.[...]
2015-07-26
[6]
웹사이트
Base de Datos Mensuales de Precipitaciones del Noroeste Argentino
http://www.ora.gob.a[...]
Oficina de Riesgo Agropecuario
2015-07-27
[7]
웹사이트
Caracterización Climática del Chaco Húmedo
http://avesargentina[...]
2015-07-10
[8]
간행물
Climate change and mass movements in the NW Argentine Andes
https://www.research[...]
Elsevier
2015-07-27
[9]
웹사이트
Climate Overview
http://www.metoffice[...]
Met Office
2015-06-07
[10]
웹사이트
Regiones Agroeconómicas del Noroeste Argentino
http://www.produccio[...]
Instituto Nacional de Tecnología Agropecuaria
2015-08-01
[11]
웹사이트
El Clima de la Provincia de Jujuy
http://www.dipec.juj[...]
Dirección Provincial de Estadística y Censos–Provincia de Jujuy
2015-08-01
[12]
웹사이트
Olive Growing in the arid valleys of Northwest Argentina (provinces of Catamarca, La Rioja and San Juan)
http://oa.upm.es/155[...]
International Olive Council
2015-07-31
[13]
웹사이트
Cap. 16 Clima de la Provincia de La Rioja
http://www.cricyt.ed[...]
Centro Regional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y Tecnológicas
2015-07-30
[14]
웹사이트
Provincia de Catamarca–Clima Y Metéorologia
http://www.mineria.g[...]
Secretaria de Mineria de la Nacion (Argentina)
2015-07-30
[15]
웹사이트
Aprovechamiento de Los Recursos Hídricos y Tecnologia de Riego en el Altiplano Argentino
http://inta.gob.ar/s[...]
Instituto Nacional de Tecnología Agropecuaria
2015-07-31
[16]
웹사이트
Arid and semi–arid rangelands: two thirds of Argentina
http://www.rala.is/r[...]
The Agricultural University of Iceland
2015-07-23
[17]
웹사이트
The Vegetation of Northwestern Argentina (NOA)
http://instruct.uwo.[...]
2015-07-31
[18]
웹사이트
Argentina
http://www.bbc.com/w[...]
BBC Weather
2015-06-07
[19]
간행물
Tectonics and Climate of the Southern Central Andes
http://helios.geog.u[...]
Annual Reviews
2015-07-30
[20]
웹사이트
Diagnostico del Manejo del Agua en Cuencas Tabacaleras del Valle de Lerma, Salta, Argentina
http://inta.gob.ar/s[...]
Instituto Nacional de Tecnología Agropecuaria
2015-08-01
[21]
웹사이트
Provincia de Jujuy–Clima Y Metéorologia
http://www.mineria.g[...]
Secretaria de Mineria de la Nacion (Argentina)
2015-08-02
[22]
웹사이트
South American Viticulture, Wine Production, and Climate Change
http://www.uca.edu.a[...]
Pontificia Universidad Católica Argentina
2015-06-18
[23]
웹사이트
Reseña de la vitivinicultura argentina
http://www.acenologi[...]
Acenología
2015-06-11
[24]
간행물
Cambios temporales del clima en la subregión del Chaco Árido
http://www.cricyt.ed[...]
Dirección de Recursos Naturales Renovables de Mendoza; Instituto Argentino de Investigaciones de las Zonas Aridas (IADIZA-CONICET)
2015-07-31
[25]
웹사이트
Clima de la Provincia de Tucumán
http://www.csnat.unt[...]
2015-08-01
[26]
웹사이트
Provincia de Tucumán–Clima Y Metéorologia
http://www.mineria.g[...]
Secretaria de Mineria de la Nacion (Argentina)
2015-08-02
[27]
SMN
SMN
http://www.meteofa.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