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말테이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말테이아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제우스를 돌본 님프 또는 암염소로 묘사된다. 어원은 불분명하며, 제우스의 출생과 양육에 대한 다양한 신화적 전승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말테이아는 제우스에게 젖을 먹였으며, 부러진 뿔은 풍요의 뿔(코르누코피아)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후대에는 아말테이아의 뿔과 제우스의 양육 이야기가 결합되었으며, 소행성 및 목성 위성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Ἀμάλθεια|아말테이아grc의 어원 및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학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헤시오도스의 ''테오고니아(신들의 계보)''는 제우스 탄생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을 제공하지만,[8] 아말테이아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다.[9] 헤시오도스는 갓 태어난 제우스를 크레타섬의 "에게 해 산" 동굴로 옮겼다고 묘사하는데,[10] 일부 학자들은 이를 아말테이아와 관련된 "염소 산"으로 해석하기도 한다.[11] 리처드 와이어트 허친슨은 아말테이아가 염소라는 전통이 헬레니즘 시대부터 증명되었지만, 그 이전부터 님프로서의 아말테이아보다 먼저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12] 그러나 M. L. 웨스트를 포함한 다른 학자들은 헤시오도스가 산 이름을 아말테이아와 관련지어 언급했다고 볼 근거가 없다고 주장한다.[13] 루이스 리처드 파넬은 크레타 여신 딕티나가 딕테 산(때때로 제우스의 출생지로 여겨짐)과 이름이 관련되어 있으며, 제우스를 키운 "신성한 염소 어머니"인 아말테이아와 초기에 연관되었을 수 있다고 보았다.[14]
아말테이아와 관련된 신화는 크게 제우스의 양육, 아말테이아의 뿔, 그리고 아이기스와의 연관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제우스의 양육과 아이기스와의 연관성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나와 있으므로 여기서는 아말테이아의 뿔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서술한다.
2. 어원 및 기원
2. 1. 어원
Ἀμάλθειαgrc(아말테이아)의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2] 19세기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어원들이 제시되었지만,[3] 알프레드 칠턴 피어슨은 이를 무시하고, 그 이름이 ἀμαλόςgrc(아말로스)와 ἀμάληgrc(아말레)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4] "양육하다"라는 뜻의 동사 ἀμαλθεύεινgrc(아말테우에인)은[5] 오토 그루페가 아말테이아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보았지만, 그루페의 주장을 반박하듯, 그 이후 소포클레스의 단편에서 발견되었다.[6] 피어슨에 따르면, 두 단어는 서로 나란히 존재했던 것으로 이해해야 하며, 이러한 "풍요" 또는 "넉넉함"의 개념이 특정 신화 속 인물들에게 구현된 것이다.[7]
2. 2. 초기 전승
Ἀμάλθεια|아말테이아grc의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2] 19세기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어원들이 제시되었지만,[3] 알프레드 칠턴 피어슨은 이를 무시하고, 그 이름이 ἀμαλός|아말로스grc와 ἀμάλη|아말레grc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4] "양육하다"라는 뜻의 동사 ἀμαλθεύειν|아말테우에인grc은[5] 오토 그루페가 아말테이아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보았지만, 그루페의 주장을 반박하듯, 그 이후 소포클레스의 단편에서 발견되었다.[6] 피어슨에 따르면, 두 단어는 서로 나란히 존재했던 것으로 이해해야 하며, 이러한 "풍요" 또는 "넉넉함"의 개념이 특정 신화 속 인물들에게 구현된 것이다.[7]
헤시오도스의 ''테오고니아(신들의 계보)''는 제우스의 탄생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을 제공하지만,[8] 아말테이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9] 하지만 헤시오도스는 갓 태어난 제우스가 크레타섬의 "에게 해 산"의 동굴로 옮겨졌다고 묘사하는데,[10] 일부 학자들은 이를 아말테이아 이야기와 관련된 "염소 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한다.[11] 리처드 와이어트 허친슨은 아말테이아가 염소라는 전통이 헬레니즘 시대부터 증명되었지만, 그 이전부터 님프로서의 아말테이아보다 먼저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12] 그러나 M. L. 웨스트를 포함한 다른 학자들은 헤시오도스가 산의 이름을 아말테이아와 관련하여 언급했다고 볼 이유가 없다고 말한다.[13] 루이스 리처드 파넬에 따르면, 크레타 여신 딕티나는 그 이름이 딕테 산(때때로 제우스의 출생지로 여겨짐)과 관련이 있으며, 제우스를 키운 "신성한 염소 어머니"인 아말테이아와 초기에 연관되었을 수 있다.[14]
3. 신화
3. 1. 제우스의 양육
아말테이아는 어린 제우스를 돌본 유모로 가장 자주 언급되며,[26] 이 역할에서 흔히 님프(요정)로 묘사된다.[27] 아테네의 무사(Musaeus of Athens)에 따르면, 레아(신화)는 갓 태어난 제우스를 테미스(Themis)에게 넘겨주고, 테미스는 다시 제우스를 님프 아말테이아에게 넘겨주었다. 아말테이아는 어린 제우스를 암염소의 젖으로 키웠다.[29] 유사-에라토스테네스는 이 암염소가 헬리오스(Helios)의 딸이며, 그 모습이 끔찍하여 티탄(Titans)이 가이아(Gaia)에게 크레타의 동굴에 숨겨달라고 요청했다고 묘사한다. 가이아는 이를 승낙하고 암염소를 아말테이아에게 맡겼다.[30] 제우스는 성인이 된 후 티탄과의 전쟁에서 암염소의 가죽을 무기로 사용하라는 신탁을 받는다.[31] 히기누스(Hyginus)는 이 무기가 아이기스(aegis)라고 말한다.[33] 디디무스 칼센터루스(Didymus Chalcenterus)에 따르면, 어린 제우스는 크레타 왕 멜리세우스(Melisseus)의 딸인 님프 아말테이아와 멜리사(신화)(Melissa (mythology))에 의해 길러졌으며, 그들은 그에게 꿀과 염소의 젖을 먹였다.[34]
아말테이아를 염소로 묘사한 최초의 작가는 칼리마쿠스(Callimachus)로 보인다.[37] 그는 제우스가 태어난 후 아르카디아(지역) 님프 네다(신화)(Neda (mythology))에 의해 크레타의 숨겨진 장소로 옮겨져 님프 아드라스테이아(Adrasteia)에게 간호를 받고 아말테이아의 젖을 먹었다고 이야기한다. 칼리마쿠스는 제우스가 아말테이아의 젖을 빠는 모습을 묘사하면서 μαζόν|마존grc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염소의 젖꼭지보다는 인간의 유방을 나타낸다.[39] 아폴로도로스는 제우스가 크레타 디케테 산(Mount Dicte)의 동굴에서 태어나 멜리세우스의 딸인 님프 아드라스테이아와 이다(신화)(Ida (mythology))에 의해 길러졌으며, 그들은 아말테이아의 젖을 먹였다고 기록했다.[41]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아이가 아말테이아의 젖과 꿀로 길러졌다고 말한다.[42]
그리스 천문 신화에서 어린 제우스를 간호한 염소 이야기는 특정 별에 대한 기원 신화(aition)를 제공한다.[45] 아라투스(Aratus)는 마차부자리 오리온자리(Auriga)와 그 주변 별에 대한 설명에서 염소자리의 별(카펠라(Capella)])이 마부의 왼쪽 어깨 위에 있다고 설명하며, 이 염소를 아말테이아와 동일시하는 것으로 보인다.[47] 그는 이 염소를 어린 제우스를 젖 먹인 염소로 묘사한다.[48]
오비디우스의 『축제력』에 따르면, 이데 산에 사는 아말테이아라는 이름의 님페가 어린 제우스를 숲에 숨겨 양육했다. 아말테이아는 아름다운 암염소를 가지고 있었고, 이 염소의 젖으로 제우스는 자랐다. 이 염소는 뿔 한쪽이 부러져 있었지만, 아말테이아는 그 뿔을 주워 꽃과 과일로 채워 어린 제우스에게 먹였다고 한다. 후에 성장하여 신들의 왕이 된 제우스는 뿔과 염소를 함께 별들 사이에 두었다.[89]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여신 레아는 디크테온 동굴에서 제우스를 출산하고, 쿠레테스 중 한 명인 멜리세우스의 딸이자 님페인 아드라스테이아와 이데에게 양육을 명했다. 두 님페는 암염소 아말테이아의 젖으로 어린 제우스를 키웠고, 쿠레테스들은 무장하고 동굴을 지켰다.[90]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에 따르면, 제우스는 이데 산의 동굴에서 자랐다. 레아는 몰래 이데 산중에서 제우스를 출산하고, 근처에 살던 쿠레테스들에게 양육을 부탁했고, 쿠레테스들은 다시 동굴의 님페들에게 양육을 맡겼다.[92] 님페들은 꿀과 우유를 섞은 것을 제우스에게 주었다. 또한 암염소 아말테이아의 젖을 빨게 하여 키웠다.[93]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제우스는 스스로 염소의 뿔을 꺾어[95], 그것을 아말테이아에게 건네주고 그녀가 원하는 것이 무엇이든 손에 넣을 수 있도록 약속했다고 한다. 이것이 코르누코피아(풍요의 뿔)이다.
또한, 에라토스테네스가 무사이오스의 전승으로 언급한 바에 따르면, 이 암염소는 헬리오스의 딸이었으나, 용모가 추악하여 티탄들에게 멀리되었고, 이 염소를 맡게 된 것이 크레테 섬의 님페 아말테이아였다. 그 염소의 젖으로 자란 제우스는 신탁에 따라 그 가죽으로 아이기스를 만들었다고 한다.[96] 게다가 이 염소는 후에 마차부자리의 카펠라가 되었다고 한다.
3. 2. 아말테이아의 뿔
"아말테이아의 뿔"은 라틴 문헌에서 코르누코피아라고 불리며,[15] 일반적으로 원하는 모든 음식이나 음료를 무한정으로 생산할 수 있는 마법의 뿔로 묘사된다.[16] 이 뿔에 대한 이야기는 제우스의 양육과는 별개의 전통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이지만, 두 이야기가 언제 합쳐졌는지는 불확실하다.[17]
고대 그리스 시대 초기에 아나크레온과 포킬리데스와 같은 시인들이 "아말테이아의 뿔"을 언급했으며,[18] 아리스토파네스와 크라티노스와 같은 희극에서 흔히 언급된다.[19]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신화 작가 아테네의 페레퀴데스는 뿔이 원하는 대로 끝없는 음식과 음료를 제공하는 능력을 묘사했으며, 이를 님프 아말테이아의 것으로 여겼다.[20]
핀다르의 잃어버린 시에서 헤라클레스는 강신 아켈로오스(황소의 모습으로 그와 싸운다)와 데이아네이라의 손을 얻기 위해 싸우고, 헤라클레스는 싸움 중에 아켈로오스의 뿔 중 하나를 뽑는다. 그 후 신은 오케아노스의 딸인 아말테이아로부터 얻은 마법의 뿔과 교환하여 뿔을 되찾는다.[21] 페레퀴데스를 인용한 같은 구절에서 아폴로도로스는 이 이야기를 다시 말하며, 님프 아말테이아를 하이모니우스의 딸로 묘사하는데, "테살리아 사람"을 의미하는 그녀의 이름은 이 아말테이아가 제우스의 유모와는 별개임을 나타낸다.[22]
디오도로스 시쿨루스와 스트라본이 전하는 신화의 다른 버전에서는 아말테이아의 뿔이 아켈로오스의 뿔과 동일시되며,[23] 필레몬 (시인)과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아말테이아의 뿔은 황소의 뿔이었는데,[24] 이는 아켈로오스의 황소 뿔과의 혼동의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25]
오비디우스의 『축제력』에 따르면, 이데 산에 사는 아말테이아라는 이름의 님페가 어린 제우스를 숲에 숨겨 양육했다. 아말테이아는 아름다운 암염소를 가지고 있었고, 이 염소의 젖으로 제우스는 자랐다. 이 염소는 뿔 한쪽이 부러져 있었지만, 아말테이아는 그 뿔을 주워 꽃과 과일로 채워 어린 제우스에게 먹였다고 한다. 후에 성장하여 신들의 왕이 된 제우스는 뿔과 염소를 함께 별들 사이에 두었다.[89]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레아는 디크테 산의 동굴에서 제우스를 출산하고, 쿠레테스 중 한 명인 멜리세우스의 딸이자 님페인 아드라스테이아와 이데에게 양육을 명했다. 두 님페는 암염소 아말테이아의 젖으로 어린 제우스를 키웠고, 쿠레테스들은 무장하고 동굴을 지켰다.[90]
나중에 헤라클레스가 데이다레이아를 놓고 강의 신 아켈로오스와 싸웠을 때, 영웅은 아켈로오스의 뿔을 부러뜨려 꺾었다. 그러자 아켈로오스는 뿔을 되찾기 위해 아말테이아의 뿔을 헤라클레스에게 주었다. 여기서 설명하는 바에 따르면, 아말테이아는 황소 뿔을 가진 하이모니오스라는 인물의 딸이며, 아말테이아의 뿔은 레로스의 페레퀴데스에 따르면, 모든 음식과 음료를 자유롭게 만들어내는 힘이 있다고 한다.[91]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제우스는 스스로 염소의 뿔을 꺾어,[95] 그것을 아말테이아에게 건네주고 그녀가 원하는 것이 무엇이든 손에 넣을 수 있도록 약속했다고 한다. 이것이 코르누코피아(풍요의 뿔)이다. 또한 디오니소스는 이 뿔에서 솟아나는 음식으로 자랐다. 고대 신화에 따르면 뿔의 소유자는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막대한 부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신성, 나일강 등 땅을 풍요롭게 하는 강의 상징이 되기도 한다.
3. 3. 아이기스와의 연관성
오비디우스의 『축제력』에 따르면, 이데 산에 사는 아말테이아라는 이름의 님페가 어린 제우스를 숲에 숨겨 양육했다. 아말테이아는 아름다운 암염소를 가지고 있었고, 이 염소의 젖으로 제우스는 자랐다. 이 염소는 뿔 한쪽이 부러져 있었지만, 아말테이아는 그 뿔을 주워 꽃과 과일로 채워 어린 제우스에게 먹였다고 한다. 후에 성장하여 신들의 왕이 된 제우스는 뿔과 염소를 함께 별들 사이에 두었다[89]。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여신 레아는 디크테 산의 동굴에서 제우스를 출산하고, 쿠레테스 중 한 명인 멜리세우스의 딸이자 님페인 아드라스테이아와 이데에게 양육을 명했다. 두 님페는 암염소 아말테이아의 젖으로 어린 제우스를 키웠고, 쿠레테스들은 무장하고 동굴을 지켰다[90]。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에 따르면, 제우스는 이데 산의 동굴에서 자랐다. 레아는 몰래 이데 산에서 제우스를 출산하고, 근처에 살던 쿠레테스들에게 양육을 부탁했고, 쿠레테스들은 다시 동굴의 님페들에게 양육을 맡겼다[92]。 님페들은 꿀과 우유를 섞은 것을 제우스에게 주었다. 또한 암염소 아말테이아의 젖을 빨게 하여 키웠다[93]。 후에 제우스는 자신을 키운 아말테이아에게 암염소(아이크스)에서 유래한 별명 아이기아코스를 주었다[94]。
에라토스테네스가 무사이오스의 전승으로 언급한 바에 따르면, 이 암염소는 헬리오스의 딸이었으나, 용모가 추악하여 티탄들에게 멀리되었고, 크레테 섬의 님페 아말테이아가 이 염소를 맡게 되었다. 그 염소의 젖으로 자란 제우스는 신탁에 따라 그 가죽으로 아이기스를 만들었다고 한다[96]。 게다가 이 염소는 후에 마차부자리의 카펠라가 되었다고 한다.
4. 후대 전승
로버트 파울러에 따르면, 염소가 제우스를 돌보는 이야기와 원래는 별개의 전승이었던 마법의 뿔 이야기는 페레퀴데스 시대에 "얽히게" 되었다고 한다.[55] 그러나 얀 N. 브레머는 두 이야기가 오비디우스 시대에 이르러서야 결합되었다고 말한다.[56]
오비디우스의 작품인 ''파스티''에 따르면,[57] 아말테이아는 나이아스이며 이다 산에 산다고 묘사된다.[58][59] 그녀는 어린 제우스를 크레타 섬에 숨겨 (아버지인 크로노스로부터 떨어뜨려), 암염소에게 젖을 먹인다.[60] 어느 날, 염소는 나무에 뿔 하나를 부러뜨리고, 아말테이아는 부러진 뿔에 과일을 채워 어린 제우스에게 가져다준다.[61] 이 이야기는 풍요의 뿔에 대한 기원담으로, 이 물건의 기원을 설명하려는 가장 초기의 시도로 보인다.[62] 제우스는 나중에 염소 (그리고 아마도 부러진 뿔)[63]을 하늘에 올려놓았고, 염소는 카펠라 별자리가 되었다.[64]
오비디우스의 이야기는 여러 이전 이야기의 요소들을 결합하여 우아하게 엮어냈다.[65] 이 이야기의 전체적인 윤곽에 대한 그의 출처는 에라토스테네스인 것으로 보인다. 그는 아말테이아를 님프로 묘사하고,[66] 제우스가 티탄족과 싸운 것에 대해 암시하는 듯하지만,[67] 염소를 "아름다운"(formosa|la) 존재로, 장엄한 뿔을 가진 존재로 묘사함으로써 에라토스테네스의 이야기에서 벗어난다.[68] 오비디우스는 이야기의 첫 구절에서 아라토스의 이야기를 연상시키며, 아라토스 이야기의 첫 구절을 그대로 반영하고,[69] 염소를 "올레니안"이라고 묘사하는 것으로도 아라토스의 이야기를 떠올리게 한다.[70] 바바라 보이드 역시 오비디우스의 이야기에서 제우스의 유년기에 대한 칼리마코스의 이야기로부터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고 본다.[71]
오비디우스의 ''파스티''가 제우스의 성장 과정에 대한 전승과 아말테이아의 마법의 뿔에 대한 전승을 명확하게 결합한 최초의 출처이지만, 존 밀러는 아라토스에 대한 (다소 뒤섞인) 주석을 통해 오비디우스 시대에 이미 두 이야기가 연결되었을 수 있다는 증거를 제시한다.[72] 주석가는 제우스의 유모가 아르카디아 여성이라는 버전과 염소라는 두 가지 다른 버전을 혼합하여, 이 유모의 뿔을 아말테이아의 뿔로 묘사하며, 이를 염소자리의 별자리와 연결시킨다. 여기서 아말테이아의 뿔은 마법의 풍요의 뿔로 보이지만, 둘은 명시적으로 동일시되지 않는다.[74] 밀러는 또한, 두 이야기가 연결된 전승의 추가적인 증거로서, 염소의 뿔에서 암브로시아와 넥타가 흘러나왔다는 칼리마쿠스에 대한 주석을 지적하는데, 이는 어린 제우스의 양육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기원후 2세기의 대리석 부조는 아말테이아가 어린 제우스에게 커다란 풍요의 뿔에서 먹이를 주는 모습을 보여주는 듯하다.[75]
로마 신화 작가 히기누스는 그의 저서 《이야기집(Fabulae)》에서[76] 제우스의 유년기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는데, 여기서는 제우스의 형제들이 삼켜지지 않았으며,[77] 레아는 크로노스에게 제우스 대신 돌을 주어 그가 삼키게 한다.[78] 속임수를 알아차린 크로노스는 아들을 찾아 온 세상을 뒤지지만, 헤라는 아이를 크레타 섬으로 데려가 아말테이아에게 맡긴다.[79] 이 이야기에서 아말테이아는 님프로 묘사된다.[80] 제우스를 아버지로부터 숨기기 위해, 아말테이아는 그를 나무에 매달린 요람 속에 숨겨 "하늘, 땅, 바다에서 그를 찾을 수 없도록" 하였다.[81] 크로노스가 어린아이의 울음소리를 듣지 못하게 하기 위해, 아말테이아는 쿠레테스(Kouretes)들을 불러 모아 방패와 창을 건네고, 아이가 있는 곳 주변에서 시끄럽게 두드리도록 지시했다.[82] 마르틴 닐손(Martin Nilsson)에 따르면, 이 이야기는 히기누스가 직접 창작한 것이 아니라, 어린 제우스와 나무 숭배 사이의 연관성에 근거한 것으로 보인다.[83] 이후, 히기누스는 알타이아la를 언급하는데,[84] 학자들은 이를 아말테이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하며,[85] 그녀를 아드라스테이아, 이다와 함께 오케아노스(Oceanus)의 딸(여기서는 오케아노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임) 중 하나로 묘사한다.[86] 그는 또한 이 세 명이 크레타의 왕 멜리세우스(Melisseus)의 딸이자 제우스의 유모로 간주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88]
5. 영향
참조
[1]
간행물
LIMC
https://archive.org/[...]
[2]
서적
Pearson
https://books.google[...]
[3]
서적
Gruppe
https://archive.org/[...]
[4]
서적
Pearson
https://books.google[...]
[5]
문서
Montanari
[6]
서적
Pearson
https://books.google[...]
[7]
서적
Pearson
https://books.google[...]
[8]
문서
Hutchinson
[9]
문서
Gantz
[10]
서적
Hard 2004
https://www.loebclas[...]
[11]
문서
Willetts
[12]
간행물
Astour
https://www.jstor.or[...]
[13]
서적
West 1966
https://books.google[...]
[14]
서적
Farnell 1896b
https://archive.org/[...]
[15]
서적
Sevasti
https://books.google[...]
[16]
문서
Fontenrose
[17]
서적
Miller
https://books.google[...]
[18]
서적
Fowler 2013
[19]
간행물
Brill's New Pauly
[20]
서적
Fowler 2013
https://books.google[...]
[21]
서적
Davies
https://books.google[...]
[22]
서적
Fowler 2013
http://data.perseus.[...]
[23]
간행물
RE
https://de.wikisourc[...]
[24]
문서
Gantz
http://data.perseus.[...]
[25]
서적
Hard 2004
[26]
서적
Kerenyi
https://archive.org/[...]
[27]
문서
Nilsson
[28]
서적
Musaeus of Athens
https://archive.org/[...]
[29]
서적
Gee
https://archive.org/[...]
[30]
서적
Gee
https://archive.org/[...]
[31]
문서
Gantz
[32]
서적
Frazer 2015b
https://books.google[...]
[33]
문서
Gantz
[34]
간행물
Brill's New Pauly
https://books.google[...]
[35]
간행물
Brill's New Pauly
[36]
서적
Fowler 2013
[37]
서적
Hard 2004
[37]
서적
Gantz
[38]
간행물
Boyd
https://www.jstor.or[...]
[38]
고전
Hymn to Zeus
https://www.loebclas[...]
[39]
서적
Stephens
https://books.google[...]
[39]
서적
McLennan
[40]
서적
Campbell
https://archive.org/[...]
[40]
서적
Miller
https://books.google[...]
[40]
서적
Hansen
https://archive.org/[...]
[40]
Scholia
Hymn to Zeus
https://books.google[...]
[41]
서적
West 1983
[41]
고전
Bibliotheca
http://data.perseus.[...]
[42]
서적
Larson
[42]
고전
Diodorus Siculus
https://penelope.uch[...]
[43]
서적
Farnell 1896a
https://archive.org/[...]
[43]
고전
Diodorus Siculus
https://penelope.uch[...]
[43]
주석
Oldfather's note
https://penelope.uch[...]
[44]
서적
Gantz
[44]
Scholia
Iliad
https://archive.org/[...]
[44]
간행물
Oxyrhynchus Papyri
[44]
서적
Parsons
[44]
서적
Parsons
[45]
서적
Hard 2015
[46]
서적
Kidd
https://archive.org/[...]
[46]
고전
Phaenomena
https://www.loebclas[...]
[46]
주석
Mair's note
https://www.loebclas[...]
[46]
주석
Mair's note
https://www.loebclas[...]
[47]
서적
Kidd
https://archive.org/[...]
[47]
서적
Chrysanthou
[47]
주석
Mair's note
https://www.loebclas[...]
[47]
고전
Phaenomena
https://www.loebclas[...]
[48]
서적
Hard 2015
[48]
고전
Phaenomena
https://www.loebclas[...]
[49]
서적
McLennan
[50]
서적
Kidd
https://archive.org/[...]
[51]
서적
Hard 2015
[51]
고전
Phaenomena
https://www.loebclas[...]
[51]
주석
Mair's note
https://www.loebclas[...]
[51]
고전
Strabo
https://www.loebclas[...]
[52]
서적
Fowler 2013
[52]
간행물
Boyd
https://www.jstor.or[...]
[53]
서적
LIMC
https://archive.org/[...]
[53]
Scholia
Scholia on Aratus
https://archive.org/[...]
[53]
서적
Bomer
https://archive.org/[...]
[53]
서적
Frazer 2015b
https://books.google[...]
[53]
간행물
Boyd
https://www.jstor.or[...]
[53]
고전
De astronomia
https://topostext.or[...]
[53]
서적
Fowler 2013
[54]
서적
Gee
https://archive.org/[...]
[54]
서적
Hard 2015
[54]
서적
Santoni
[54]
고전
Catasterismi
[54]
고전
De astronomia
https://topostext.or[...]
[54]
서적
Olivieri
https://archive.org/[...]
[55]
서적
Fowler 2013
[56]
서적
Brill's New Pauly
[56]
서적
Miller
https://books.google[...]
[57]
고전
Fasti
https://www.loebclas[...]
[58]
서적
Gantz
[58]
서적
Campbell
https://archive.org/[...]
[59]
서적
Gee
https://archive.org/[...]
[59]
서적
Hard 2015
[60]
서적
Boyle and Woodard
https://archive.org/[...]
[61]
서적
Gantz
[61]
서적
Hard 2004
[61]
고전
Metamorphoses
https://www.loebclas[...]
[62]
서적
Gantz
[63]
서적
Gee
https://archive.org/[...]
[64]
서적
Gee
https://archive.org/[...]
[64]
서적
Boyle and Woodard
https://archive.org/[...]
[64]
서적
Boyle and Woodard
https://archive.org/[...]
[65]
서적
Miller
https://books.google[...]
[65]
서적
Miller
https://books.google[...]
[66]
서적
Miller
https://books.google[...]
[66]
서적
Miller
https://books.google[...]
[66]
서적
Frazer 2015b
https://books.google[...]
[67]
서적
Gee
https://archive.org/[...]
[68]
서적
Miller
https://books.google[...]
[69]
고전
Fasti
https://www.loebclas[...]
[69]
고전
시작 문구
[70]
서적
Miller
https://books.google[...]
[71]
논문
p. 72
https://www.jstor.or[...]
[72]
서적
p. 223
https://books.google[...]
[73]
서적
p. 134 n. 27
https://archive.org/[...]
[74]
서적
p. 134
https://archive.org/[...]
[75]
서적
p. 223
https://books.google[...]
[76]
문서
Fabulae
[77]
문서
p. 41
[78]
문서
p. 41
[79]
문서
pp. 93–4
[80]
문서
p. 582
https://archive.org/[...]
[81]
문서
p. 75
[82]
문서
p. 94
[83]
문서
p. 480 n. 6
[84]
문서
Fabulae
[85]
문서
p. 191 on line 182
[86]
문서
p. 323
[87]
문서
pp. 158, 191 to line 182
[88]
문서
p. 323 n. 212
[89]
문서
オウィディウス『祭暦』5巻111行-128行
[90]
문서
アポロドーロス、1巻1・7
[91]
문서
アポロドーロス、2巻7・5
[92]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ーロス、5巻70・2
[93]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ーロス、5巻70・3
[94]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ーロス、5巻70・6
[95]
문서
高津春繁『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p.27b
[96]
웹사이트
伝エラトステネス『星座論』(5) しし座・ぎょしゃ座
https://palladi.blog[...]
2022-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