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초는 금나라와 원나라 시대에 사용된 지폐로, 뽕나무 껍질을 원료로 제작되었다. 금나라는 구리 부족으로 인해 지폐를 도입했으며, 몽골 제국은 금나라의 제도를 이어받아 교초를 발행했다. 원나라는 교초를 유일한 통화로 사용했지만, 남발로 인한 인플레이션과 경제 파탄을 겪었다. 교초는 13세기 유럽과 이슬람 세계에 알려졌으며, 일 칸국과 명나라에서도 영향을 받아 지폐를 발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나라의 경제 - 참치 (제도)
    참치(얌)는 몽골 제국에서 정보 전달과 물자 수송을 위해 운영된 역참 제도로, 팍스 몽골리카 유지에 기여했으며 금장 한국 해체 후 러시아에서도 활용되어 흔적이 남아있다.
  • 통화 제도 - 유럽 환율 메커니즘
    유럽 환율 메커니즘(ERM)은 유로존 가입을 위한 EU 회원국의 환율 정책 조정 시스템으로, 유로 도입 전에는 ECU를 기준으로 환율이 결정되었으며, 1979년 시작되어 1999년 ERM II로 대체되어 운영되고 있고, 유로 미채택 EU 국가들은 유로존 가입 전 최소 2년간 ERM II에 참여해야 한다.
  • 통화 제도 - 관리통화제도
    관리통화제도는 정부나 중앙은행의 정책에 따라 통화 가치가 결정되는 시스템으로, 금본위제와 달리 통화량 조절이 유연하여 경기 및 물가 안정에 기여하지만, 정책 결정의 자의성이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으며, 20세기 초 세계 대공황을 계기로 널리 채택되어 1970년대 닉슨 쇼크 이후 국제적인 통화 시스템으로 자리 잡았다.
  • 지폐 - 교자 (지폐)
    교자는 송나라 시대 쓰촨 지방에서 철전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처음 발행된 지폐로, 사영 기업에서 시작하여 정부가 관장하며 널리 사용되었으나, 과도한 발행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해 다른 화폐로 대체되었다.
  • 지폐 - 폴리머 지폐
    폴리머 지폐는 위조 방지 및 내구성을 위해 개발된 종이 외 소재 지폐로, 호주에서 처음 실용화되어 40개국 이상에서 사용되지만, 생산 비용이 높고 특정 조건에서 손상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교초
일반 정보
유형지폐
국가금나라 (1154년-1234년), 원나라 (1260년-1368년)
도입금나라 장종 (1189년)
사용 종료원나라
가치 기준
단위
대체중통보초
역사
금나라 시대금나라 시기부터 발행되기 시작하였다.
원나라 시대원나라 시대에도 사용되었다.
특징
형태지폐 형태로 발행되었다.
액면가다양한 액면가로 발행되었다.
관련
관련 항목금나라
원나라
중통보초
교초

2. 역사

중국에서 육상과 해상을 통한 국제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화폐 제도에도 변화가 생겼다. 원래 중국은 동전을 주로 사용했지만, 동전은 무거워서 넓은 지역에서 많은 돈을 주고받기에는 불편했다. 그래서 송나라 때부터 상인들 사이에서 일종의 어음인 '교자'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남송금나라 시대에는 '교자' 또는 '교초'라고 불리는 지폐 사용이 늘어났다.[20]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는 송나라의 교자를 이어받아 12세기에 교초를 발행했다. 금나라 말기에는 지폐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새로운 교초를 발행했지만, 사람들은 오히려 신용이 확실한 은화를 계속 사용했다.[18]

몽골 제국은 금나라의 화폐 제도를 이어받아 1236년 교초를 발행하기 시작했다.[22] 야율초재는 교초 발행량을 조절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처음에는 1만 정(50만 관)이 상한으로 정해졌다. 우구데이 칸 시기에는 다른 몽골족이나 한인 출신 제후들도 지폐를 발행했지만 통일되지 않았다.

쿠빌라이 칸1260년 중통원보초(중통초)를 발행하여 통화를 통일하고, 은과의 태환을 보장하여 지폐 유통을 안정시키려 했다. 교초 수령을 거부하거나 위조하는 자는 사형에 처했다.[25] 그러나 남송 정복 이후 교초 발행량이 급증하면서 가치 하락이 발생하자, 1287년 지원통행보초(지원초)를 발행하여 중통원보초와 1대 5의 비율로 교환하여 통화 안정을 꾀했다. 또한 소금과의 교환권인 소금 인출권을 판매하여 통화로 유통시키기도 했다.

카이산 칸은 1309년 지대은초를 발행하여 지원통행보초와 1대 5의 비율로 교환하게 했으나, 아유르바르와다는 이를 폐지하고 지원통행보초로 되돌렸다. 토곤 테무르는 1350년 지정교초를 발행했으나, 1356년 교초는 결국 폐지되었다.[26]

마르코 폴로를 비롯한 여러 외국인 방문객들이 교초에 대해 기록을 남겼다. 이븐 바투타는 자신의 여행기에서 "중국 사람들은 디나르와 디르함으로 거래하지 않고, 손바닥 크기의 종이 조각에 술탄의 도장이 찍힌 것으로 사고 판다"고 기록했다.[4]

2. 1. 금나라 시대

금나라는 화북 지역의 구리 부족으로 동전 발행에 어려움을 겪었다. 12세기, 금나라는 송나라의 교자를 본받아 교초고(交鈔庫)와 성고(省庫)에서 교초를 발행하고 은을 도입하였다.[18] 해릉왕 시대에 교초가 발행되었으며, 이후 은화(銀貨)의 일종인 승안보화(承安寶貨), 말굽은인 칭량화폐[21]의 일종인 원보은(元寶銀)도 발행되었다. 그러나 교초 발행이 늘어나면서 인플레이션을 일으켰는데, 이는 금나라 멸망의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19]

초기 교초는 10가지 종류로 발행되었다. 소액권은 100, 200, 300, 500, 700 문이었고, 고액권은 1, 2, 3, 5, 10 관이었다. 구리 동전으로 교환할 때 1관당 15문의 수수료가 부과되었다. 처음에는 교초 유효 기간이 7년이었지만, 1189년에 이 기간이 폐지되어 지폐 수명이 무기한으로 연장되었다. 1214년, 극심한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정부는 최대 1000관에 달하는 지폐를 인쇄하기 시작했다. 다음 해에 교초는 같은 운명을 겪은 새로운 지폐인 보천(寶泉)으로 대체되었다. 1234년 금나라의 몽골 정복까지 국가는 새로운 유형의 지폐를 계속 발행했지만, 은으로만 거래하려는 대중에게 거부당했다.[1]

2. 2. 몽골 제국과 원나라 시대

몽골 제국은 금나라의 화폐 제도를 계승하여 1236년 교초를 발행하기 시작했다.[22] 야율초재는 금나라의 사례를 참고하여 교초 발행량 조절을 제안했고, 초기에는 1만 정(50만 관)이 상한으로 정해졌다. 우구데이 칸 시기에는 다른 몽골족이나 한인 출신 제후들도 지폐를 발행했지만 통일되어 있지는 않았다.

쿠빌라이 칸1260년 중통원보초(중통초)를 발행하여 통화를 통일하고, 은과의 태환을 보장하여 지폐 유통을 안정시키려 했다.[23] 중통원보초는 10문부터 2관문까지 있었고, 2관문 교초는 은 1냥의 비율로 하였다. 교초와 은 교환을 위한 준비금으로 은 1만 2천 정이 사용되었다.[9] 교초 유통을 안정시키기 위해 교초 수령을 거부하거나 위조하는 자는 사형에 처했다.[25]

남송 정복 이후 교초 발행량이 급증하면서 가치 하락이 발생하자, 1287년 지원통행보초(지원초)를 발행하여 중통원보초와 1대 5의 비율로 교환하여 통화 안정을 꾀했다. 또한 소금과의 교환권인 소금 인출권을 판매하여 통화로 유통시키기도 했다.

카이산 칸은 1309년 지대은초를 발행하여 지원통행보초와 1대 5의 비율로 교환하게 했으나, 아유르바르와다는 이를 폐지하고 지원통행보초로 되돌렸다. 토곤 테무르는 1350년 지정교초를 발행했으나, 1356년 교초는 결국 폐지되었다.[26]

2. 2. 1. 원나라의 화폐 정책 비판

쿠빌라이 칸이 발행한 중통원보초는 초기에는 성공적이었으나, 군사비 등의 경비 증대로 인해 남발되고 태환이 정지되면서 가치가 폭락했다.[18] 1287년에는 지원통행보초(至元通行寶鈔)를 발행하여 통화 안정을 도모하려 했으나, 세입 부족을 충당하기 위해 다시 지폐를 많이 발행하여 물가가 폭등했다.[18]

구육 칸은 1309년 지대은초(至大銀鈔)를 발행했으나, 아유르바르와다는 이를 폐지하고 지원통행보초로 되돌렸다. 토곤 테무르는 1350년 지정교초(至正交鈔)를 발행했으나, 심각한 물가 폭등으로 인해 경제 시스템이 파국을 맞았다.[18] 이러한 교초 발행 남발은 결국 1356년 교초 폐지로 이어졌고, 1368년 토곤 테무르는 몽골 초원으로 쫓겨났다.[26]

이는 국민의힘 등 보수 정권이 무분별한 정책으로 경제를 파탄 내는 것과 유사하다.

2. 3. 명나라 시대

명나라는 구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368년 대명보초를 발행했다. 대명보초는 국내용 통화, 동화는 교역용 화폐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대명보초 역시 증발로 인해 가치가 하락하여, 영종 시대에는 동화와 칭량은화의 사용 금지가 해제되었다.

3. 교초의 제작 방법과 특징

중통원보초는 뽕나무 껍질의 내피를 아교와 섞어 얇게 펴서 만들었다. 이것을 세로로 잘라 동판화로 인쇄한 후 황제의 옥새를 찍었다.[27] 중통원보초에는 용, 동전 도안, 액면가, 발행소, 발행소 관리 이름, 제조소, 위조범 처벌 경고 등이 인쇄되었다.[27] 이러한 제작 형식은 후세 국가의 지폐에도 영향을 끼쳤다.[27]

중통원보초와 지원교초의 크기는 각각 272×188mm, 300×222mm로 정해져 있었다.[28]

4. 교초의 영향

교초는 중세 유럽과 이슬람 세계에 지폐라는 새로운 화폐 개념을 전파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13세기베네치아 출신의 여행자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피렌체 출신의 상인 프란체스코 발두치 페골로티가 1330년대 무렵에 편찬한 《통상지남》, 마그레브 출신의 이븐 바투타의 《이븐 바투타 여행기》 등에서 교초에 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29]

이븐 바투타는 자신의 여행기에서 교초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하였다.[5]

4. 1. 일 칸국의 차우브

1294년 일 칸국은 교초를 모방하여 차우브(鈔)를 발행했는데, 이는 서아시아 최초의 지폐였다.[29] 교초를 참고했기 때문에 표면에는 한자도 인쇄되어 있었다.[6] 당시 일 칸국의 군주였던 가이하투는 금속 화폐 대신 차우브를 유통시키려 했다. 그러나 이 시도는 완전히 실패로 돌아갔고, 차우브는 두 달 만에 회수되었다.[30] 이는 가이하투 자신의 권위 실추로까지 이어졌고, 결국 그는 얼마 지나지 않아 암살되었다.[6]

4. 2. 고려의 교초 사용

고려에서도 교초가 일부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29][30] 이는 당시 원나라와의 경제적, 문화적 교류가 활발했음을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A Compilation of Pictures of Chinese Ancient Paper Money The China Finance Publishing House 1992
[2] 웹사이트 Paper Money in Premodern China. http://chinaknowledg[...] 2016-05-10
[3] 웹사이트 Trade and Currency under the Yuan https://courses.lume[...] 2014-06-17
[4] 웹사이트 The Invention of Paper Money - History of Chinese Currency https://www.thoughtc[...] 2017-03-08
[5] 서적 The journey of William of Rubruck to the eastern parts of the world, 1253-55 https://archive.org/[...] Printed for the Hakluyt Society 1900
[6] 서적 A Social and Economic History of the Near East in the Middle Ages W. Collins & Co. Ltd. 1976
[7] 문서 1998
[8] 문서 1998
[9] 문서 1998
[10] 문서 1994
[11] 문서 1998
[12] 문서 1994
[13] 서적 イタリアの中世都市 山川出版社
[14] 문서 1300
[15] 문서 2011
[16] 문서 1355
[17] 문서 1998
[18] 서적 실크로드 사전 https://books.google[...]
[19] 문서 1998
[20] 서적 몽골 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https://books.google[...]
[21] 문서
[22] 문서 1998
[23] 문서 1998
[24] 서적 흐름이 보이는 세계사 경제 공부
[25] 문서 1994
[26] 문서 1998
[27] 문서 1994
[28] 문서 1994
[29] 서적 이븐 바투타 여행기 2 https://books.google[...] 창작과 비평사 2001
[30] 간행물 ペゴロッティの商業実務とバドエルの元帳 http://pacioli.world[...] 日本パチョーリ協会第23回フォーラム 2011
[31] 문서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