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불 가지 바하두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불 가지 바하두르는 1603년 히바 칸국의 통치자 아랍 무함마드 칸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형제들과의 내전, 망명 생활을 거쳐 1645년 히바 칸국의 칸이 되었다. 투르크멘족 학살, 우즈베크 군사 귀족 등용을 통해 국내를 안정시켰으며, 주변 유목 세력과의 전쟁을 통해 세력을 확장했다. 1663년 아들에게 칸위를 물려주고 사망했다. 그는 역사 저술에도 힘썼으며, 차가타이 투르크어로 쓰인 《투르크멘의 계보》와 《투르크의 계보》는 중앙아시아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역사가 - 존 윈스럽
존 윈스럽은 잉글랜드 청교도 지도자이자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초대 총독으로서, "산 위의 도시" 건설을 주창하며 식민지 건설과 통치에 기여했고, 법률 제정, 정치적 갈등 해결, 원주민 관계, 노예제도 등 다양한 문제에 관여했으며, 그의 유산은 미국 예외주의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동시에 권위주의적 경향과 원주민 착취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17세기 역사가 - 황종희
황종희는 명말청초의 학자이자 사상가로, 동림당의 영향을 받아 정치에 참여하고 반청 운동을 전개했으며, 양명학을 계승하고 실증적인 학풍을 확립하여 절동학파를 형성하고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603년 출생 - 도쿠가와 요리후사
도쿠가와 요리후사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11번째 아들이자 미토 번의 초대 번주로서, 미토 도쿠가와 가문을 창설하고 고산케의 기슈 도쿠가와 가문과 관계를 맺었으며, 쇼군 이에미쓰의 신임을 받아 부장군이라 불렸으나 미토 번에 대한 실질적인 통치는 제한적이었다. - 1603년 출생 - 정명공주
정명공주는 조선 선조와 인목왕후의 딸로, 영창대군과 함께 사랑받았으나 광해군과의 대립으로 유폐되었고, 인조반정 이후 공주로 복권되어 홍주원과 혼인하여 7남 1녀를 낳았으며, 서예에 능하고 종친의 어른으로 존경받았으며, 조선 시대 공주 중 가장 장수한 인물이다. - 1663년 사망 - 효강장황후
효강장황후는 청나라 순치제의 후궁이자 강희제의 어머니이며, 강희제를 낳은 후 황태후가 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효릉에 부장되었다. - 1663년 사망 - 프란체스코 마리아 그리말디
프란체스코 마리아 그리말디는 이탈리아의 예수회 사제이자 과학자로, 자유 낙하 연구, 월면도 제작, 빛의 회절 현상 발견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빛의 회절 현상을 최초로 정확하게 관찰하고 '회절'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아불 가지 바하두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부 알-가지 바하두르 |
칸위 | 히바의 칸 |
재위 기간 | 1643년–1663년 |
![]() | |
출생일 | 1603년 8월 24일 |
출생지 | 오래된 우르겐치, 히바 칸국 |
사망일 | 1663년 |
사망지 | 히바 |
종교 | 수니 이슬람 |
통치 | |
전임자 | 이스판디야르 칸 |
후임자 | 아누샤 칸 |
자녀 | 아누샤 칸 |
가문 | |
왕조 | 샤이반-아랍샤히드 가문 |
아버지 | 아랍 무함마드 칸 |
2. 생애
아불 가지 바하두르는 아랍 무함마드 칸의 아들로, 어린 시절은 우르겐치의 궁성에서 보냈다. 1619년 아버지 아랍 무함마드 칸을 대신하여 카트를 다스렸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형제들의 반란으로 아버지가 살해당하고, 아불 가지는 이맘 쿨리 칸과 함께 사마르칸드로 망명했다.[22]
이후 투르크멘 부족들의 도움으로 형제들을 몰아냈으나, 1623년 형 이스판디야르 칸의 대리인으로 우르겐치를 다스리다 3년 뒤 갈등을 빚고 카자흐 칸국의 타쉬켄트로 망명했다.[22] 1629년에는 사파비 왕조로 망명하여 10여 년간 페르시아어와 아랍어 사료를 접했다.[21] 당시 이스판디야르 칸은 투르크멘 부족, 아불 가지는 아무다리야강 삼각주 인근 우즈베크 부족의 지지를 받았다.[23]
1643년 이스판디야르가 죽자 아불 가지는 히바 칸국의 칸이 되었다. 그는 튀르크멘, 칼묵족, 부하라 칸국 등 이웃 국가들과 끊임없이 전쟁을 벌여 세력을 확장했다. 1663년 아들 아누샤 칸에게 양위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21]
2. 1. 초기 생애와 망명
아불 가지 바하두르는 1603년 히바 칸국의 통치자 아랍 무함마드 칸의 아들로 우르겐치에서 태어났다.[3] 어린 시절은 우르겐치의 궁성에서 보냈으며[12], 16년 동안 우르겐치에서 살았다.[3] 1619년 아버지 아랍 무함마드 칸을 대신하여 카트를 다스렸다.[3]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그의 형제 하바쉬-술탄과 일바르스-술탄이 주도하는 내전이 발발했다.[3] 아불 가지는 사마르칸드로 도망쳐 부하라 칸국의 이맘 쿨리 칸의 궁정에 피신하여 2년 동안 그곳에서 살았다.[3]1623년 형제 이스판디야르 칸이 칸이 되면서, 아불 가지는 그의 출생지인 우르겐치의 총독직을 제안받았다.[3] 우르겐치 총독으로 3년간 통치한 후, 1626년 형이 하자라스프를 방문했을 때 반란을 일으켰지만 패배하여 카자흐 칸국의 통치자 에심 칸에게 도망쳤다.[4] 3개월 후, 아불 가지는 타슈켄트에서 에심 칸의 경쟁자인 투르순 무함마드 칸에게 투항했다.[4] 타슈켄트에서 2년 동안 산 후, 아불 가지는 이맘 쿨리에게 갔고, 거기에서 1629년에 히바를 점령하려 했다.[4] 그러나 이스판디야르가 그를 사로잡았고, 아불 가지는 아비와르로 추방되었으며, 그곳의 사파비 왕조 총독은 그를 사피 1세의 이스파한 궁정으로 보냈다.[4]
아불 가지는 1629년부터 1639년까지 페르시아어와 아랍 역사를 공부하며 망명 생활을 했다.[5] 그는 이 시기에 페르시아어 사료와 아랍어 사료를 접하게 되었다.[21] 결국 사파비 궁정을 탈출하여 발칸 지역으로 가서 한동안 테케족 사이에서 살았다.[5] 1641년, 아불 가지는 칼미크 칸국으로 가서 호 오를루크의 도움을 구하려 했다.
1642년 이스판디야르가 죽자, 히바 칸국은 잠시 동안 부하라 한국의 나드르 무함마드 칸이 보낸 총독의 지배를 받았다.[23] 이때에 아불 가지가 이란에서 돌아와 1645년에 히바 칸국을 부하라 한국의 지배에서 해방시켰다.[23]
2. 2. 히바 칸 즉위와 통치
1643년 형 이스판디야르가 사망하자 아불 가지는 히바 칸국의 칸으로 즉위했다.[15] 그러나 즉위 초, 히바 칸국은 부하라 칸국에 정복된 상태였기 때문에 그의 지위는 우르겐치 주변에서만 안전했다.[5] 1645년 부하라의 나디르 무하마드 칸이 사망하고 나서야 아불 가지는 자신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었다.[5]아불 가지는 칸으로써 이웃 국가들과 끊임없는 전쟁을 벌였다. 투르크멘 부족에 대해서는 5차례 원정을 벌여 복종을 얻어냈고,[22] 1646년 하자라스프에서 2000명의 투르크멘 장로들을 즉결 처형하기도 했다.[5] 1653년까지 카라쿰과 망기슐라크 부족의 대부분을 제압했다.[5] 칼묵족에 대해서는 3차례,[22] 1649년, 1653년, 1656년에 걸쳐[5] 부하라 칸국에 대해서는 2차례 원정을 치렀다.[22] 통치 말년에는 부하라를 상대로 대규모 원정을 시작했고, 이 원정은 그의 후계자 시대까지 이어졌다.[5]
아불 가지는 국내적으로 우즈베크 출신 군사 귀족 (아미르)을 등용하여 안정을 꾀했다.[17] 또한 러시아 제국 등 인접 국가와 통교하며, 러시아 상인들이 그의 영토를 지나는 것을 허가해 주는 대신 세금을 거두는 등 실리 외교를 펼쳤다.[22]
1645년 히바 남쪽에 현재의 우르겐치를 건설했다.[17]
1663년 아들 아누샤 칸에게 칸위를 물려주고 같은 해 히바에서 사망했다.[15] 그의 묘비는 히바의 이찬 칼라 내 파흐라반 마흐무드 묘에 있다.[18]
3. 저작
아불 가지는 차가타이 투르크어로 두 편의 역사서를 저술했다. 이 저작들은 모두 아랍어 및 페르시아어 사료를 참고하되, 자신의 지식을 더하여 쓰여졌다.[21]
- 투르크멘의 계보 (''Shajara-i Tarākima'', 1659)
- 투르크의 계보 (''Shajara-i Turk'', 1665)
이 두 책은 우즈베크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여겨지며,[19] 18세기부터 유럽에서도 참조되었다.[12] 아불 가지는 이스파한에서 10년간 생활하며 수준 높은 교양을 쌓았고,[12][16] 아랍어와 페르시아어를 이해했으며,[15] 차가타이어로 쓴 자신의 저서를 페르시아어로 번역하려고 시도했다.[16] 《투르크의 계보》와 《투르크멘의 계보》는 중앙아시아 역사에 대한 현대적 지식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6]
3. 1. 《투르크멘의 계보》 (''Šaǰara-ye terākema'')
1659년 또는 1660년에 쓰여진 《투르크멘의 계보》는 튀르크멘 부족들의 계보에 대한 책이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라시드 앗딘의 저작과 오구즈 나마를 참고하였으나, 그 이외에 추가된 정보들도 포함하고 있다.[21] 아불 가지 바하두르는 1659년에 『오구즈나메』, 『집사』등의 사서를 바탕으로[13][19] 차카타이어로 역사서 『투르크멘의 계보』를 저술했다.[13] 이 책은 사서와 자신의 기억을 바탕으로 쓰여졌다.[13]3. 2. 《투르크의 계보》 (''Šaǰarat al-atrāk'')
《투르크의 계보》(''Šaǰarat al-atrāk'')는 1644년부터 쓰기 시작했으나, 아불 가지가 완성하지 못하고 아들 아누샤가 1665년에 완성했다.[15] 튀르크 민족의 계보를 다루며, 특히 1450년 이후 샤이반 왕조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필수적인 사료로 평가받는다.[21] 이 책은 몽골과 튀르크의 역사관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아불 가지는 라시드 앗딘 하마디니, 샤라프 앗딘 알리 야즈디 등 총 18개의 역사적 자료를 사용했으며,[7] 유년기에 배운 튀르크 구전 전통에 따라 이를 수정했다.[7] 니키타 비추린은 아불 가지가 기록한 튀르크 민족의 서사적 조상 오구즈 칸의 전기와 튀르크-페르시아 필사본이 중국 자료에 나오는 모둔의 전기와 놀라운 유사성을 보인다는 것을 처음으로 알아챘다.[9]
《투르크의 계보》는 문학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아불 가지는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차가타이 문어 대신, 쉽고 단순한 키바 우즈베크인의 민속어를 사용했다.[10] 아불 가지의 스타일은 명확성과 풍부한 어휘로 구별되며, 우즈베크 민속 표현과 속담이 섞여 있다.[10]
《투르크의 계보》 필사본은 시베리아에서 러시아 포로로 잡힌 스웨덴 장교들이 구입하여 유럽으로 전해졌다. 1726년 프랑스어 번역본이 처음 출판되었고, 이후 러시아어, 독일어, 영어 등으로 번역되어 18세기 유럽에서 널리 읽혔다.[8] 19세기와 20세기에는 여러 비평적 번역본이 출판되어 현대 학자들에게 역사적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8]
4. 문화 사업
아불 가지는 기본적으로 아랍어 사료와 페르시아어 사료를 참고하되, 자신이 아는 지식을 더했다. 그의 저작들은 모두 차가타이 투르크어로 쓰여졌다.[21]
- '''Šaǰara-ye terākema''': 1659년 또는 1660년에 쓰여졌다. 튀르크멘 부족들의 계보에 대한 책으로, 라시드 앗딘의 저작과 오구즈 나마를 참고하였으나, 그 이외에 추가된 정보들도 있다.[21]
- '''Šaǰarat al-atrāk''': 튀르크의 계보에 대한 책으로, 1644년부터 쓰기 시작했다. 그러나 작업을 완료하지 못하여, 그의 아들 아불 무자파르 아누샤 무함마드 바하두르가 1665년까지 작업을 계속하였다. 내용 대부분은 기억에 의존해 쓰여졌으나, 1450년 이후 샤이반의 후손들의 역사를 알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사료이다. 그 이전의 기록은 신뢰하기 힘들다.[21] 이 책은 아불 가지의 대표작이었다.
''샤자라-이 투르크''의 필사본은 시베리아에서 러시아 포로로 잡힌 스웨덴 장교들이 부하라 상인으로부터 토볼스크에서 구입했다. 스웨덴 장교들은 현지 문맹 타타르족을 사용하여 이 책을 먼저 러시아어로 번역한 다음, 다시 여러 다른 언어로 재번역했다. ''샤자라-이 투르크''의 프랑스어 번역본은 1726년 레이던에서 처음 출판되었다. 이 프랑스어 번역본은 1768-1774년에 출판된 러시아어 번역본의 원본 역할을 했다. 1780년에는 독일어와 영어로 별도로 출판되었으며, 18세기 동안 유럽에서 널리 읽혔다.
''샤자라-이 투르크''의 수많은 비평적 번역본이 19세기와 20세기에 출판되었으며, 이는 현대 학자들에게 역사적 자료로 활용된다. 전문 학자들이 수행한 최초의 비평적 번역본은 1825년 카잔에서 출판되었다. 카잔에서 출판된 텍스트의 튀르크어 번역은 언어학자 아흐메드 베피크 파샤가 수행했으며, 1864년에 처음 출판되었다. 가장 영향력 있는 서방 출판물은 ''Histoire des Mogols et des Tatares par Aboul-Ghazi Behadour Khan, publiée, traduite et annotée par le baron Desmaisons'', St.-Pétersbourg, 1871-1874였다.[8]
니키타 비추린은 아불 가지가 기록한 튀르크 민족의 서사적 조상 오구즈-칸의 전기와 튀르크-페르시아 필사본(라시드 앗딘, 호안데미르, 아불가지)이 중국 자료에 나오는 모둔의 전기와 놀라운 유사성을 보인다는 것을 처음으로 알아챘다.[9]
''샤자라-이 투르크''의 문학적 중요성은 아불 가지가 차가타이 문학 언어가 강한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그 사용에 공개적으로 반대했다는 점이다. 아불 가지의 언어는 쉽고 단순한 키바 우즈베크인의 민속 언어이며 차가타이 문학 언어와는 상당히 다르다. 아불 가지의 스타일은 그의 저작의 과학적인 성격에도 불구하고, 명확성과 풍부한 어휘로 구별되며, 우즈베크 민속 표현과 속담이 섞여 있다.[10]
아불 가지의 아들 아불-무자파르 아누샤 무함마드 바하두르는 아버지의 저서 ''샤자라-이 투르크''를 완성하는 임무를 특정 마흐무드 빈 물라 무함마드 자만 우르겐치에게 재할당했다. 이 작업은 1665년에 마무리되었다.
5. 평가
아불 가지는 중앙아시아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남긴 역사학자이자, 혼란스러운 시기에 히바 칸국을 안정시킨 유능한 통치자로 평가받는다. 그의 저서는 중앙아시아사 연구에 필수적인 사료로 여겨지며, 18세기부터 유럽에서도 널리 참조되었다.[12][19]
아불 가지는 아랍어와 페르시아어 사료를 참고하고 자신이 아는 지식을 더하여 차가타이 투르크어로 저작을 남겼다.[21] 대표적인 저서로는 1659년 또는 1660년에 쓰여진 ''Šaǰara-ye terākema''(튀르크멘 부족들의 계보)와 1644년부터 쓰기 시작하여 아들 아불 무자파르 아누샤 무함마드 바하두르가 1655년에 완성한 ''Šaǰarat al-atrāk ''(튀르크의 계보)가 있다.[21] ''샤자라-이 투르크''(Shajara-i Turk)는 "튀르크인의 계보"와 "타타르인의 계보"로 다양하게 번역되었으나, "타타르"라는 단어는 튀르크인을 잘못 지칭하는 것이므로 현재는 "튀르크인의 계보"로 번역된다.[7]
''샤자라-이 투르크''는 18세기 유럽에서 널리 읽혔으며,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현대 학자들에게 역사적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8] 특히 니키타 비추린은 아불 가지의 기록과 중국 자료의 유사성을 발견하여 모둔과 오구즈 칸의 연관성을 제시하기도 했다.[9]
아불 가지는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받은 차가타이 문학 언어 대신, 쉽고 단순한 키바 우즈베크인의 민속 언어를 사용했다. 그의 문체는 명확하고 어휘가 풍부하며, 우즈베크 민속 표현과 속담이 섞여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10]
6. 가족 관계
7. 기타
참조
[1]
서적
Four Studies on the History of Central Asia
E. J. Brill
[2]
서적
Rashid Al-Din: Agent and Mediator of Cultural Exchanges in Ilkhanid Iran
https://www.academia[...]
Warburg Institute Colloquia (University of London Press)
[3]
서적
Хорезм в истории государственности Узбекистана. Ташкент, 2013. Отв. ред. Э.В. Ртвеладзе, Д.А. Алимова [co-authored]
https://www.academia[...]
[4]
웹사이트
EBÜLGAZİ BAHADIR HAN
https://islamansiklo[...]
2023-11-13
[5]
서적
Şecere-i Terākime (Türkmenlerin soykütüğü)
Simurg
[6]
서적
Inner Asia: History, Civilization, Languages; A Syllabus
Indiana University
[7]
서적
"Genealogical History of Tatars"//Translation from French
Russian Imperial Academy of Sciences
[8]
웹사이트
"Abu al-Ghazi. Genealogy of the Turkmen. Editorial Introduction"
http://www.vostlit.i[...]
2011-01-23
[9]
서적
Materials on the history of the Sünnu, transl.
Science
[10]
웹사이트
Abu al-Ghazi
http://feb-web.ru/fe[...]
2011-01-23
[11]
문서
セミョノフ「チムール以降のウズベキスタン史」『アイハヌム 2009』、163頁
[12]
문서
久保「アブル・ガーズィー」『岩波イスラーム辞典』、62頁
[13]
문서
本田「アブル・ガージー・バハドゥル・ハン」『アジア歴史事典』1巻、73頁
[14]
문서
江上『中央アジア史』、511頁
[15]
문서
堀川「アブル・ガーズィー」『中央ユーラシアを知る事典』、20頁
[16]
문서
バルトリド『トルキスタン文化史』1巻、247頁
[17]
문서
堀川「民族社会の形成」『中央アジア史』、169-170頁
[18]
서적
『シルクロード事典』
芙蓉書房
[19]
문서
江上『中央アジア史』、512頁
[20]
문서
セミョノフ「チムール以降のウズベキスタン史」『アイハヌム 2009』、164-165頁
[21]
웹사이트
ABU’L-ḠĀZĪ BAHĀDOR KHAN
http://www.iranicaon[...]
2013-06-01
[22]
간행물
ABU’L-GHĀZĪ BAHĀDUR KHAN
[23]
서적
An historical atlas of Central Asia
Brill
[24]
문서
이 왕조는 히바 칸국이 생겨나기 이전 화레즘 지역에서 독립 운동을 이끈 칸들이다.
[25]
문서
이 왕조는 야디가리드 샤바니드 왕조라고도 한다
[26]
문서
1804년 (사실상 1763년)부터 칸 전원이 온기리트 왕조가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