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이반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반호》는 월터 스콧의 역사 소설로, 12세기 잉글랜드를 배경으로 앵글로색슨족과 노르만족의 갈등, 십자군 전쟁, 유대인 차별 등의 역사적 배경을 다룬다. 주인공 아이반호 경을 중심으로 로빈 후드, 리처드 1세 등의 인물들이 등장하며, 민족 간의 갈등과 화합, 종교적 편견, 사랑과 희생, 정의와 불의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이 작품은 역사 소설 장르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영화, 드라마, 오페라 등 다양한 예술 작품으로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세기를 배경으로 한 소설 - 대지의 기둥
    켄 폴릿이 1989년에 발표한 역사 소설인 대지의 기둥은 12세기 잉글랜드를 배경으로 킹스브리지라는 가상의 마을에 대성당을 건설하려는 사람들의 이야기와 당시 사회의 혼란과 변화를 생생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아이반호 - [서적]에 관한 문서
서지 정보
이름아이반호
원제Ivanhoe
저자월터 스콧
언어영어
장르역사 소설, 기사 로망스
출판사아치볼드 컨스터블 (에든버러), 허스트, 로빈슨 앤드 컴퍼니 (런던)
발표일1819년 12월 20일
이전 작품몬트로즈의 전설
다음 작품수도원

2. 역사적 배경

Ivanhoe영어는 노르만계 귀족이 압도적인 잉글랜드에서 앵글로색슨계 귀족 가문의 이야기를 다룬 소설이다. 제3차 십자군 원정이 실패로 끝난 직후인 1194년을 배경으로, 리처드 1세가 오스트리아 공작에게 사로잡혀 억류되고, 그의 동생 존 왕자가 왕위를 찬탈하려는 혼란스러운 상황을 그리고 있다.

노르망디 정복 이후 원주민인 앵글로색슨족은 노르만족에게 지배당하며 2등 시민으로 전락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숲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의적 로빈 후드 전설이 등장한다. 작가 월터 스콧이 제시한 로빈 후드는 현대적 개념의 의적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당시 사회에는 유대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 만연했다. 소설은 잉글랜드에서 유대인 해방 항쟁이 거셀 때 쓰여졌으며, 유대인에 대한 불의를 빈번하게 언급하고 있다.

이 소설은 조셉 스트럿의 작품과 로버트 헨리, 섀런 터너의 역사서를 참고하여 중세 잉글랜드의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4] 특히 앙드레 파빈의 프랑스어 번역본인 『명예와 기사도의 극장(The Theatre of Honour and Knight-Hood)』에 재현된 성전기사단 규칙은 소설 속 템플 기사단 묘사에 큰 영향을 주었다.[4]

2. 1. 십자군 전쟁과 잉글랜드

제3차 십자군 원정이 실패로 끝난 1194년 잉글랜드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혼란스러웠다. 리처드 1세는 원정에서 돌아오는 길에 오스트리아 공작에게 붙잡혀 있었고, 많은 십자군 기사들은 아직 유럽에 남아 있었다.[3]

리처드 1세의 부재는 동생 존 왕자의 권력욕을 자극했다. 존 왕자는 프랑스 왕 필립 2세와 손을 잡고 잉글랜드에 대한 공세를 펼쳤다.[4] 노르만계 귀족이 압도적인 잉글랜드에서 앵글로색슨계 귀족들은 노르만 정복 이후 몰락하여, 앵글로색슨족의 부흥을 바라는 세드릭과 같은 이들도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앵글로색슨족과 노르만족 간의 갈등을 더욱 심화시켰다.[16][17]

십자군 전쟁에 참전했던 기사들의 귀환은 잉글랜드 사회에 새로운 긴장과 갈등을 불러왔다. 특히, 성전기사단과 같은 종교 기사단의 등장은 기존 잉글랜드 사회 질서에 대한 도전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2. 2. 노르만 왕조와 앵글로색슨족의 갈등

1066년 노르만족의 잉글랜드 정복 이후, 원주민인 앵글로색슨족은 노르만 왕조에 의해 정치적, 사회적으로 억압받는 상황에 놓였다.[18] 1086년의 검지장(둠스데이 북)에 따르면 왕의 직신 180명 중 앵글로색슨족은 6명, 16개의 주교좌 중 앵글로색슨족은 단 1명뿐일 정도로 귀족층의 교체가 철저하게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잉글랜드에서는 봉건 귀족 위에 왕이 있는 것이 아니라, 강력한 왕권이 형성되었다. 앵글로색슨 귀족들은 노르만 귀족들에게 재산과 권력을 빼앗기고 2등 시민으로 전락했다.[18]

이러한 상황은 앵글로색슨족의 저항 의식을 고취시키고 민족적 정체성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소설의 주인공 아이반호의 아버지 세드릭은 완고한 색슨계 귀족으로, 색슨 왕 해롤드 가드윈슨의 자손이며 앵글로색슨족의 부흥을 바라고 있었다.

그러나 작가 월터 스콧은 작품에서 묘사된 노르만인과 앵글로색슨족의 대립이 다소 시대착오적인 것이라고 인정하며, 이 작품은 그러한 점을 인지하고 그려진 허구임을 밝혔다. 실제로 12세기 후반에는 앵글로색슨족과 노르만족이 혼인과 문화 동화를 통해 융합되어 (귀족 계층을 제외하고) 서로 구별할 수 없게 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18][19]

2. 3. 유대인 공동체와 차별

유대인 고리대금업자인 요크의 아이작과 그의 딸 레베카는 소설의 주요 등장인물이다. 이 소설은 잉글랜드에서 유대인의 해방 항쟁이 거셀 때 쓰여졌으며, 그들에 대한 불의를 빈번하게 언급하고 있다.[3]

중세 잉글랜드 사회에서 유대인은 종교적, 경제적 이유로 차별과 박해를 받았다. 유대인들은 고리대금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는 기독교 사회에서 부정적으로 인식되었다. 당시 유대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은 사회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었으며, 주인공 윌프리드조차도 유대인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었다.[3] 유대인들은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억압받는 상황에 놓여 있었다.

3. 등장인물

아이반호는 앵글로색슨족과 노르만족 간의 갈등이 있던 1194년 잉글랜드를 배경으로, 제3차 십자군 원정 실패 이후의 혼란스러운 시기를 다룬다.[6]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인물설명
아이반호기사이자 세드릭의 아들. 리처드 1세에게 충성한다.
레베카유대인 치료사, 아이작의 딸.
로위나귀족 앵글로색슨 부인.
존 왕자리처드 1세의 동생.
흑기사리처드 1세의 익명.
록슬리잉글랜드계 자유민.
프라이어 턱로빈 후드의 동료.
브리언 드 부아길베르템플 기사단.
아이작레베카의 아버지, 유대인 상인.
프라이어 아이머조볼스의 프라이어.



이야기는 아이머 수도원장이 템플 기사단의 길베르트 등과 함께 세드릭의 저택에서 하룻밤 숙소를 청하는 것으로 시작된다.[6] 같은 날 유대인 부녀인 아이작과 레베카, 그리고 성지 순례에서 돌아오는 순례자가 세드릭의 저택에서 하룻밤을 보낸다.

이 소설은 잉글랜드에서 유대인 해방 항쟁이 거셀 때 쓰여져, 출간된 책으로 그들의 불의에 대한 빈번한 언급을 하고 있다.[6]

3. 1. 앵글로색슨족

로더우드의 세드릭은 앵글로색슨족 혈통을 잇는 귀족으로, 앵글로색슨족 부흥을 꿈꿨다. 그는 삭슨 왕가 혈통인 로위나 공주의 후견인이었고, 로위나를 앵글로색슨 왕족 후예 애설스탠과 결혼시켜 앵글로색슨족 세력을 통합하려 했다.

그러나 외아들 아이반호가 로위나와 서로 사랑하면서 세드릭의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결국 세드릭은 아이반호를 파문했고, 아이반호는 노르만족 왕 리처드 1세를 따라 십자군 전쟁에 참전했다.

세드릭의 저택에는 충실한 돼지치기 거스와 어릿광대 왐바가 있었다. 왐바는 세드릭의 총애를 받았다.
로위나는 앨프레드 대왕 혈통을 이은 삭슨족 귀족 여성이자 뛰어난 미인이었고, 많은 영토를 상속받았다. 그녀는 아이반호의 안위를 걱정했다.
애설스탠은 삭슨 왕족 혈통을 이은 기사로, 세드릭은 그를 로위나와 결혼시켜 앵글로색슨 왕통을 통합하려 했다. 애설스탠도 로위나를 마음에 뒀으나, 무예는 뛰어나지만 느긋한 성격이라 세드릭을 안달하게 했다. 그는 대식가였다.

3. 2. 노르만족

리처드 1세의 동생 존 왕자 (Prince John)는 왕위를 찬탈하려는 야심을 품고 있었다.[6] 그는 앵글로색슨족을 억압하고 노르만 귀족들을 옹호했다. 리처드 1세가 제3차 십자군에서 돌아오는 길에 오스트리아 공작에게 붙잡혀 행방불명된 틈을 타, 프랑스 왕 필립과 손을 잡고 잉글랜드를 차지하려 했다.[6]
브리언 드 부아길베르 (Brian de Bois-Guilbert)는 템플 기사이자 존 왕자의 일당이다.[6] 잔인하고 탐욕스러운 그는 레베카를 납치하고 위프레드와 대립했다. 제3차 십자군에 참가했으나, 기마 경기에서 위프레드에게 패배한 이후 그를 숙적으로 여겼다.
모리스 드 브라시 (Maurice de Bracy)는 존 왕자를 따르는 용병 대장이었다.[6] 프런트 드 뵈프와 함께 행동하며, 로위나를 납치하려 했다.
레지널드 프런트 드 뵈프 (Reginald Front-de-Boeuf)는 존 왕자의 신하로, 아이반호의 영지를 빼앗고 앵글로색슨족을 탄압한 노르만 귀족이었다. 그는 위프레드의 영지를 존 왕자로부터 함부로 받았으며, 리처드의 귀국을 두려워했다.

3. 3. 유대인

'''요크의 아이작'''은 유대인 상인으로 고리대금업을 하며, 딸 '''레베카'''와 함께 차별과 박해를 받는다.[6] 그는 여행 중인 순례자를 도운 것을 계기로 이야기에 참여하며,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많은 고난을 겪는다.[6]

'''레베카'''는 아이작의 아름답고 마음씨 착한 막내딸로, 의술에 능하다.[6] 아이반호를 치료해주기도 하지만, 브리언 드 부아길베르에게 납치되어 마녀로 몰리는 등 고난을 겪는다.[6]

3. 4. 기타

Locksley영어는 숲에서 활동하는 의적 로빈 후드의 가명으로, 앵글로색슨족을 돕고 노르만 귀족들에게 저항한다.[14] Friar Tuck영어은 로빈 후드의 동료이다.[6]

현대 사회에서 쾌활하고 훌륭하며 애국적인 반란군으로 인식되는 로빈 후드의 이미지는 소설 『아이반호』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 스콧의 소설에서 "록슬리"는 로빈 후드의 칭호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전설적인 무법자를 지칭하는 표현으로 굳어졌다. 스콧은 1600년에 쓰여진 익명의 사본에서 로빈 후드의 별칭으로 "록슬리"를 사용한 것을 차용한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록슬리 출신의 로빈 후드는 영원히 "록슬리의 로빈", 즉 로빈 후드로 불리게 되었다.

스콧은 소설에서 12세기 앵글로색슨족과 노르만족 간의 갈등을 주요 주제로 다루었다. 이는 원래 중세 시대 로빈 후드 이야기에는 등장하지 않던 내용으로, 스콧이 처음으로 전설에 도입한 것이다.[14]

스콧은 16세기 후반에 로빈 후드를 몰락한 귀족(헌팅던 백작)으로 묘사한 것을 따르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콧은 로빈 후드 전설에 고귀한 영웅의 면모를 부여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이후 제작된 로빈 후드 영화들은 아이반호의 특징적인 요소들을 로빈에게 부여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예로는 더글러스 페어뱅크스 주연의 1922년 무성 영화, 1938년 아카데미 3관왕을 수상한 『로빈 후드의 모험』 (에롤 플린 주연), 1991년 흥행작 로빈 후드: 도둑들의 왕자 (케빈 코스트너 주연) 등이 있으며, 멜 브룩스의 패러디 영화 로빈 후드: 맨 인 타이츠도 있다.

대부분의 로빈 후드 이야기에서 아이반호와 로빈은 공통적으로 귀환한 십자군 전사, 아버지와의 갈등, 앵글로색슨족으로서의 자부심, 뛰어난 정의감, 노르만-프랑스계 혈통이지만 정당한 왕을 지지, 능숙한 무예, "아름다운 여인"(각각 로위나와 마리안)과의 사랑 등의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정한 시대적 배경은 스콧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그는 소설의 흥미를 더하기 위해 16세기 연대기 작가 존 메이어나 17세기 발라드의 내용을 차용했다. 중세 발라드 작가들은 일반적으로 로빈 후드를 이보다 약 2세기 뒤인 에드워드 1세, 2세 또는 3세 시대의 인물로 설정했다.

로빈이 활쏘기 시합에서 상대방의 화살을 쪼개는 유명한 장면은 『아이반호』에서 처음 등장한다.

'''등장인물'''

  • '''아이반호 경(Sir Wilfred of Ivanhoe)'''
  • '''로즈우드의 세드릭(Cedric of Rosewood)'''
  • '''할고트스탠드스티드의 로위나(Rowena of Halgotstandsteed)'''
  • '''코닝즈버러의 에셀스탠(Aethelstane of Coningsborough)'''
  • '''검은 기사(Black Kinght)'''
  • '''로버트 록슬리(Robert Locksley)'''
  • '''탁(Friar Tuck)'''
  • '''웜바(Wamba)'''
  • '''거스(Gurth)'''
  • '''아이작(Isaac)'''
  • '''레베카(Rebecca)'''
  • '''에이머 수도원장(Prior Aymer)'''
  • '''브라이언 드 보이즈질베르(Brian de Bois-Guilbert)'''
  • '''레지널드 프롱드보외프(Reginald Front-de-Boeuf)'''
  • '''모리스 드 브라시(Maurice De Bracy)'''
  • '''울리카(Ulrica)'''
  • '''리처드 1세(사자심왕)(King Richard)'''
  • '''왕의 동생 존(악지)(Prince John)'''

4. 줄거리

《아이반호》는 노르만계 귀족이 잉글랜드를 지배하던 시절, 잊혀져 가던 앵글로 색슨계 귀족 가문의 이야기를 다룬 소설이다. 주인공 아이반호는 앵글로색슨족 출신이지만, 노르망디 왕조의 리처드 1세에게 충성을 바쳐 아버지 세드릭의 미움을 받는다. 이야기는 1194년, 제3차 십자군 원정이 실패로 끝나고 많은 십자군 기사들이 유럽으로 돌아오던 시기를 배경으로 한다.[3] 리처드 왕은 잉글랜드로 돌아오는 길에 오스트리아 공작에게 사로잡혀 감금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 소설에는 로빈 후드(록슬리라는 이름으로 등장)와 그의 동료들(프라이어 턱, 알란어데일, 리틀존 등)이 등장하여 의적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3] 완고한 색슨족 아버지이자 색슨 왕 해롤드 가드윈슨의 후손인 세드릭, 성전기사단과 교회 성직자들, 돼지치기 구스, 어릿광대 왐바, 유대인 고리대금업자 요크의 아이작과 그의 딸 레베카 등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3] 특히, 이 소설은 잉글랜드에서 유대인 해방 항쟁이 거세던 시기에 쓰여져 유대인들이 겪는 불의를 빈번하게 언급하고 있다.[3]

소설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세드릭의 저택: 앵글로색슨족의 부흥을 꿈꾸는 세드릭은 자신의 저택에서 노르만족 기사들과 아이머 수도원장 일행, 그리고 유대인 부녀와 순례자로 변장한 아이반호에게 하룻밤 숙소를 제공한다.
  • 기마 경기 대회: 애슈비드라주슈 성에서 열린 기마 경기 대회에서 아이반호는 '상속받지 못한 자(Desdichado)'라는 이름으로 참가하여 부아길베르를 물리치고 챔피언이 된다.
  • 납치와 구출: 세드릭 일행은 귀가 도중 노르만 귀족들에게 납치되어 프런트 드 뵈프의 성에 갇히지만, 록슬리와 흑기사(리처드 1세)의 도움으로 구출된다.
  • 레베카의 재판: 부아길베르는 레베카를 템플 기사단 수도원으로 데려가고, 템플 기사단장 루카스 드 보모누아르는 레베카를 마녀로 몰아 재판에 회부한다. 레베카는 신의 심판을 요구한다.
  • 화해와 결말: 리처드 1세는 자신의 정체를 밝히고 아이반호와 세드릭을 화해시킨다. 아이반호는 신의 심판에서 부아길베르를 상대로 승리하지만, 부아길베르는 감정적 혼란으로 죽는다. 아이반호와 로위나는 결혼하고, 레베카는 그라나다로 떠난다.

4. 1. 세드릭의 저택과 만남

세드릭은 앵글로색슨족의 부흥을 꿈꾸는 귀족으로, 자신의 저택에서 노르만족 기사들과 아이머 수도원장 일행에게 하룻밤 숙소를 제공한다. 하지만 앵글로색슨족에 대한 강한 자부심을 가진 세드릭과 노르만족 기사들 사이에는 불편한 기류가 흐른다.[3]

같은 날, 유대인 부녀인 아이작과 레베카, 그리고 성지 순례에서 돌아온 순례자(변장한 아이반호)가 세드릭의 저택에 머물게 된다. 저녁 식사 후, 순례자는 로위나에게 성지에서 열린 기마 경기 상황을 이야기한다. 순례자는 템플기사단의 길베르트가 패배했다는 이야기에서 말을 흐리지만, 길베르트는 자신이 세드릭의 아들 윌프레드에게 패배했고 재대결을 원한다고 밝힌다. 세드릭은 한때 파문했던 아들의 활약에 복잡한 심경을 느낀다.[3]

그날 밤, 순례자는 유대인 아이작을 깨워 즉시 도망치라고 말한다. 길베르트 일행이 아이작의 재산을 빼앗으려는 계획을 엿들었기 때문이다. 순례자가 기사임을 간파한 아이작은 은혜를 갚기 위해 무구를 빌릴 수 있도록 주선해 주겠다고 약속한다.[3]

4. 2. 기마 경기 대회

애슈비드라주슈(Ashby-de-la-Zouch) 성에서 존 왕자가 주최하는 기마 경기 대회가 열렸다. 이 대회에는 세드릭, 아델스테인, 로위나, 요크의 아이작과 그의 딸 레베카, 록슬리의 로빈과 그의 부하들, 존 왕자의 조언자인 월데마르 피츠어스, 그리고 수많은 노르망디 기사들이 참석했다.[4]

첫째 날, 개인 조우스트 경기에서 자신을 "데스디차도"(Desdichado, 상속받지 못한 자)라고만 밝힌 신비로운 기사가 보이스-길베르를 물리쳤다. 가면을 쓴 기사는 존 왕자의 요청에도 정체를 밝히지 않았지만, 챔피언으로 선포되어 토너먼트의 여왕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얻었다. 그는 로위나를 지명했다.[4]

둘째 날, 혼전에서 데스디차도는 한쪽 편의 지도자가 되었지만, 여러 적에게 포위되었다. 그러나 "르 누아르 페네앙"('검은 게으름뱅이')이라는 기사가 그를 구출했고, 그 후 비밀리에 떠났다. 왕관(챔피언의 표식)을 받기 위해 가면을 벗었을 때, 데스디차도는 십자군 전쟁에서 돌아온 아이반호의 윌프리드로 밝혀졌다. 이는 존 왕자와 그의 궁정에 큰 당황을 야기했는데, 그들은 리처드 왕의 귀환을 두려워하게 되었다.[4]

아이반호는 경기에서 심하게 부상을 입었지만, 세드릭은 그를 돌보려 하지 않았다. 대신 숙련된 의사인 레베카가 그를 돌보고, 회복 후에는 요크에 있는 그들의 집으로 아이반호를 데려갔다.[4]

토너먼트가 끝난 후 존 왕자가 현지 색슨족을 위해 연 만찬은 모욕적인 분위기로 끝났다.[4]

4. 3. 납치와 구출

세드릭 일행은 귀가 도중 노르만 귀족들에게 납치되어 프런트 드 뵈프의 성에 갇힌다.[14] 숲에서 탈출한 돼지치기 거스와 광대 웜바는 록슬리와 만나 도움을 요청한다. 록슬리는 흑기사(리처드 1세)와 함께 앵글로색슨족 의용군을 조직하여 성을 공격한다.[14]

한편, 웜바는 수도사로 변장하여 성에 잠입, 세드릭과 옷을 바꿔 입고 탈출시킨다. 세드릭은 성 안에서 노파 울리카를 만나는데, 그녀는 프런트 드 뵈프 가문에 대한 복수심을 불태우고 있었다. 세드릭은 록슬리 일행과 합류하고, 흑기사의 지휘 아래 성 공격이 시작된다.

울리카와 프런트 드 뵈프, 내덜리얼 웨스트레이크(1857) 삽화


치열한 전투 끝에 성은 함락되고, 모리스 드 브라시는 전사하며, 프런트 드 뵈프는 울리카가 지른 불길 속에서 사망한다. 세드릭 일행은 구출되지만, 브라이언 드 부아길베르는 레베카를 데리고 도망친다.[14] 아셀스탄은 로위나를 구하려다 길베르트에게 죽임을 당한다. 아이반호는 흑기사(리처드 1세)에 의해 구조된다.[14]

4. 4. 레베카의 재판

브리언 드 부아길베르는 포로로 잡은 레베카를 가장 가까운 템플 기사단 수도원으로 급히 데려갔다.[1] 템플 기사단장 루카스 드 보모누아르는 브라이언 드 부아길베르가 레베카에게 열렬한 사랑을 품고 있다는 사실에 분개하여 레베카를 마녀 재판에 회부한다.[1] 보모누아르는 레베카가 수도원에 있는 것에 대해 알베르트 말보이젠 수사관에게 분노를 표한다. 알베르트는 부아길베르에게 레베카가 마법 혐의로 재판을 받을 것이라고 알리고, 그를 변호하지 말라고 경고한다.[1] 마운트피쳇은 허위 증언을 통해 몇몇 거짓 증인에게 뇌물을 주는 등 그녀에 대한 증거를 찾겠다고 말한다.[1]

레베카는 마법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 선고를 받는다.[1] 브라이언 드 부아길베르의 은밀한 부추김에 따라 레베카는 신의 심판으로 챔피언이 자신을 변호해 줄 것을 요구한다.[1] 레베카의 요구는 받아들여지고, 브라이언 드 부아길베르가 검찰 측 챔피언으로 임명된다.[1]

농부 히그는 레베카의 아버지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수도원으로 가는 길에 아이작과 네이선을 만나고, 아이작은 아이반호를 찾아 나선다.[1] 레베카는 자신의 사랑에 대한 대가로 결투에 나타나지 않겠다는 브라이언 드 부아길베르의 제안을 거절한다.[1] 알베르트는 그에게 나타나는 것이 자신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설득한다.[1]

레베카는 기둥에 묶여 있고 챔피언은 나타나지 않는다. 죄책감에 시달리는 브라이언 드 부아길베르는 그녀에게 도망치자고 애원하지만 레베카는 거절한다.[1] 힘든 기승으로 지쳐 부상에서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아이반호가 레베카의 챔피언으로 나타나고, 그들이 돌격하자 브라이언 드 부아길베르는 그의 상반되는 열정의 희생양이 되어 죽는다.[1]

4. 5. 화해와 결말

리처드 1세는 숲에서 자신의 정체를 밝히고, 드 브레이시로부터 존 왕자의 반역 소식을 듣는다. 한편, 보이즈-길버트는 레베카를 템플 기사단 수도원으로 데려가지만, 템플 기사단장 루카스 드 보모누아르는 레베카를 마녀로 몰아 재판에 회부한다. 레베카는 신의 심판을 요구하고, 보이즈-길버트는 레베카의 챔피언이 되기를 바라지만 기사단장의 명령으로 템플스토우를 위해 싸우게 된다.[10]

코닝스버러에서 아셀스테인의 장례식이 치러지던 중, 흑기사(리처드 1세)와 아이반호가 나타난다. 리처드 1세는 세드릭을 진정시키고 아이반호와 화해하게 한다. 이때, 죽은 줄 알았던 아셀스테인이 나타나 리처드 1세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세드릭에게 로위나와 아이반호의 결혼을 허락하라고 설득한다. 결국 세드릭은 이를 받아들인다.[10]

화해 직후, 아이반호는 레베카를 위해 싸워달라는 이삭의 간청을 받는다. 아이반호는 밤낮으로 말을 달려 신의 심판에 시간 맞춰 도착하지만, 보이즈-길버트와의 대결에서 승리한다. 그러나 보이즈-길버트는 레베카에 대한 사랑과 기사로서의 명예 사이에서 갈등하다가 감정적 혼란으로 죽는다.[10]

아이반호와 로위나는 결혼하여 행복하게 살고, 레베카는 아이반호에 대한 사랑을 포기하고 아버지와 함께 그라나다로 떠날 계획을 세운다. 떠나기 전, 레베카는 로위나를 찾아 작별 인사를 한다.[10]

5. 주제와 상징

『아이반호』는 노르만계 귀족이 잉글랜드를 지배하던 시기에, 몰락한 앵글로 색슨계 귀족 가문의 이야기를 다룬 소설이다. 색슨계 주인공 아이반호는 리처드 1세에게 충성을 바치지만, 그의 아버지는 이를 못마땅하게 여긴다. 이야기는 제3차 십자군 원정이 실패한 1194년을 배경으로 하며, 로빈 후드도 등장인물 중 한 명이다.[1]

이 소설은 주로 소년 독자를 위한 로맨스 소설로 평가받았다.[1] 퀘스트, 기사도, 부패한 사회 질서 타도 등 로맨스 장르의 요소를 많이 담고 있지만,[7] 과거를 미화하지 않고 현실적인 이야기를 그려낸다는 평가도 있다.[8][1]

스콧은 초기 소설들과 마찬가지로 영웅적 이상과 현실 사회의 갈등을 다룬다. "낙후된" 앵글로색슨족과 "진보된" 노르만족은 화합하여 하나의 민족으로 나아가야 하며, 이 과정에서 겪는 갈등과 희생에 초점을 맞춘다.[1]

아이반호는 고귀한 혈통을 지녔지만, 중세 계급 제도에서 특별히 뛰어나지는 않은 중간적 인물이다. 비평가 루카치 죄르지는 이러한 중간적 주인공이 스콧 역사 소설의 특징이며, 사회와 문화사를 더 깊이 탐구하게 한다고 평가한다.[9]

소설 속 정치적 사건들은 대체로 정확하지만, 리처드 왕의 투옥과 귀환 등 역사적 사실을 자유롭게 다루었다고 스콧 스스로 인정했다.[16]

5. 1. 민족 간의 갈등과 화합

노르만족과 앵글로색슨족의 갈등은 소설의 중심 주제 중 하나이다. 소설에서, 더욱 세련된 문화를 대표하는 노르만인들과 가난하고 권리가 박탈당했으며 노르만 지배에 분개하는 앵글로색슨인들은 힘을 합쳐 하나의 민족으로 성장하기 시작한다. 앵글로색슨인과 노르만인 사이의 갈등은 두 집단 모두 화해하고 통합된 영국을 건설하기 위해 겪어야 하는 손실에 초점을 맞춘다.[1]

이러한 갈등 속에서, 주인공 아이반호와 로위나의 결혼은 두 민족 간의 화합과 통합을 상징한다. 앵글로색슨인들에게 이 가치는 앵글로색슨 대의의 절망감을 최종적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노르만인들은 그들 자신의 기사도 규범 속에 있는 물질주의와 폭력을 극복해야 한다. 아이반호와 리처드는 통합된 미래를 위한 화해의 희망을 나타낸다.[1]

5. 2. 종교적 편견과 관용

유대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이 만연했던 시대상을 반영하며, 주인공 윌프리드조차 이러한 편견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했다는 점이 묘사된다.[22] 이는 당시 사회의 어두운 면을 보여준다.

5. 3. 사랑과 희생

아이반호와 로위나의 결혼은 앵글로색슨족과 노르만족 간의 화합을 상징한다. 아이반호는 레베카를 위해 목숨을 걸고 신의 심판에 참여하지만, 결국 로위나와 결혼하여 행복한 삶을 꾸린다.[1] 레베카는 아이반호에 대한 헌신적인 사랑을 보여주지만, 그 사랑을 포기하고 아버지와 함께 그라나다(Granada)로 떠난다. 떠나기 전, 레베카는 로위나를 찾아 작별 인사를 한다.

보이즈-길버트는 레베카에 대한 열정적인 사랑에 사로잡히지만, 기사로서의 명예와 의무 사이에서 갈등하다 결국 신의 심판에서 감정적 혼란으로 죽음을 맞이한다.[1]

5. 4. 정의와 불의

억압받는 앵글로색슨족과 유대인, 그리고 그들을 돕는 로빈 후드와 아이반호는 정의를 상징한다.[1] 존 왕자와 노르만 귀족들의 횡포는 불의를 상징한다.[1]

6. 문학적 의의와 영향

Ivanhoe영어는 역사 소설 장르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소설은 중세 잉글랜드의 사회상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다양한 인간 군상을 그려냄으로써 독자들에게 깊은 감동과 교훈을 주었다.[1][7][8] 특히 로빈 후드 전설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14] 소설 속에서 "록슬리"는 로빈 후드의 칭호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이후 전설적인 탈법자를 가리키는 데 널리 쓰이게 되었다. 스콧은 1600년에 쓰여진 익명의 사본에서 이 칭호를 차용했다.

스콧은 12세기의 앵글로색슨족과 노르만족 사이의 갈등을 소설의 주요 주제로 삼았는데, 이는 원래 중세 로빈 후드 이야기에는 없던 요소였다.[14] Ivanhoe영어의 등장인물들은 존 왕과 리처드 1세를 "노르망디인"이라고 부르지만, 당시 중세 문서에서는 이들을 그렇게 부르지 않았다.[14]

Ivanhoe영어더글러스 페어뱅크스1922년 무성 영화, 에롤 플린 주연의 1938년 영화, 케빈 코스트너 주연의 로빈 후드: 도둑들의 왕자 등 수많은 영화, 드라마, 오페라 등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15] 멜 브룩스의 패러디 영화 로빈 후드: 맨 인 타이츠도 Ivanhoe영어의 영향을 받았다.

7.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아이반호》는 민족 간의 갈등, 종교적 편견, 사회적 불평등 등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이 소설은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어떻게 화합하고 공존할 수 있는지, 그리고 정의와 불의에 어떻게 맞서 싸워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특히, 일제강점기분단 등 역사적 아픔을 겪은 한국인들에게는, 억압받는 민족의 저항과 희망, 그리고 민족 정체성의 중요성에 대한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소설 속 앵글로색슨족은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노르만족은 일본 제국에 비유될 수 있으며, 주인공 아이반호는 독립운동가와 같은 민족 영웅의 모습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소설에 등장하는 유대인에 대한 차별과 편견은 한국 사회의 다양한 소수자에 대한 차별 문제와 연결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는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는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참조

[1] 서적 Sir Walter Scott: A Bibliographical History 1796–1832 1998
[2] 논문 Sir Walter Scott and the Medieval Revival 1965-03-00
[3] 서적 Ivanhoe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98
[4] 서적 Ibid.
[5] 서적 Sir Walter Scott: A Bibliographical History 1796–1832 1998
[6] 서적 op. cit.
[7] 논문 The Function of Form: Ivanhoe as Romance. 1979-09-00
[8] 논문 The Anti-Romantic in "Ivanhoe" 1955-03-00
[9] 서적 The Historical Novel Penguin Books 1969
[10] 웹사이트 Ivinghoe http://epns.nottingh[...] English Place-name Society 2021-09-09
[11] 웹사이트 The Manor of IVANHOE, alias Ivinghoe https://www.ivanhoem[...] 2021-09-09
[12] 웹사이트 Some Notable Berkhamsted Women https://blhms.files.[...] 2021-09-10
[13] 웹사이트 Ivinghoe https://opendomesday[...] 2021-09-09
[14] 서적 Memory and Myths of the Norman Conquest Boydell & Brewer Ltd. 2013
[15] 뉴스 The Adventures of Robin Hood (1938) http://movies.nytime[...] 1939-05-13
[16] 서적 Medievalism: The Middle Ages in Modern England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7-04-04
[17]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English Literature 1989
[18] 서적 History of the Norman conquest of England: Volume Five, The effects of the Norman Conquest Clarendon Press 1876
[19] 서적 The English and the Norman Conquest https://archive.org/[...] Boydell & Brewer 1997
[20] 서적 The Making of English National Identit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21] 뉴스 Freedom and Haughmagandie http://www.spectator[...] 2009-01-24
[22] 뉴스 Scotland's image-maker Sir Walter Scott 'invented English legends' https://www.theguard[...] 2010-08-16
[23] 서적 Scott-land: The Man who Invented a Nation Polygon 2010
[24] 웹사이트 Analytical overview: Ivanhoe http://www.sparknote[...] 2010-08-18
[25] 서적 Literary Reviews in British Periodicals, 1798‒1820: A Bibliography 1972
[26] 서적 Fisher's Drawing Room Scrap Book, 1838 https://play.google.[...] Fisher, Son & Co. 1837
[27] 웹사이트 Dealing with Ivanhoe and Other Literary Issues: Knight's Castle https://www.tor.com/[...] 2012-09-27
[28] 서적 Jack and Jill 1880
[29] 서적 History in Plain Sight: Jews and Jewishness in British Film, Television, and Popular Culture https://books.google[...]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016-08-00
[30] 웹사이트 Ivanhoe
[31] 웹사이트 Dark Knight https://www.imdb.com[...]
[32] 서적 Sir Arthur Sullivan's Grand Opera Ivanhoe and Its Musical Precursors: Adaptations of Sir Walter Scott's Novel for the Stage, 1819–1891 Edwin Mellen Press 2008
[33] 웹사이트 About the Silver Lake Community http://silverlake.or[...]
[34] 서적 もっと知りたいターナー 生涯と作品 東京美術 2017
[35] 논문 Sir Walter Scott and the Medieval Revival 1965-03-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