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아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아톤은 고대 이집트에서 숭배되던 태양신으로, '원반'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중왕국 시대에는 태양신 라의 한 측면으로 여겨졌으며, 아멘호테프 4세(아크나톤) 시대에는 이집트의 국가 신으로 격상되어 일신교적인 숭배를 받았다. 아크나톤은 아텐 숭배를 통해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려 했으나, 사후 그의 아들 투탕카멘에 의해 아문 신앙이 부활하면서 아텐 신앙은 쇠퇴했다. 아텐은 태양 원반과 햇빛의 형태로 묘사되었으며, 아케나톤 시대의 아마르나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텐 신앙은 유일신 사상의 기원과 연관되어 연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 신 - 엔네아드
    엔네아드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헬리오폴리스 사제들이 주장하는 아홉 신의 집단을 지칭하며, 아툼, 슈, 테프누트, 게브, 누트, 오시리스, 이시스, 세트, 네프티스를 주요 구성원으로 하고 라, 토트, 호루스 등이 포함되기도 하며, 다양한 창조 신화와 현대 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이집트 신 - 오그도아드
    오그도아드는 이집트 신화에서 혼돈을 의인화한 남녀 신 4쌍으로 구성된 8명의 신 집합으로, 세상의 질서 유지와 창조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아텐교 - 투탕카멘
    투탕카멘은 기원전 14세기에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로, 아케나톤의 아들로 추정되며, 10세에 파라오가 되어 아텐 신앙을 폐지하고 아멘 신앙으로 복귀했으며, 18세에 사망하여 그의 무덤에서 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
  • 아텐교 - 아크나톤
    아크나톤은 기원전 14세기 이집트 파라오로, 아멘호테프 4세에서 개명하여 다신교를 버리고 태양신 아텐만을 숭배하는 종교 개혁을 추진, 아마르나 시대를 열었으며, 수도 이전과 아마르나 미술 발전으로 세계 최초 유일신교 시도 평가를 받지만 단일신교 견해도 있다.
  • 빛의 신 - 라 (이집트 신화)
    라(Ra)는 이집트 신화의 태양신이자 창조신으로, 매의 머리를 가진 남성으로 표현되며, 고대 이집트인들은 그가 태양의 돛단배를 타고 하늘을 가로지르고 밤에는 저승을 여행한다고 믿었고, 라 숭배는 널리 퍼져 파라오가 "라의 아들"로 여겨지는 등 다른 신들과 결합되어 다양한 형태로 숭배되었다.
  • 빛의 신 - 수리야
    수리야는 힌두교의 태양신으로, 리그베다 등 초기 문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어둠을 몰아내고 지식, 선, 생명에 힘을 부여하는 존재로 숭배받으며, 인도 문학, 힌두교 경전, 불교, 자이나교 등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표현되고 숭배된다.
아톤
기본 정보
아텐
아텐
신성 문자i-t:n:N5
숭배 중심지아케타텐, 고고학 유적지로 텔엘 아마르나로 알려짐
상징태양 원반, 닿는 광선
신전아텐 대신전, 아텐 소신전
관련아텐 신앙

2. 어원

'아텐'은 고대 이집트어로 '원반'을 의미하는 단어로, 태양 원반을 지칭했다. 고왕국 시대에는 '낮의 원반'이라 불리며 태양신 가 거주하는 곳으로 여겨졌다.[2] 중왕국 시대에는 태양신 의 한 측면으로 여겨졌으나,[38] 신왕국 시대 아크나톤의 통치 하에 유일신으로 숭배되었다. 아크나톤은 아텐 신의 이름을 파라오의 이름과 같이 '카르투슈' 안에 표기하여, 아텐 숭배와 자신을 동일시하려 했다.

아크나톤의 관점에서 쓰여진 "아톤 찬가"; 찬가의 저작권은 논쟁의 대상이다. 아르마의 아이 무덤에서 발견됨. 신왕국, 제18왕조 말기. 아르마, 이집트.

3. 역사

아텐은 제12왕조 시대의 '시누헤 이야기'에서 처음으로 언급되며, 죽은 왕이 하늘로 올라 태양 원반과 결합한다는 내용이 나온다.[7][8][36] 아멘호테프 3세 시대에는 태양신으로서 숭배받기 시작했으며, ''와 비슷한 매의 머리를 가진 남성의 모습으로 등장했다.

아크나톤은 아텐을 이집트의 유일신으로 선포하고, 자신의 이름을 '아텐에게 사랑받는 자'라는 의미인 '아케나톤'으로 바꾸었다.[7] 아케나톤은 아텐 신앙을 중심으로 한 종교 개혁을 단행하여, 전통적인 다신교 신앙을 억압하고 아텐을 유일신으로 숭배하도록 강요했다.[39] 그는 수도를 테베에서 아케타텐(현대의 아마르나)으로 옮기고, 아텐 신앙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도시를 건설했다.[39]

아크나톤 사후, 그의 아들 투탕카멘아문 신앙을 복원했는데,[34] 이는 '투탕카텐'에서 '투탕카멘'으로 개명한 것에서 드러난다.[15] 아케타텐은 버려졌는데, 이는 백성들이 아텐 신앙보다는 '아텐을 모시는 왕과 왕비'를 숭배했음을 보여준다. 아크나톤 사후에도 아텐 신앙은 약 10년간 이어졌다. 투탕카멘은 아텐 신앙을 억압하진 않았지만, 아텐이 유일신이라는 믿음을 부정하고 다른 신들을 복귀시켰다.[2] 그는 파괴된 신전들을 복구하고 전통 신앙 복원을 추진했다. 이는 "이집트의 불행이 신들을 무시한 결과이며, 신들이 이집트를 버렸다는 믿음"에 기반했다.[2]

아크나톤의 종교 개혁은 급진적이었기에 아문 신단의 저항과 역병 등으로 실패했다. 아크나톤 사후, 이집트는 아문 신앙으로 회귀했고, 아톤은 아마르나 혁명 이전의 "천체로서의 태양"으로 되돌려졌으며, 아톤 신앙은 소멸되었다.

3. 1. 초기 역사

아텐은 제12왕조 시대의 '시누헤 이야기'에서 처음으로 언급되며, 죽은 왕이 하늘로 올라 태양 원반과 결합한다는 내용이 나온다.[7][8][36] 아멘호테프 3세 시대에는 태양신으로서 숭배받기 시작했으며, ''와 비슷한 매의 머리를 가진 남성의 모습으로 등장했다.

3. 2. 아마르나 시대: 아케나톤의 종교 개혁

아크나톤은 아텐을 이집트의 유일신으로 선포하고, 자신의 이름을 '아텐에게 사랑받는 자'라는 의미인 '아케나톤'으로 바꾸었다.[7] 아케나톤은 아텐 신앙을 중심으로 한 종교 개혁을 단행하여, 전통적인 다신교 신앙을 억압하고 아텐을 유일신으로 숭배하도록 강요했다.[39] 그는 수도를 테베에서 아케타텐(현대의 아마르나)으로 옮기고, 아텐 신앙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도시를 건설했다.[39]

아마르나 시대 아텐 신앙의 핵심 교리들은 아마르나의 돌무덤 벽에 새겨져 있다.[10] 아텐 종교에 따르면, 밤은 어둡고 공포가 가득한 시간이며, 모든 것은 아텐이 직접 내려다 볼 수 있는 태양과 햇빛 아래에서 잘 이루어질 수 있다고 믿었다.[11] 아텐은 모든 피조물에 관심을 가지며, 나일 강을 스스로 창조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아텐 신의 햇살은 오직 왕가의 생명만을 보호하고 지탱했으며, 왕가를 제외한 나머지 생명들은 오직 아케나톤과 그의 부인 네페르티티의 신앙심에 의해 유지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12]

아텐이 직접 말한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예시는 "''살아있는 아텐이 이르길, '내 햇살이 비추며....''."이다.[14]

아케나톤은 아텐 신앙에서 스스로를 아텐의 아들이라고 칭하였는데,[16] 이는 스스로를 호루스 신과 동일하다고 여긴 선대 파라오들과는 구분되는 조치였다. 그는 아텐과 대화할 수 있는 유일한 중재자로서 자신을 위치시키고 아텐의 신으로서의 지배력을 강조했다.[16]

아텐을 모시는 신전은 다른 신들에게 바쳐진 신전들과 달리 지붕이 없는 형태를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었다.[39] 신전 안에는 그 어떤 신상도 허용되지 않았고, 아텐은 오직 태양 원반과 햇살로만 표현되었다. 사제들은 아텐에게 많은 양의 공물을 바치지 않았고, 아텐 신전은 별도로 백성들에게 세금을 걷지 않았다. 아텐 신전에서는 매일 정화, 의복을 입히는 의식 등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대신 하루에 몇 번씩 향을 피웠으며 아텐에 대한 찬가는 하프 음악과 함께 신전 내부에 울려 퍼졌다.

아텐은 당시 고대 이집트에서의 태양신의 개념이 변하여 생겨난 신이었다. 태양신 의 대부분의 힘과 권위를 물려받았지만, 라와는 다르게 오직 한 측면만 존재하며 유일하게 존재하는 신이었다. 아텐은 우주의 유일신이었고, 광휘를 통하여 우주 곳곳에 빛과 생명을 비추어 질서를 유지시킨다는 개념이 바로 아텐 신앙의 핵심 내용이었다.

아텐의 광선 아래 아크나톤, 네페르티티와 세 딸을 묘사한 부조

3. 3. 아케나톤 사후

아크나톤 사후, 그의 아들 투탕카멘아문 신앙을 복원했다.[34] 이는 '투탕카텐'에서 '투탕카멘'으로 개명한 것에서 드러난다.[15] 아케타텐은 버려졌는데, 이는 백성들이 아텐 신앙보다는 '아텐을 모시는 왕과 왕비'를 숭배했음을 보여준다.

아크나톤 사후에도 아텐 신앙은 약 10년간 이어졌다. 투탕카멘은 아텐 신앙을 억압하진 않았지만, 아텐이 유일신이라는 믿음을 부정하고 다른 신들을 복귀시켰다.[2] 그는 파괴된 신전들을 복구하고 전통 신앙 복원을 추진했다. 이는 "이집트의 불행이 신들을 무시한 결과이며, 신들이 이집트를 버렸다는 믿음"에 기반했다.[2]

투탕카멘의 왕좌에 묘사된 아텐. 아크나톤을 위해 만들어졌을 것이다. 신왕국, 제18왕조 말기. 아마르나. 이집트 박물관(카이로).


아크나톤의 종교 개혁은 급진적이었기에 아문 신단의 저항과 역병 등으로 실패했다. 아크헤나텐 사후, 이집트는 아문 신앙으로 회귀했고, 아톤은 아마르나 혁명 이전의 "천체로서의 태양"으로 되돌려졌으며, 아톤 신앙은 소멸되었다.

4. 종교

이집트에서 '아텐'이라는 단어는 고왕국 시대에는 '원반'을 의미했다. 당시 태양은 '낮의 원반'으로 불렸고, 태양신 가 그곳에 군림한다고 여겨졌다. 중왕국 시대, 특히 아크나톤의 통치 하에 아텐 신이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아텐의 이름은 파라오만이 사용하던 '카르투슈' 안에 표기되었는데, 이는 아크나톤이 자신과 아텐 신을 동일시하려는 의도였다. 아텐 숭배를 자신에 대한 숭배로 연결하려 했으나, 백성들은 파라오를 아텐의 종으로 여기고 아텐을 더 상위의 존재로 인식하게 되었다.

아텐 신앙의 기본 원리는 아케나톤의 무덤 벽에 기록되어 있다. 아텐 종교에서는 밤은 어둡고 공포스러운 시간이며, 모든 것은 아텐이 직접 내려다보는 태양과 햇빛 아래에서 잘 이루어진다고 믿었다. 아텐은 모든 피조물에 관심을 가지며, 나일 강을 직접 창조했다고 여겨졌다. 아텐 신의 햇살은 왕족의 생명만을 보호하고 지탱하며, 왕족 외의 생명은 아케나톤과 그의 부인 네페르티티의 신앙심에 의해 유지된다고 간주되었다.

아텐이 직접 말한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예시는 "''살아있는 아텐이 이르길, '내 햇살이 비추며....''."이다.

선한 사람은 죽으면 빛의 도시 '아케타텐'에서 살아있을 때의 호사를 누리며 영원히 살 수 있다고 믿었다. 아텐이 의인화되지 않은 이유는 창조 영역을 넘어선 신성한 존재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왕은 주로 단독으로 아텐 신의 가호를 받는 모습으로 그려졌고, 아텐 신은 동물과 인간의 모습을 초월한 존재로 여겨졌다.

아크나톤은 자신을 아텐과 동일시하지 않고 아텐의 아들이라고 칭했는데, 이는 스스로를 호루스 신과 동일시한 선대 파라오들과는 다른 조치였다. 이는 아텐이 유일신이라는 신앙을 뒷받침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텐 숭배는 '아케타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테베헬리오폴리스에서도 숭배가 이루어졌다. 아텐 신앙의 핵심 교리는 아마르나의 돌무덤 벽에 새겨져 있다. 아텐 신전은 지붕이 없는 형태였고, 입구의 상인방은 사라지고 문지방은 더 높아졌다. 신전 안에는 신상이 허용되지 않았고, 아텐은 태양 원반과 햇살로만 표현되었다. 신전 벽과 기둥은 아케나톤과 그의 가족들이 아텐 신의 가호를 받는 모습으로 장식되었다. 사제들은 아텐에게 많은 공물을 바치지 않았고, 아텐 신전은 백성들에게 세금을 걷지 않았다.

아텐 숭배를 위해 특별히 선발된 여인들은 아케타텐의 태양 신전에서 숭배를 드렸다. 아텐 신전에서는 매일 정화, 의복 착용 의식 대신 하루에 몇 번씩 향을 피우고, 하프 음악과 함께 아텐 찬가가 울려 퍼졌다.

아텐은 고대 이집트 태양신 개념이 변화하여 생겨난 신으로, 태양신 의 힘과 권위를 물려받았지만, 유일하게 존재하는 신이었다. 아텐은 우주의 유일신이며, 광휘를 통해 우주에 빛과 생명을 비추어 질서를 유지한다는 개념이 아텐 신앙의 핵심이었다. 아텐은 아케나톤의 손을 통해 모든 생명체에게 은혜를 나누어주는 존재로 묘사되었고, 아텐의 사랑과 은혜는 무한하다고 가르쳤다.

아멘호테프 3세 치세 동안 아텐은 태양신으로 숭배되었고, 와 같은 매의 머리를 가진 신으로 묘사되었다. 아멘호테프 3세 치하에서 아텐은 고대 이집트 신들 중 최고의 창조신이었지만, 그의 후계자 때에 이르러 유일신으로 인정받았다.[9] 아멘호테프 4세는 아텐을 이집트의 유일신으로 만들고, 이름을 아크나톤으로 변경했다.[7] 아텐 숭배는 아테니즘이라고 할 수 있다. 아테니즘의 핵심 원칙은 아크나톤이 수도로 삼은 아케타텐에 기록되었으며, 현대 학자들은 이를 아마르나, 엘-아마르나 또는 텔 엘-아마르나라고 부른다.

아테니즘에서 밤은 두려워해야 할 시간이다.[10] 일은 태양, 즉 아텐이 있을 때 가장 잘 수행된다. 아텐은 모든 나라와 사람을 창조했으며 모든 생물을 돌본다. 명문에 따르면 아텐은 시리아인들을 위해 하늘에 나일 강(비)을 창조했다.[11] 태양 원반의 광선은 왕족에게만 생명을 부여하며, 왕족이 아닌 사람들은 아크나톤네페르티티, 후에 네페르네페루아텐으로부터 아텐에 대한 충성을 대가로 생명을 받는다.[12] 아텐 찬가와 왕과 같은 명문에서 아텐은 아크나톤을 통해 백성을 돌보는 것으로 묘사되며, 왕족을 아텐 숭배의 중재자로 위치시킨다.[13]

아텐 찬가에서 인류와 지구에 대한 사랑은 아텐의 매너리즘으로 묘사된다.

아크나톤은 아텐의 아들로 자신을 묘사했으며, 전임자들이 신성한 출생을 주장하고 호루스의 화신으로서의 지위를 나타내는 방식을 반영했다. 아크나톤은 아텐과 대화할 수 있는 유일한 중재자로서 자신을 위치시키고 아텐의 최고의 신으로서의 지배력을 강조했다.[16] 이는 아테니즘을 일신교로 간주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켰으며, 따라서 일신교의 최초 사례 중 하나가 되었다.[2]

아텐은 고대 이집트 종교에서 태양신의 전통적인 아이디어를 계승하면서 독특한 신이기도 하며, 와 같은 초기 태양신들로부터 권력과 표현의 많은 개념을 도출했지만, 와 그의 많은 동시대인들이 나타내는 권력을 기반으로 한다. 아텐은 우주에서 절대적인 권력을 지녔으며, 빛의 생명을 주는 힘을 세상에 나타내는 동시에 마아트의 개념과 여신과 융합하여 빛 자체의 힘을 넘어 아텐에 대한 추가적인 책임을 발전시켰다.[15]

아텐 대 신전의 초기 형태를 묘사한 아텐 카르투슈. 왼쪽에는 아크나톤과 네페르네페루아텐의 카르투슈가 있다. 아크나텐, 이집트. 신왕국, 제18왕조 후기. 이집트 토리노 박물관, 이탈리아.


아마르나 시대의 무덤과 사원에 새겨진 비문은 종종 아텐에게 이중 카르투슈로 둘러싸인 왕의 칭호를 부여했다. 일부 학자들은 이를 아크나톤이 아텐의 화신이며, 아텐 숭배가 아크나톤에 대한 직접적인 숭배를 의미한다고 해석했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이를 아텐이 당시 통치하는 왕족보다도 우월한 최고 통치자임을 나타내는 지표로 여겼다.

이 칭호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었다. 첫 번째는 다른 신들의 이름을 포함했고, 두 번째 형태는 이후 더 '단수형'이 되어 아텐 자신만을 언급했다. 초기 형태는 ''레-호라크티로 지평선에서 기뻐하며, 그의 이름은 슈, 즉 아텐이다.''였다. 후기 형태는 ''레, 두 지평선의 통치자, 지평선에서 기뻐하며, 그의 빛의 이름은 아텐이다.''였다.

4. 1. 아텐 신앙의 특징

아텐 신앙은 아크나톤이 이집트의 전통적인 다신교 신앙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한 종교 체계로, 태양 원반의 모습을 한 아텐을 유일신으로 숭배하는 것이 특징이다. 아텐은 이전의 태양신 의 속성을 계승했지만, 인간이나 동물의 형상이 아닌 태양 원반으로만 표현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44]

아텐 신앙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유일신 사상: 아텐은 우주의 유일신이자 창조신으로, 모든 생명체에게 빛과 생명을 부여하는 존재로 묘사된다. 다른 신들은 부정되거나 아텐의 속성으로 흡수되었다.
  • 아크나톤의 역할: 아크나톤은 자신을 아텐의 아들이자 예언자로 칭하며, 아텐과 인간 사이의 유일한 중재자 역할을 자처했다. 이는 파라오의 권위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16]
  • 자연과의 조화: 아텐 신앙은 모든 피조물이 아텐으로부터 비롯되었으며, 아텐과 함께 존재한다는 사상을 강조한다. 밤은 두려움의 시간으로 여겨졌고, 모든 것은 아텐의 햇빛 아래에서 이루어진다고 믿었다.[10]
  • 형상의 변화: 아텐은 태양 원반에서 뻗어 나오는 햇빛의 형태로 구현되었고, 그 햇빛 중 하나는 생명의 상징 '앙크'를 쥐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48] 이는 다른 이집트 신들과 달리, 동물이나 인간의 모습이 아닌 추상적인 형태로 나타내어 모든 사람에게 평등하게 손을 내밀고 있는 모습이라고 한다. 그러나 아마르나 개혁으로 인해 앙크를 든 손은 아크나톤에게 건네지고 있다. 이 모습은 파라오의 권위를 강화하려는 의도로 그려졌다.
  • 평화와 은혜: 아텐은 평화와 은혜의 신으로 여겨졌다.[49]


아텐 신앙은 아크나톤 사후 다시 전통 신앙으로 복귀하면서 쇠퇴했지만, 유일신 사상과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는 등 이집트 종교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4. 2. 아텐 숭배

아텐 신전은 지붕이 없는 개방형 구조로, 햇빛이 직접 들어올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5] 신상은 허용되지 않았으며, 아텐은 태양 원반과 햇살로만 표현되었다.[19] 사제들은 아텐에게 많은 공물을 바치지 않았고, 아텐 신전은 백성들에게 세금을 걷지 않았다.[20] 아텐 숭배는 정화 의식이나 신상에 옷을 입히는 의식 대신, 향을 피우고 찬가를 부르는 형태로 이루어졌다.[21]

아케나톤이 오리를 희생하는 모습. 신왕국, 제18왕조 후기.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뉴욕시.

4. 3. 아텐 찬가

아텐 찬가는 아텐의 창조적인 힘과 모든 생명체에 대한 사랑을 찬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아케나톤 시대의 종교적 신념을 보여준다.[15] 이 찬가는 아케타텐에 있는 여러 무덤 벽면에 새겨져 있다.[46]

아텐 찬가의 내용은 아텐이 전 인류, 동물, 새, 식물 등 모든 것을 창조한 존재이며, 그 힘과 독특한 성격을 강조한다.[46] 아텐은 인류와 지구에 대한 사랑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생물을 돌보고 그들에게 햇빛과 비를 내려주는 존재로 묘사된다.[15]

아케나톤의 찬가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아텐께서는 허리를 숙이시어 지상의 창조물들을 굽어살피신다. 그는 하늘의 왕좌에서 모두를 내려보시는 분이시다. 그는 모두를 위해 빛나시고, 모두를 위해 따뜻한 햇빛과 비를 내려주신다. 그 분은 태어나지 않은 아기와 아이들을 돌보아 주신다. 신의 아들이신 아케나톤께서는 그 분께 요청하신다. '아텐이시여, 당신의 창조물을 들어올리시어 우리가 당신의 완벽함을 찬미할 수 있게 해주소서.....'"''

아텐 찬가는 성경의 시편 104편과 유사하다는 지적이 있다.[46] 아텐 신앙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유일신교라는 주장이 나오면서 시편 104편이 아텐 찬가를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다. 그러나 시대적 차이가 크고, 아텐 신앙을 완전한 유일신교로 보기 어렵다는 점 때문에 현재는 두 찬가 사이에 직접적인 관계는 없고, 공통된 정신적 기반이 유사한 표현을 낳았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46]

5. 모습

아텐은 다른 이집트 신들과 달리 동물이나 인간의 형태가 아닌, 태양 원반에서 뻗어 나오는 햇빛의 형태로 표현되었다. 햇빛의 끝은 손 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중 하나는 생명의 상징인 앙크를 쥐고 있다.[48] 아텐은 평화와 은혜의 신으로 여겨졌으며,[49] 모든 사람에게 평등하게 은혜를 베푸는 존재로 묘사된다.[44]

아마르나 개혁 이후에는 앙크를 든 손이 아크나톤에게만 앙크를 건네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는데, 이는 파라오의 권위를 강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6. 아케타텐

아케타텐은 아케나톤이 건설한 새로운 수도로, '아텐의 지평선'이라는 의미를 지닌다.[1] 도시는 아텐 신앙을 중심으로 설계되었으며, '왕의 길'이라는 도로가 중앙을 가로질러 왕궁으로 연결되었다.[1] 아케타텐의 건물과 신전은 다른 고대 이집트 도시와는 다른 독특한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1]

아텐을 모시는 신전은 지붕이 없는 형태였고, 입구는 상인방이 사라지고 문지방이 더 높아졌다.[1] 신전 안에는 신상이 허용되지 않았고, 아텐은 태양 원반과 햇살로만 표현되었다.[1] 대신 신전 벽과 기둥은 아케나톤과 그의 가족들이 아텐 신의 가호를 받는 모습으로 장식되었다.[1]

14개의 표지석들이 아케타텐의 경계를 구분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각각의 표지석에는 도시를 세웠다는 공표와 함께 왕실 가족들이 아텐 신의 가호를 받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1] 아케나톤은 도시가 지어지는 모습을 직접 보기 위해 자주 전차를 타고 순찰을 돌았다고 한다.[1]

도시의 난간들은 아케나톤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지어졌으며, 왕비와 공주들이 아텐 신을 섬기는 모습이 도시의 계단, 제단, 화로 등에 새겨졌다.[1]

7. 건축

아케타텐을 중심으로 테베와 헬리오폴리스에서도 아텐 신앙이 숭배되었다. 아텐 신전은 다른 신전들과 달리 지붕이 없는 개방형 구조였으며, 다양한 색조의 기둥을 사용했다. 입구는 상인방이 없고 문지방이 높았으며, 신전 안에는 신상을 두지 않고 태양 원반과 햇살로만 아텐을 표현했다. 신전 벽과 기둥은 아케나톤과 그의 가족들이 아텐 신의 가호를 받는 모습으로 장식되었다. 사제들은 아텐에게 많은 공물을 바치지 않았고, 아텐 신전은 별도로 세금을 걷지 않았다.

아텐 숭배는 특별히 선발된 여인들이 아케타텐의 태양 신전에서 담당했다. 다른 이집트 신전과 달리 매일 정화, 의복 착용 의식은 없었지만, 하루에 몇 번씩 향을 피우고 하프 음악과 함께 아텐 찬가를 불렀다.

아텐 신전은 통풍이 잘되는 구조였으며, 햇빛을 최대한 받기 위해 지붕 면적을 최소화했다. 가축 우리와 농경지는 아텐에게 바칠 제물을 위해 신전 근처에서 운영되었다.

7. 1. 도시

아케타텐에 세워진 건물들과 신전들은 다른 이집트의 도시들과 그 형식을 달리했다. 도시의 난간들은 아케나톤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지어졌으며, 왕비와 공주들이 아텐 신을 섬기고 있는 모습이 도시의 계단, 제단, 화로 등에 새겨졌다.[2] 도시에서 발견된 난간들의 잔해들은 처음에는 그저 기념용 돌기둥으로 여겨졌으나, 나중에는 그것들이 발견된 위치와 함께 문양이 새겨져 있는 모습들로 인하여 난간으로 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2]

7. 2. 신전

아텐 신앙의 주요 신전은 아케타텐을 중심으로 테베와 헬리오폴리스에서도 숭배가 이루어졌다.[1] 아텐 신전은 다른 신전들과 달리 지붕이 없는 개방형 구조로, 햇빛을 최대한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5] 신전 입구는 상인방이 없고 문지방이 높았으며, 내부에는 신상이 허용되지 않고 태양 원반과 햇살로만 아텐을 표현했다.[19]

신전 벽과 기둥에는 아케나톤과 그의 가족들이 아텐의 가호를 받는 모습이 새겨져 있었다. 아텐 신전에서는 매일 정화 의식 대신 향을 피우고, 하프 음악과 함께 아텐 찬가가 울려 퍼졌다.

아케타텐에는 두 개의 거대한 신전이 도시 중심부를 이루고 있었는데, 그중 더 큰 신전은 도시 북쪽에 위치하며 약 24만 제곱미터의 면적에 지붕이 없는 열린 구조였다.[27] 신전 제단에는 동물이나 인간 모습의 신상 대신, 태양을 상징하는 황금 원반과 햇살만이 모셔져 있었다.

8. 아마르나 미술

아케나톤 시대의 미술은 '아마르나 양식'이라고 불리며, 사실주의적인 표현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태양빛이 사물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성질을 본받기 위한 것으로, 이전의 이상화된 미술 양식과는 차이를 보인다.

9. 유일신기원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아케나톤의 통치 시기와 출애굽 시기가 거의 일치한다는 점을 근거로, 아텐 신앙이 유대교유일신 사상의 원형이라는 설[50]을 주장했다. 그는 아텐이 히브리어의 주(아딘)와 유사하다는 점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47] 그러나 아텐 신앙이 완전한 유일신교였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며, 배일신교[40] 또는 단일신교[41]로 보는 견해도 있다.

10. 아텐 신앙의 종말과 그 이후

아크나톤 사후, 아텐 신앙은 약 10년간 더 이어지다가 사라졌다. 투탕카멘은 파괴된 신전들을 복구하고, 전통적인 신들의 만신전을 복원했다. 이러한 변화는 아텐 신앙이 이집트 사회의 주류에서 멀어졌음을 의미한다.[2] 투탕카멘의 종교적 결정은 아텐을 유일신으로 숭배하는 것에서 벗어나 이집트의 전통적인 신앙을 복원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아크나톤의 종교적 실험이 실패했음을 보여준다.[2]

투탕카멘아문 숭배를 재건하고, 아텐 신이 아닌 다른 신을 국가적으로 숭배하는 것에 대한 금지를 풀면서 전통적인 고대 이집트의 범신론으로 복귀했다.[34] 이러한 전환점은 투탕카텐에서 투탕카문으로 이름이 변경된 것에서 볼 수 있는데, 이는 아텐 숭배에 대한 지위 하락을 나타낸다.[15] 아크나톤 사후 숭배에 대한 숙청은 없었지만, 아텐은 이집트에서 약 10년 정도 더 지속되다가 사라지는 듯했다. 투탕카멘이 권력을 잡았을 때, 그의 종교적 통치는 관용을 보였으며, 주요 차이점은 아텐이 더 이상 공식적이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숭배되는 유일한 신이 아니었다는 것이다.[2]

이 종교 개혁은 너무나 급진적이었기에 아문 신단(神團)의 저항이 거세졌고, 역병 등이 만연하여 결국 실패로 끝났다. 아크헤나텐(Amenhotep IV Akhenaten)이 실의 속에 죽은 후 그의 아들인 투탕카멘 왕 시대에 이집트는 아문 신앙으로 회귀했다. 아톤은 아마르나 혁명 이전의 "천체로서의 태양"으로 되돌려졌고, 아톤 신앙은 소멸되었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Wiley-Blackwell 2011
[2] 서적 Akhenaten, the heretic king https://www.worldca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3] 서적 The way to eternity: Egyptian myth http://worldcat.org/[...] Duncan Baird Publishers 2003
[4] 서적 Zarathustra: myth, message, history https://www.worldcat[...] Friesen Press 2015
[5] 논문 Akhenaten's Amarna in New Kingdom Egypt: Relations of Landscape and Ideology http://dx.doi.org/10[...]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2023-03-03
[6]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a book of readings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
[7] 서적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ancient Egypt http://worldcat.org/[...] Thames & Hudson
[8]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9]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a book of readings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
[10] 서적 Akhenaten and the religion of light https://www.worldcat[...] Cornell University Press 2001
[11] 서적 The history of Egypt https://www.worldcat[...] Greenwood Press 2004
[12] 서적 Handbook of Egyptian mythology https://www.worldcat[...] ABC-CLIO 2002
[13]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a book of readings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
[14] 학술지 The Aten is the 'Energy of Light': Mew Evidence from the Script https://www.jstor.or[...]
[15] 서적 Pharaohs of the sun: Akhenaten, Nefertiti, Tutankhamen https://www.worldcat[...] Boston Museum of Fine Arts; Bulfinch Press/Little, Brown and Co. 1999
[16]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a book of readings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
[17] 웹사이트 Excavating Amarna– Archaeology Magazine Archive https://archive.arch[...] 2023-03-10
[18]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a book of readings. Volume II, The New Kingdom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
[19] 웹사이트 Aten, God of Egypt https://www.landofpy[...] 2023-02-24
[20] 웹사이트 Aten https://www.landofpy[...] 2023-02-24
[21] 웹사이트 Akhenaten, Nefertiti & Aten: From Many Gods to One https://arce.org/res[...] 2023-03-02
[22] 학술지 Akhenaten as the Early Morning Light: Revisiting the 'Consecration' Ritual in Amarna http://dx.doi.org/10[...] 2016
[23] 학술지 A sun-shade temple of Princess Ankhesenpaaten in Memphis? http://journals.sage[...] 2011
[24] 서적 Arrest and movement: an essay on space and time in the representational art of the ancient Near East https://www.worldcat[...] Belknap Press 1987
[25] 서적 Egypt and the Egyptians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6] 서적 Egypt, the Trunk of the Tree A Modern Survey of an Ancient Land http://worldcat.org/[...] Algora Publishing 2007
[27] 서적 The ancient gods speak: a guide to Egyptian religion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8] 학술지 Balustrades, Stairs and Altars in the Cult of the Aten at el-Amarna https://www.jstor.or[...] 1994
[29] 학술지 Notes on the 'Aten' https://www.jstor.or[...] 1965
[30] 학술지 Notes on the Aten and His Names https://www.jstor.or[...] 1923
[31] 서적 The Sunshade Chapel of Meritaten from the House-of-Waenre of Akhenaten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7
[32] 서적 Religion and cultural memory: ten studies http://worldcat.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2
[33] 서적 Akhenaten: history, fantasy, and ancient Egypt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00
[34] 서적 Akhenaten and the religion of light https://www.worldcat[...] Cornell University Press 2001
[35] 서적 The Rise and Fall of Ancient Egypt Random House
[36] 서적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2003
[37] 문서 헤리오폴리스에서 숭배되었다는 설에 대한 학문적 근거 부재
[38] 서적 Kodai ejiputojin https://www.worldcat[...] 筑摩書房 1986
[39] 문서 최초의 유일신교 가능성에 대한 재고 및 단일신교 또는 숭배일신교 단계로의 재해석
[40] 서적 Akhenaten : history, fantasy, and ancient Egypt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00
[41] 서적 Egypt and the Egyptians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42] 웹사이트 Ancient Egypt Gods: The Aten www.ancientegyptonli[...] 2018-03-19
[43]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05
[44] 문서 아텐 신화와 신상의 부족으로 인한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신으로의 변화
[45] 문서 아멘호테프 4세의 외교 정책과 아멘 신단 유지에 대한 설명
[46] 서적 고대 오리엔트 집 筑摩書房 1999
[47] 문서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모세와 일신교 및 유일신교 아마르나 기원설, 요시무라 사쿠지의 유사 아이디어 언급
[48] 문서 아텐 신화와 신상의 부족으로 인한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신으로의 변화 (한국어)
[49] 문서 아멘호테프 4세의 외교 정책과 아멘 신단 유지에 대한 설명 (한국어)
[50] 문서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모세와 일신교 및 유일신교 아마르나 기원설, 요시무라 사쿠지의 유사 아이디어 언급 (한국어)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