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엔네아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엔네아드는 '아홉'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말로, 이집트 신화에서 아홉 명의 신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헬리오폴리스의 대 엔네아드는 아툼, 슈와 테프누트, 게브와 누트, 오시리스, 이시스, 세트, 네프티스로 구성되며, 창조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집트의 통일 이후 여러 엔네아드가 생겨났으며, 제5왕조와 제6왕조의 피라미드 텍스트에 언급되기도 한다. 또한, 2016년 영화 《갓 오브 이집트》,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미니시리즈 《문나이트》 등 대중문화에서도 엔네아드가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 신 - 아톤
    아톤은 아크나톤의 종교 개혁으로 이집트의 유일신으로 숭배된 태양신으로, 태양 원반의 모습과 인간이나 동물이 아닌 태양 광선 형태로 묘사된 것이 특징이다.
  • 이집트 신 - 오그도아드
    오그도아드는 이집트 신화에서 혼돈을 의인화한 남녀 신 4쌍으로 구성된 8명의 신 집합으로, 세상의 질서 유지와 창조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9인조 - 리틀록 9인
    리틀록 9인은 1957년 아칸소주 리틀록 센트럴 고등학교에 입학한 9명의 흑인 학생들로, 심각한 인종차별과 괴롭힘 속에서 인종 차별 철폐를 위한 투쟁을 벌여 미국 시민권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9인조 - 아홉 위인
    아홉 위인은 자크 드 롱귀용의 《Voeux du Paon》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이교, 유대교, 기독교 각 전통에서 기사도의 전형으로 여겨지는 대표적인 인물 아홉 명을 일컫는다.
  • 9 - 구진법
    구진법은 9를 밑으로 하는 위치 기수법으로 0부터 8까지의 숫자를 사용하여 수를 나타내며, 3의 배수 표현이 간결하고 3의 역수는 유한소수로 표현되는 특징이 있다.
  • 9 - 인마궁
    인마궁 또는 사수자리는 점성술에서 황도 12궁 중 아홉 번째 별자리로, 궁수 또는 켄타우로스로 묘사되며 11월 22/23일부터 12월 21/22일에 해당하고 주 행성은 목성이다.
엔네아드
엔네아드
아니 파피루스에 묘사된 엔네아드
아니 파피루스에 묘사된 엔네아드
이집트어Z2:Z2:Z2-N9:X1-R8-R8-R8
음역psḏt
가나안 신화엘의 신성 의회
구성원
태양신 (케프리)
창조신누 - 아툼
공기의 신 - 테프누트
대지의 신게브 - 누트
주요 신오시리스 - 이시스
혼돈의 신세트 - 네프티스
추가 구성원(호루스 - 아누비스)
관련 장소
주요 숭배지헬리오폴리스
기타 관련 장소헤르모폴리스

2. 명칭

ἐννεάς|엔네아스grc(Ennead영어)는 고대 그리스어 ''엔네아스''(ἐννεάς)에서 유래한 말로, '아홉'을 의미한다.[1] 이집트어로는 '''페세제트'''(Pesedjet)라고 불렸다.

3. 헬리오폴리스의 대(大) 엔네아드

대 엔네아드는 고대 이집트에서 아홉 신의 여러 집단 중 하나였지만, 헬리오폴리스 사제들이 주장하는 우위는 이집트 전역에서 존중받지 못했다. 각 노모스는 일반적으로 자체적인 지역 신들을 가지고 있었고, 그들의 사제들은 다른 모든 신들보다 우위에 있다고 주장했다. 헬리오폴리스와 함께 현대 카이로 경계 안에 있는 멤피스에서 프타의 사제들은 그를 아홉 신보다 우월하다고 칭송했다. 멤피스는 자체적인 창조 신화를 가졌고, 헤르모폴리스는 여덟 원시 신에 의한 우주 창조를 설명하는 오그도아드를 가지고 있었다.

, 토트, 호루스, 아멘-라 등이 아홉 신의 구성을 바꾸기도 하였다.

3. 1. 아홉 신

아툼은 최초의 혼돈으로 가득한 심연에서 솟아오른 '벤벤'이라는 언덕에서 스스로 존재하게 된 창조신이다. 테프누트는 아툼이 뱉은 침 혹은 자위 행위를 통해 낳은 공기의 남신과 습기의 여신이다. 게브와 누트는 슈와 테프누트 사이에서 태어난 땅의 신과 하늘의 여신이다. 오시리스, 이시스, 세트, 네프티스는 게브와 누트 사이에서 태어난 4명의 신들이다.

이름설명
아툼태초의 혼돈에서 스스로 나타난 창조신. 태양신 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아툼이 낳은 공기의 남신.
테프누트아툼이 낳은 습기의 여신.
게브슈와 테프누트 사이에서 태어난 땅의 신.
누트슈와 테프누트 사이에서 태어난 하늘의 여신.
오시리스게브와 누트의 자식으로, 풍요와 사후 세계를 관장하는 신.
이시스게브와 누트의 자식으로, 오시리스의 아내이자 호루스의 어머니. 마법과 치유의 여신.
세트게브와 누트의 자식으로, 혼돈과 폭풍의 신. 오시리스와 대립한다.
네프티스게브와 누트의 자식으로, 세트의 아내. 장례와 보호의 여신.


3. 2. 신화

헬리오폴리스 창조 신화에 따르면, 태초의 물 눈(Nun)에서 벤벤 언덕이 솟아올랐고, 그 위에서 아툼이 스스로 나타났다. 아툼은 자신의 침이나 정액으로 슈와 테프누트를 창조했고, 이 둘이 결합하여 게브와 누트를 낳았다. 게브와 누트는 다시 오시리스, 이시스, 세트, 네프티스를 낳아 엔네아드를 완성했다. 오시리스와 이시스는 부부로서 풍요와 질서를 상징하는 반면, 세트와 네프티스는 혼돈을 상징하며 균형을 이룬다. 오시리스와 이시스의 아들인 호루스는 종종 이 창조 전통에 포함된다.

4. 다른 엔네아드

고대 이집트에는 헬리오폴리스의 대 엔네아드 외에도 다양한 엔네아드가 존재했다. 각 노모스는 일반적으로 자체적인 지역 신들을 가지고 있었고, 그들의 사제들은 다른 모든 신들보다 우위에 있다고 주장했다. 멤피스의 사제들은 프타를 아홉 신보다 특별히 우월하다고 칭송했다. 헤르모폴리스는 여덟 원시 신에 의해 우주의 물리적 창조를 설명하는 오그도아드를 가지고 있었다.

일부 파라오들은 자신을 신격화하여 엔네아드를 구성하기도 했다.

5. 역사

제1왕조 치하에서 통일이 이루어지면서, 여러 지역의 숭배가 서로 접촉하게 되어 고대 이집트인들은 여러 엔네아드를 만들었다. 고대 이집트 신화는 종종 동일한 현상에 대해 여러 가지 다른 설명을 가지고 있었다. 이 개념은 특히 독특한데, 어떤 이야기도 다른 이야기보다 더 정확하지 않았고, 진실은 그 모든 이야기의 혼합이었다. 제5왕조와 제6왕조의 피라미드 텍스트에는 "대 엔네아드", "소 엔네아드", "이중 엔네아드" 및 "7 엔네아드"가 언급되어 있다. 일부 파라오들은 신격화되어 자신을 신으로 신격화한 엔네아드를 세웠다. 가장 주목할 만한 경우는 제19왕조의 세티 1세로, 레데시야의 장제전에서 6명의 주요 신과 자신의 신격화된 형태 3명으로 구성된 엔네아드를 기념했다. 행운과 불운의 이집트 달력에 언급된 ''엔네아드''[2]플레이아데스 성단을 언급할 수 있다.[3]

가장 중요한 것은 헬리오폴리스로 알려진 아와누(I͗wnw|아와누egy)의 "대" 또는 "헬리오폴리스 엔네아드"였다. 이 엔네아드는 태양신 아툼 (때로는 아툼-레로도 불림)의 가족을 기렸으며, 고왕국 시대부터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 시대까지 번성했다.

그 발전은 불확실하게 남아 있지만, 제5왕조 시대에 최고였던 숭배가 제6왕조 시대에 중요성이 감소했을 때 처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집트학자들은 전통적으로 헬리오폴리스 사제단이 아툼의 우위를 확립하기 위해, 일부 주요 신들을 낮은 위치에 통합하고 다른 신들을 완전히 생략하여 이를 세웠다고 이론화했다. 이러한 신들 중 가장 두드러진 신은 아툼의 증손자로 엔네아드에 통합된 오시리스(식물신이자 사후 세계의 신)였다. 그러나 20세기에는 일부 이집트학자들이 이 모든 시나리오에 의문을 제기했다. 대 엔네아드가 잘 정착된 후, 라 숭배는 공존하여 아툼과 동일시되었고, 호루스 숭배에 의해 대체될 때까지 중요성의 대부분을 회복했다. 그 후 둘은 '지평선의 라-호루스'로 결합되었다.

6. 대중문화 속 엔네아드

영화 《갓 오브 이집트》(2016)에서는 엔네아드의 신들이 등장하며, 주인공인 호루스와 그의 적대자인 세트 간의 갈등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미니시리즈 《문나이트》(2022)의 첫 번째 에피소드에서 스티븐 그랜트는 엔네아드를 9명의 신이 아닌 7명의 신으로 구성된 판테온으로 언급하는 듯한 문제점을 지적한다.[1] 그러나 3화에서는 하토르를 엔네아드의 일원으로 언급하며, 시리즈의 신화 해석과의 차이를 보여준다.[1]

모히또(작가)의 BL 만화 [https://www.tappytoon.com/en/book/ennead ENNEAD]는 세트(세스라는 이름을 사용)를 주인공으로 하여 고대 이집트 신화를 바탕으로 호루스세트의 갈등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2]

협동 슈퍼히어로 카드 게임 센티넬 오브 더 멀티버스의 확장팩 《인페르날 렐릭스》에는 엔네아드라는 슈퍼 빌런 집단이 등장한다.[3] 각 멤버는 신화 속 엔네아드의 구성원의 힘과 외형을 부여하는 고대 유물을 사용하며, 게임의 세계관에서 고대 이집트 종교의 대부분은 이 유물을 처음 사용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다.[3]

참조

[1] 백과사전 Ennead, ''n.'' http://www.oed.com/v[...] Oxford University Press
[2] 문서 Papyrus Cairo 86637
[3] 논문 Shifting milestones of natural sciences: The ancient Egyptian discovery of Algol's period confirm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