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동 노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동 노씨는 노수를 도시조로 하고, 고려 시대에 안동백에 봉해진 노만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 이부상서를 지낸 노우를 일세조로 하여 안동을 관향으로 삼았다. 주요 인물로는 고려 시대에 판도판서를 지낸 노영길, 조선 시대에 판의금부사를 지낸 노담 등이 있으며, 이조판서공파, 부사공파 등 여러 분파가 있다. 2000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3,144명이 안동 노씨로 파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동 노씨 - 노만 (고려)
    노만 (고려)은 현재까지 관련 정보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인물이다.
안동 노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자 표기安東 盧氏
국가한국
지역안동시
역사
관향경상북도 안동시
인구 통계
2000년 인구3,144명

2. 역사

노수의 다섯째 아들 '''노만'''(盧鏋)이 고려에 출사하여 안동백(安東伯)에 봉해졌고, 후손 우(祐)는 고려 때 이부상서를 거쳐 평장사를 역임한 후 안동에 세거하였으므로, 후손들이 우(祐)를 일세조(一世祖)로 하고 관향(貫鄕)을 안동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계승하여 왔다.

안동 노씨 일세조 우(祐)의 손자 영길(永吉)은 고려에서 판도판서를 지내고 나라에 공을 세워 안동부원군(安東府院君)에 봉해졌다. 그의 아들 숭(崇)은 한림학사를 역임하고 아들 4형제를 두었는데, 맏아들 원성(元成)은 도원수, 셋째 원신(元信)은 감무, 막내 원명(元明)은 사재감정과 전서를 역임하여 가문을 크게 중흥시켰다.

원명(元明)의 맏아들 담(淡)은 조선에서 의금부의 으뜸벼슬인 판의금부사를 역임했고, 그의 아들 윤적(允迪)은 판서, 손자 경(冏)과 수(秀)는 참판을 역임하여 가문을 일으켰다.

원명의 둘째 아들 징(澄)은 판사평부사, 셋째 아들 결(潔)은 도사, 막내 담(湛)은 대언을 각각 지냈다. 그 외 담(湛)의 아들 윤정(允正)이 형조참의를 역임하고 손자 인석(仁錫)은 현감을 지냈으며, 첨지중추부사 윤필(允弼)의 아들 우현(祐賢)은 현감을 역임하여 이조참판 몽재(夢宰), 목사 세영(世英), 한림학사 덕린(德麟), 보호군 승주(承柱)와 함께 안동 노씨의 가통(家統)을 지켰다.

3. 분파

안동 노씨에는 노영길의 증손자를 파조로 보는 부사공파와 군수공파, 노원명의 아들을 파조로 보는 갈운파, 산동파, 용동파, 김제파, 촌직장파, 판서공파, 참판공파 등이 있다.[1]

3. 1. 주요 분파

노윤적(盧允迪)은 안동 노씨 시조 노만(盧만)의 7세손으로, 15세기 전반에 안동에서 처가가 있는 임피로 이주하였다. 이후 그의 후손들이 서수면 일대에 집성촌을 이루며 살았는데, 이들은 노윤적이 이조 판서를 지냈다 하여 자신들을 이조판서공파라고 부르고 있다.[1]

안동 노씨의 주요 분파는 다음과 같다.[1]

  • 부사공파: 노영길의 증손자 수천을 파조로 한다.
  • 군수공파: 노영길의 증손자 의천을 파조로 한다.
  • 갈운파: 노원명의 장남 달의 후손인 몽재의 아들 의신을 파조로 한다.
  • 산동파: 몽재의 아들 경신을 파조로 한다.
  • 용동파: 노원명의 차남 징의 아들인 중례를 파조로 한다.
  • 김제파: 노원명의 차남 징의 아들인 중리를 파조로 한다.
  • 촌직장파: 노원명의 삼남인 결의 아들 윤필을 파조로 한다.
  • 판서공파: 노원명의 사남인 담의 아들인 윤정을 파조로 한다. (후에 우벽을 파조로 보는 황각공파가 분리됨)
  • 참판공파: 노원명의 사남인 담의 아들인 윤신을 파조로 한다.

3. 2. 이조판서공파

노윤적(盧允迪)은 안동 노씨 시조 노만(盧만)의 7세손으로, 15세기 전반에 안동에서 처가가 있는 임피로 이주하였다. 이후 그의 후손들이 서수면 일대에 집성촌을 이루며 세거하였는데, 이들은 노윤적이 이조판서를 지낸 것을 기념하여 자신들을 이조판서공파라고 부르고 있다.[1]

노영길의 증손자 수천을 파조로 보는 부사공파, 의천을 파조로 보는 군수공파, 원명의 장남 달의 후손인 몽재의 아들 의신을 파조로 보는 갈운파, 몽재의 아들 경신을 파조로 보는 산동파, 원명의 차남 징의 아들인 중례가 파조인 용동파, 중리의 파조인 김제파, 원명의 삼남 결의 아들 윤필을 파조로 보는 촌직장파, 원명의 사남 담의 아들인 윤정을 파조로 보는 판서공파(후에 우벽을 파조로 보는 황각공파 분리), 담의 아들인 윤신을 파조로 보는 참판공파 등이 있다.[1]

4. 본관

안동(安東)은 경상북도 북동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고대에 창녕국(昌寧國)이었다. 신라 시대에는 고타야군(古陀耶郡)·고창군(古昌郡)으로 불리다가 고려 태조가 후백제 견훤과 싸워 전공을 세우자 안동부(安東府)로 승격되었다. 그 후 영가군(永嘉郡) 또는 복주(福州)로 개칭되었다가 1361년(공민왕 10)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로 승격되었고, 여러 변천을 거쳐 1914년 안동·예안을 통합하여 안동군이 되었다.

5. 항렬

안동 노씨는 문헌에 따라 항렬이 다르다. 안동파의 항렬은 21세 광(光)부터 시작한다. 세(世)와 대(代)는 다른데, 세에서 1을 빼면 대가 된다. (예: 24세손 = 23대손)

세(世)항렬자
23세鎭(진)·錫(석)·鐘(종)·鉉(현)
24세湜(식)·河(하)·澤(택)·永(영)
25세東(동)·相(상)·桓(환)·秉(병)
26세熙(희)·烈(렬)·煥(환)·秉(병)
27세在(재)·奎(규)·培(배)·基(기)
28세鎬(호)·銀(은)·鉉(현)·錫(석)
29세洪(홍)·浩(호)·永(영)·淳(순)
30세根(근)·栢(백)·植(식)·杬(원)


6. 주요 인물

안동 노씨는 고려조선시대에 걸쳐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고려시대 주요 인물로는 노만, 노우, 노영길, 노숭, 노원성, 노원신, 노원명 등이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노진종, 노후익, 노두망 등이 과거에 급제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가 노환이 활동하였다.[1]

6. 1. 고려 시대

안동 노씨는 도시조(都始祖) '''노수'''의 다섯째 아들 '''노만'''(盧鏋)이 고려조에 출사하여 안동백(安東伯)에 봉해졌고, 후손 우(祐)는 고려 때 이부상서를 거쳐 평장사를 역임한 후 안동에 세거(世居)하였으므로 후손들이 우(祐)를 일세조(一世祖)로 하고 관향(貫鄕)을 안동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계승하여 왔다.

안동 노씨는 일세조 우(祐)의 손자 영길(永吉)이 고려에서 판도판서를 지내고 나라에 공을 세워 안동부원군에 봉해졌다. 그의 아들 숭(崇)은 한림학사를 역임하고 슬하에 아들 4형제를 두었는데, 맏아들 원성(元成)은 도원수를, 셋째 원신(元信)은 감무를, 막내 원명(元明)은 사재감정과 전서를 역임하여 가문을 크게 중흥시켰다.

한편 원명(元明)의 맏아들 담(淡)은 조선에서 의금부의 으뜸 벼슬인 판의금부사를 역임했고, 그의 아들 윤적(允迪)은 판서를, 손자 경(冏)과 수(秀)는 참판을 역임하여 가문을 일으켰다. 원명(元明)의 둘째 아들 징(澄)은 판사평부사를, 셋째 아들 결(潔)은 도사, 막내 담(湛)은 대언을 각각 지냈다.

그 외 담(湛)의 아들 윤정(允正)이 형조참의를 역임하고 손자 인석(仁錫)은 현감을 지냈으며, 첨지중추부사 윤필(允弼)의 아들 우현(祐賢)은 현감을 역임하여 이조참판 몽재(夢宰), 목사 세영(世英), 한림학사 덕린(德麟), 보호군 승주(承柱)와 함께 안동 노씨의 가통(家統)을 지켰다.

6. 2. 조선 시대

안동 노씨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걸쳐 여러 관직자를 배출했다. 조선 시대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생몰년주요 경력
노담(淡)?조선 시대에 의금부의 최고 벼슬인 판의금부사를 역임했다.
노윤적(允迪)?노담의 아들로 판서를 역임했다.
노경(冏)?노윤적의 아들로 참판을 역임했다.
노수(秀)?노윤적의 아들로 참판을 역임했다.
노진종(進宗)?1516년에 관직을 역임했다.
노후익(後益)?1631년에 관직을 역임했다.
노두망(斗望)?1655년 생원진사시에 합격했다.
노환(盧煥)?~1994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1994년 대전국립현충원 애국지사 2묘역에 안장되었으며, 대한민국 애국장을 수여받았다.


6. 3. 근현대

안동 노씨는 근현대에 들어서도 여러 인물을 배출했다.

  • 노환( ? ~1994)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애국장을 수여받았으며, 1994년 대전국립현충원 애국지사 2묘역에 안장되었다.[1]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
이름연도
노진종1516년
노후익1631년
노두망1655년


7. 인구

2000년 조사 결과 983가구, 3144명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안동노씨 安東盧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7
[3] 웹사이트 "(135)교하 노씨(交河盧氏)-53,203명" http://www.seoulecon[...] 2022-08-17
[4] 웹사이트 소개 http://www.rohs.or.k[...] 노씨중앙종친회 2022-0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