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시에타의 요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시에타의 요셉은 1534년 스페인에서 태어나 브라질에서 활동한 예수회 선교사이다. 그는 브라질 원주민 선교에 헌신하며, 투피어 문법서를 저술하고, 문학 작품을 남기는 등 브라질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또한, 타모요 연맹과의 평화 협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브라질과 카나리아 제도에서 기념되고, 2014년 교황 프란치스코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안시에타는 예수회 전통에 따라 많은 교류 관계를 맺고, 주로 서신을 통해 그의 상사들과 연락을 주고받았으며, 흠 잡을 데 없는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라틴어, 투피어를 구사했다.
2. 생애
2. 1. 초기 생애 (1534년 ~ 1553년)
조제 드 안치에타는 1534년 3월 19일 스페인 카나리아 제도 테네리페 섬의 산크리스토발데라라구나에서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다.[4] 1534년 4월 7일 성모 레메디오스 교구(현재 라라구나 대성당)에서 세례를 받았다.[5] 그의 아버지는 바스크 지방 출신의 지주였던 후안 데 안시에타 이 에스케레테기였으며, 황제 카를 5세에 대한 반란에 참여한 후 1525년 테네리페로 피신했다.[4] 어머니 멘시아 디아스 데 클라비호 이 라레나는 테네리페 정복자의 후손이자 개종 유대인이었다. 안치에타는 14세 때까지 카사 안치에타로 알려진 가족의 집에서 살았다.[6]
14세에 안치에타는 포르투갈 코임브라의 왕립 예술 대학에서 공부했다. 그는 매우 독실하여 사제직에 대한 소명을 느꼈고, 1551년 코임브라 대학교의 예수회 대학에 입학하여 예수회에 입회했다.[4] 견습생 시절 과도한 금욕주의로 척추 부상을 입었으나,[19] 뛰어난 학업 능력과 시적 재능을 보였다. 그는 포르투갈어와 라틴어를 모국어처럼 읽고 쓸 수 있을 정도로 배웠다.
2. 2. 브라질 선교 (1553년 ~ 1597년)
안시에타는 1553년 예수회의 세 번째 브라질 파견단에 포함되어 브라질로 향했다.[4][19] 항해 도중 난파를 겪었으나, 생존자들과 함께 브라질 최초의 마을인 상 비센테에 도착하여 타푸이아 원주민들과 처음으로 접촉했다.[4]
같은 해 말, 브라질 예수회 관구장 마누엘 다 노브레가는 안시에타를 포함한 13명의 예수회원들을 세라 도 마르 산맥 너머 티에테 강 유역의 고원지대로 파견했다.[7] 이들은 그곳에 작은 선교촌을 건설하고 1554년 1월 25일 성 바오로의 개종 기념일에 첫 미사를 드렸는데, 이 날은 현재 상파울루의 건립일로 기념되고 있다.[7] 안시에타는 원주민들에게 기독교 교리를 가르치고 세례를 주는 한편, 라틴어를 가르치고 고대 투피어를 배워 사전과 문법서를 편찬하는 등 교육 활동을 펼쳤다.
안시에타와 노브레가는 포르투갈 식민지인들의 원주민 학대와 노예화에 반대하며 두아르테 다 코스타 총독과 갈등을 겪었다. 그러나 위그노 개신교도들이 정착한 프랑스 식민지에 맞서 포르투갈을 지지했으며, 원주민 복음화를 위해 폭력이 필요할 수 있다고 인식했다.[8]
포르투갈 식민지인들의 만행으로 상파울루, 리우데자네이루, 에스피리투 산투 해안의 원주민 부족들은 타모요 연맹을 결성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프랑스 식민지인들과 동맹을 맺었다. 안시에타와 노브레가는 우바투바 지역의 이페로이그 마을에서 타모요 연맹과 평화 협상을 시작했고, 안시에타의 투피어어 실력은 협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여러 우여곡절 끝에 평화가 이루어졌으나, 에스타시우 드 사가 프랑스 식민지인들을 몰아내라는 명령을 받으면서 상황이 다시 악화되었다. 안시에타는 군 의무관과 통역으로 참전하여 프랑스군에 맞서 싸웠고, 1567년 최종 승리에 기여했다.[10]
평화 정착 후, 리우에 예수회 대학이 설립되었고, 안시에타는 1570년 노브레가 사망 후 대학을 이끌었다. 그는 건강이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리우데자네이루, 바이아, 에스피리투 산투, 상파울루를 여행하며 예수회 선교를 통합했다. 1577년 예수회 총장 에버라드 메르쿠리안은 안시에타를 브라질 관구장으로 임명했다.
안시에타는 1591년 건강 악화로 직무 경감을 요청했고, 1597년 6월 9일 레리치바(현재의 안시에타)에서 사망했다.
2. 3. 타모요 연맹과의 갈등과 평화 협상 (1562년 ~ 1567년)
안시에타와 마누엘 다 노브레가는 포르투갈 식민지인들의 원주민 학대와 노예화 시도에 반대하여 두아르테 다 코스타와 갈등을 겪었다.[19] 이러한 상황에서 상파울루, 리우데자네이루, 에스피리투 산투 주 해안의 원주민 부족들은 반란을 일으켜 타모요 연맹을 결성했다.[19] 타모요 연맹은 1555년 구아나바라 만에 정착한 니콜라 뒤랑 드 빌레가뇽 휘하의 프랑스 식민지인들과 동맹을 맺었다.[19]
안시에타와 노브레가는 이페로이그 마을에서 타모요 연맹과 평화 협상을 시작했다.[19] 투피어에 능숙했던 안시에타의 언어 능력은 이 협상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9] 여러 사건과 죽을 고비를 넘긴 끝에, 안시에타와 노브레가는 마침내 원주민들의 신뢰를 얻는 데 성공하여 타모요 연맹과 투피니킴 민족, 그리고 포르투갈 사이에 평화가 이루어졌다.[19]
1565년, 브라질의 새로운 총독 멤 드 사의 조카인 에스타시우 드 사가 프랑스 식민지인들을 추방하라는 명령을 받으면서 포르투갈과 프랑스 간의 적대 행위가 다시 시작되었다.[19] 안시에타와 노브레가의 지원을 받은 에스타시우 드 사는 상 비센테에서 군대를 이끌고 출발하여 팡 데 아수카르 기슭에 리우데자네이루의 방벽을 세웠다.[19] 안시에타는 군의관과 통역으로 참전하여 여러 전투에 참여했으며, 살바도르 (바이아)에 있는 총독 본부에 보고했다.[19] 1567년, 포르투갈은 프랑스에 대한 최종 승리 전투에서 승리하여 브라질 식민지 지배권을 확립했으며, 안시에타는 이 전투에 참여했다.[19]
2. 4. 예수회 활동과 사망 (1577년 ~ 1597년)
1577년, 제4대 예수회 총회장 에바하르트 머큐리안은 안시에타를 브라질에 있는 회원 서열 중 지방 최고위로 임명했다. 그의 허약한 몸과 도보나 배로 하는 고된 장거리 여행에도 불구하고, 안시에타는 이후 10년 동안 히우 지 자네이루, 바이아, 에스피리투 산투, 상파울루 지역을 여행하며 예수회의 선교 강화를 위해 광범위한 활동을 펼쳤다.
1591년, 건강이 악화되자 안시에타는 업무 경감을 요청했다. 그는 제2의 조국인 에스피리투 산투 주 헤리치바에서 1597년 6월 9일에 사망했으며, 그를 인디오의 영혼과 존엄성을 보호하는 중재자로 높이 평가했던 3,000명 이상의 인디오가 그를 지켜봤다. 그는 죽은 뒤, 설교를 한 곳에서는 공격적인 재규어도 순해졌다는 많은 전설이 생겨났고, 오늘날까지 안시에타에게 기도하면 동물의 공격으로부터 보호받는다는 민간 신앙이 이어지고 있다.
3. 주요 업적
그의 저작은 서신, 보고서, 역사적인 유고와 설교로 출판되었으며, 많은 신학 및 종교 교리에 관한 저작, 연극 작품, 시, 그리고 최초로 투피어로 출판된 작품도 있다. 그는 찬송가를 만들고, 몇 개를 작곡했으며, 음악과 연극을 통해 인디오들에게 도덕을 가르치기 위한 각본도 썼다. 그는 유명한 성모 마리아에게 바치는 유명한 시를 썼는데,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매일 아침 이페로이그 해변의 젖은 모래 위에 쓰고, 후에 그 4900절 이상의 시를 종이에 적어 넣을 때까지 기억 속에 간직했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안시에타는 브라질 문학과 브라질 음악의 수호자가 되었다.
그는 역사가이자, 동물·식물학자(그는 몇몇 신종 동물과 식물에 대해 기술했다)였으며, 훌륭한 외과 의사이자 내과 의사이기도 했다. 그가 남긴 명확하고 상세한 보고서는, 이 시대의 인디언과 유럽인의 생활 방식, 지식과 습관, 나아가 놀랍도록 참신한 브라질의 야생 생물과 지리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현재에도 중요하다.
1560년경에 쓰여진 안시에타의 시 ''De Gestis Meni de Saa''에서는 "용사의 위업", 즉 포르투갈 군인들이 "끝없는 대자연"을 정복하기 위한 싸움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3. 1. 언어학 및 문학
안시에타는 고대 투피어를 기록한 선구자로, 1555년에 쓰여지고 1589년에 출판된 ''브라질 해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의 문법 예술''을 저술하여 해당 언어에 대한 최초의 출판물을 냈다.[13] 이 문법서와 사전은 거의 500년이 지난 지금도 브라질 언어에 대한 최고의 작품으로 손꼽히며, 안시에타는 아마존 언어학의 시작이자 아메리카 언어학의 시작으로 여겨질 만큼 헌신적인 언어학자였다.[14] 원주민 언어로 쓰여진 그의 저작물은 신학, 종교 교육, 연극, 시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른다.
예수회 전통에 따라 안시에타는 상사에게 편지로 소통하는 다작의 보고자였다.[18] 그의 보고서는 민족지학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데, 배우자 선택, 식인 풍습, 마법사의 역할 등 유럽의 규범을 따르지 않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행동에 초점을 맞추었다.[18] 특히 식인 풍습에 대한 상세한 증언은 인류학자들에게 자주 인용된다.[11]
안시에타는 역사가로서 멩 지 사의 전기를 저술했으며, 육행시로 구성된 ''멩 지 사의 업적에 관하여''는 아메리카 대륙에 관한 최초의 서사시이다.[15] 이 작품은 데 사를 "사탄을 몰아내기로 결심한 기독교의 율리시스"로 묘사한다.[15] 그의 또 다른 주요 시는 성모 마리아에게 바치는 ''데 베아타 비르지네 데이 마트레''(De Beata Virgine Dei Matre)이다. 전승에 따르면 안시에타는 1563년 이페로이그에서 포로로 잡혀 있는 동안 해변의 젖은 모래에 구절을 쓰고 매일 암기하여 석방 후 4,900구절을 종이에 완전히 쓸 수 있었다고 한다.[16]
framed
그의 희곡은 투피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라틴어를 혼합하여 작성되었으며, 마을 광장과 교회 뜰에서 지역 아마추어들이 공연하도록 의도되었다. 5행 연으로 쓰여진 전통적인 형식의 포르투갈 경건극인 ''오토''(auto) 문학 형식을 따랐으며, 예수회가 교실과 대중 교육을 위해 연극을 사용하는 전통을 반영했다.[18] 성인의 축일이나 식민지에 유물이 도착하는 것을 기념하기 위해 쓰여졌으며, 마을의 경쟁과 같은 지역 사건에 대한 언급 등 상당한 "상황적 정보"를 담고 있다.[18] 그의 희곡 중 몇 개만 남아 있지만, "장관에 대한 놀라운 감각, 신체 페인트, 원주민 의상, 노래와 춤, 싸움, 횃불, 행렬의 사용을 요구"하는 것으로 칭찬받았다.[16] 1567년에 쓰여지고 1672년에 출판된 안시에타의 "프레가상 우니베르설"(auto da pregação universel)은 브라질 문학 최초의 희곡 텍스트이다.[16]
안시에타는 예리한 박물학자로서 브라질 야생동물과 지리의 새로운 특성 중 여러 새로운 식물과 동물을 묘사했다.[17] 그의 명료하고 상세한 보고서는 16세기 원주민과 유럽인 정착민들의 신념, 태도, 관습을 이해하는 데 여전히 중요하다.
그의 작품은 ''카르타스, 인포르마상스, 프라그멘토스 히스토리코스 에 세르몽스''(Cartas, Informações, Fragmentos Históricos e Sermões, 편지, 보고서, 역사적 단편 및 설교)로 출판되었다.
3. 2. 종교 및 사회 활동
안시에타는 예수회 선교사로서 원주민 선교와 복음화에 힘썼으며, 원주민들의 권익 보호와 문화 보존에도 앞장섰다.[18] 그는 유럽 중심적 시각에서 벗어나 원주민의 행동 양식(배우자 선택, 식인 풍습 등)을 상세히 기록하여 인류학 연구에 기여했다.[18][11] 특히 식인 풍습에 대한 기록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진정한 친족 관계는 아버지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믿었기 때문에 발생했다고 설명한다.[11]
안시에타는 고대 투피어를 기록한 선구자로, 1555년 ''브라질 해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의 문법 예술''을 저술하여 1589년에 출판했다.[13] 이 책은 해당 언어에 대한 최초의 출판물이며, "거의 500년이 지난 지금도 브라질 언어에 대한 최고의 작품"으로 평가받는다.[14] 그는 원주민 언어로 신학, 종교 교육, 연극, 시 등 다양한 저작물을 남겼다.[14]
역사가로서 안시에타는 멩 지 사의 전기를 저술했으며, ''멩 지 사의 업적에 관하여''라는 서사시를 통해 데 사를 "사탄을 몰아내기로 결심한 기독교의 율리시스"로 묘사했다.[15] 또한 성모 마리아에게 바치는 시 ''데 베아타 비르지네 데이 마트레''(De Beata Virgine Dei Matre)를 썼는데, 이 시는 이페로이그에서 포로로 잡혀 있는 동안 해변의 모래에 구절을 쓰고 암기하여 석방 후 4,900구절을 종이에 옮겨 적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16]
안시에타는 투피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라틴어를 혼합하여 희곡을 썼으며, 이는 마을 광장이나 교회 뜰에서 공연되었다.[18] 그의 희곡은 전통적인 형식인 5행 연으로 쓰여졌으며, 예수회의 연극 교육 전통을 따랐다.[18] 1567년에 쓰여지고 1672년에 출판된 "프레가상 우니베르설"(auto da pregação universel)은 브라질 문학 최초의 희곡 텍스트이다.[16]
framed
그는 박물학자로서 브라질 야생동물과 지리의 새로운 특성을 묘사했으며, 외과 의사이자 내과 의사로도 활동했다.[17] 그의 명료하고 상세한 보고서는 16세기 원주민과 유럽인 정착민들의 생활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안시에타의 원고는 시복 절차를 위해 1730년대에 수집되어 로마에 보관되었으며, ''카르타스, 인포르마상스, 프라그멘토스 히스토리코스 에 세르몽스''(Cartas, Informações, Fragmentos Históricos e Sermões)로 출판되었다.[18]
안시에타는 교리 교사들의 수호 성인이자 모범이며, 2013년 세계 청소년의 날의 13명의 중재자 중 한 명으로 선포되었다.[28] 2015년에는 브라질 주교 전국 회의에 의해 브라질의 공동 수호 성인으로 선포되었다.[29]
3. 3. 기타
안시에타는 예수회 전통에 따라 상사들과 서신을 통해 소통했으며, 그의 보고서는 민족지학, 특히 유럽의 규범을 따르지 않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행동에 대한 상세한 기록으로 유명하다.[18] 그는 식인 풍습에 대한 상세한 증언을 남겼는데, 이는 인류학자들에게 자주 인용된다.[11] 그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포획된 남성과 부족 구성원의 자녀는 때때로 먹는다고 설명했다.[11] 그는 일부다처제를 자세히 설명하고, 교회의 근친상간 규칙 완화를 옹호하기도 했다.[12]
안시에타는 고대 투피어를 기록한 선구자로, 1555년에 쓰여지고 1589년에 출판된 ''브라질 해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의 문법 예술''을 저술했다.[13] 그의 문법과 사전은 거의 500년이 지난 지금도 브라질 언어에 대한 최고의 작품으로 손꼽힌다.[14] 그는 원주민 언어로 신학, 종교 교육, 연극, 시 등 다양한 저작물을 남겼다.
그는 역사가로서 멩 지 사의 전기를 저술했으며, ''멩 지 사의 업적에 관하여''는 아메리카 대륙에 관한 최초의 서사시이다. 이 작품은 데 사를 "사탄을 몰아내기로 결심한 기독교의 율리시스"로 묘사한다.[15] 그의 또 다른 주요 시는 성모 마리아에게 바치는 ''데 베아타 비르지네 데이 마트레''(De Beata Virgine Dei Matre)로, 4,900구절에 달한다.[16]
framed
그의 희곡은 투피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라틴어를 혼합하여 작성되었으며, 마을 광장과 교회 뜰에서 공연되었다. 그의 희곡은 성인의 축일이나 식민지에 유물이 도착하는 것을 기념하기 위해 쓰여졌다.[18] 1567년에 쓰여지고 1672년에 출판된 안시에타의 "프레가상 우니베르설"(auto da pregação universel)은 브라질 문학 최초의 희곡 텍스트이다.[16]
그는 예리한 박물학자로서, 브라질 야생동물과 지리의 새로운 특성 중 여러 새로운 식물과 동물을 묘사했다.[17] 그의 명료하고 상세한 보고서는 16세기 원주민과 유럽인 정착민들의 신념, 태도, 관습을 이해하는 데 여전히 중요하다. 또한 그는 뛰어난 외과 의사이자 내과 의사였다.
그의 원고는 1730년대에 포르투갈과 브라질의 기록 보관소에서 수집되어 로마에 보관되었다.[18] 그의 작품은 ''카르타스, 인포르마상스, 프라그멘토스 히스토리코스 에 세르몽스''(Cartas, Informações, Fragmentos Históricos e Sermões)로 출판되었다. 그는 찬송가를 만들고, 몇 개를 작곡했으며, 음악과 연극을 통해 인디오들에게 도덕을 가르치기 위한 각본도 썼다. 그는 브라질 문학과 브라질 음악의 수호자로 여겨진다.
1560년경에 쓰여진 안시에타의 시 ''De Gestis Meni de Saa''에서는 "용사의 위업", 즉 포르투갈 군인들이 "끝없는 대자연"을 정복하기 위한 싸움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4. 유산 및 평가
조제 데 안시에타는 브라질 문학의 창시자이자 노브레가와 함께 브라질의 사도로 칭송받는다.[19] 그는 에스피리투 산투 주에 있는 도시인 안시에타(과거 레리치바, 그가 사망한 곳)와 산타 카타리나 주에 있는 안시에타를 비롯해 많은 장소, 도로, 기관, 병원, 학교에 이름을 남겼다. 19세기에 브라질을 탐험한 프랑스 식물학자 A.St.-Hil.는 덩굴 식물인 제비꽃과의 덩굴에 이 예수회의 이름을 따서 ''안치에티아''라고 명명했다.[17]
1965년, 스페인 우체국은 "아메리카의 대장장이들"이라는 시리즈로 안시에타의 이미지가 담긴 우표를 발행했다.[20]
네이 라토라카는 1977년에 개봉한 브라질 전기 영화 ''안시에타, 조제 두 브라질''에 출연했다.[21][22]
안시에타의 시성 절차는 1624년 6월 22일 공식적으로 시작되었으며, 그는 하느님의 종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그의 영적인 저술은 1734년 12월 11일에 신학자들의 승인을 받았고, 교황 베네딕토 13세는 1736년 8월 10일에 그를 존경자로 선포했다.[23]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1980년에 시복되면서, 안시에타는 "복자 조제 지 안시에타"라는 칭호를 얻었다.[24][25]
교황 프란치스코는 2014년 4월 3일에 그의 성인으로의 시성을 발표했다. 이 발표는 카나리아 제도 출신 사제 3명에게 전달되었으며, 그들은 산타 마르타의 교황 관저에서 열린 교황 미사에 참석하여 로마 가톨릭 산 크리스토발 데 라 라구나 교구의 테네리페 주교, 베르나르도 알바레스 아폰소에게 이 소식을 전했다. 그는 오랫동안 숭배를 받아온 사람의 경우 표준적인 사법 절차와 의식을 생략하는 동등 시성으로 알려진 절차를 사용했다.[26] 안시에타는 교황 프란치스코에 의해 시성된 최초의 스페인인이었다.[27]
조제 지 안시에타는 생전과 사후에 거의 초자연적인 존재로 여겨졌다. 그에 관한 많은 전설이 생겨났는데, 그가 한때 공격하는 재규어에게 설교하여 진정시켰다는 이야기도 있다. 오늘날까지, 안시에타에게 기도하는 것이 동물 공격으로부터 보호해 준다는 대중적인 신앙이 존재한다.
조제 지 안시에타는 카나리아 제도에서 매우 존경받고 있다. 브라질 예술가 브루노 조르지가 제작한 산 크리스토발 데 라 라구나 시의 청동상은 포르투갈로 떠나는 조제 지 안시에타를 묘사한다. 이 작품은 브라질 정부가 안시에타의 고향에 기증한 것으로, 그곳에는 그의 나무 조각상이 라 라구나 대성당에서 숭배되고 있으며, 매년 6월 9일에 거리 행렬에 사용된다. 칸델라리아의 우리 부인 대성당 (카나리아 제도의 수호성인)에는 조제 지 안시에타가 상파울루 시를 건설하는 그림이 있다. 1997년에는 전기 만화가 출판되었다.
4. 1. 시성
안시에타의 시성 절차는 1624년 6월 22일 공식적으로 시작되었으며, 그는 하느님의 종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그의 영적인 저술은 1734년 12월 11일에 신학자들의 승인을 받았고, 교황 베네딕토 13세는 1736년 8월 10일에 그를 존경자로 선포했다.[23]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1980년에 시복되면서, 안시에타는 "복자 조제 지 안시에타"라는 칭호를 얻었다.[24][25]교황 프란치스코는 2014년 4월 3일에 그의 성인으로의 시성을 발표했다. 이 발표는 카나리아 제도 출신 사제 3명에게 전달되었으며, 그들은 산타 마르타의 교황 관저에서 열린 교황 미사에 참석하여 로마 가톨릭 산 크리스토발 데 라 라구나 교구의 테네리페 주교, 베르나르도 알바레스 아폰소에게 이 소식을 전했다. 그는 오랫동안 숭배를 받아온 사람의 경우 표준적인 사법 절차와 의식을 생략하는 동등 시성으로 알려진 절차를 사용했다.[26] 안시에타는 교황 프란치스코에 의해 시성된 최초의 스페인인이었다.[27]
조제 지 안시에타는 생전과 사후에 거의 초자연적인 존재로 여겨졌다. 그에 관한 많은 전설이 생겨났는데, 그가 한때 공격하는 재규어에게 설교하여 진정시켰다는 이야기도 있다. 오늘날까지, 안시에타에게 기도하는 것이 동물 공격으로부터 보호해 준다는 대중적인 신앙이 존재한다.
조제 지 안시에타는 카나리아 제도에서 매우 존경받고 있다. 브라질 예술가 브루노 조르지가 제작한 산 크리스토발 데 라 라구나 시의 청동상은 포르투갈로 떠나는 조제 지 안시에타를 묘사한다. 이 작품은 브라질 정부가 안시에타의 고향에 기증한 것으로, 그곳에는 그의 나무 조각상이 라 라구나 대성당에서 숭배되고 있으며, 매년 6월 9일에 거리 행렬에 사용된다. 칸델라리아의 우리 부인 대성당 (카나리아 제도의 수호성인)에는 조제 지 안시에타가 상파울루 시를 건설하는 그림이 있다. 1997년에는 전기 만화가 출판되었다.
5. 한국과의 관계
6. 기념 및 숭배
안시에타의 요셉은 교리 교사들의 수호 성인이자 모범이다.[28] 교황 베네딕토 16세에 의해 2013년 세계 청소년의 날의 13명의 중재자 중 한 명으로 선포되었으며, 이 행사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렸다.[28] 2015년 4월, 브라질 주교 전국 회의에 의해 아파레시다의 성모와 함께 브라질의 공동 수호 성인으로 선포되었다.[29]
안시에타의 요셉 성인에게 헌정된 주요 성당은 브라질과 카나리아 제도에 있으며, 그의 생애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산크리스토발데라라구나 대성당은 산크리스토발데라라구나 시에 위치한 그의 출생지에 있는 주요 교구 성당으로, 1534년에 세례를 받은 곳이며 그의 이미지가 숭배되고 있다.[30] 매년 6월 9일에는 성인의 커다란 청동상에 꽃을 뿌리고,[31] 테네리페 주교가 주재하는 장엄한 미사가 대성당에서 열린 후, 그의 이미지를 들고 그의 출생지까지 거리를 행진하며 다시 꽃을 뿌리는 행사가 열린다.[31] 국립 안시에타 성 요셉 성지는 에스피리투산투 주 헤리치바(현재는 "안시에타"로 불림) 마을에 위치해 있으며, 중요한 성미술 박물관이 있고, 그가 생애 마지막 몇 년을 보냈고 사망한 장소에 지어졌다.[32] 여기에서 성인을 기리는 국가 공휴일이 브라질 전역에서 온 신자들의 순례와 함께 기념되며, 2015년 안시에타가 브라질의 공동 수호성인으로 선포된 후, 이 교회는 "국립 성지"로 지정되었다.[33]
참조
[1]
웹사이트
José de Anchieta, el español que fundó Sao Paulo y Río de Janeiro
https://revistadehis[...]
2024-09-16
[2]
웹사이트
El Papa convierte hoy al Padre Anchieta en santo
http://www.laopinion[...]
2023-10-27
[3]
웹사이트
José de Anchieta será o terceiro santo do Brasil
http://jovensconecta[...]
[4]
뉴스
José de Anchieta, S.J.: Apostle of Brazil
http://www.crisismag[...]
2014-04-08
[5]
웹사이트
La Catedral custodia una reliquia de Anchieta
https://www.eldia.es[...]
2023-10-27
[6]
뉴스
Empiezan las obras de rehabilitación de la Casa Anchieta tras 13 años de abandono
https://www.eldia.es[...]
2021-06-06
[7]
웹사이트
Piratininga became São Paulo: the old college is today a metropolis
http://www.cidadedes[...]
City of Sao Paulo
2014-04-08
[8]
간행물
The French in Sixteenth-Century Brazil
1949-04
[9]
서적
Christianity in Latin America: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https://books.google[...]
Koninklijke Brill NV
[10]
뉴스
Conheça a vida do Beato José de Anchieta, fundador de cidades, missionário gramático, poeta, teatrólogo e historiador
http://c3press.com/c[...]
2014-04-08
[11]
간행물
Three Cheers for Hans Staden: The Case for Brazilian Cannibalism
1985-01
[12]
서적
Native Brazil: Beyond the Convert and the Cannibal, 1500–1900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13]
서적
Handbook of Amazonian Languages, vol. 4
https://books.google[...]
Mouton de Gruyter
[14]
서적
Linguistic Fieldwork: A Student Guid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서적
Puritan Conquistadors: Iberianizing the Atlantic, 1550–1700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A Companion to Latin American Literature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17]
서적
CRC World Dictionary of Plant Names: Common Names, Scientific Names, Eponyms, Synonyms, and Etymology, vol. 1
https://books.google[...]
CRC Press
[18]
간행물
The Theater of José de Anchieta and the Definition of Brazilian Literature
1999-07
[19]
웹사이트
Joseph Anchiet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3-02-06
[20]
웹사이트
Sello: 1683- Forjadores de América. Padre José de Anchieta. 2,50 pts lila y azulde España Europa
http://www.sellosmun[...]
[21]
IMDb
Anchieta, José do Brasil
[22]
문서
Maria Ignês Carlos Magno, "História e literatura através do cinema", in Videografia
http://www.revistas.[...]
2014-04-09
[23]
서적
Index ac status causarum beatificationis servorum dei et canonizationis beatorum
Typis polyglottis vaticanis
1953-01
[24]
웹사이트
El lagunero Padre Anchieta será canonizado en abril
https://www.eldiario[...]
2023-10-27
[25]
뉴스
La canonización de Anchieta en primicia
http://web.eldia.es/[...]
2014-03-01
[26]
뉴스
'Flying Priest' Becomes a Saint
http://vaticaninside[...]
2014-04-03
[27]
웹사이트
Santos españoles canonizados por el Papa Francisco. Conferencia Episcopal Española.
http://www.conferenc[...]
2016-06-09
[28]
뉴스
Patrones e Intercesores de la Jornada Mundial de la Juventud 2013
http://www.rio2013.c[...]
[29]
웹사이트
53ª ASSEMBLEIA GERAL DA CNBB - Arquidiocese de Fortaleza
http://www.arquidioc[...]
2015-05-06
[30]
뉴스
La Catedral custodia una reliquia de Anchieta
http://web.eldia.es/[...]
2014-03-10
[31]
웹사이트
Fiesta de San José de Anchieta
http://www.nivariens[...]
2016-06-08
[32]
웹사이트
Museo Nacional de São José de Anchieta em Santuário Nacional de São José de Anchieta
http://www.litoralsu[...]
2016-06-09
[33]
웹사이트
São José de Anchieta é declarado padroeiro do Brasil
http://gazetaonline.[...]
2016-06-09
[34]
웹사이트
El Papa convierte hoy al Padre Anchieta en santo
http://www.laopin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